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509A -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 Google Patents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509A
KR20040020509A KR1020020052117A KR20020052117A KR20040020509A KR 20040020509 A KR20040020509 A KR 20040020509A KR 1020020052117 A KR1020020052117 A KR 1020020052117A KR 20020052117 A KR20020052117 A KR 20020052117A KR 20040020509 A KR20040020509 A KR 20040020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frequency converter
path
transmission frequency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to KR1020020052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0509A/ko
Publication of KR2004002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5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5Multiple-frequency-changing at least two frequency changers being located in different paths, e.g. in two paths with carriers in quad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수신 다이버시티가 모두 구현된 기지국 시스템에서 수신 다이버시티만 사용될 경우 사용되지 않는 송신 주파수 변환기를 스위치를 이용하여 여분의 경로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에 두개로 구현되어 있는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입력과 출력 쪽에 RF 스위치를 연결하여,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남은 경로 하나를 여분의 경로로 사용토록 한다. 즉, 일측 경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여분의 경로인 타측 경로로 절체를 하여 통신 경로 장애로 통신이 두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Duple unit of transmit frequency converter}
본 발명은 광대역-시디엠에이(W-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송신 주파수 변환기(UPCU)의 이중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신 다이버시티가 모두 구현된 기지국 시스템에서 수신 다이버시티만 사용될 경우 사용되지 않는 송신 주파수 변환기를 스위치를 이용하여 여분의 경로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성서비스가 주가되는 기존의 W-CDMA 기지국 시스템과는 달리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순방향 부하가 강조되는 IS-95C, IMT-2000 기지국 시스템에서는 수신쪽뿐만 아니라 송신쪽에서도 다이버시티가 고려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송신 다이버시티가 고려된 송신 주파수 변환기 및 그 주변 회로도이다. 이는 1FA 3섹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주파수변환기(10)는 섹터별 송신할 신호를 중간주파수(IF)로 변환하여 각 섹터별로 출력하게 되고, 송신 주파수 변환부(20)내의 제1 내지 제3 송신 주파수 변환기(21 ~ 23)는 상기 각 섹터별 중간주파수 신호를 고주파(RF)로 주파수 상향 변환을 하게된다.
이렇게 주파수 상향 변환된 각 섹터별 송신 신호는 전력 증폭기(30)에서 전력 증폭된 후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다.
여기서 참조부호 40은 고주파 컨트롤 어셈블리(RFCA)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실선은 통상적인 송신 경로이고, 점선은 송신 다이버시티시 사용하기 위한 송신 다이버시티 경로이다.
한편, 수신 다이버시티와 달리 송신 다이버시티는 선택 사양으로 되어 잇기 때문에 사업자가 송신 다이버시티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 장비 제조업체에서 이미 제작해 놓은 송신 쪽의 나머지 하나의 경로(송신 다이버시티 경로)는 전혀 활용되지 못하게 되어 시스템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송신 다이버시티가 고려된 송신 주파수 변환기 및 그 주변 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수신 다이버시티가 모두 구현된 기지국 시스템에서 수신 다이버시티만 사용될 경우 사용되지 않는 송신 주파수 변환기를 스위치를 이용하여 여분의 경로로 활용토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에 두개로 구현되어 있는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입력과 출력 쪽에 스위치를 연결하여,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남은 경로 하나를 여분의 경로로 사용토록 한다.
즉, 일측 경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여분의 경로인 타측 경로로 절체를 하여,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송신 다이버시티가 고려된 송신 주파수 변환기 및 그 주변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1 송신 주파수 변환기 경로로 연결시 스위치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2 송신 주파수 변환기 경로로 연결시 스위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60 ..... 제1 및 제2 스위칭부
51 ~ 53 .....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
61 ~ 63 .....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0은 섹터별 송신할 신호를 중간주파수(IF)로 변환하여 각 섹터별로 출력하는 중간주파수 변환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0은 상기 각 섹터별 중간주파수 신호를 고주파수(RF)로 상향 변환하는 제1 내지 제3 송신 주파수 변환기(21 ~ 23)를 포함하는 송신 주파수 변환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0은 상기 송신 주파수 변환부(20)내의 제1 내지 제3 송신 주파수 변환기(21 ~ 2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전력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 측으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40은 고주파 컨트롤 어셈블리(RFCA)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 송신 주파수 변환기 및 그 주변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기 중간주파수 변환기(10)와 상기 송신 주파수 변환부(20) 사이에 경로 선택을 위한 제1스위칭부(50)를 구현하고, 상기 송신 주파수 변환부(20)와 전력 증폭기(30) 사이에 경로 선택을 위한 제2스위칭부(60)를 구현한 것이다.
