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332B1 -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 Google Patents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332B1
KR100695332B1 KR1020050105997A KR20050105997A KR100695332B1 KR 100695332 B1 KR100695332 B1 KR 100695332B1 KR 1020050105997 A KR1020050105997 A KR 1020050105997A KR 20050105997 A KR20050105997 A KR 20050105997A KR 100695332 B1 KR100695332 B1 KR 100695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conversion
signal
conversion processing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이점훈
김재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0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9Operations control,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7Transmission equipment in earth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주파수(RF) 처리장비와 신호변환(MODEM/BB) 처리 장비간 중간주파수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중화를 구현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위성으로부터 원격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위성으로 원격명령을 송신하기 위한,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Tracking, Telemetry & Command) 이중화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위성으로부터 원격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으로 원격명령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수단;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측으로부터 수신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무선주파수(RF) 신호로 상향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무선주파수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하향변환하여 상기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처리수단; 외부의 이중화된 위성제어센터로부터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원격명령 데이터를)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 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 측으로부터 수신한 중간주파수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중화된 위성제어센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과 상기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간에 원격측정 데이터 및 원격명령 송수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중간주파수 스위칭수단; 및 상기 중간주파수 스위칭수단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감시제어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TTC 이중화 시스템 등에 이용됨.
위성, 이중화, 절체, 스위치, 원격명령, 원격측정 데이터

Description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The dual apparatus of TTC for seamlessly satellite ground contro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중 중간주파수 스위칭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 은 상기 도 2의 중간주파수 스위칭부에서 주파수분배기로 통신링크 설정시 송수신 구조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 4 는 상기 도 2의 중간주파수 스위칭부에서 스위치2로 통신링크 설정시 송수신 구조를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TTC 이중화 장치 110 : 안테나
120 : 무선주파수(RF) 처리부
130,131 : 신호변환(MODEM/BB) 처리부1,2
140 : 감시제어부 150 : 중간주파수 스위칭부
200 : 주 위성제어센터 201 : 백업 위성제어센터
300 : 위성
본 발명은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Tracking, Telemetry & Command)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주파수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중화를 구성하여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원격측정 데이터 및 위성으로 전송하는 원격명령을 송수신하여 안정적 위성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TTC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루의 일정시간 동안에만 위성관제를 수행하는 저궤도 위성관제 시스템과 달리, 정지궤도위성 관제와 같이 하루 24시간 끊임없이 동작해야 하는 위성관제 시스템에서는 TTC 장비의 이중화가 고려되는 추세이다.
현재, TTC 장비를 이용한 이중화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TTC 장비 제조업체에서 이미 제작한 안테나, 무선주파수(RF) 처리 장비, 신호변환(MODEM/BB) 처리 장비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TTC 장비를 이용한 이중화 시스템은 초기 설비투자비가 많이 드는 안테나 한대로 구성되며, 장비 자체에서 이중화로 구현되어 장비 고장시 자동으로 절체할 수 있는 무선주파수 처리 장비, 자체 자동 절체가 되지 않은 신호변환 처리 장비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들만으로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신호변환 처리 장비 고장시 무선주파수 처리 장비와 신호변환 처리 장비의 연결 경로를 설정할 때 운용자가 직접 케이블을 변경하여 장비를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 소요가 발생하게 되어 시간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주파수(RF) 처리장비와 신호변환(MODEM/BB) 처리 장비간 중간주파수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중화를 구현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위성으로부터 원격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위성으로 원격명령을 송신하기 위한,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Tracking, Telemetry & Command) 이중화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위성으로부터 원격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으로 원격명령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수단;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측으로부터 수신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무선주파수(RF) 신호로 