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1409A -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1409A
KR20040021409A KR1020020053238A KR20020053238A KR20040021409A KR 20040021409 A KR20040021409 A KR 20040021409A KR 1020020053238 A KR1020020053238 A KR 1020020053238A KR 20020053238 A KR20020053238 A KR 20020053238A KR 20040021409 A KR20040021409 A KR 20040021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
shielding plate
low beam
head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572B1 (ko
Inventor
김선옥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5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9Flaps, i.e. screens pivoting around one of their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수행하는 하나의 프로젝션 램프를 가지며, 상기 프로젝션 램프로부터 조사되어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후 렌즈를 통과하여 상향 조사되는 빛을 램프 전방의 하우징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차폐판이 설치되고,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폐판을 빛의 차단이 이루어지는 수직상태와 빛의 차단이 해제되는 수평상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태로 회전시켜주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의하면, 하나의 램프를 이용하여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이 빔 램프와 로우 빔 램프가 서로 다른 방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던 기존의 헤드램프에 비해 헤드램프의 설치공간 및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부품수를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Head lamp 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수행하는 하나의 프로젝션 램프를 가지며, 상기 프로젝션 램프로부터 조사되어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된 후 렌즈를 통과하여 상향 조사되는 빛을 램프 전방의 하우징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차폐판이 설치되고,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폐판을 빛의 차단이 이루어지는 수직상태와 빛의 차단이 해제되는 수평상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태로 회전시켜주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차체 전면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어 야간 주행시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해 빛을 조사해주는 전기장치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컬럼 내 멀티펑션 스위치를조작하여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 멀티펑션 스위치의 조작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하이 빔 램프(high beam lamp)와 로우 빔 램프(low beam lamp)로 구분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하이 빔 램프(상향등)는 원거리의 전방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빛의 전방 조사각도가 상향으로 조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점등시 상대적으로 멀리 빛을 조사한다.
한편, 상기 로우 빔 램프는 맞은 편에서 다가오는 대향 차량의 운전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운전시야만을 확보할 수 있도록 빛의 전방 조사각도가 하이 빔 램프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조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헤드램프에서는 하이 빔 램프와 로우 빔 램프가 서로 다른 방에 구분 설치되므로, 헤드램프 전체의 크기가 크고, 부품수가 많은 단점이 있었다.
즉, 첨부한 도 7과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램프(10)가 각각 하이 빔과 로우 빔을 조사하는 두 램프(11,14)로 구분되어 있고, 두 램프(11,14)가 서로 다른 공간에 설치되며, 각 램프(11,14)마다 리플렉터(12,15) 및 렌즈(13,16) 등이 별도로 구비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헤드램프에서는 헤드램프 전체의 크기가 커 공간 협소로 인한 설계시의 제약이 많았고, 부품수가 많아 개발비, 제조원가, 중량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하나의 램프가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하이 빔 램프와 로우 빔 램프가 서로 다른 방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던 기존의 헤드램프에 비해 설치공간 및 크기가 축소되고, 부품수가 축소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하이 빔 모드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이 빔 모드시 빛의 조사상태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로우 빔 모드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로우 빔 모드시 빛의 조사상태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하이 빔 모드시 차폐판과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로우 빔 모드시 차폐판과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하이 빔 모드시 빛의 배광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로우 빔 모드시 빛의 배광상태도이며,
도 7은 종래의 헤드램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헤드램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헤드램프21 : 램프
23 : 리플렉터24 : 하우징
25 : 렌즈26 : 차폐판
27 : 힌지부28 : 구동수단
29a : 제1솔레노이드29b : 제2솔레노이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수행하는 하나의 프로젝션 램프(21)를 가지며, 상기 프로젝션 램프(21)로부터 조사되어 리플렉터(23)에 의해 반사된 후 렌즈(25)를 통과하여 상향 조사되는 빛을 램프(21) 전방의 하우징(24)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4) 내부에 힌지부(27)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차폐판(26)이 설치되고,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폐판(26)을 빛의 차단이 이루어지는 수직상태와 빛의 차단이 해제되는 수평상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태로 회전시켜주는 구동수단(2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차폐판(26)이 그 전체 또는 적어도 힌지부(27) 하측의 하단부(26a)가 자석에 부착 가능한 금속 재질로 제조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28)이 상기 차폐판(26)의 하단부(26a) 전후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 받게 되는 두 개의 솔레노이드(29a,29b)로 이루어져, 상기 차폐판(26)이 상기 두 솔레노이드(29a,29b) 중 자화된 어느 하나의 솔레노이드에 하단부(26a)가 부착되면서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과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은 헤드램프의 하이 빔 모드(high beam mode)에서, 도 2는 헤드램프의 로우 빔 모드(low beam mode)에서 램프로부터 나온 빛이 리플렉터(reflector)에 의해 반사된 후 렌즈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되는 상태를 함께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헤드램프(20)에서는 하나의 프로젝션 램프(projection lamp)(21)가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에서 모두 이용된다.
