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618B1 -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618B1
KR101743618B1 KR1020160098351A KR20160098351A KR101743618B1 KR 101743618 B1 KR101743618 B1 KR 101743618B1 KR 1020160098351 A KR1020160098351 A KR 1020160098351A KR 20160098351 A KR20160098351 A KR 20160098351A KR 101743618 B1 KR101743618 B1 KR 10174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received signal
converted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코스믹전기통신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믹전기통신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오티 filed Critical 코스믹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4Setting up communications; Call and signal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블 라인(Cable Line)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설치비용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서비스영역(예: 지상, 지하)으로 신호가 전달되기 이전 단계에서 다수의 구성에 의해 신호전송이 분산되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케이블 라인(Cable Line)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전기를 이용한 무선통신에서는 무전기로부터 전송되는 송신신호와 무전기로 수신되어야 하는 수신신호가 동일한 주파수로 전송된다.
이에,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은 송신신호의 전송을 위한 케이블 라인과 수신신호의 전송을 위한 케이블 라인을 별도로 구분하는 2라인(Line) 방식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이러한 2라인(Line) 방식의 경우, 송수신을 위한 위한 케이블 라인이 별도로 구분되어야만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선통신을 위한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무전기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층간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하나의 케이블 라인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1라인(Line) 방식으로 운영하는 방안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라인(Line) 방식으로는 무선통신을 위한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여전히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발생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나의 케이블 라인(Cable Line)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제어장치는 무전기로부터 송신신호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 별로 연결된 케이블 라인(Cable Line)을 통해 상기 송신신호를 전송하는 메인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 중 특정서브관리부로부터 상기 송신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변환되어 입력되면, 상기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재변환하여 해당 케이블 라인에 연결된 나머지 서브관리부로 전달하는 중계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관리부는 서로 간에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실행부는, 상기 메인관리부와 각 서브관리부를 연결하는 상기 해당 케이블 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실행부 중 상기 특정서브관리부에 제1 중계실행부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중계실행부는, 상기 특정서브관리부로부터 상기 수신신호의 제1 주파수가 제2 주파수로 변환되어 입력되면, 상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제1 경로를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신호를 재변환하여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제2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경로에 연결되는 제1 나머지 중계실행부로 상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나머지 중계실행부는, 상기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고, 상기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해당 케이블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경로에 연결되는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로 상기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는, 상기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해당 케이블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중계실행부는, 상기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해당 케이블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특정서브관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실행부는, 상기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재변환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하는 참조신호제어부; 상기 수신신호의 제1 주파수가 제2 주파수로 변환되어 입력되면,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는 변환처리부; 및 상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상기 나머지 서브관리부로 전달하는 전송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제어장치의 동작방법은, 무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송신신호를 전송하는 메인관리부가 상기 무전기로 전송되어야 하는 상기 송신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와 각각 케이블 라인(Cable Line)을 통해 연결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로부터 상기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변환되어 입력되면, 상기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재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상기 해당 케이블 라인에 연결된 나머지 서브관리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전기로부터 상기 송신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케이블 라인에 연결된 해당 서브관리부로 상기 송신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재변환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신호의 제1 주파수가 제2 주파수로 변환되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케이블 라인(Cable Line)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설치비용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서비스영역(예: 지상, 지하)으로 신호가 전달되기 이전 단계에서 다수의 구성에 의해 신호전송이 분산되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제어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경로를 통해 수신신호를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경로를 통해 수신신호를 전송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제어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제어장치(100)는, 무선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무전기(200, 3001-3006)가 위치하게 되는 건물에 설치된다.
