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661A - 단일층 및 다층의 필름 및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오토클레이브가능하고 비접착성인 가열밀봉성 중합체 필름 - Google Patents

단일층 및 다층의 필름 및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오토클레이브가능하고 비접착성인 가열밀봉성 중합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661A
KR20040021661A KR10-2004-7001215A KR20047001215A KR20040021661A KR 20040021661 A KR20040021661 A KR 20040021661A KR 20047001215 A KR20047001215 A KR 20047001215A KR 20040021661 A KR20040021661 A KR 20040021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lend
melting point
componen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323B1 (ko
Inventor
쉐륀 상
타우아 앙
마이클티. 케이. 링
마이클 마스터슨
제임스 피터슨
크래이그 샌드포드
리 우
쟝-끌로드 본테
마이클 벡커
Original Assignee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백스터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2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5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gamma-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75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87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n radiation, e.g. beta-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ag Frames (AREA)
  • Tubes (AREA)
  • Wrapp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을 포함하며;
제1 성분의 부분은 가교 결합되고, 제2 성분은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되지 않는 중합체 블렌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일층 및 다층의 필름 및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 오토클레이브가능하고 비접착성인 가열밀봉성 중합체 필름 {Autoclavable, Non-Adherent, Heat Sealable Polymer Films for Fabricating Monolayer and Multiple Layered Films and Containers}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0년 3월 16일자로 출원된 제09/526,357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상기 출원 명세서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도입되고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한다.
미국 정부가 후원하는 연구 :해당 없음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필름, 더욱 특히 증기 멸균시에 변형이 적고 비접착성이고 가열밀봉가능하며, 유연한 의료 용기로 제작하기에 적합한 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중합체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이로운 작용제를 모아서 가공하여 용기에 저장하여 운송하고, 최종적으로는 튜브를 통한 주입에 의해 환자에게 전달하여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의학 분야에 있어서, 용기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는 그 특성들이 독특하게 조합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용액을 미립자 오염물에 대해 육안 검사하기 위해서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용기가 필요하다. 그 벽을 형성하는 재료는 용기에 공기를 도입하지 않고 용기 벽을붕괴시켜 용액을 주입할 만큼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 그 재료는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그의 유연성 및 인성을 유지해야 한다. 일부 용액, 예를 들어 미리혼합된 특정 약물 용액은 약물 변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25℃ 내지 -30℃ 등의 온도에서 용기에 저장하고 운송하기 때문에 그 재료는 저온에서 그의 유연성 및 인성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약제액 용기 및 영양 제품이 수송 전에 거치게 되는 과정인 증기 멸균의 열에 견디기 위해서, 상기 재료는 고온에서 기능적이고 변형에 대한 내성이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멸균 과정은 용기를 전형적으로 121℃의 온도 및 더욱 고온에서 증기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용한 용품으로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재료는 가열밀봉 기술로 밀봉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재료는 가열시에 용융되기에 충분한 열가소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추가의 요건은 그 재료로 제작된 용품을 의도한 대로 사용한 후에 폐기할 때, 그에 의한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매립하여 폐기하는 용품의 경우에는, 용품 제조시에 저분자량의 침출가능한 성분의 혼입을 최소화하거나 그러한 성분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도중에 생성되는 스크랩 (scrap) 재료를 열 재가공할 수 있게 하는 재료를 이용한다면, 추가의 이점이 달성된다.
생물학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각시켜 폐기하는 용기의 경우에는 환경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부식성인 무기 산의 형성을 최소화하거나 그러한 산이 형성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재료는 약제액 또는생물학적 유체로 방출될 수 있는 가소제, 안정화제 등과 같은 저분자량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소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기능적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의료용 백 용도로서 빈번히 선택되는 재료이다. 또한, PVC는 상기 요건을 충족시키는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가장 비용 효과적인 재료 중의 하나라는 명확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PVC에는 시장상의 단점이 많다. 이러한 단점으로는 PVC 화합물과 특정 약물과의 비상용성, 염소 함유물에 대한 염려 및 환경에 미치는 그의 효과 및 PVC에 대한 부정적인 시장 인식의 일반적 증가 등이 있다. 따라서, PVC를 대체하기 위한 많은 재료들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체 재료는 실용화되기에 너무 고가이고 여전히 상기 요건을 모두 충족시키지는 못한다.
PVC와 관련된 단점 없이 의료 용기 및 의료용 튜브에 대한 많은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배합물 (alloy)이 개발되어 왔다. 폴리올레핀은 전형적으로 유체에 대한 추출성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의학적 용도에 적합하다. 대부분의 폴리올레핀은 소각시에 유해한 분해물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안전하며, 열가소성 물질의 재활용에 적합하다. 많은 폴리올레핀은 PVC에 대해 경제적인 대안을 제공할 수 있는 비용 효과적인 재료이다. 그러나, PVC의 바람직한 모든 특성을 폴리올레핀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장애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의료용 튜브 제작에 특정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데에는 문제가있다. 그러한 튜브는 슬라이드 클램프로 튜브를 클램핑시킬 때 쉽게 절단되거나, 세편화되거나 또는 자국이 남을 정도로 표면 특성이 불량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바람직한 모듈러스 특성을 가진 특정 폴리올레핀은 오토클레이브 과정 중에 도달하는 온도보다 융점 온도가 낮다.
화학적 작용제 또는 고에너지 이온화 방사에 의한 가교 결합은 중합체 매트릭스의 내열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화학적 가교 결합은 개개의 중합체 사슬들 사이의 공유 결합으로서 중합체의 융점보다 높은 고온에서도 중합체가 변형되거나 유동되는 경향을 크게 억제한다. 예를 들면, 테루모 (Terumo)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4,465,487호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고에너지 (2 Mev) 전자 비임으로 50 kGy 내지 100 kGy의 선량 (dose)으로 조사하여 50% 내지 85%의 겔 함량이 달성된 증기 오토클레이브가능한 의료 용기의 제작에 관해 기재한다. 상기 특허 제4,465,487호는 약 50% 이상의 겔 함량이 달성되도록 조사한 후에 용기의 EVA 측벽을 함께 밀봉시킬 경우에는 쉽게 박리된다고 기재하고 있다 (컬럼 4, 20-30행). 따라서, 상기 특허 제4,465,487호는 용기를 단지 일부 (port area)만이 밀봉되지 않은 상태의 파우치로 밀봉한 후에 용기의 측벽을 조사한다고 기재한다.
유사하게, 미국 특허 제4,453,940호는 EVA 및 다른 재료로 의료 용기를 제작하는 것을 기재한다. 또한, 상기 특허 제4,453,940호는 재료를 고에너지 전자 비임으로 가교 결합시켜 EVA의 오토클레이브 내성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기재한다. 상기 특허 제4,453,940호는 가교 결합이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열밀봉의 이용이 불가능하게 됨을 경고하고 있다 (컬럼 4, 27-35행).
미국 특허 제4,401,536호는 폴리프로필렌 및 EVA 또는 EEA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반경질 용기를 가교 결합시키는 것에 관해 기재한다. 상기 특허 문헌은 에틸렌 알파 올레핀과 폴리프로필렌의 병용은 기재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성형하기 전에 조사하면 가열밀봉성이 불량한 용품이 생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컬럼 4, 25-28행).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4,892,604호 및 동 제5,066,290호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표피층 및 이와 동시압출된,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약 18%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코어층을 갖는 의료 용기를 기재한다. 용기가 통상의 방사선 주파수로 가열밀봉되어 제작된 후에는, 상기 어셈블리에 약 5 Mev의 고에너지 비임 가속기로부터 약 100 kGy의 이온화 방사선을 조사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층은 멸균액 함량을 전세계의 각종 약전에서 요구되는 비교적 일정한 농도로 유지하기 위한 습기 및 기체 투과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 구성에는 몇가지 심각한 결함들이 명백하다: 1) 가교 결합된 EVA 층은 밀봉이 불가능하거나 밀봉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재료 구성으로 용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제작한 후에 가교 결합 과정을 수행해야 하고 (이는 제조 공정을 매우 비효율적으로 만듦), 2) 충분한 가교 결합에 필요한 방사선량은 또한 상당량의 아세트산 (방사선 노출의 부산물)을 방출시킨다. HDPE가 가스 투과에 대한 장벽을 제공하기 때문에, 트랩핑된 아세트산은 유체 함유물을 강한 산성으로 만들어 아주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레이스 (W.R. Grace)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4,643,926호는 특정 양태에서 가열밀봉될 층이 폴리프로필렌을 주 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다층 재료로부터 약제액 용기를 제작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방사선에 노출될 때 사슬 분단을 겪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 가열밀봉 층은 열가소성으로 남아 있어 유사한 표면으로 가열밀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체 다층 필름이 가열밀봉되어 오토클레이빙을 견딜 수 있다. 그러나, 다층 구성의 복잡성 및 EVA 조사 시의 산성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고 필름 내에 산 스캐빈징 화합물을 혼입시켜야 하는 필요성은 (미국 특허 제5,445,893호 참조) 공정을 매우 복잡하게 하고 많은 비용이 들게 한다. 또한, 필름이 몇가지 아주 다른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에지 트림 및 다른 필름 스크랩을 광학 및 기계적 특성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고 재가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비실용적이다.
