KR20040021739A -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739A
KR20040021739A KR1020020053054A KR20020053054A KR20040021739A KR 20040021739 A KR20040021739 A KR 20040021739A KR 1020020053054 A KR1020020053054 A KR 1020020053054A KR 20020053054 A KR20020053054 A KR 20020053054A KR 20040021739 A KR20040021739 A KR 20040021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pporter
cabinet
fixing structur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8893B1 (ko
Inventor
황상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89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린 조립공정이 단축되도록 하기 위해 스크린 서포터에 안내 홈을 형성시킨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전면부를 구성하도록 된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중앙에 형성되어진 스크린 수용부에 장착되어 화상이 맺히도록 구성된 스크린과; 상부 횡 방향으로 형성한 안내 홈에 상기 스크린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지지하는 스크린 서포터와; 상기 스크린 서포터를 캐비넷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의 고정작업에서부터 백 커버를 닫아 텔레비전 내부의 광학엔진을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는 공정까지의 시간이 짧아져 이물에 의한 결함을 최대한 줄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텔레비전 조립작업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스크린 고정작업의 공수를 줄임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되며, 이로 인한 생산력 향상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Screen Fixing Structure of Projection TV}
본 발명은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린 조립공정이 단축되도록 하기 위해 스크린 서포터에 안내 홈을 형성시킨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크게 구동 소자에 따라 CRT 프로젝션과 엘씨디 프로젝션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CRT 프로젝션은 3개의 Mono Chroma CRT에 의해 영상신호를 생성하지만, 엘씨디 프로젝션에서는 광학엔진(조명계+Color System+투사 렌즈계)에 의해 영상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둘 사이에는 구동원리가 다를 뿐 그 외의 구조와 역할은 같다고 볼 수 있다.
현재까지는 가격 경쟁력 등의 이유로 CRT 프로젝션의 보급률이 앞서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엘씨디 프로젝션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엘씨디 프로젝션 텔레비전에 대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엘씨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측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종래의 엘씨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외부 구성은 전면을 형성하는 캐비넷(1)과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엘씨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기능적 구성은 엘씨디와 같은 화상 표시부에 형성된 화상에 강한 빛이 투사되도록 하여 화상 신호가 포함된 빛이 생성되도록 하는 광학부(3)와, 상기 광학부(3)에서 생성된 빛이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경(4)과, 상기 반사경(4)에서 반사된 빛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스크린(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개략적인 구동과정을 살펴보면, 본체 바닥에 형성된 광학부(3)로부터 생성된 화상 신호가 반사경(4)에 의해 반사되어 스크린(5)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여 시청자가 화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광원 및 편향방식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으나, 모든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원리가 상을 스크린(5)에 맺히게 하여 영상을 구현시키게 되는 것이어서, 상기 스크린(5)을 고정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스크린(5) 고정작업은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화상신호가 포함된 빛이 광학부(3)로부터 영사되어 1~2단계의 반사과정을 통해 적절히 확대되어 스크린(5)에 상을 맺게 하는 프로젝션의 특성상, 빛이 통과하는 광학엔진 내에 먼지 등의 이물이 유입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흑점으로 나타나는 치명적 결함을 유발시킨다.
이에 따라 스크린(5) 고정작업에서부터 백 커버(2)를 닫아 광학엔진을 완전히 밀폐하는 공정까지의 시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이물에 의한 결함의 발생이 제한될 수 있다.