이러한 무선통신제어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전기(200, 3001-3006) 간에 무선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장치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즉 하나의 케이블 라인(Cable Line, 이하 CL)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로 다른 층(3F-B3F)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전기(200, 3001-3006) 간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를 감소시켜 층간 무선통신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서비스(이하, 무선통신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통신제어장치(100)는, 건물 내에서 무선통신 서비스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영역(예: 중앙방재실)(R1), 다수의 서비스영역(예: 지상, 지하)(R2) 및 층간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감소되도록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영역(R3)에 주요 구성이 분산되어 연동 수행되는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제어장치(100)는, 메인관리부(110), 서브관리부그룹(120) 및 중계관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브관리부그룹(120)에 6개의 서브관리부(1201-1206) 및 중계관리부(130)에 6개의 중계실행부(1301-1306)가 포함되며, 메인관리부(110), 서브관리부(1201-1206) 및 중계실행부(1301-1306)는 각각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메인관리부(110)는, 제어영역(R1)에 설치되며, 무전기(200)가 서비스영역(R2)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전기(3001-3006)와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무선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브관리부그룹(120) 및 중계관리부(130)과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때, 메인관리부(110)와 서브관리부그룹(120)을 연결하는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 상에는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감소되도록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관리부(130)가 함께 연결되게 된다.
서브관리부그룹(120)은, 서비스영역(R2)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층(3F-B3F)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1201-1206)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관리부그룹(120)은, 서로 다른 층(3F-B3F)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전기(3001-3006)가 무전기(200)와 무선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메인관리부(110)와 연결된다.
또한, 서브관리부그룹(120)은, 서로 다른 층(3F-B3F)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전기(3001-3006) 간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위해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중계관리부(130)와도 연결되게 된다.
중계관리부(130)는, 중계영역(R3)에 설치되며, 서로 간에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실행부(1301-1306)를 포함한다.
즉, 중계실행부(1301-1306)는, 각각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메인관리부(110) 및 해당 서브관리부(1201-1206)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층(3F-B3F)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전기(3001-3006) 간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감소되도록 신호를 중계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제어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제어장치(100)는, 무전기(200)로부터 송신신호가 입력되면, 서브관리부그룹(1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1201-1206) 별로 연결된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송신신호를 전송하는 메인관리부(110),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1201-1206) 중 특정서브관리부로부터 송신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변환되어 입력되면,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재변환하여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에 연결된 나머지 서브관리부로 전달하는 중계관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것이라 함은, 송신신호의 제1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1201-1206)으로 입력되었을 때, 메인관리부(110)와 각 서브관리부(1201-1206)를 연결하는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즉 하나의 케이블 라인을 통해 송신신호와 수신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수신신호의 제1 주파수를 제2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재변환하는 것이라 함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1201-1206)로부터 수신신호의 제1 주파수가 제2 주파수로 변환되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중계관리부(130)로 입력되는 경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초기 입력될 때와 같이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제1 주파수가 되도록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메인관리부(110), 서브관리부그룹(120) 및 중계관리부(130)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제어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제어장치(100)는, 하나의 케이블 라인(Cable Line)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무선통신제어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관리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1201-1206) 및 중계실행부(1301-1306)와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관리부(110)는, 안테나(TX)를 통해 무전기(200)로부터 송신신호가 입력되면, 입출력단(111)과 연결되는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송신신호를 서로 다른 층(3F-B3F)에 위치하는 해당 서브관리부(1201-1206)로 전송한다.
이에, 각 무전기(3001-3006)는, 해당 서브관리부(1201-1206)의 안테나(TX)로부터 방사되는 제1 주파수의 송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관리부(110)는, 해당 서브관리부(1201-1206)의 안테나(RX)를 통해 무전기(3001-3006)로부터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주파수 변환이 완료되면,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주파수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즉,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송신신호와 수신신호가 하나의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서브관리부(1201-1206)에 의해 제1 주파수에서 제2 주파수로 변환되게 되므로, 메인관리부(110)는, 해당 케이블 라인(CL1-CL6)을 통해서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이후, 메인관리부(110)는, 수신신호가 안테나(RX)를 통해 방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재변환하여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제1 주파수가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무전기(200)는, 메인관리부(110)의 안테나(RX)로부터 방사되는 제1 주파수의 수신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메인관리부(110)는, 상기 구성 이외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구성(예: 증폭기, 스위치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요 구성만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중계관리부(130)는, 서로 간에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실행부(1301-1306)를 제어하여 서로 다른 층(3F-B3F)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전기(3001-3006) 사이에서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중계한다.