미국 특허 제5,055,328호는 가열밀봉 층이 추가의 항산화제를 함유하여 가교 결합을 지체시켜 가교 결합 후 가열밀봉을 용이하게 하는 다층의 시차 가교 결합된 필름을 기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카나다 특허 제1,125,229호는 외부층이 가교 결합 증강제를 함유하는 다른 시차 가교 결합된 다층 필름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모두 다층 구조이며 오토클레이빙 동안의 자기 접착의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
선 (Sun)의 미국 특허 제4,724,176호는 방사선 가교 결합된 외부층 및 조사 공정을 조절한 비가교 결합된 내부 밀봉층을 가진 다층의 배향된 열수축성 용기를 기재하고 있다. 내부 및 외부층은 EVA 공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용기는열을 가할 때 수축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오토클레이브 과정 후에 그의 전체 체적을 실질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용기에는 부적합할 것이다.
미국 특허 제4,550,141호는 이오노머와 프로필렌 및 α-올레핀 공중합체의 중합체 블렌드를 기재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은 또한 이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단일층 및 다층 필름을 기재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은 넓은 가열밀봉 온도 범위 (예를 들어, 10℃ 이상의 범위)에 걸쳐 일관된 박리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 이들 필름을 사용하여 박리 밀봉을 형성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은 블렌드 또는 필름을 방사선에 노출시켜 가교 결합을 유발하는 것은 기재하지 않고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은 증기 멸균을 견딜 수 있는 박리가능한 밀봉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고 언급하고 있다 (제1 칼럼 제55행 내지 제57행).
본 발명은 본 발명자들이 알고 있는, 현재까지 당업계에 공지되었거나 상업적으로 이용되거나 시판되는 재료보다 전반적으로 뛰어난 중합체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료의 특성에는 가요성, 시각적 검사를 위한 광학적 투명성, 및 심한 변형 또는 자기 접착을 경험하지 않고 121℃의 온도까지의 증기 멸균 과정을 견디기 위한 충분한 내열성이 포함된다. 재료는 또한 비배향, 비접착성이어야 하고 가열밀봉 기술을 사용하여 밀봉할 수 있어야 한다. 재료는 또한 저분자량의 누출가능한 첨가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아야 하고, 많은 양의 부식성 무기산의 발생없이 소각에 의해 안전하게 제거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재료는 현재 의료 기구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PVC 제형에 대한 비용 효율적 대체물로서 제공되어야 한다.
미국 특허 제5,879,768호는 (A) (1) 1종 이상의 균질하게 분지된 실질적으로 선형인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5 내지 95% 및 (2) 0.916 내지 0.930 g/㏄의 밀도를 가진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 5 내지 95%의 혼합물 10 내지 100%; 및 (B)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균질하게 분지된 선형 에틸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중합체 0 내지 90%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밀봉층을 가진 재료로부터 제작된 유동성 재료의 포장용 파우치를 기재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은 이 블렌드를 방사선에 노출시키는 것을 기재하지도 않았고 균질하게 분지된, 실질적으로 선형인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와 폴리프로필렌과의 블렌딩을 기재하지도 않았다.
한가지 이상의 중합체를 블렌딩하여 배합 조성물을 형성할 때, 상기 목적 모두를 동시에 달성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면, 많은 배합물은 상당한 광 산란을 나타내며, 따라서 그것은 광학적 투명도 목적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광 산란 강도 (흐림도 (haze)에 의해 측정됨)는 마이크로미터 (μ) 범위의 성분의 도메인 크기 및 성분의 굴절율의 근접도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굴절율 미스매치를 최소로 하여 아주 작은 도메인 크기로 충분하게 가공될 수 있는 성분의 선택은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중합체 필름의 용도는 수없이 많다. 한 통상적인 용도는 박리가능한 밀봉의 제작이다. 박리가능한 밀봉은 가열밀봉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밀봉 방법에 의해 생성된, 2개의 필름 사이의 박리가능한 밀봉 또는 조인트이고, 이와 같이 형성된 밀봉 또는 조인트는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필름의 통합성 또는 주변/영구 밀봉을 파괴하지 않고 2개의 필름의 원래 결합면에서 개방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 이전에는, 박리가능한 밀봉은 모두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되어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미국 특허 제5,904,425호, 제5,893,645호 및 제5,887,98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층 필름을 밀봉하여 형성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박리가능한 밀봉의 한가지 문제점은 가공 윈도우 변화에 대한 제조 공차가 낮아 박리 강도를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박리 강도는 과도하게 약하여 밀폐 밀봉을 제공할 수 없거나, 또는 과도하게 강하여 떼어내기 어려울 수 있다.
미국 특허 제4,808,662호 및 제4,189,519호는 확장된 밀봉 온도 범위에서 박리 강도가 거의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가능한 밀봉을 기재하고 있다. 여러가지 다른 참고문헌,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916,190호, 제4,784,885호, 제4,539,263호, 제4,414,053호 및 제3,879,492호는 박리가능한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밀봉가능한 필름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참고문헌 중 어느 것도 그 성분들이 구분되는 융점 온도를 갖는 단일층 필름으로부터 오토클레이빙 전 및 후의 박리 강도가 거의 일정한 박리가능한 밀봉을 형성하며, 이때, 박리가능한 밀봉을 형성하는 단일층 필름을 이후에 용기로 형성할 수 있는 것에 대해 교시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가교 결합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 및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및 메틸 펜텐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은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지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을 가지며; 제1 성분 부분은 가교 결합되고, 제2 성분은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이 없는 중합체 블렌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일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필름으로 제작된 재료 용기이다.
도 4는 I.V. 유체 투여 세트이다.
도 5는 복막 투석 용기 및 튜브 세트이다.
도 6은 챔버를 분리하는 박리가능한 밀봉을 가진 이중 챔버 백이다.
도 7은 두 개의 융점 온도 사이로 한정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DSC 플롯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오토클레이빙 과정 전후의 필름에 대한 박리 밀봉력 대 밀봉 온도의 플롯을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정도의 표면 조도를 가지는 필름에 대한 평균 박리력 대 밀봉 온도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의 양태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본 발명의 설명이 본 발명의 원리의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넓은 면을 예시된 양태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조건으로 기재되어 있다.
I. 중합체 블렌드 및 그로부터 형성된 단일층 필름
a. 제 1 중합체 블렌드
도 1은 본 발명의 단일층 필름 (10)을 나타낸다. 단일층 필름 (10)은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을 가진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제작된다. 제1 성분은 (1) 약 0.915 g/㏄ 미만의 밀도를 가진 에틸렌과 α-올레핀 인터폴리머, (2) 에틸렌과 저급 알킬 아크릴레이트 인터폴리머, (3) 에틸렌과 저급 알킬 치환된 알킬 아크릴레이트 인터폴리머 및 (4) 통상적으로 이오노머로서 불리우는 이온성 중합체의 군에서 선택된다. 제1 성분은 필름의 약 99 중량% 내지 약 5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 중량% 내지 약 8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5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제2 성분은 (1)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2) 부텐 함유 중합체, (3) 폴리메틸펜텐 함유 중합체, (4) 환식 올레핀 함유 중합체 및 (5) 가교된 다환식 탄화수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제2 성분은 필름의 약 45 중량% 내지 약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중량% 내지 약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3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필름은 ASTM D882에 따라서 측정될 때 약 60,000 psi 미만의 탄성 모듈러스, ASTM D1003에 따라서 측정될 때 약 25% 미만의 내부 흐림도, 약 2보다 큰 자기 접착성 순위 (하기 정의됨), 오버 파우치 재료에 대한 약한 접착성 또는 비접착성을 가지며, 약 27 psi 하중 하에 120℃에서 150% 이하의 샘플 크리프를 가지며, 또한 상기 필름은 액체 충전된 용기가 약 100℃ 내지 약 121℃에서 1시간 동안 오토클레이빙될 때 밀봉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용기로 가열밀봉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인터폴리머"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에틸렌과 α-올레핀 인터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ASTM D-792에 따라서 측정된 약 0.915 g/㏄ 미만의 밀도를 가지며, 통상적으로 극 저밀도의 폴리에틸렌 (VLDPE), 초저밀도 에틸렌 (ULDPE) 등으로서 불리운다. α-올레핀은 3 내지 17의 탄소 원자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의 탄소 원자수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는 단일 부위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진다. 특히 적합한 단일 부위 촉매계는 미국 특허 제5,783,638호 및 제5,272,236호에 기재되어 있다. 적합한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는 다우 케미칼사 (Dow Chemical Company)에 의해 AFFINITY라는 상품명으로, 듀폰-다우 (Dupont-Dow)에 의해 ENGAGE라는 상품명으로 엑손사 (Exxon)에 의해 EXACT 및 PLASTOMER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저급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의 공단량체를 의미한다.
상기 식에서, R기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7의 알칸을 의미한다. 용어 "저급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알킬 치환된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2의 공단량체를 의미한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7의 알칸이며 동일한 수의 탄소를 갖거나 또는 다른 수의 탄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알킬 치환된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에타크릴레이트, 에틸 에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에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 원자수 2 내지 17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는 랜덤 또는 블록 프로필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랜덤 또는 블록 프로필렌/에틸렌/부텐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프로필렌 및 α-올레핀 공중합체는 바젤사에 의해 PRO FAX, PRO FAX ULTRA 및 CATALLOY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필름의 제2 성분으로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의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블렌드는 적어도 제1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및 제2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를 포함한다. 제1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및 제2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상기한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제1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제2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와 하기 두가지 중에서 적어도 한가지가 다르다. 첫번째 차이는 제1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가 바람직하게는 제2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보다 약 3배 더 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배 더 큰 용융 유속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두번째 차이는 제1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가 바람직하게는 제2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보다 약 5℃ 이상 더 높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 더 높은 융점을 갖는 것이다. 융점은 ASTM D3417 (Enthalpies of Fusion and Crystallization of Polymers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에 따라서 측정된다. 제1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는 첫번째 차이에 의해, 두번째 차이에 의해 또는 둘다에 의해 제2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와 다를 수 있다.