상기에서 제1스위칭부(50)는 입력되는 중간주파수를 두개의 경로중 하나로출력해주는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51 ~ 5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칭부(60)도 두개의 경로로 입력되는 고주파수중 하나를 선택하여 하나의 경로로 출력해주는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61 ~ 6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 장치는, 먼저 중간주파수 변환기(10)에서 3섹터별로 입력되는 송신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제1스위칭부(50)로 전송한다.
상기 제1스위칭부(50)는 고주파 컨트롤 어셈블리(4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51 ~ 53)가 동작을 하여 각 섹터별로 입력되는 신호를 두개의 경로중 하나의 경로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고주파 컨트롤 어셈블리(40)는 초기에 통상적인 송신 경로로 신호가 전송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고 있다가, 별도의 경로 검출 장치를 통해 송신 경로의 장애 여부를 체크하여, 장애로 판단되면 스위치 제어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부(50) 및 제2스위칭부(60)에 전달하여, 사용하지 않는 송신 다이버시티 경로로 신호가 절체되도록 한다.
도 3은 초기 상태에서 송신 경로가 정상적일 경우 제1스위칭부(50)내의 하나의 스위치(예를 들어, 51)와 제2스위칭부(60)내의 하나의 스위치(예를 들어, 61)의 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경로 변경을 위한 스위치 제어신호가 제1 및 제2 스위칭부(50)(60)에 각각 전달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칭부(50)내의 스위치(예를 들어, 51)와 제2스위칭부(60)내의 스위치(예를 들어, 61)가 동작을 송신다이버시티 경로로 전환을 하게된다.
도 3 및 도 4는 제1스위칭부(50) 및 제2스위칭부(60)내의 하나의 스위치 동작 상태만을 보인 것이며, 실질적으로 제1스위칭부(50)내의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51 ~ 53)와 제2스위칭부(60)내의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61 ~ 63)는 동일하게 동작을 한다.
그리고 송신 주파수 변환부(20)내의 제1 내지 제3 송신 주파수 변환기(21 ~ 23)도 각각 내부적으로 2개의 송신 주파수 변환기를 구비하고, 해당 경로로 입력되는 송신 중간주파수 신호를 특정의 송신 주파수 변환기만이 동작을 하여 고주파수로 주파수 상향 변환을 하게된다.
이렇게 상향 변환된 고주파수는 각 섹터별로 제2스위칭부(60)내의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61 ~ 63)로 입력되며,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61 ~ 63)도 상기 제1스위칭부(50)내의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51 ~ 53)와 동일하게 동작을 하여 두개의 경로중 하나의 경로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전력 증폭기(30)에 전달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송수신 다이버시티가 구현된 기지국 시스템에 스위치 유니트를 추가하여 실장한다.
이 스위치 유니트는 주파수 변환기 하나의 사이즈면 충분하며, 1FA 3Sector 시스템의 경우 2:1 RF 스위치 6개로 구성된다. 유니트 후면은 케이블링을 위하여 SMS Female Connector가 외부로 나오는 형태로 제작한다. 만약, 송수신 다이버시티를 모두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이 스위치 유니트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런데필요(요구)에 의해서 시스템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이 스위치 유니트가 송신 주파수 변환기 앞뒤에 오도록 시스템을 중간주파수변환기(10)-제1스위칭부(50)-송신 주파수 변환부(20)-제2스위칭부(60)-전력 증폭기(30)와 같이 구성한다.