상향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무선주파수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하향변환하여 상기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처리수단; 외부의 이중화된 위성제어센터로부터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원격명령 데이터를)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 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 측으로부터 수신한 중간주파수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중화된 위성제어센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과 상기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간에 원격측정 데이터 및 원격명령 송수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중간주파수 스위칭수단; 및 상기 중간주파수 스위칭수단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감시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는, 위성(300)으로부터 원격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위성(300)으로 원격명령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110)와, 이중화된 신호변환(MODEM/BB) 처리부(130,131)로부터 수신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110)로 송신하고, 안테나(11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 레벨로 하향변환하여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부(130,131)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처리부(120)와, 이중화된 위성제어센터(200,201)로부터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원격명령 데이터)를 중간주파수 신호(70MHz)로 변환하여 무선주파수 처리부(120)로 송신하고, 무선주파수 처리부(120)로부터 수신한 중간주파수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이중화된 위성제어센터(200,201)로 송신하기 위한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부(130,131)와, 무선주파수 처리부(120)와 이중의 신호변환 처리부(130,131) 간에 원격측정 데이터 및 원격명령 송수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중간주파수 스위칭부(150)와, 중간주파수 스위칭부(150)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감시제어부(C&M : Control and Monitor)(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시제어부(140)는 TTC 이중화 장치(100)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신호변환 처리부 1(130)의 고장 유무를 확인하여, 신호변환 처리부 1(130)의 고장이 확인되면 신속히 이중화된 다른 장비(신호변환 처리부 2(131))로 절체하여 원격측정 데이터 및 원격명령의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감시제어부(140)는 위성운용 방법에 따라 중간주파수 스위칭부(150)의 스위치 제어기(157)를 통하여 스위치 1(151), 스위치 2(153), 스위치 3(156)을 제어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중 중간주파수 스위칭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주파수 스위칭부(150)는, 무선주파수 처리부(120)의 주파수 하향 컨버터(Down Converter)(121)로부터 수신되는 원격측정 데이터를 감시제어부(140)에서 결정된 원격측정 데이터 수신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 1(151)과, 스위치 1(151)로부터 스위칭된 중간주파수 신호(원격측정 데이터)를 주파수결합기 1(154) 및 주파수결합기 2(155)로 분배해주기 위한 주파수분배기(152)와, 스위치 1(151)로부터 스위칭된 중간주파수 신호(원격측정 데이터)를 감시제어부(140)에서 결정된 원격측정 데이터 수신 모드에 따라 주파수결합기 1(154) 또는 주파수결합기 2(155)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치 2(153)와, 주파수분배기(152)와 스위치 2(153)로부터 전송된 중간주파수 신호(원격측정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응하는 신호변환 처리부 1(130) 또는 신호변환 처리부 2(131)로 전송하기 위한 주파수결합기 1(154) 및 주파수결합기 2(155)와, 신호변환 처리부 1(130) 또는 신호변환 처리부 2(131)로부터 수신되는 원격명령 데이터를 감시제어부(140)의 원격명령 데이터 송신 모드에 따라 무선주파수 처리부(120)의 주파수 상향 컨버터(122)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치 3(156)과, 스위치 1(151), 스위치 2(153), 스위치 3(156)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기(157)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중간주파수 스위칭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 1(151)은 감시제어부(140)에서 결정된 원격측정 데이터 수신 모드 결정에 따라, 주파수 하향 컨버터(121)를 통해 하향변환된 70Mhz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신호변환 처리부 1 및 신호변환 처리부 2(130,131)로 전송하기 위한 수신 경로 를 설정한다.
이때, 위성(300)으로부터 수신된 원격측정 데이터를 신호변환 처리부 1(130) 및 신호변환 처리부 2(131)에서 동시에 수신하기 위한 이중 수신모드일 경우, 스위치 1(151)은 무선주파수 처리부(120)의 주파수 하향 컨버터(121)와 중간주파수 스위칭부(150)의 주파수분배기(152)로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반면, 원격측정 데이터가 단일 수신모드일 경우, 신호변환 처리부 1(130) 혹은 신호변환 처리부 2(131)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주파수 처리부(120)의 주파수 하향 컨버터(121)와 스위치 2(153)로 전송경로를 설정한다.
주파수분배기(152)는 스위치 1(151)로부터 원격측정 데이터 수신경로가 주파수분배기(152)로 설정된 경우 동작하며, 주파수분배기(152)는 수신된 원격측정 데이터를 신호변환 처리부 1(130)과 신호변환 처리부 2(131)로 동시에 동일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중간주파수 스위치부(150) 내의 주파수결합기 1(154)과 주파수결합기 2(155)로 중간주파수 신호를 분할하여 전송한다.
스위치 2(153)는 스위치 1(151)로부터 중간주파수 신호 레벨의 원격측정 데이터 수신경로가 스위치 2(153)로 설정된 경우 동작하며, 스위치 2(153)는 감시제어부(140)에서 결정된 원격측정 데이터 수신 모드에 따라 스위치 1(151)로부터 수신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신호변환 처리부 1(130) 혹은 신호변환 처리부 2(131)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주파수결합기 1(154) 혹은 주파수결합기 2(155)로 중간주파수 신호를 전송한다.
주파수결합기 1(154) 또는 주파수결합기 2(155)는 주파수분배기(152)와 스위치 2(153)로부터 전송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결합하여 상응하는 신호변환 처리부 1,2(130,131)로 전송하며, 스위치 1(151)의 스위칭에 의하여 주파수분배기(152)와 스위치 2(153) 중 하나의 중간주파수 신호만을 신호변환 처리부 1,2(130,131)로 전송한다.