환식 올레핀 및 브릿지된 다환식 탄화수소의 적합한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및 그의 필름은 본원에 그의 전문이 참고로 인용되어 본원의 일부가 된, 미국 특허 제5,218,049호, 동 제5,854,349호, 동 제5,863,986호, 동 제5,795,945호, 동 제5,792,824호 및 유럽 특허 제0 291,208호, 동 제0 283,164호, 동 제0 497,567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적합한 환식 올레핀 단량체는 고리 내에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을 갖는 단환식 화합물이다. 환식 올레핀은 치환 및 비치환된된 시클로펜텐,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센, 시클로헥사디엔, 시클로헵텐, 시클로헵타디엔, 시클로옥텐, 시클로옥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치환체는 저급 알킬,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적합한 브릿지된 다환식 탄화수소 단량체는 2개 이상의 고리,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7을 갖는다. 고리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다. 적합한 치환체는 저급 알킬, 아릴, 아랄킬, 비닐, 알릴옥시, (메트)아크릴옥시 등을 포함한다. 브릿지된 다환식 탄화수소는 상기 인용된 특허 및 특허 출원에 기재된 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적합한 브릿지된 다환식 탄화수소 함유 중합체는 티코나 (Ticona)에 의해 TOPAS라는 상품명으로, 니폰 제온 (Nippon Zeon)에 의해 ZEONEX 및 ZEONOR라는 상품명으로, 다이꾜 고무 세이꼬 (Daikyo Gomu Seiko)에 의해 CZ 수지라는 상품명으로, 또한 미쯔이 페트로케미칼 캄파니 (Mitsui Petrochemical Company)에 의해 APEL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블렌드 중 하나로부터 형성된 단일층 필름은 하기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1) ASTM D882에 따라서 측정된 탄성 모듈러스가 약 60,000 psi 미만이고, (2) ASTM D1003에 따라서 측정된 내부 흐림도가 약 25 % 미만이며, (3) 하기 정의하는 바와 같은 자기 접착성 순위가 약 2 초과이고, (4) 오버 파우치 재료에 대한 접착성이 본질적으로 없으며, (5) 약 27 psi 하중 하에 120℃에서의 샘플 크리프가 150 % 이하이고, (6) 상기 필름은 액체 충전된 용기가 121℃에서 1시간 동안 오토클레이빙될 때 온전하게 남아있는 밀봉부를 갖는 용기로 가열밀봉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또한 유동성 재료 용기를 제작하기에 충분하게 가요성이다. 상기 필름은 ASTM D-882에 따라서 측정된 탄성 모듈러스가 약 60,000 psi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000 psi 미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00 psi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000 psi 미만이다. 유동성 재료 용기가 I.V. 용기일 때, 용기는 배수시에 붕괴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붕괴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그것은 ASTM D-882에 따라서 측정된 탄성 모듈러스가 약 40,000 psi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00 psi 미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00 psi 미만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자기 접착성은 오토클레이빙 동안 필름이 그 자체에 접착되는 경향으로서 정의된다. 이 특성은 하기 시험에 따라서 측정될 수 있다. 필름 스트립은 기계 방향의 치수를 더 크게 하여 8" × 2" (20.32 cm × 5.08 cm)로 절단시킨다. 이 스트립은 직경이 약 0.5" (1.27 cm)이고 길이가 2" (5.08 cm)인 튜브로 감는다. 감겨진 필름은 필름 층을 한 말단에서 종이 클립으로 함께 압축시킴으로써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그 후, 튜브를 121℃에서 30분 동안 증기오토클레이브에 놓아둔다. 이 샘플을 1시간 이상 동안 냉각시킨다. 그 후, 필름을 풀어낸다. 필름의 풀림에 대한 저항성 및 상대적 손상은 하기 표 1에 나타내 바와 같이 순위가 매겨진다.
순위 관찰된 결과
1 필름은 파괴되지 않고는 풀려질 수 없다.
2 필름은 박리하기가 어렵고 상당한 표면 손상이 생긴다.
3 박리에 대한 어느 정도의 저항성 및 미소한 표면 손상이 있다.
4 박리에 대해 약간의 저항성이 있고 표면 손상이 거의 또는 전혀 없다.
5 박리 저항성 및 표면 손상이 전혀 없다.
순위는 3가지 이상의 개체에 의해 결정되며 평균으로서 기록된다.
오버 파우치 재료에 대한 접착성은 하기 정성 시험에 의해 결정된다. 1 인치 (2.54 cm) 폭의 필름 스트립을 전형적인 오버 파우치 백 (중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밀봉시켰다. 그 후, 오버 파우치 백을 252 ℉ (122.2℃) 및 24.5 psig 게이지 압력에서 1시간 동안 실험실 오토클레이브에 놓았다. 오토클레이빙 후에, 백을 절단 개방하고 스트립을 제거하였다. 필름이 상기 필름 표면 상에 손상 표시를 남기지 않고 오버 파우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접착성이 없는 순위 (N)로 주어진다. 필름 분리가 가시적 손상을 나타내는 경우, 오버 파우치에 대한 점착성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순위 (Y)로 주어진다. 또한 약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순위 (S)로 주어질 수 있다.
크리프 특성은 온도 제어된 오븐에서 약 5 mils 내지 약 15 mils (약 0.127 mm 내지 0.381 mm)의 두께를 가진 필름 스트립을 클램핑시키고 약 27 psi의 응력을 나타내도록 추로 부하시켜 120℃에서 측정된다. 40분 동안 부하시킨 후에, 필름 스트립을 제거하고 미리 표시된 1 인치 (2.54 cm) 간격으로 치수 변화를 기록하였다.
필름은 표준 가열밀봉 기술을 이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유체 용기를 중앙에 배치된 유체 챔버를 한정하도록 주변 연부를 밀봉하여 필름으로부터 제작할 때 적절한 가열밀봉이 형성된다. 용기는 물로 채워지고 표준 오토클레이브 멸균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적절한 가열밀봉은 오토클레이브 사이클의 완결시에 온전하게 남아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ASTM D1003에 따라서 측정될 때 약 25 %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 미만의 흐림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내부 흐림도는 두 필름 표면이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습윤될 때 측정된 흐림가로서 정의된다.
b. 제2 중합체 블렌드 및 가교 결합
본 발명은 단일층 필름, 다층 필름, 박리-밀봉 필름, 식품 또는 의약품 용기, 다중 챔버 용기, 다중 챔버 박리 밀봉 용기, I.V. 백, 투석 용기, 영양액 용기 등을 제작하기에 적합한 다른 중합체 블렌드도 제공한다. 중합체 블렌드는 적어도 두 가지 성분을 포함한다. 제1 성분은 용이하게 가교 결합될 수 있는 중합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함유 중합체이다. 제2 성분은 용이하게 가교 결합되지 않는 중합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함유 중합체이다. 블렌드를 방사선에 노출시킴으로써 제1 성분을 가교 결합시키되 제2 성분은 가교 결합시키지 않는다. 제1 성분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 (DSC)으로 결정한 제1 융점, 및 DSC로 결정한, 제1 융점보다 높은 제2 융점을 갖는다 (도 7 참조).
"가교 결합"이라는 용어는 상이한 중합체 분자 사이 또는 동일한 중합체 분자의 상이한 세그먼트 사이에 형성된 화학적 연결을 의미한다. 가교 결합된 중합체는 가교 결합되지 않는 동일한 중합체에 비하여 상당히 증가된 용융 점도를 나타낼 것이다. "용이하게 가교 결합될 수 있는 중합체"라는 용어는 표준 가교 결합 기술을 이용하여 가교 결합될 수 있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표준 가교 결합 기술"이란 당업계에 공지된 중합체 가공 기술을 의미한다. 표준 가교 결합 기술로는 (1) 방사선 노출형 가교 결합 기술 및 (2) 화합물-노출형 가교 결합 기술을 들 수 있다. 방사선 노출형 가교 결합 기술은 중합체를 감마선, 전자선, 자외선 또는 가교 결합을 일으키기에 유효한 다른 파장 범위의 전자기 에너지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화합물-노출 가교 결합 기술은 과산화물, 실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황 또는 가교 결합을 일으키기에 유효한 기타 화합물 가교 결합제를 포함한다.
"용이하게 가교 결합되지 않는 중합체"란 용어는 상기 가교 결합 기술을 가하였을 때 중량 평균 분자량이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제1 성분은 중합체 블렌드의 중량의 약 50 %의 최저 출발점으로부터 5 %씩 (즉 55 %, 60 %, 65 % 등) 최고 95 %까지 점진적으로 연속 증가시킨 양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범위는 약 50 % 내지 약 95 %이다. 제2 범위는 약 55 % 내지 약 95 %이며, 최종 범위는 약 90 % 내지 약 95 %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제1 성분은 약 55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5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제1 성분은 1종의 에틸렌만을 함유하는 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하며 합계로서 제1 성분에 대한 중량 범위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블렌드일 수 있다. 이러한 블렌드의 융점은 하나의 명확한 콤포지트 융점을 나타내거나, 블렌드의 각각의 에틸렌-함유 중합체의 피크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낼 것이다.