이 스위치들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고주파 컨트롤 어셈블리(40)에 의해 제어되며, 송신 주파수 변환기에 어떤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고주파 컨트롤 어셈블리(40)로부터 명령을 받아 스위칭 작용에 의해 송신주파수 변환기의 경로를 초기의 송신 경로에서 송신 다이버시티 경로로 전환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독립적으로 고정된 송신 다이버시티 시스템에서 송신 다이버시티 미사용시 전혀 활용될 수 없는 송신 다이버시티 경로를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여분의 경로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송신주파수 변환기 뒷단에 전력 모니터링 포트를 설치하여 송신주파수 변환기 출력 파워에 대한 정보가 RF 컨트롤 유니트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RF 컨트롤 유니트에서는 항상 이 출력 파워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이상 발생시 스위치 유니트로 해당되는 섹터의 송신주파수 변환기 여분의 경로 변경명령을 내려 중단 없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유니트의 실장으로 사장되었던 하나의 패스는 여분으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시스템의 이중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시스템의 이중화로 기존 송신 경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여분의송신 다이버시티 경로로 전환을 함으로써 서비스 중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시스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섹터별 송신할 신호를 중간주파수(IF)로 변환하여 각 섹터별로 출력하는 중간주파수 변환기와, 상기 각 섹터별 중간주파수 신호를 고주파수(RF)로 상향 변환하는 제1 내지 제3 송신 주파수 변환기를 포함하는 송신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송신 주파수 변환부내의 제1 내지 제3 송신 주파수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전력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 측으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와, 고주파 컨트롤 어셈블리(RFCA)로 구성된 일반적인 CDMA 기지국의 송신 주파수 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주파수 변환기와 상기 송신 주파수 변환부 사이에 구비되고, 송신 경로와 송신 다이버시티 경로중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제1스위칭부와;
    상기 송신 주파수 변환부와 상기 전력 증폭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송신 경로와 송신 다이버시티 경로중 하나의 경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는, 입력되는 중간주파수를 두개의 경로중 하나로 출력해주는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부는, 두개의 경로로 입력되는 고주파수중 하나를 선택하여 하나의 경로로 출력해주는 제1 내지 제3 RF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KR1020020052117A 2002-08-30 2002-08-30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KR20040020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117A KR20040020509A (ko) 2002-08-30 2002-08-30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117A KR20040020509A (ko) 2002-08-30 2002-08-30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509A true KR20040020509A (ko) 2004-03-09

Family

ID=3732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117A KR20040020509A (ko) 2002-08-30 2002-08-30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05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68434B (zh) 一种射频电路、终端及信号发射控制方法
US5913153A (en) Mobile station without a transmission/reception duplexer
KR100316693B1 (ko) 이동통신 기지국의 rf블록
US10790904B2 (en) Redundant backup near-end machine, far-end machine and system thereof for digital optical fiber repeater
US2001004159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JP3736211B2 (ja)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機能停止防止方法
US7024231B2 (en) Booster system in a cellular phone base station
EP1833270B1 (en) A base band processing module n+m backup method based on switching and device thereof
RU259663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ч-связи и система свч-связи
CN111726141A (zh) 基于同频多系统并发的天线系统
KR20040020509A (ko) 송신 주파수 변환기의 이중화장치
US20100226653A1 (en) Circuit for switching signal path, antenna module and radio over fiber system
US7069048B2 (en) Base station system supporting multi-sector/multi-frequency assignment for seamless call service
KR100440447B1 (ko) 송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이용한 선택적 송신 이중화 장치
KR100695332B1 (ko)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JP2008078928A (ja) レピータ装置
EP1253723A1 (en) Transmitter/receiver device with re-configurable output combining
KR10084257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단의 랙 장치
JP2022164302A (ja) 増幅装置
KR20010019948A (ko)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통신 시스템의 옥내장비 유니트
CN116566462A (zh) 一种通信卫星多模测控系统
KR100629245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잡음전력 차단장치
CN117544193A (zh) 一种塔顶放大器、通讯系统及通讯系统运行方法
CN112803966A (zh) 一种5g通信电路和5g基站设备
JPH0412762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