상기 프로젝션 램프(21)는 후방의 커넥터(connector)(22)를 통해 전류를 인가 받아 점등된다.
또한, 상기 프로젝션 램프(21)에서 조사된 빛은 램프(21) 후방을 둘러싸고 있는 리플렉터(reflector)(23)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며, 이 리플렉터(23)에 의해 반사된 빛은 하우징(24) 전면을 덮고 있는 렌즈(25)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20)에서는 램프(21) 전방의 하우징(24) 내부 하측에서 힌지부(27)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램프(21)로부터 조사되어 리플렉터(23)에 의해 반사된 후 전방으로 진행되는 빛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차폐판(26)과, 이 차폐판(26)을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8)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판(26)은 구동수단(28)에 의해 힌지부(27)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상태 및 수직상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태로 구동된다.
먼저, 상기 차폐판(26)은 수평상태에서는 램프(21)로부터 조사되어 리플렉터(23)에 의해 반사된 후 전방으로 진행되는 빛을 차단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1을 참조).
그러나, 상기 차폐판(26)의 수직상태에서는 램프(21)로부터 조사되어 리플렉터(23)에 의해 반사된 후 전방으로 진행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게 되는데, 하우징(24) 내부의 하부 공간을 지나는 빛을 차단하게 된다(도 2를 참조).
즉, 램프(21)로부터 조사된 후 리플렉터(23)에 의해 반사된 빛 중 하우징(24) 내부의 하부 공간을 지나는 빛은 렌즈(25)를 통과한 후 상향으로 조사되어 하이 빔이 되는 바(도 1 참조), 상기 차폐판(26)은 로우 빔 모드시 도 2에서와 같이 수직상태에서 하우징(24) 내부의 하부 공간을 지나는 빛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도 2의 로우 빔 모드시에는 하우징(24) 내부의 상부 공간을 지나는 빛만이 렌즈(25)를 통과하여 조사되며, 이때 렌즈(25)를 통과한 빛은 로우 빔 배광상태(light distribution)를 만족시키게 된다(도 8 참조)
상기 구동수단(28)은 멀티펑션 스위치(미도시됨)의 조작에 따라 차폐판(26)을 수평상태와 수직상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태로 회전시켜주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솔레노이드(29a,29b)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즉, 첨부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28)은 차폐판(26) 하단부 전후로 배치되고 멀티펑션 스위치의 조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 받게 되는 두 개의 솔레노이드(29a,29b)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두 솔레노이드(29a,29b) 중 차폐판 하단부(26a) 후방으로 위치되는 솔레노이드(29a)를 제1솔레노이드로, 차폐판 하단부(26b) 전방으로 위치되는 솔레노이드(29b)를 제2솔레노이드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각 솔레노이드(29a,29b)는 전류 인가시 자화(磁化)되는 바, 두 솔레노이드(29a,29b) 중 어느 하나가 자화된 상태에서는 힌지부(27) 하측의 차폐판 하단부(26a)가 자화된 상태의 솔레노이드(29a,29b)에 부착되면서 차폐판(26) 전체가 회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29a)에 전류가 인가되면 차폐판(26)은 그 하단부(26a)가 자성에 의해 제1솔레노이드(29a)에 부착되면서 상단부가 전방으로 젖혀지는 형태로 회전되어 수평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2솔레노이드(29b)에 전류가 인가되면 차폐판(26)은 그 하단부(26a)가 자성에 의해 제2솔레노이드(29b)에 부착되면서 수직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램프 장치가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멀티펑션 스위치를하이 빔 모드로 조작할 때에는 제1솔레노이드(29a)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구성되고, 로우 빔 모드로 조작할 때에는 제2솔레노이드(29b)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실시예에서 차폐판(26)의 전체 또는 적어도 차폐판(26)의 힌지부(27) 하측의 하단부(26a)는 자석에 부착 가능한 금속 재질로 제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멀티펑션 스위치를 하이 빔 모드로 조작한 경우, 제1솔레노이드(29a)에 전류가 인가되면서 제1솔레노이드(29a)가 자화되고, 차폐판(26)의 하단부(26a)가 제1솔레노이드(29b)로 당겨져 부착되므로, 차폐판(26) 전체가 수평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램프(21)에서 나온 모든 빛이 리플렉터(23)에 의해 반사된 후 렌즈(25)를 통과하여 전방의 하향 및 상향으로 조사되어진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하이 빔 모드시 빛의 배광상태도를 나타낸다.