적합한 에틸렌-함유 중합체는 상기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들을 포함한다. 적합한 에틸렌 및 α-올레핀 공중합체는 약 0.915 g/cc,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905 g/cc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900 g/cc 미만의 밀도를 가질 것이다. 적합한 중합체로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ULDPE),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R) 및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3원 공중합체 (EPDM)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함유 중합체는 AFFINITY의 상표명으로 다우 케미칼사에서 시판되는 것들, 가장 바람직하게는 Affinity PL 1880 및 VP 8770, 및 ENGAGE의 상표명으로 듀폰-다우에서 시판되는 것들, 가장 바람직하게는 Engage 8003이다.
제2 성분은 블렌드의 나머지 중량% 부분을 구성할 것이며,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합계로서 제1 성분에 대해 상기 언급한 중량% 범위의 나머지 범위로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제1 성분이 약 50 % 내지 약 95 %로 존재한다면, 제2 성분 또는 추가 성분의 합계는 그의 반대, 또는 약 5 % 내지 약 50 %일 것이다.
제2 성분은 단일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또는 단일 메틸-펜텐-함유 중합체일 수 있다. 제2 성분은 또한 2종 이상의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2종 이상의 메틸-펜텐-함유 중합체의 블렌드 또는 1종 이상의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메틸-펜텐-함유 중합체의 블렌드일 수 있다.
적합한 프로필렌-함유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내지 18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3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들을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3원 공중합체로는 랜덤 또는 블록 프로필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랜덤 또는 블록 프로필렌/에틸렌/부텐 3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적합한 프로필렌 및 α-올레핀 공중합체는 바젤사에서 PRO FAX의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것, 바람직하게는 PRO FAX SA-861 및 엑손사에서 Exxon PP3505GE1의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제2 성분은 DSC로 결정하여 약 135℃ 이상의 명확한 융점, 명확한 콤포지트 융점 또는 제2 성분의 하위 성분의 각각에 관련된 융점, 및 이들의 조합을 가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제1 성분은 약 200,000 psi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0,000 psi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000 psi 미만의 탄성 계수를 가질 것이다.
적합한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는 4-메틸펜텐-1의 단독중합체; 메틸펜텐과 탄소수 2 내지 18의 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 3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는 미쯔이 페트로케미칼사 (Mitsui Petrochemical, Ltd.)에서 TPXJ의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제1 성분은 연속상으로 알려진 것을 구성하며 제2 성분 및 기타 추가 성분은 분산상 또는 경우에 따라 분산상들을 구성할 것이다.
중합체 블렌드의 제2 성분은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2 성분은 상기한 양으로 존재한다.
추가의 중합체 가공 성분을 본 발명의 블렌드에 첨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방산 아미드 또는 규조토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합한 지방산으로는 탄소수 10 내지 30의 지방산으로부터 유래한 것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루신산으로부터 유래한 것을 들 수 있다.
제2 중합체 블렌드는 압출 등의 표준 중합체 가공 기술을 사용하여 단일층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7은 단일층 필름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2성분 중합체 블렌드를 시차 주사 열량계로부터 작도한 것을 나타낸다. 제1 융점 및 제2 융점을 각각 100 및 102로 지칭한다. 제1 융점 (100)으로부터 (제1 융점 포함) 제2 융점 (102) 바로 미만의 점까지의 온도 범위는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기간 (104)을 정의하며, 여기서 다이 밀봉 온도는 제2 융점 온도 초과의 온도에서 박리 밀봉을 제공할 것이며, 중합체가 연소하는 온도 미만에서 영구 밀봉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물질 특성은 상기 필름을 사용한 박리 밀봉 및 영구 밀봉 모두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단일층 필름을 접어 제1 위치에서의 박리 밀봉과, 제1 위치로부터 거리를 둔 제2 위치에서의 영구 밀봉 모두를 갖는 적층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II. 중합체 및 필름 가공
상기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본 발명의 필름을 생산하기 위해, 원료를 칭량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혼합비로 추출 호퍼에 공급한다. 재료를 압출 다이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단일층 필름을 생산한다. 필름은 적합한 에너지원으로 조사하고 그 후에 밀봉하여 유체 용기를 형성한다. 원료를 일축 스크류, 이축 스크류 또는 당업계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다른 배합 방법을 이용하여 압출 전에 미리 배합할 수도 있다. 취입 성형, 취입 압출, 열성형, 캘린더링, 압축 성형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중합체 가공 기술을 포함하는 기타 중합체 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시이트 필름 또는 튜브 필름인 본 발명의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1) 방사선 노출형 가교 결합 기술, (2) 화합물 노출형 가교 결합 기술 또는 (3) 상기 두 기술의 조합을 포함하는 표준 가교 결합 기술을 사용하여 가교 결합시킬 수 있다. 방사선 노출형 가교 결합 기술은 중합체를 감마선, 전자선, 자외선 또는 가교 결합을 일으키기에 유효한 다른 파장 범위의 전자기 에너지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화합물 노출형 가교 결합 기술은 과산화물, 실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황 또는 다른 화합물 가교 결합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필름을 조사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그것을 약 150 Kev-10 Mev,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300 Kev의 비임 에너지 및 약 20 kGys 내지 약 200 kGys,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150 kGys의 선량으로 전자 비임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전자선 노출 도중 및 그에 이어서 필름의 산화적 분해를 감소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방사선에 노출되는 필름의 주변에서 산소의 부분압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부분압은 진공을 가하여 또는 압력 하에 질소와 같은 다른 가스를 가하여 또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질소 플러쉬 중의 산소 농도는 약 400 pp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pp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ppm 미만이다.
III. 다층 필름
도 2는 상기한 단일층의 층 (12)을 포함한 다층 필름 (20)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단일층은 밀봉층일 것이다. 다층 필름 (20)은 추가의 층 (14) 또는 표피층, 고주파 민감층, 수증기 차단층, 기체 차단층, 스크랩 층, IV. 유동성 재료 용기
도 3은 상술된 단일층 필름 또는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유동성 재료 용기, 특히 I.V. 용기 (30)을 나타낸다. 도 4는 I.V. 투여 세트 (40)을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제작된 복막 투석 세트 (50)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블렌드로부터의 의료용 튜브 (도 8)의 제작을 예상한다. 튜브의 방사선 처리는 튜브의 증가된 두께 및 둥근 형태로 인해 필름과 다르지만 튜브는 필름에 대해 상기한 방사선 에너지 범위 내에서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유동성 재료"는 중력에 의해 유동할 재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유동성 재료는 액상 물품 및 분말, 동결건조 또는 과립 물품 등을 포함한다.