스위치 3(156)은 감시제어부(140)에서 결정된 원격명령 전송경로 설정에 의하여 신호변환 처리부 1(130) 또는 신호변환 처리부 2(131)에서 전송된 원격명령을 선택적으로 무선주파수 처리부(120)의 주파수 상향 컨버터(122)로 전송한다. 이때, 스위치 3(156)과 스위치 2(153)는 동일하게 동작한다.
스위치 제어기(157)는 감시제어부(140)의 전송모드 선택에 의해 스위치 1(151), 스위치 2(153), 스위치 3(156)을 제어하여 원격명령 및 원경측정 데이터의 전송경로를 제어한다.
도 3 은 상기 도 2의 중간주파수 스위칭부에서 주파수분배기로 통신링크 설정시 송수신 구조를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원격명령 및 원격측정 데이터 송수신 전송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제어부(140)에서 원격측정 데이터 이중수신 모드 선택 시, 스위치 제어기(157)의 제어 하에, 스위치 1(151)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주파수분배기(152)와 스위치 2(153)로의 경로 중 주파수분배기(152)로 연결을 설정하며, 그에 따라 주파수분배기(152)는 주파수결합기1(154)과 주파수결합기2(155)를 통하여 신호변환 처리부 1(130)과 신호변환 처리부 2(131)로 원격측정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원격명령 전송은 스위치 3(156)을 이용하여 전송경로를 설정하는데, 이때 감시제어부(140)의 원격명령 송신경로 설정에 따라, 스위치 제어기(157)의 제어 하에, 신호변환 처리부 1(130) 혹은 신호변환 처리부 2(131)로부터 무선주파수 처리부(120)의 주파수 상향 컨버터(122)로 원격명령 전송경로를 설정한다.
도 4 는 상기 도 2의 중간주파수 스위칭부에서 스위치2로 통신링크 설정시 송수신 구조를 나타낸 일예시도로서, 원격명령 및 원격측정 데이터의 전송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제어부(140)에서 원격측정 데이터 단일수신 모드 선택 시, 스위치 제어기(157)의 제어 하에, 스위치 1(151)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주파수분배기(152)와 스위치 2(153)로의 경로 중 스위치 2(153)로 연결을 설정하며, 그에 따라 스위치 2(153)는 주파수결합기1(154)과 주파수결합기2(155)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신호변환 처리부 1(130) 또는 신호변환 처리부 2(131)로 원격측정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원격명령 전송은 스위치 3(156)을 이용하여 전송경로를 설정하는데, 이때 감시제어부(140)의 원격명령 송신경로 설정에 따라, 스위치 제어기(157)의 제어 하에, 스위치 2(153)와 연결된 신호변환 처리부 1(130) 혹은 신호변환 처리부 2(131)로부터 무선주파수 처리부(120)의 주파수 상향 컨버터(122)로 원격명령 전송경로를 설정한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중간주파수 스위치를 이용하여 원격명령 및 원격측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변환(MODEM/BB) 처리 장비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신호변환 처리 장비가 고장시 정상 동작하고 있는 다른 신호변환 처리 장비로 절체하여 안정적 위성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Tracking, Telemetry & Command) 이중화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위성으로부터 원격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으로 원격명령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수단;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측으로부터 수신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무선주파수(RF) 신호로 상향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한 무선주파수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하향변환하여 상기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처리수단;
    외부의 이중화된 위성제어센터로부터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원격명령 데이터를)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 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 측으로부터 수신한 중간주파수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중화된 위성제어센터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과 상기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 간에 원격측정 데이터 및 원격명령 송수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중간주파수 스위칭수단; 및
    상기 중간주파수 스위칭수단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감시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주파수 스위칭수단은,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의 주파수 하향 컨버터로부터 수신되는 원격측정 데이터를 상기 감시제어수단에서 결정된 원격측정 데이터 수신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
    상기 제1 스위칭부로부터 스위칭된 중간주파수 신호(원격측정 데이터)를 제1 주파수결합기 및 제2 주파수결합기로 분배해주기 위한 주파수분배기;
    상기 제1 스위칭부로부터 스위칭된 중간주파수 신호(원격측정 데이터)를 상기 감시제어수단에서 결정된 원격측정 데이터 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결합기 또는 상기 제2 주파수결합기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스위칭부;
    상기 주파수분배기와 상기 제2 스위칭부로부터 전송된 중간주파수 신호(원격측정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이중화된 신호변환 처리수단의 상응하는 제1 신호변환 처리부 또는 제2 신호변환 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결합기;
    상기 제1 신호변환 처리부 또는 상기 제2 신호변환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원격명령 데이터를 상기 감시제어수단에서 결정된 원격명령 데이터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무선주파수 처리수단의 주파수 상향 컨버터로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3 스위칭부; 및
    상기 감시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부
    를 포함하는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부는,
    상기 제1 신호변환 처리부 및 상기 제2 신호변환 처리부에서 동시에 원격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이중 수신 모드일 경우, 상기 주파수 하향 컨버터와 상기 주파수 분배기 간에 전송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제1 신호변환 처리부 또는 상기 제2 신호변환 처리부에서 원격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단일 수신 모드일 경우, 상기 주파수 하향 컨버터와 상기 제2 스위칭부 간에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주파수 스위칭수단은,