이하에서는 중계관리부(130)에 포함되는 중계실행부(1301-1306)의 기능 및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중계실행부(1303)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실행부(1303)는, 참조신호제어부(131), 변환처리부(132) 및 전송제어부(133)를 포함한다.
참조신호제어부(131)는,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재변환하기 위한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참조신호제어부(131)는, 레벨조절부(1311), RCV PLL(1312) 및 PLL(1313)을 포함한다.
레벨조절부(1311)는, 신호레벨을 제어하는 것과 관련되는 레벨제어구성(예: PIN, DET 및 커플러(Coupler)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레벨제어구성을 이용하여 RCV PLL(1312)로 적합한 입력 범위의 신호를 제공한다.
RCV PLL(1312)은, 레벨조절부(1311)로부터 레퍼런스 신호(예: 50MHz)가 수신되면 PLL(1313)에서 필요로 하는 레퍼런스 신호(예: 10MHz)를 추출한 다음 PLL(1313)로 전송한다.
이에, PLL(1313)로 레퍼런스 신호(예: 10MHz)가 직접적으로 인가되는 경우 설치환경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페이즈노이즈(Phase noise) 열화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PLL(1313)은, RCV PLL(1312)로부터 레퍼런스 신호(예: 10MHz)가 수신되면, 레퍼런스 신호를 분주하여 주파수 변환을 위한 제1 분주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1 분주신호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제2 주파수보다 큰 제1 주파수로 변환하기에 적합한 신호크기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변환처리부(132)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참조신호제어부(131)와 연동하여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한다.
이를 위해, 변환처리부(132)는, 제1 다이플렉서(1321), 제1 믹서(1322), 제2 믹서(1323) 및 제2 다이플렉서(132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환처리부(132)는, 상기 구성 이외에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구성(예: 증폭기, 스위치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요 구성만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제1 다이플렉서(1321)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주파수 변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 다이플렉서(1321)는, 전송제어부(133)를 통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제2 주파수를 저주파로 분리한 다음 통과시켜 제1 믹서(1322)로 전달한다.
제1 믹서(1322)는, 참조신호제어부(131)와 연동하여 제1 분주신호를 기반으로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변환한다. 이후, 제1 믹서(1322)는,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제2 다이플렉서(1324)로 전달한다.
제2 다이플렉서(1324)는,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제1 주파수를 고주파로 분리한 다음 통과시켜 전송제어부(133)를 통해 전달하게 된다.
다음, 제2 다이플렉서(1324)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주파수 변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2 다이플렉서(1324)는, 전송제어부(133)를 통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제2 주파수를 저주파로 분리한 다음 통과시켜 제2 믹서(1323)로 전달한다.
제2 믹서(1323)는, 참조신호제어부(131)와 연동하여 제1 분주신호를 기반으로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한다. 이후, 제2 믹서(1323)는,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제1 다이플렉서(1321)로 전달한다.
제1 다이플렉서(1321)는,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제1 주파수를 고주파로 분리한 다음 통과시켜 전송제어부(133)를 통해 전달하게 된다.
전송제어부(133)는, 중계실행부(1303)로 입력되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 또는 중계실행부(1303)에서 생성되는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다른 중계실행부(1301, 1302, 1304, 1305, 1306)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전송제어부(133)는, 제1 분배기(1331), 제2 분배기(1332), 제3 분배기(1333), 제1 커플러(1334), 제2 커플러(1335) 및 제3 커플러(1336)를 포함한다.
먼저,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구성(1331, 1332)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 분배기(1331)는, 케이블 라인(CL3)을 통해 서브관리부(1203)의 안테나(RX)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제2 분배기(1332)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는 동시에, 해당 케이블 라인(CL3)에 연결되는 제1 커플러(1334) 및 제2 커플러(1335)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게 된다.
제2 분배기(1332)는, 제1 분배기(1331)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아래층(B1F)에 위치하는 중계실행부(1304)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제2 분배기(1332)는, 제3 분배기(1333)를 통해 윗층(2F)에 위치하는 중계실행부(1302)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아래층(B1F)에 위치하는 중계실행부(1304)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재변환되어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1333-1336)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3 분배기(1333)는, 윗층(2F)에 위치하는 중계실행부(1302)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제3 커플러(1336)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는 동시에, 제2 분배기(1332)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게 된다.