용기 (30)은 유체 또는 과립 재료와 같은 유동성 재료를 함유하기 위한 챔버 (34)를 한정하도록 맞추어 놓여지고 주변 연부를 따라 밀봉하여 영구 주변 밀봉 (33)을 형성하는 측벽 (32)를 갖는다. 취입 성형 만을 통해서 또는 취입 압출 방법을 통해 만들어지는 용기의 경우 길이방향 연부가 밀봉되어 용기가 완성될 것이다. 통구 튜브 (36) 또는 다중 통구 튜브가 용기 (30)의 함유물을 채우고 비우기 위해 제공된다. 측벽 및 통구 튜브가 상기한 단일층 또는 다층 필름 중의 하나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놀랍게도, 상기한 필름 및 블렌드로부터 제작된 의료용 용품은 필름이 전자 비임 방사선으로 조사되었다 하더라도 가열밀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필름 및 용기는 적어도 13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126℃,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121℃의 증기 살균 가공에서 견딜 것이다. 가열밀봉은 당업계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표준 가열밀봉 기술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V. 박리 밀봉을 편입하는 다중-챔버 용기
도 6은 박리가능한 밀봉 (76)에 의해 분리되는 제1 챔버 (72) 및 제2 챔버 (74)를 가진 이중 챔버 용기 (70)을 나타낸다. 용기 측벽 (75)는 상기한 중합체 블렌드, 단일층 필름 또는 다층 필름 중의 하나로부터 제작된다. 이중 챔버 용기는 나중에 혼합하기 위해 두 성분을 개별적으로 하우징하는 것과 같은 많은 용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챔버 중의 하나는 액체를 함유할 것이다. 액체를 함유하는 챔버에 대해 용기 측벽 (75)를 가압함으로써 액체 함유물은 박리가능한 밀봉 (76)을 향해 유동하고 충분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밀봉 (76)은 파괴되어 별개의 챔버에 저장된 성분들의 혼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도 6이 하나의 박리가능한 밀봉 (76) 만을 나타내긴 하지만, 많은 박리가능한 밀봉을 제공하여 많은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예상한다. 또한, 도 6은 측연부사이에 계속되는 박리가능한 밀봉을 나타낸다. 또한, 박리가능한 밀봉은 길이방향 연부 사이에서 연장되거나 또는 영구 주변 시임 (33)을 가로지르지 않는 면 주위에 연장되어 챔버를 한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리가능한 밀봉 (76)은 주변 측벽의 밀봉과 동시에 또는 영구 주변 밀봉의 형성 전 또는 후에 형성될 수 있다. 박리가능한 밀봉 (76)은 밀봉 조건을 조절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박리가능한 밀봉은 영구 주변 밀봉 (33)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보다 더 낮은 온도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또는 영구 밀봉 등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밀봉 시간으로부터 그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박리 특성의 추가의 향상은 필름 표면 특성의 정위화된 변형 (코로나 또는 다른 적합한 처리)으로 얻어질 수 있다. 용기는 초음파 용접 기술, 열 전도 밀봉 기술 및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밀봉 기술을 이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박리가능한 밀봉이 본 발명의 필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이 다른 중합체 필름, 종이 제품 또는 금속 호일을 박리 밀봉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필름 및 밀봉 기술이 달리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없는 재료 사이에 박리 밀봉을 형성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한다. 이는 박리 밀봉이 형성되는 선을 따라 박리 밀봉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박리 밀봉 재료가 존재하는 선을 따라 밀봉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은 재료에 본 발명의 필름을 접착시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라 박리 밀봉 (76)은 박리 밀봉 (76)을 제1 융점 온도 (100) 및 제2 융점 온도 (102)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는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 (104) 중의 온도에서 밀봉시켜 형성된다. 제1 성분이 하나 이상의 별개의 용융점 피크를 갖는 하나 이상의 에틸렌-함유 중합체의 블렌드인 경우,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 (104)는 제1 성분의 더 높은 융점 온도 피크 내지 제2 성분의 최저 용융점 피크 사이에서 연장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 (104)는 그로부터 제조한 필름 또는 용기를 증기 살균하기 위해 사용되는 온도를 포함한다.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는 약 75℃ 내지 약 135℃,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130℃,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0℃ 내지 약 125℃의 온도를 포함하여야 한다.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 내의 다양한 온도에서의 밀봉은 거의 일정한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박리 강도를 제공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오토클레이빙 또는 증기 살균 가공 전후에 가열밀봉 윈도우 중에서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박리 밀봉을 비교하는 경우 거의 일정한 박리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도 9). 거의 일정한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는 것은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 (104) 중의 온도에서 밀봉하는 경우 오토클레이빙 전후에 박리가능한 밀봉의 강도가 약 3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미만까지 증가 또는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박리 밀봉은 응집 (cohesive) 유리에 반대되는 접착 (adhesive) 유리될 수 있다. 용어 접착 유리는 박리 밀봉이 활성화되고 (개별적으로 박리됨), 박리 밀봉이 존재하는 선이 밀봉을 형성하는 재료로부터 잔존하는 가시 세섬유 또는 다른 가시 미립자 물질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의미한다. 용어 응집 유리는 활성화 전에 박리 밀봉이 연장되는 일반 영역 중에 경우 활성화 하에 가시 세섬유 또는 다른 미립자 물질을 갖는 박리 밀봉을 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구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용융점 초과의 온도에서 필름을 밀봉 가공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한다. 2 이상의 별개의 용융점을 갖는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함유 중합체가 있는 경우 영구 밀봉이 더 낮은 프로필렌 융점 온도 초과에서 밀봉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VI. 표면 직조
본 발명은 추가로 표면 직조 또는 거침을 갖는 필름을 임의로 제공한다. 표면 조도량은 ASTM 1003으로 측정한 표면 혼탁값 및 표면조도계 조도 Ra 값으로 정량할 수 있다. 이들 필름은 또한 오토클레이빙 전후의 박리 밀봉 강도를 시험하였다.
내부 혼탁도를 이소프로필 알콜로 습윤화시킨 후에 측정하였다. 표면 혼탁도는 전체 혼탁도 - 내부 혼탁도이다. 타입 G 트레이서를 사용하며 세필드 (Sheffield) 표면조도계 (워너 앤드 스와세이 (Warner & Swasey))로 표면조도계 판독을 측정하였다. 조도 불규칙이 Ra = 1/L ∫0 LIyI dx인 평가 길이 (L) 내의 평균 선으로부터 측정되는 경우 Ra는 조도 평균값 - 산술 평균 높이이다.
도 10은 다양한 양의 표면 직조를 갖는 3종의 필름이지만 달리 동일한 재료인 필름의 플롯을 나타낸다. 제1 플롯 (150)은 낮은 표면 조도를 가지고, 플롯 (152)는 중간 표면 조도를 가지고, 플롯 (154)는 높은 표면 조도를 가진다. 동일한 재료의 2종의 필름을 취하고, 이들을 맞추어 위치시키고, 박리 밀봉 윈도우의 온도 내에서 용접을 형성시켜 이들 필름의 박리 밀봉 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스트론 디바이스 (Instron device)를 사용하여 필름을 박리시키고, 밀봉을 박리시키는 데 요구되는 강도를 기록하였다.
박리 밀봉을 형성시키기 위해 평균 박리 밀봉 강도가 약 50 N/15 mm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 N/15 mm 미만,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N/15 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밀봉은 또한 약 3 N/15 mm 초과의 박리 강도를 가져야 한다.
직조된 롤러를 사용하거나 또는 당업계에 잘 공지된 다른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필름 상에 표면 거칠기를 줄 수 있다.
VII. 실시예
실시예의 제1 세트
하기 표 2에서 확인되는 필름은 압출 방법을 이용하여 단일층 필름으로 제작하였다. 200 Kev 내지 300 Kev의 가속 전압을 가진 전자 비임 방사선을 다음 표에 기재된 선량으로 상기 필름에 노출시켰다.
제조 1 2 3 4 5 6 7 8 9 10
듀폰/다우 엔게이지 8003 100 95 90 80 70
다우 어피니티 PL-1880 100 95 90 80 70
엑손 PP3505GE1 5 10 20
바젤 (Basell) SA-861 5 10 20 30 20
바젤 SG-982 10
자기 접착성 순위-100 kGy 1 2 3.7 4 1 NA 1 2 4 NA
150 kGy 1 2 4.5 5 1 NA 1.3 2.3 3.3 NA
200 kGy 1 3.3 4.7 5 1 1.7 2 2 4 NA
오버파우치에 대한 점성- 100 kGy Y S N N Y NA Y S N NA
150 kGy Y S N N Y NA Y N N NA
200 kGy Y S N N Y NA Y N N NA
120℃ 크리프(%) 0 kGy NA NA NA NA NA NA 용융 NA 550 NA
100 kGy 200 138 88 41 263 NA 216 98 28 NA
150 kGy 63 38 31 18 43 NA 31 25 13 NA
200 kGy 25 13 16 16 21 22 16 9 22 NA
오토클레이브가능성 100 kGy NA NA Y Y NA NA NA Y Y Y
150 kGy NA NA Y Y NA NA NA Y Y Y
내부 혼탁도 (ASTM D1003) 1 1.2 1.6 2.8 2.7 2.7 3.5 4.3 4.8 2.2
인장 모듈러스(psi)(ASTM D882) 2860 3800 6650 16260 6110 NA 12830 19810 28820 21060
다우 어피니티 PL 1880은 0.902 g/㏄의 밀도를 가진 ULDPE이다.듀폰 다우 엔게이지 8003은 0.885 g/㏄의 밀도를 가진 ULDPE이다.엑손 PP305GE1은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이다 (MFR 440).몬텔 SA-861은 프로필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MFR 6.5).몬텔 SA 982는 프로필렌 및 에틸렌 공중합체이다 (MFR 100)."NA"는 측정 불가를 의미한다.
실시예의 제2 세트
하기 표 3은 동일한 재료의 2종의 단일층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박리가능한 밀봉에 대한 데이타를 함유하고 있다. 250 Kev의 가속 전압을 가진 전자 비임 방사선을 120 KGy의 선량으로 단일층 필름에 노출시켰다.
제조 11 12
듀폰-다우엔게이지 8003 또는다우 어피니티 VP 8770 40 40
다우 어피니티 PL1880 25 25
DSC에 의한 1stTm (℃) 94 94
엑손 PP 3505GE1 5 --
바젤 SA-861 30 35
DSC에 의한 2ndTm (℃) 153 148
오토클레이빙 이전의 박리 밀봉 강도 (N/15 mm)# 15-17 18-20
오토클레이빙 이후의 박리 밀봉 강도 (N/15 mm)# 15-16 18-19
#: 박리 밀봉을 약 121℃에서 수행하였다.
실시예의 제3 세트
도 10은 다양한 양의 표면 혼탁을 갖는 3종의 필름 및 표면조도계 측정치의 플롯을 나타낸다. 표 4에 기록한 형식을 갖는 필름을 서로 맞추어 놓고, 가열밀봉을 121℃에서 형성시켰다. 밀봉을 분리하기 위한 힘의 양을 인스트론으로 측정하고, 하기 표 4를 작성하였다. 이들 실시예는 박리 밀봉 강도에 대해 유효한 표면 직조를 가진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데이타로부터 표면 조도가 증가하는 만큼 박리 밀봉력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 13 12 14
듀폰-다우엔게이지 8003 또는 다우 어피니티 VP 8770 40 40 40
다우 어피니티 PL1880 25 25 25
DSC에 의한 1stTm (℃) 94 94 94
바젤 SA-861 35 35 35
DSC에 의한 2ndTm (℃) 148 148 148
표면조도계 조도 Ra 값 (마이크로-인치) 7-9 17-21 28-30
표면 혼탁도 (%) (ASTM D1003) 0.8 5-7 17.3
오토클레이빙 이전의 박리 밀봉 강도 (N/15 mm) 28-30 18-20 6-6.5
오토클레이빙 이후의 박리 밀봉 강도 (N/15 mm) 29-32 18-19 6-7
특정 실시양태를 설명하고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유의하게 벗어남이 없이 다수의 변경이 가능하고, 보호 범위가 부속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밀봉층 및 코어 층과 같은 층에서 선택된 추가의 층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표피층은 필름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표피층은 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같은 올레핀 재료일 수 있다. 표피층은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일 수도 있다. 용어 "코폴리에스테르" 등은 1종 이상의 디올 및 이염기산으로부터 합성된 폴리에스테르에 적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코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테르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로서 특징지워질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사용된 코폴리에스테르는 반응물로서, 1,4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1,4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에테르 또는 상기한 바의 등가물로부터 유래된 중합체 재료로서 특징지워질 수 있다.