한편, 멀티펑션 스위치를 로우 빔 모드로 조작한 경우, 제2솔레노이드(29b)에 전류가 인가되면서 제2솔레노이드(29b)가 자화되고, 차폐판(26)의 하단부가 제2솔레노이드(29b)로 당겨져 부착되므로, 차폐판(26) 전체가 수직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램프(21)로부터 조사되어 리플렉터(23)에 의해 반사된 후 하우징(24) 내부의 하부 공간을 지나는 빛이 차폐판(26)에 의해 차단되므로, 상향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로우 빔 모드시 빛의 배광상태도를 나타낸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하나의 프로젝션 램프를 이용하여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멀티펑션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차폐판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면서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가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에서는 하나의 프로젝션 램프가 하이 빔 램프와 로우 빔 램프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램프가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기존의 헤드램프에 비해 설치공간과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램프, 리플렉터 및 렌즈와 같은 부품의 갯수를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의하면, 하나의 램프를 이용하여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이 빔 램프와 로우 빔 램프가 서로 다른 방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던 기존의 헤드램프에 비해 헤드램프의 설치공간 및 크기를 축소할 수 있고, 부품수를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헤드램프 설치공간의 축소로 헤드램프 설계시 제약을 줄일 수 있고, 부품수 축소로 개발비, 제조원가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수행하는 하나의 프로젝션 램프(21)를 가지며, 상기 프로젝션 램프(21)로부터 조사되어 리플렉터(23)에 의해 반사된 후 렌즈(25)를 통과하여 상향 조사되는 빛을 램프(21) 전방의 하우징(24)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4) 내부에 힌지부(27)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차폐판(26)이 설치되고, 하이 빔 모드와 로우 빔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차폐판(26)을 빛의 차단이 이루어지는 수직상태와 빛의 차단이 해제되는 수평상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태로 회전시켜주는 구동수단(2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26)이 그 전체 또는 적어도 힌지부(27) 하측의 하단부(26a)가 자석에 부착 가능한 금속 재질로 제조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28)이 상기 차폐판(26)의 하단부(26a) 전후로 각각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작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류를 인가 받게 되는 두 개의 솔레노이드(29a,29b)로 이루어져, 상기 차폐판(26)이 상기 두 솔레노이드(29a,29b) 중 자화된 어느 하나의 솔레노이드에 하단부(26a)가 부착되면서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KR10-2002-0053238A 2002-09-04 2002-09-04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KR100501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238A KR100501572B1 (ko) 2002-09-04 2002-09-04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238A KR100501572B1 (ko) 2002-09-04 2002-09-04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409A true KR20040021409A (ko) 2004-03-10
KR100501572B1 KR100501572B1 (ko) 2005-07-18

Family

ID=3732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238A KR100501572B1 (ko) 2002-09-04 2002-09-04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108A (ko) * 2012-06-04 2013-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장치
CN112113182A (zh) * 2019-06-19 2020-12-22 株式会社小糸制作所 灯具单元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493Y1 (ko) * 1994-09-07 1999-03-30 전성원 자동차의 전조등
KR19980030324A (ko) * 1996-10-29 1998-07-25 양재신 상향등 차폐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헤드램프
JPH10208510A (ja) * 1997-01-24 1998-08-07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KR19990025858U (ko) *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프로젝센 타입 전조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6108A (ko) * 2012-06-04 2013-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장치
CN112113182A (zh) * 2019-06-19 2020-12-22 株式会社小糸制作所 灯具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1572B1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434B2 (ja) 車両用前照灯
US20070091629A1 (en) Vehicle Lighting Device
EP2228588A2 (en) Vehicle headlamp
US7922376B2 (en) Headlamp for vehicle
JP2007250327A (ja) ドラム型可変遮光板及び該遮光板を使用したヘッドライト
JP2001118407A5 (ko)
JP5112218B2 (ja) 車輌用前照灯
JP2021133894A (ja) 車両用灯具
JP2008027650A (ja) 車輌用灯具
JP2007294356A (ja) 配光可変型前照灯
KR100501572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JP6142540B2 (ja) 車両用前照灯
JP2000215717A (ja) 車両用前照灯
KR20120003304A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1704131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US20030223220A1 (en) Vehicle headlamp
US10180227B2 (en) Apparatus for driving headlamp shield
JPH1125710A (ja) 車輌用前照灯
JP2012226997A (ja) 車輌用前照灯
KR20160125693A (ko) 차량용 램프
KR101405384B1 (ko) 자동차의 램프 장치
WO2023026865A1 (ja) 車輌用灯具
JP3106526U (ja) 高輝度放電式ヘッドランプの調整構造
JP2013052702A (ja) 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JP532352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