제3 커플러(1336)는, 제3 분배기(1333)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전술에서 언급한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는 과정이 변환처리부(132)에서 수행되도록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변환처리부(132)로 전달한다.
제1 커플러(1334)는, 제1 분배기(1331)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전술에서 언급한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는 과정이 변환처리부(132)에서 수행되도록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변환처리부(132)로 전달한다.
제2 커플러(1335)는, 제1 분배기(1331)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전술에서 언급한 레퍼런스 신호(예: 10MHz)가 결정되어 주파수 변환을 위한 제1 분주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참조신호제어부(131)로 전달한다.
결국, 전술한 중계실행부(1303)에 포함되는 참조신호제어부(131), 변환처리부(132) 및 전송제어부(133)의 구성에 의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제1 경로를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신호를 재변환하여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제2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1201-1206) 중 서브관리부(1203)가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하는 특정서브관리부(1203)이며, 특정서브관리부(1203)와 연결되는 중계실행부(1303)의 구성에 의해 제1 경로 및 제2 경로가 형성되어 수신신호가 전송될 때의 전반적인 주요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을 참고하여 중계실행부(1303)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경로를 통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특정서브관리부(1203)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중계실행부(1303)는, 전송제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제1 분배기(1331)를 통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제2 분배기(1332)로 분배하는 동시에, 해당 케이블 라인(CL3)에 연결되는 제1 커플러(1334) 및 제2 커플러(1335)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경로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제2 분배기(1332)로 분배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에, 제1 분배기(1331)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중계실행부(1303)는, 제2 분배기(1332)와 연결되는 제1 나머지 중계실행부(1304, 1305, 1306)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경로(P1)를 통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한다.
즉, 제1 경로(P1) 상에서 제1 나머지 중계실행부(1304, 1305, 1306)가 연결된 순서대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순차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순차적으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중계실행부(1304, 1305, 1306)는,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해당 케이블 라인(CL4-CL6)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4-1206)로 전달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실행부(1304)는, 중계실행부(1303)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전송제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제1 경로(P1) 상에서 다음으로 연결되는 중계실행부(1305)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는 동시에,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변환처리부(132)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중계실행부(1304)는, 변환처리부(132)의 동작에 따라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여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생성하고, 전송제어부(133)를 통해 해당 케이블 라인(CL4)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4)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처럼 서브관리부(1204)의 안테나(TX)를 통해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무전기(3004)로 원활하게 전송됨에 따라 다른 층에 위치하는 무전기(3003)와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 경로(P1) 상에서 중계실행부(1304) 다음으로 연결되는 중계실행부(1305, 1306) 역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는 동시에,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해당 케이블 라인(CL5, CL6)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5, 1206)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중계실행부(1303)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경로를 통해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특정서브관리부(1203)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중계실행부(1303)는, 전송제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제1 분배기(1331)를 통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제2 분배기(1332)로 분배하는 동시에, 해당 케이블 라인(CL3)에 연결되는 전송제어부(133)의 제1 커플러(1334) 및 제2 커플러(1335)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경로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해당 케이블 라인(CL3)에 연결되는 전송제어부(133)로 분배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처럼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제1 커플러(1334)로 입력되면, 중계실행부(1303)는, 변환처리부(132)의 동작에 따라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재변환한 다음 제3 분배기(1333)에 연결되는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1301, 130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경로(P2)를 통해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한다.