적합한 수증기 차단제는 HDPE, MDPE 및 폴리에스테르 (PET, PBT, PEN 등)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기체 차단제는 산소,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가스의 통과를 억제하는 것이다. 적합한 가스 차단제는 폴리에스테르, EVOH 및 폴리아미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사 전에 발생된 스크랩 물질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혼입될 수 있다.

Claims (144)

  1.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을 포함하며;
    제1 성분의 부분은 가교 결합되고, 제2 성분은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되지 않는 중합체 블렌드.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가 제1 융점 온도보다 높은 블렌드.
  3. 제2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 그자체에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으로 형성되는 블렌드.
  4. 제2항에 있어서, 제1 융점 온도 초과이나 제2 융점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 그자체에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블렌드.
  5. 제3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 초과로 가열하는 경우 그자체에 영구 밀봉을형성할 수 있는 필름으로 형성되는 블렌드.
  6. 제1항에 있어서, 약 100℃ 내지 약 130℃의 온도에서 증기로 멸균시킬 수 있는 블렌드.
  7. 제2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제1 융점 온도 내지 제2 융점 온도 내에서 나타나는 온도 범위 내로 정의되는 블렌드.
  8. 제7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증기 멸균에 적합한 온도 범위 내의 온도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블렌드.
  9. 제7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 윈도우가 약 75℃ 내지 약 135℃ 범위 내의 온도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블렌드.
  10.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함유 중합체가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블렌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가 α-올레핀, 비닐 에스테르, 비닐 카르복실산, 알킬 치환 비닐 에스테르, 알킬 치환 비닐 카르복실산, 아크릴산,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알킬 치환 아크릴산, 알킬 치환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 이온 안정화된 알킬 치환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와 에틸렌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인 블렌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약 0.915 g/cc 미만인 블렌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가 단일-부위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 블렌드.
  14. 제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블렌드.
  15. 제14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의 탄성 모듈러스가 약 200,000 psi 미만인 블렌드.
  16. 제1항에 있어서, 메틸펜텐-함유 중합체가 4-메틸펜텐-1의 단독중합체 및 4-메틸펜텐-1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블렌드.
  17. 제1항에 있어서, 제1 성분이 약 55 중량% 내지 약 9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블렌드.
  18. 제1항에 있어서, 제1 성분이 약 6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블렌드.
  19. 제1항에 있어서, 제1 성분이 약 65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블렌드.
  20. 제1항에 있어서, 제1 성분이 에틸렌 함유 중합체의 블렌드인 블렌드.
  21. 제1항에 있어서, 제2 성분이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하나 이상의 메틸-펜텐-함유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함유 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블렌드.
  22. 가교 결합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필름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필름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며;
    제1 성분의 부분은 가교 결합되고, 제2 성분은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되지 않는 단일층 필름.
  23. 제22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가 제1 융점 온도보다 높은 필름.
  24. 제22항에 있어서, 제1 융점 온도 초과이나 제2 융점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 그자체에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
  25. 제24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 초과로 가열하는 경우, 그자체에 영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
  26. 제22항에 있어서, 약 100℃ 내지 약 130℃의 온도에서 증기로 멸균시킬 수 있는 필름.
  27. 제23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제1 융점 온도 내지 제2 융점 온도 내에서 나타나는 온도 범위 내로 정의되는 필름.
  28. 제27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증기 멸균에 적합한 온도 범위 내의 온도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블렌드.
  29. 제27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 윈도우가 약 75℃ 내지 약 135℃ 범위 내의 온도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필름.
  30. 제22항에 있어서, 그자체로 접착성 박리가능한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
  31. 제22항에 있어서, 에틸렌 함유 중합체가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필름.
  32. 제31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가 α-올레핀, 비닐 에스테르, 비닐 카르복실산, 알킬 치환 비닐 에스테르, 알킬 치환 비닐 카르복실산, 아크릴산,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알킬 치환 아크릴산, 알킬 치환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 이온 안정화된 알킬 치환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와 에틸렌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인 필름.
  33. 제32항에 있어서,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약 0.915 g/cc 미만인 필름.
  34. 제33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가 단일-부위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 필름.
  35. 제22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필름.
  36. 제22항에 있어서, 메틸펜텐-함유 중합체가 4-메틸펜텐-1의 단독중합체 및 4-메틸펜텐-1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필름.
  37. 제35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의 탄성 모듈러스가 약 200,000 psi 미만인 필름.
  38. 제22항에 있어서, 제1 성분이 에틸렌 함유 중합체의 블렌드인 필름.
  39. 제22항에 있어서, 제2 성분이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하나 이상의 메틸-펜텐-함유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함유 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블렌드인 필름.
  40.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과;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으로 이루어진 제1 중합체 블렌드를 포함하고; 제1 성분의 부분은 가교 결합되고, 제2 성분은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되지 않는 제1 층; 및
    제1 층에 부착되고 중합체, 종이, 또는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제2 층
    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41. 제40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가 제1 융점 온도보다 높은 필름.
  42. 제40항에 있어서, 제1 융점 온도 초과이나 제2 융점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 그자체에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
  43. 제42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 초과로 가열하는 경우, 그자체에 영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
  44. 제40항에 있어서, 약 100℃ 내지 약 130℃의 온도에서 증기로 멸균시킬 수 있는 필름.
  45. 제40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제1 융점 온도 내지 제2 융점 온도 내에서 나타나는 온도 범위 내로 정의되는 필름.
  46. 제45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 윈도우가 증기 멸균에 적합한 온도 내의 온도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필름.
  47. 제45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약 75℃ 내지 약 135℃ 범위 내의 온도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필름.
  48. 제40항에 있어서, 그자체로 접착성 박리가능한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
  49. 제40항에 있어서, 에틸렌 함유 중합체가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필름.
  50. 제49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가 α-올레핀, 비닐 에스테르, 비닐 카르복실산, 알킬 치환 비닐 에스테르, 알킬 치환 비닐 카르복실산, 아크릴산,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알킬 치환 아크릴산, 알킬 치환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 이온 안정화된 알킬 치환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와 에틸렌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인 필름.
  51. 제40항에 있어서,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약 0.915 g/cc 미만인 필름.
  52. 제40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가 단일-부위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 필름.
  53. 제40항에 있어서, 프로필렌-함유 중합체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필름.
  54. 제53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의 탄성 모듈러스가 약 200,000 psi 미만인 필름.
  55. 제40항에 있어서, 메틸펜텐-함유 중합체가 4-메틸펜텐-1의 단독중합체 및 4-메틸펜텐-1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필름.
  56. 제40항에 있어서, 제1 성분이 에틸렌 함유 중합체의 블렌드인 필름.
  57. 제40항에 있어서, 제2 성분이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하나 이상의 메틸-펜텐-함유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블렌드인 필름.
  58. 제40항에 있어서, 제1 층을 마주보는 제2 층에 부착된 제3 층을 더 포함하는필름.
  59. 제58항에 있어서, 제3 층이 제2 중합체 블렌드로 이루어진 필름.
  60. 제59항에 있어서, 제2 중합체 블렌드가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3 융점 온도를 갖는 제3 성분; 및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및 메틸 펜텐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4 융점 온도를 갖는 제4 성분을 포함하며;
    제3 성분의 부분은 가교 결합되고, 제4 성분은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되지 않는 필름.
  61.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으로 측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과;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및 메틸 펜텐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제1 성분의 부분은 가교 결합되고, 제2 성분은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되지 않는 중합체 블렌드의 측벽을 포함하는 튜브.
  62. 제61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가 제1 융점 온도보다 높은 튜브.
  63. 제61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 미만의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 그자체에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튜브.
  64. 제63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 초과로 가열하는 경우, 그자체에 영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튜브.
  65. 제61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제1 융점 온도 내지 제2 융점 온도 내로 정의된 튜브.
  66. 제65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약 75℃ 내지 약 135℃ 범위 내 온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튜브.
  67. 제65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증기 멸균에 적합한 온도 범위 내의 온도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튜브.
  68. 제67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 윈도우가 약 100℃ 내지 약 130℃ 범위내의 온도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튜브.
  69. 제61항에 있어서, 그자체로 접착성 박리가능한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튜브.
  70. 제61항에 있어서, 에틸렌 함유 중합체가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튜브.