하기, 종래의 스크린(5) 고정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스크린(5) 고정구조를 보인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종래의 스크린(5) 고정구조는 캐비넷(1) 중앙에 스크린(5) 수용부(1a)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5) 수용부(1a)의 가장자리 4변에 스크린(5)이 정합되기 위한 단부(1b)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1b)에 스크린(5)이 정합되며, 상기 스크린(5)이 캐비넷(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서포터(6)가 배면에서 체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터(6)는 스크린(5)의 상하좌우 4방향의 가장자리를 캐비넷(1)에 밀착시켜 상기 캐비넷(1)과 스크린(5) 사이에 사이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종래의 스크린 고정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캐비넷(1)의 스크린(5) 수용부(1a)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단부(1b)에 스크린이 결착되고, 상기 결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크린 서포터(6)가 배후에서 별도의 체결수단(7)으로 체결 되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단부(1b) 외측에 일정높이 돌출시킨 체결 돌기(1c)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5)의 고정구조는 스크린(5)의 고정방법이 확실하고, 소비자의 클레임을 유발하는 스크린(5) 사이뜸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스크린(5)의 가장자리 4방향에 스크린 서포터(6)를 일일이 체결해 주어야 하는 종래의 스크린(5) 고정작업에 의하면 각각의 서포터(6)를 별도의 체결수단(7)으로 체결시켜주는 데에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전체 조립공정이 지연됨으로 인해, 내부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이 유입되는 비중이 커지게 되어 제품의 질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크린(5) 전면에서 서포터(6)가 비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서포터(6)의 폭을 좁게 형성해야 한다는 형상적인 제약이 따르게 되는데, 상기 서포터(6)는 주로 철편 소재의 프레스 물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압축 물로 만들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적 제약으로 인해 서포터(6) 자체의 휨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서포터(6)의 휨 문제는 서포터(6)의 체결작업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체결 후에도 전체 형상에 변형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히, 근래의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대체적으로 4:3의 비율보다 16:9 비율의 스크린(5) 사이즈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점차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에 따라, 서포터(6)의 좁고 긴 형상적 제약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어, 휨에 따른 불량은 그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형상적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강도설계가 가능하도록 하여 서포터(6)의 휨이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스크린(5) 고정작업을 대폭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5) 고정구조를 제안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급선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이 한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서포터를 구성하여 스크린의 조립시간이 단축되도록 하여 광학엔진 내부에 이물이 침투되어 발생하게 되는 불량을 줄이도록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스크린 서포터의 형상적 제한 없이 충분한 강도설계가 가능하도록 하여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스크린을 지지하는 서포터의 구조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여 장식적 효과를 갖도록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씨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크린 고정구조를 보인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스크린 고정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고정구조를 보인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고정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서포터가 상하 일체형 텔레비전 세트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캐비넷 2: 백 커버
3: 광학부 4: 반사 거울
5,15: 스크린 6,16: 스크린 서포터
7,17: 체결수단 11a: 수용부
16a: 안내 홈 16b: 체결 홀
16c: 체결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전면부를 구성하도록 된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중앙에 형성되어진 스크린 수용부에 장착되어 화상이 맺히도록 구성된 스크린과; 상부 횡 방향으로 형성한 안내 홈에 상기 스크린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지지하는 스크린 서포터와; 상기 스크린 서포터를 캐비넷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고정구조를 보인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15) 고정구조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캐비넷(11)이 구성되고, 상기 캐비넷(11)에 장착되어 화상이 맺히도록 한 스크린(15)이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15)을 캐비넷(11)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린 서포터(16)가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 서포터(16)를 캐비넷(11)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넷(11)은 중앙에 스크린(15)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한 스크린(15) 수용부(11a)와, 배면에 본체 및 스크린 서포터(16)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 홀(16b)과 주변부품들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홀 등을 일체로 형성시킨 사출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5)은 반사 거울(4)로부터 반사되어진 화상이 맺히도록 하기 위해 표면이 평판형 렌즈로 가공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린 서포터(16)는 상기 스크린(15)이 끼움 되도록 하는 안내 홈(16a)이 횡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 홈(16a)의 하부에는 다수의 체결 홀(16b)이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 홀(16b)에는 별도의 체결수단(17)이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캐비넷(11) 중앙에 스크린(15)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15) 수용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15) 수용부(11a) 저면부에 스크린 서포터(16)가 별도의 체결수단(17)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스크린 서포터(16)의 구성은 도 4에서 자세히 드러난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 서포터(16)는 하부가 체결수단(17)에 의해 캐비넷(11)에 체결되도록 다수의 체결 홀(16b)이 형성되고, 상부에 스크린(15)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한 안내 홈(16a)이 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나서, 상기 캐비넷(11) 내측으로부터 스크린(15)이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15)의 하단면이 상기 스크린 서포터(16)의 안내 홈(16a)에 삽입되도록 하여 스크린(15)의 장착 및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1차적 스크린(15) 고정작업이 끝나게 되면, 하단면을 제외한 좌, 우측면과 상단면에서 별도의 서포터를 이용하여 스크린(15)이 캐비넷(11)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스크린(15)의 가장자리가 캐비넷(11)으로부터 틈이 벌어지게 되는 사이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빠른 시간 내에 스크린(15) 조립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내부에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서포터(16)가 텔레비전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텔레비전 세트의 다양화 및 장식적 이용가치가 높아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서포터가 상하 일체형 텔레비전 세트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슬림형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경우 디스플레이부위와 하측의 조작부위가 평면적인 면 분할로 디자인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스크린 서포터(16)는 스크린(15)을 지지 및 고정하는 동시에 면 분할을 수행하는 디자인 적인 측면에서의 장식적 효과를 갖는다.