즉, 중계실행부(1303)에서 주파수를 재변환 과정을 수행하여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생성한 다음 제2 경로(P2) 상에서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1301, 1302)가 연결된 순서대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순차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1301, 1302)로 전달되는 수신신호는 주파수 재변환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1301, 1302)는, 제2 경로(P2)를 통해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수신되어 분배되면 해당 케이블 라인(CL1-CL2)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1-1202)로 전달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실행부(1302)는, 중계실행부(1303)로부터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전송제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제2 경로(P2) 상에서 다음으로 연결되는 중계실행부(1301)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는 동시에, 해당 케이블 라인(CL2)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2)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처럼 서브관리부(1202)의 안테나(TX)를 통해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무전기(3002)로 원활하게 전송됨에 따라 다른 층에 위치하는 무전기(3002)와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경로(P2) 상에서 중계실행부(1302) 다음으로 연결되는 중계실행부(1301) 역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는 동시에, 해당 케이블 라인(CL1)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1)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제어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4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며, 적어도 하나의 서브관리부(1201-1206) 중 특정서브관리부(1203)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어 중계실행부(1303)로 전달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특정서브관리부(1203)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중계실행부(1303)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결정한다(S100-S110).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실행부(1303)는, 전송제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제1 분배기(1331)를 통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제2 분배기(1332)로 분배하는 동시에, 해당 케이블 라인(CL3)에 연결되는 제1 커플러(1334) 및 제2 커플러(1335)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경로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제2 분배기(1332)로 분배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게 되며, 제2 경로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해당 케이블 라인(CL3)에 연결되는 전송제어부(133)로 분배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에, 특정서브관리부(1203)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경로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로를 통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S120-S130).
먼저, 중계실행부(1303)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경로를 통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에, 제1 분배기(1331)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중계실행부(1303)는, 제2 분배기(1332)와 연결되는 제1 나머지 중계실행부(1304, 1305, 1306)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경로(P1)를 통해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한다.
즉, 제1 경로(P1) 상에서 제1 나머지 중계실행부(1304, 1305, 1306)가 연결된 순서대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순차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순차적으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중계실행부(1304, 1305, 1306)는,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해당 케이블 라인(CL4-CL6)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4-1206)로 전달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실행부(1304)는, 중계실행부(1303)로부터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전송제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제1 경로(P1) 상에서 다음으로 연결되는 중계실행부(1305)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는 동시에,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변환처리부(132)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중계실행부(1304)는, 변환처리부(132)의 동작에 따라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여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생성하고, 전송제어부(133)를 통해 해당 케이블 라인(CL4)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4)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처럼 서브관리부(1204)의 안테나(TX)를 통해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무전기(3004)로 원활하게 전송됨에 따라 다른 층에 위치하는 무전기(3003)와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 경로(P1) 상에서 중계실행부(1304) 다음으로 연결되는 중계실행부(1305, 1306) 역시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는 동시에, 수신신호의 제2 주파수를 제1 주파수로 재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해당 케이블 라인(CL5, CL6)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5, 1206)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중계실행부(1303)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경로를 통해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중계실행부(1303)는, 제2 주파수로 변환된 수신신호가 제1 커플러(1334)로입력되면, 변환처리부(132)의 동작에 따라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재변환한 다음 제3 분배기(1333)에 연결되는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1301, 130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경로(P2)를 통해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달한다.