  71. 제70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가 α-올레핀, 비닐 에스테르, 비닐 카르복실산, 알킬 치환 비닐 에스테르, 알킬 치환 비닐 카르복실산, 아크릴산,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알킬 치환 아크릴산, 알킬 치환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 이온 안정화된 알킬 치환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와 에틸렌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인 튜브.
  72. 제71항에 있어서,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약 0.915 g/cc인 튜브.
  73. 제70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가 단일-부위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 튜브.
  74. 제6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튜브.
  75. 제74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의 탄성 모듈러스가 약 200,000 psi 미만인 튜브.
  76. 제61항에 있어서, 메틸펜텐-함유 중합체가 4-메틸펜텐-1의 단독중합체 및 4-메틸펜텐-1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튜브.
  77. 제61항에 있어서, 제1 성분이 에틸렌 함유 중합체의 블렌드인 튜브.
  78. 제61항에 있어서, 제2 성분이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 하나 이상의 메틸-펜텐 함유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용기 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를 함유한 군으로부터 선택된 블렌드인 튜브.
  79.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과;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제1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제1 성분의 부분은 가교 결합되고, 제2 성분은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되지 않는 제1 중합체 블렌드의 제1 측벽; 및
    챔버를 한정하기 위해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의 주변 경계선을 따라 제1 측벽에 부착되고, 중합체, 종이 또는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제2 측벽
    을 포함하는 유동성 재료 용기.
  80. 제79항에 있어서, 제2 측벽이 제2 중합체 블렌드로 이루어진 용기.
  81. 제80항에 있어서, 제2 중합체 블렌드가 제1 중합체 블렌드와 동일한 용기.
  82. 제79항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 박리 밀봉을 더 포함하는 용기.
  83. 제82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이 챔버를 제1 서브-챔버 및 제2 서브-챔버로 분리하는 용기.
  84. 제82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이 접착성 박리가능한 용기.
  85. 제82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이 용기의 측면 가장자리 사이로 확장된 용기.
  86. 제82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이 용기의 세로 가장자리 사이로 확장된 용기.
  87. 제82항에 있어서, 주변 경계선이 영구 밀봉인 용기.
  88. 제82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이 제1 측벽을 제1 융점 온도 초과이나 제2 융점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여 형성되는 용기.
  89. 제88항에 있어서, 영구 밀봉이 제1 측벽을 제2 융점 온도 초과로 가열하여 형성된 용기 필름.
  90. 제79항에 있어서, 약 100℃ 내지 약 130℃의 온도에서 증기로 멸균시킬 수 있는 용기.
  91. 제79항에 있어서, 제2 융점 온도가 제1 융점 온도보다 높고,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제1 융점 온도 내지 제2 융점 온도 내에 나타나는 온도 범위 내로 정의된 용기.
  92. 제91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증기 멸균에 적합한 온도범위 내의 온도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기.
  93. 제91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약 75℃ 내지 약 135℃ 범위 내의 온도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기.
  94. 제79항에 있어서, 에틸렌-함유 중합체가 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기.
  95. 제94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가 α-올레핀, 비닐 에스테르, 비닐 카르복실산, 알킬 치환 비닐 에스테르, 알킬 치환 비닐 카르복실산, 아크릴산,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알킬 치환 아크릴산, 알킬 치환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및 이온 안정화된 알킬 치환 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와 에틸렌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것인 용기.
  96. 제95항에 있어서, 에틸렌과 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약 0.915 g/cc 미만인 용기.
  97. 제96항에 있어서, 에틸렌 공중합체가 단일-부위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 용기.
  98. 제79항에 있어서, 프로필렌-함유 중합체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기.
  99. 제98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의 탄성 모듈러스가 약 200,000 psi 미만인 용기.
  100. 제98항에 있어서, 메틸펜텐-함유 중합체가 4-메틸펜텐-1의 단독중합체 및 4-메틸펜텐-1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용기.
  101. 제79항에 있어서, 제1 성분이 에틸렌 함유 중합체의 블렌드인 용기.
  102. 제79항에 있어서, 제2 성분이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하나 이상의 메틸-펜텐 함유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함유 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블렌드인 용기.
  103.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과;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제1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제1 성분의 부분은 가교 결합되고, 제2 성분은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되지 않는 제1 중합체 블렌드의 제1 측벽; 및
    챔버를 한정하기 위해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의 주변 경계선을 따라 제1 측벽에 부착되고, 중합체, 종이 또는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 챔버를 2개의 서브챔버로 분할하는 박리가능한 밀봉을 포함하는 다중챔버 유동성 재료 용기.
  104. 제103항에 있어서, 박리가능한 밀봉이 접착성 박리가능한 용기.
  105. 제103항에 있어서, 박리가능한 밀봉이 약 3 N/15 mm보다 큰 힘으로 분리될 수 있는 용기.
  106. 제103항에 있어서, 증기 멸균시킬 수 있는 용기.
  107. 제106항에 있어서, 용기가 증기 멸균되기 전의 박리 밀봉 강도와 용기가 증기 멸균된 후의 박리 밀봉 강도를 비교하는 경우, 박리 밀봉의 강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용기.
  108. 제107항에 있어서, 증기 멸균 전 및 증기 멸균 후의 박리 밀봉 강도가 30%미만으로 변화하는 용기.
  109. 제107항에 있어서, 증기 멸균 전 및 증기 멸균 후의 박리 밀봉 강도가 20% 미만으로 변화하는 용기.
  110. 제107항에 있어서, 증기 멸균 전 및 증기 멸균 후의 박리 밀봉 강도가 10% 미만으로 변화하는 용기.
  111.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과;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블렌드를 제공하는 단계;
    중합체 블렌드를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성분을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시키지 않으면서 제1 성분을 가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 방법.
  112. 제111항에 있어서, 형성 단계가 압출, 취입 압출, 열성형, 캘린더링, 압축 성형 및 취입 성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가공 기술을 포함하는 방법.
  113. 제111항에 있어서, 필름이 단일층 필름인 방법.
  114. 제111항에 있어서, 필름이 다층 필름인 방법.
  115.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중합체성 재료의 제1 성분과;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하여 제1 융점 온도보다 높은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블렌드의 제1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중합체성 재료, 종이 또는 금속 호일의 제2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제2 성분을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시키지 않으면서 제1 성분을 가교 결합시키는 단계;
    제1 필름을 제2 필름과 통합 위치시키는 단계;
    제1 필름의 제1 부분을 제2 필름에 밀봉시켜 영구 밀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필름의 제2 부분을 제2 필름에 밀봉시켜 박리 밀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챔버 용기 형성 방법.
  116. 제115항에 있어서, 챔버를 한정하기 위해 제1 부분을 밀봉시키는 단계가 제1 필름과 제2 필름의 주변 부분 주위를 밀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7. 제116항에 있어서, 제1 필름의 주변 부분을 밀봉시키는 단계가 제1 필름을 제2 융점 온도 초과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8. 제115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이 챔버를 2개의 서브챔버로 분할하는 방법.
  119. 제115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을 한정하기 위해 제1 필름의 제2 부분을 제2 필름에 밀봉시키는 단계가 제1 필름을 제1 융점 온도 초과이나 제2 융점 온도 미만인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0. 제115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제1 융점 온도 내지 제2 융점 온도 내로 정의되고, 박리 밀봉을 한정하기 위해 제1 필름의 제2 부분을 제2 필름에 밀봉시키는 단계가 제1 필름을 박리 밀봉 윈도우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1. 제120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약 75℃ 내지 약 135℃의 온도를 포함하는 방법.
  122. 제115항에 있어서, 가교 결합 단계가 제1 필름을 화합물 가교 결합제 또는 가교 결합 방사선원, 또는 화합물 가교 결합제와 가교 결합 방사선원 둘다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3. 제122항에 있어서, 화합물 가교 결합제가 과산화물, 실란, 황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24. 제122항에 있어서, 가교 결합 방사선원이 자외선, 전자선 및 감마선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25. 제115항에 있어서, 영구 밀봉 형성 단계가 박리 밀봉 형성 단계 전에 수행되는 방법.
  126. 제115항에 있어서, 영구 밀봉 형성 단계가 박리 밀봉 형성 단계 후에 수행되는 방법.
  127. 제115항에 있어서, 가교 결합 단계가 필름의 제1 부분의 밀봉 단계 전에 수행되는 방법.
  128. 제115항에 있어서, 영구 밀봉 형성 단계가 박리 밀봉 형성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방법.
  129.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과;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제1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제1 성분의 부분은 가교 결합되고, 제2 성분은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되지 않는 제1 중합체 블렌드의 제1 측벽;
    챔버를 한정하기 위해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의 주변 경계선을 따라 제1 측벽에 부착되고, 중합체, 종이 또는 금속 호일로 이루어진 제2 측벽; 및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서 챔버를 2개의 서브챔버로 분할하는 박리가능한 밀봉을 포함하며;
    용기에 힘을 적용하여 박리가능한 밀봉을 개봉할 수 있고, 용기가 오토클레이빙되기 전 및 용기가 오토클레이빙된 후에 용기의 박리가능한 밀봉과 비교하는 경우, 힘이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다중챔버 유동성 재료 용기.
  130. 제129항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과정 전 및 오토클레이브 과정 후에 박리가능한 밀봉을 개봉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30% 미만으로 변화하는 용기.
  131. 제129항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과정 전 및 오토클레이브 과정 후에 박리가능한 밀봉을 개봉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20% 미만으로 변화하는 용기.