특히, 캐비넷(11)과 다른 재질의 채용이 가능하므로 디자인적인 제약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서포터(16)를 외관 면 분할의 용도로 활용하면, 외관에 드러나는 전면을 제외하면, 나머지 부위에는 거의 형상적 제약이 따르지 않는다. 이를 이용하면 보이지 않는 공간을 충분히 활용한 강도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스크린의 고정작업에서부터 백 커버를 닫아 텔레비전 내부의 광학엔진을 완전히 밀폐되도록 하는 공정까지의 시간이 짧아져 이물에 의한 결함을 최대한 줄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텔레비전 조립작업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스크린 고정작업의 공수를 줄임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되며, 이로 인한 생산력 향상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크린 서포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인해 텔레비전 외관의 디자인적 다양화 및 장식적 효과를 갖게 되고, 스크린 서포터의 형상적 제약을 받지 않아 충분한 크기의 강도설계가 가능하므로 휨 등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스크린 서포터 자체로서 스크린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의 역할을 함께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전면부를 구성하도록 된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중앙에 형성되어진 스크린 수용부에 장착되어 화상이 맺히도록 구성된 스크린과;
    상부 횡 방향으로 형성한 안내 홈에 상기 스크린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스크린 서포터와;
    상기 스크린 서포터를 캐비넷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서포터는 하단부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캐비넷에 체결되도록 다수의 체결 홀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스크린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한 안내 홈이 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KR10-2002-0053054A 2002-09-04 2002-09-04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KR100518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054A KR100518893B1 (ko) 2002-09-04 2002-09-04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054A KR100518893B1 (ko) 2002-09-04 2002-09-04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739A true KR20040021739A (ko) 2004-03-11
KR100518893B1 KR100518893B1 (ko) 2005-09-30

Family

ID=3732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054A KR100518893B1 (ko) 2002-09-04 2002-09-04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8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71B1 (ko) * 2005-03-15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체결공 구조
KR100693509B1 (ko) * 2005-01-07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KR100895664B1 (ko) * 2007-11-09 2009-05-07 임성근 리어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25Y2 (ko) * 1987-09-30 1993-06-14
JPH0496732U (ko) * 1991-01-31 1992-08-21
KR100346711B1 (ko) * 1999-12-14 2002-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젼
KR200209774Y1 (ko) * 2000-08-22 2001-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스크린 결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509B1 (ko) * 2005-01-07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KR100642371B1 (ko) * 2005-03-15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체결공 구조
KR100895664B1 (ko) * 2007-11-09 2009-05-07 임성근 리어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8893B1 (ko) 200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9419B2 (ja) 薄型表示装置
US2006005583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30112379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screen in a projection television
KR10073299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WO2020083063A1 (zh) 电子设备
KR100518893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구조
KR100465306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구조 및 구조의 형성 방법
CN113947995A (zh) 一种显示装置
KR20050046146A (ko) 프로젝션 텔레비젼 및 그 제조방법
CN101680614A (zh) 背光源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机
KR10051886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크린필터 고정구조
JP3301181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用ミラーホルダー
KR100494165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크린 필터 고정구조
KR200339674Y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JP5285807B2 (ja) 薄型表示装置
KR10073986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30029188A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및 필터 지지구조
KR10051886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크린 필터 고정구조
JPH06294998A (ja) マルチビジョン
JP3240704B2 (ja) 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プロジェクター
KR20130131167A (ko) 미디어 기기
KR200186138Y1 (ko) 컴퓨터용 모니터의 pcb 결합구조
CN118057511A (zh) 显示设备
JP2021051137A (ja) フレーム部材、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KR20070045375A (ko) 액정 표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