즉, 중계실행부(1303)에서 주파수를 재변환 과정을 수행하여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생성한 다음 제2 경로(P2) 상에서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1301, 1302)가 연결된 순서대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순차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1301, 1302)로 전달되는 수신신호는 주파수 재변환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1301, 1302)는, 제2 경로(P2)를 통해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수신되어 분배되면 해당 케이블 라인(CL1-CL2)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1-1202)로 전달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계실행부(1302)는, 중계실행부(1303)로부터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전송제어부(133)의 동작에 따라 제2 경로(P2) 상에서 다음으로 연결되는 중계실행부(1301)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는 동시에, 해당 케이블 라인(CL2)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2)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처럼 서브관리부(1202)의 안테나(TX)를 통해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가 무전기(3002)로 원활하게 전송됨에 따라 다른 층에 위치하는 무전기(3002)와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경로(P2) 상에서 중계실행부(1302) 다음으로 연결되는 중계실행부(1301) 역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분배하는 동시에, 해당 케이블 라인(CL1)에 연결되어 있는 해당 서브관리부(1201)로 제1 주파수로 재변환된 수신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케이블 라인(Cable Line)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오류(예: 층간불통현상)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무전기 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설치비용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서비스영역(예: 지상, 지하)으로 신호가 전달되기 이전 단계에서 다수의 구성에 의해 신호전송이 분산되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100: 무선통신제어장치
110: 메인관리부 120: 서브관리부그룹
130: 중계관리부
200, 3001-3006: 무전기

Claims (10)

  1. 무전기로부터 제1 주파수를 갖는 송신신호를 전달받는 메인관리부; 및
    상기 메인관리부와 다수의 서브관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각 케이블 라인(Cable Line) 상에 위치하며, 서로 간에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다수의 중계실행부를 포함하는 중계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서브관리부 중 특정서브관리부로부터 상기 송신신호와 동일한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의 주파수가 변환되어 제2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특정서브관리부에 연결된 제1 중계실행부는,
    상기 제2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를 재변환하여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를 생성하는 변환처리부; 및
    상기 제2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를 제1 경로를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를 제2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전송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제1 중계실행부를 제외한 나머지 중계실행부 중 상기 제1 중계실행부의 제1 특정분배기와 연결되는 제1 나머지 중계실행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나머지 중계실행부 중 상기 제1 중계실행부의 제2 특정분배기와 연결되는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머지 중계실행부는,
    상기 제1 경로를 통해 상기 제2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재변환하여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를 상기 제1 나머지 중계실행부 별로 연결된 해당 케이블 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는,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를 상기 제2 나머지 중계실행부 별로 연결된 해당 케이블 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실행부는,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를 자신의 케이블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특정서브관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실행부는,
    상기 제2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가 상기 제1 주파수를 갖는 수신신호로 재변환되도록 주파수의 레벨조절과 관련되는 레퍼런스 신호를 생성하는 참조신호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제어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98351A 2016-08-02 2016-08-02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4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351A KR101743618B1 (ko) 2016-08-02 2016-08-02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351A KR101743618B1 (ko) 2016-08-02 2016-08-02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618B1 true KR101743618B1 (ko) 2017-06-20

Family

ID=5928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351A KR101743618B1 (ko) 2016-08-02 2016-08-02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6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043B1 (ko) * 2010-12-28 2011-11-02 하프트인(주) 소방 시분할 중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KR101515762B1 (ko) * 2014-11-04 2015-04-28 (주)캐스트윈 무전기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043B1 (ko) * 2010-12-28 2011-11-02 하프트인(주) 소방 시분할 중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 중계 방법
KR101515762B1 (ko) * 2014-11-04 2015-04-28 (주)캐스트윈 무전기 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8434B2 (en) Point-to-multipoint digital radio frequency transport
US9485078B2 (en) Point-to-multipoint microwave communication
US9130613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technologies
US8019338B2 (en) Reconfigurable aircraft communications system with integrated avionics communication router and audio management functions
US200900880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up to extreme high frequencies using a mesh network of repeaters
US20100113097A1 (en) Antenna system, in particular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system, and associated transmission and control device
KR101730967B1 (ko) 무선통신 보조시스템
KR101442594B1 (ko) 공조 덕트를 이용한 무선 전송 시스템
KR101515762B1 (ko) 무전기 통신 시스템
KR101743618B1 (ko)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32112B1 (ko)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09088863A (ja) ミリ波送受信システム及び周波数変換装置
KR100695332B1 (ko) 안정적 위성관제 수행을 위한 ttc 이중화 장치
KR102153662B1 (ko) 데이터링크를 이용한 무인비행체의 음성통신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KR101790276B1 (ko)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81129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KR102154658B1 (ko) 가드 밴드가 없는 통신 방식을 위한 통신사별 서비스 대역의 신호 결합 전송 시스템
KR100681524B1 (ko) Tv 공청 안테나선을 이용한 인빌딩 중계기
KR102671341B1 (ko) 중계기 직렬 연결방식에 의한 다채널 무선통신 신호 중계 시스템
WO2021244508A1 (zh) 通信设备及通信系统
JP6642549B2 (ja) 信号選択装置及び通信装置
KR20210007832A (ko) 가드 밴드가 없는 통신 방식을 위한 통신사별 서비스 대역의 신호 결합 전송 시스템
JP3926713B2 (ja) 列車通信システム及び中継処理装置
US20160233973A1 (en) Control unit,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in several frequency ranges
JPH10234087A (ja) 衛星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を確立する方法並びにその方法の実施に適した衛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