  132. 제129항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과정 전 및 오토클레이브 과정 후에 박리가능한 밀봉을 개봉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10% 미만으로 변화하는 용기.
  133. 제132항에 있어서, 박리가능한 밀봉이 약 3 N/15 mm 초과의 힘으로 분리될 수 있는 용기.
  134. 제129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를 정의하기 위한 온도 범위가 제1 융점 온도 내지 제2 융점 온도 내로 확장된 용기.
  135. 제134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 내에서 밀봉된 경우, 박리가능한 밀봉 강도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용기.
  136.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없는 재료의 제1 층 및 제2 층; 및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박리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삽입된 박리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의 제3 층
    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
  137. 가교 결합 가능하고 에틸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1 융점 온도를 갖는 제1 성분과; 용이하게 가교 결합 가능하지 않고 프로필렌-함유 중합체 및 메틸-펜텐-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블렌드의 약 50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SC로 결정된 제2 융점 온도를 갖는 제2 성분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블렌드를 제공하는 단계;
    중합체 블렌드를 필름으로 형성하는 단계;
    필름 상에 직조된 표면을 부여하는 단계; 및
    제2 성분을 본질적으로 가교 결합시키지 않으면서 제1 성분을 가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조된 필름의 형성 방법.
  138. 제137항에 있어서, 필름 상에 직조된 표면을 부여하는 단계가 필름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9. 제137항에 있어서, 필름을 압출하는 단계가 필름을 직조된 롤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0. 제137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가 제1 융점 온도 내지 제2 융점 온도 내로 정의되고,
    중첩 영역을 한정하기 위해 필름의 부분을 필름의 다른 부분과 통합 위치시키는 단계;
    박리 밀봉을 한정하기 위해 중첩 영역을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 내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1. 제140항에 있어서, 박리 밀봉의 가열밀봉 윈도우 내에서 밀봉되는 경우, 박리 밀봉 강도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방법.
  142. 제140항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빙되기 전 및 오토클레이빙된 후의 필름을 비교하는 경우, 박리 밀봉 강도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방법.
  143. 제140항에 있어서, 표면 직조가 흐림도 값으로 측정될 수 있고, 흐림도 값이 증가 함에 따라 박리 밀봉 강도가 감소하는 방법.
  144. 제140항에 있어서, 표면 직조가 표면 조도 값으로 측정될 수 있고, 표면 조도 값이 증가함에 따라 박리 밀봉 강도가 감소하는 방법.
KR1020047001215A 2001-07-27 2002-07-18 단일층 및 다층의 필름 및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오토클레이브가능하고 비접착성인 가열밀봉성 중합체 필름 KR100839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17,136 US20020115795A1 (en) 2000-03-16 2001-07-27 Autoclavable, non-adherent, heat sealable polymer films for fabricating monolayer and multiple layered films and containers
US09/917,136 2001-07-27
PCT/US2002/022761 WO2003011961A1 (en) 2001-07-27 2002-07-18 Autoclavable, non-adherent, heat sealable polymer films for fabricating monolayer and multiple layered films and contai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661A true KR20040021661A (ko) 2004-03-10
KR100839323B1 KR100839323B1 (ko) 2008-06-17

Family

ID=2543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215A KR100839323B1 (ko) 2001-07-27 2002-07-18 단일층 및 다층의 필름 및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오토클레이브가능하고 비접착성인 가열밀봉성 중합체 필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20115795A1 (ko)
EP (1) EP1417259A1 (ko)
JP (1) JP2005519139A (ko)
KR (1) KR100839323B1 (ko)
CN (1) CN1257933C (ko)
BR (1) BR0211510A (ko)
CA (1) CA2455625A1 (ko)
MX (1) MXPA04000832A (ko)
PL (1) PL374119A1 (ko)
TW (1) TWI230721B (ko)
WO (1) WO2003011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4060A1 (en) * 2004-03-03 2005-09-08 Vincent Houwaert Peelable seal closure assembly
US20030039826A1 (en) * 2000-03-20 2003-02-27 Sun Edward I. Conformable and die-cuttable biaxially oriented films and labelstocks
US7175614B2 (en) * 2002-10-17 2007-02-13 Baxter International Inc. Peelable seal
US6844038B2 (en) * 2003-01-24 2005-01-18 Baxter International Inc. Peelable overpouch films
US20050085785A1 (en) * 2003-10-17 2005-04-21 Sherwin Shang High impact strength film and non-pvc containing container and pouch and overpouch
SE0303416L (sv) * 2003-12-18 2005-06-19 Gambro Lundia Ab Förpackning avsedd för användning i en peritonealdialysbehandling och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en sådan förpackning
AU2005248405B2 (en) * 2004-05-24 2010-07-01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mer blends for peelable and/or permanent seals
US7638091B2 (en) * 2004-07-02 2009-12-2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 V. Methods of sterilizing polycarbonate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TE409576T1 (de) * 2006-03-21 2008-10-15 Rkw Ag Ultraschall-schweissbare thermoplastische polyolefinfolie
US9004761B2 (en) 2006-05-01 2015-04-1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le chamber container with mistake proof administration system
US7871696B2 (en) 2006-11-21 2011-01-1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eelable composite thermoplastic sealants in packaging films
US7871697B2 (en) 2006-11-21 2011-01-1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eelable composite thermoplastic sealants in packaging films
US9232808B2 (en) 2007-06-29 2016-01-12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Processed cheese without emulsifying salts
JP5208214B2 (ja) * 2007-10-02 2013-06-12 バクスター・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イクロレイヤー構造を含むフィルム
BRPI0910499A2 (pt) * 2008-07-15 2020-08-1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elícula e película perfurada
US20100247824A1 (en) * 2009-03-24 2010-09-30 Baxter International Inc. Non-pvc films having peel seal layer
EP2248667A1 (en) * 2009-04-30 2010-11-10 Borealis AG Composition and film comprising a C4-C10 alpha olefin containing polyolefin
NZ591354A (en) 2010-02-26 2012-09-2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A low-tack, UV-cured pressure sensitive acrylic ester based adhesive for reclosable packaging
AU2011220783A1 (en) 2010-02-26 2012-09-06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Package having an adhesive-based reclosable fastener and methods therefor
US9533472B2 (en) 2011-01-03 2017-01-03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Peelable sealant containing thermoplastic composite blends for packaging applications
WO2012150632A1 (ja) * 2011-05-02 2012-11-08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投薬用容器
EP2736930B1 (en) * 2011-07-28 2016-04-06 W.R. Grace & Co.-Conn. Propylene/ethylene copolymer film for heat seal
EP2945994B1 (en) 2013-01-18 2018-07-11 Basf Se Acrylic dispersion-based coating compositions
US11613636B2 (en) * 2015-11-19 2023-03-2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 blends for use in multilayer structure and multilayer structures comprising the same
EP3426483A1 (en) * 2016-03-07 2019-01-16 Cryovac, Inc. Easy opening film for vacuum skin packaging
WO2018139122A1 (ja) * 2017-01-24 2018-08-02 旭化成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栓体及び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1536A (en) 1979-08-10 1983-08-30 Delmed, Inc. Biocompatible, steam-sterilizable irradiated articles comprised of ethylene copolymer and polypropylene blends
US4536549A (en) 1982-03-03 1985-08-20 El Paso Polyolefins Company Heat-steriliz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EP0642550A1 (en) * 1992-05-29 1995-03-15 Ferro Corporation Radio frequency weldable polymer articles
JP3154931B2 (ja) * 1995-09-22 2001-04-09 凸版印刷株式会社 エンボスシート、それを用いた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法
US5944709A (en) * 1996-05-13 1999-08-31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ultiple-compartment dru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IT1287179B1 (it) * 1996-11-15 1998-08-04 Montell North America Inc Miscela polimerica per slush moulding
US5928740A (en) * 1997-02-28 1999-07-27 Viskase Corporation Thermoplastic C2 -α-olefin copolymer blends and films
JP2001046473A (ja) * 1999-08-04 2001-02-20 Material Eng Tech Lab Inc 耐熱性医療容器
US6743523B1 (en) * 2000-03-16 2004-06-01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le layer film of a new non-PVC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7259A1 (en) 2004-05-12
WO2003011961A1 (en) 2003-02-13
CN1257933C (zh) 2006-05-31
CN1535294A (zh) 2004-10-06
TWI230721B (en) 2005-04-11
JP2005519139A (ja) 2005-06-30
PL374119A1 (en) 2005-10-03
US20020115795A1 (en) 2002-08-22
KR100839323B1 (ko) 2008-06-17
BR0211510A (pt) 2006-10-31
MXPA04000832A (es) 2004-05-14
CA2455625A1 (en)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323B1 (ko) 단일층 및 다층의 필름 및 용기를 제작하기 위한,오토클레이브가능하고 비접착성인 가열밀봉성 중합체 필름
AU2001250864B2 (en) Multiple layer film of a new non-pvc material
AU2001250864A1 (en) Multiple layer film of a new non-pvc material
AU2001245850A1 (en) Containers and peelable seal containers of new non-PVC material
JP2008247481A (ja) 新規な非pvc材料の多層フィルム
KR100720641B1 (ko) 단일층 및 다층 필름 제작용 오토클레이브가능한, 비부착성의 가열밀봉성 중합체 블렌드
KR100781022B1 (ko) 비-pvc 물질의 용기 및 박리가능한 밀봉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