    상기 감시제어수단에서 원격측정 데이터 이중수신 모드 선택 시,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상기 주파수분배기와 상기 제2 스위칭부로의 경로 중 상기 주파수분배기로 연결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주파수분배기가 상기 제1 주파수결합기와 상기 제2 주파수결합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신호변환 처리부와 상기 제2 신호변환 처리부로 원격측정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감시제어수단의 원격명령 송신경로 설정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신호변환 처리부 또는 상기 제2 신호변환 처리부로부터 상기 주파수 상향 컨버터로 원격명령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주파수 스위칭수단은,
    상기 감시제어수단에서 원격측정 데이터 단일수신 모드 선택 시,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상기 주파수분배기와 상기 제2 스위칭부로의 경로 중 상기 제2 스위칭부로 연결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칭부가 상기 제1 주파수결합기와 상기 제2 주파수결합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신호변환 처리부 또는 상기 제2 신호변환 처리부로 원격측정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감시제어수단의 원격명령 송신경로 설정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2 스위칭부와 연결된 상기 제1 신호변환 처리부 또는 상기 제2 신호변환 처리부로부터 상기 주파수 상향 컨버터로 원격명령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수단은,
    상기 TTC 이중화 장치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신호변환 처리부 중 어느 하나의 고장이 확인되면 정상적으로 동작중인 신호변환 처리부로 절체하고, 위성 운용 방식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KR1020050105997A 2005-11-07 2005-11-07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KR100695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97A KR100695332B1 (ko) 2005-11-07 2005-11-07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97A KR100695332B1 (ko) 2005-11-07 2005-11-07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332B1 true KR100695332B1 (ko) 2007-03-16

Family

ID=4162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997A KR100695332B1 (ko) 2005-11-07 2005-11-07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3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335B1 (ko) * 2006-09-28 2007-07-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위성을 이용한 위성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055074A (zh) * 2021-02-08 2021-06-29 浙江时空道宇科技有限公司 一种星载通信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543A (ko) * 2001-11-23 2003-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의 정밀 궤도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543A (ko) * 2001-11-23 2003-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의 정밀 궤도 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42543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335B1 (ko) * 2006-09-28 2007-07-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위성을 이용한 위성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US7643792B2 (en) 2006-09-28 2010-01-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atellite ground control system using communication satellite
CN113055074A (zh) * 2021-02-08 2021-06-29 浙江时空道宇科技有限公司 一种星载通信系统
CN113055074B (zh) * 2021-02-08 2022-05-10 浙江时空道宇科技有限公司 一种星载通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335283B1 (no) Diplekser/venderkrets med modemkapasiteter
US10790904B2 (en) Redundant backup near-end machine, far-end machine and system thereof for digital optical fiber repeater
US8050718B2 (en) Wireless base station
KR100695332B1 (ko)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JP4804849B2 (ja) 通信衛星及び通信システム
CN111953372A (zh) 一种vhf收发信机切换器
JP2003244047A (ja) 衛星通信方式
JP2009532968A (ja) 航空機用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2217791A (ja) 無線通信装置
KR101743618B1 (ko)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541120B2 (ja) 静止衛星管制方式
KR100440447B1 (ko) 송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이용한 선택적 송신 이중화 장치
JPH04292023A (ja) 無線通信装置
WO2023002602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6642549B2 (ja) 信号選択装置及び通信装置
JPH07135476A (ja) 無線通信装置
KR100204167B1 (ko) 무선호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기의 이중화 제어장치
JP2737761B2 (ja) ディジタル伝送装置
JP2611765B2 (ja) 衛星用中継器
JP2021034970A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CN116566462A (zh) 一种通信卫星多模测控系统
JPH03201628A (ja) スペースダイバーシティ無線通信装置
JP3314920B2 (ja) 中継装置
JP3576481B2 (ja) 衛星通信システム
JP2001044893A (ja) 無線方法および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