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914A -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 Google Patents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914A
KR20040019914A KR1020030058230A KR20030058230A KR20040019914A KR 20040019914 A KR20040019914 A KR 20040019914A KR 1020030058230 A KR1020030058230 A KR 1020030058230A KR 20030058230 A KR20030058230 A KR 20030058230A KR 20040019914 A KR20040019914 A KR 20040019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atch
spring
slider
lo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시오아츠시
가와사키다카시
오카자키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6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954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6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95418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9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6Guiding cards; Checking correct operation of card-conveying mechanisms
    • G06K13/067Checking presence, absence, correct position, or moving status of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 G06K13/085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the locking arrangement comprising a notch in the card and a complementary locking means in the card reading s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메모리카드를 역방향으로 삽입했을 경우나 메모리 카드가 잘못 뽑혀졌을 때의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한다.
메모리카드 커넥터내의 슬라이더(12)에 설치한 캐치 스프링(14)의 선단을 위로 연장하여 다른 부분보다도 폭이 넓게 하고, 톱 커버(16)로부터 수하하는 록 플레이트(16a)는 캐치 스프링(14)의 선단 폭확장부(15a)에만 대치하는 높이로 한다. 메모리카드를 역방향으로 삽입했을 때는, 캐치부(15)가 메모리 카드에 밀려서 외측으로 회전운동하지만, 선단 폭확장부(15a)가 록 플레이트(16a)의 외측으로 퇴피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2)가 슬라이딩하여, 캐치부(15)가 록 플레이트(16a)에 충돌하지 않아, 캐치 스프링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메모리카드가 잘못 잡아 당겨진 경우는, 캐치 스프링(14)이 부착 지지점과 선단 폭확장부(15a)를 지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휘어, 캐치부가 메모리카드의 오목부로부터 벗어나서 메모리카드가 빠진다. 메모리카드를 이탈 불능으로 록킹하는 종래의 메모리카드 커넥터와는 달리, 잘못 뽑아내기 조작에 의해 메모리카드 커넥터가 파손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Insertion/Extraction Mechanism For Memory Card}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揷拔)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메모리카드의 방향을 잘못 삽입한 경우나 메모리 카드가 잘못 뽑힌 경우의 기구부의 파손을 방지한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메모리카드 커넥터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7은 메모리카드 커넥터(1)에 메모리카드(21)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메모리카드 커넥터(1)는, 수지제의 베이스 프레임(2)과 이것에 끼워맞추는 금속제의 톱 커버(3)에 의해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도 8은 베이스 프레임(2)을 도시하고, 4는 슬라이더이며, 베이스 프레임(2)의 후부(도 8에서의 좌측)에, 메모리카드(21)의 단자배열에 맞추어 콘택트 핀(5)이 횡렬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2)의 좌변(도 8에서 하측) 근방에는 슬라이더 가이드(6)가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더 가이드(6)와 톱 커버(3)의 좌측벽(도시 생략)에 의해 슬라이더(4)를 끼워서 가이드 한다. 베이스 프레임(2)의 후부 벽면과 슬라이더(4) 사이에 삽입된 압축 코일 스프링(7)에 의해 슬라이더(4)는 도시된 전진 초기위치에 유지된다. 슬라이더(4)에 부착되어 있는 캐치 스프링(8)은, 선단에 원호형의 캐치부(8a)가 프레스 가공되어 있고, 캐치부(8a)는 메모리카드 커넥터(1)의 내부공간에 돌출해 있다.
도 9 및 도 10는 메모리카드(21)를 도시하며, 삽입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서 전단 좌측각을 경사지게 자른 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좌측의 경사면부(22)의 뒤에 전후방향의 홈(23)이 형성되어 있고, 좌측면에는 반원형의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 커넥터(1)의 슬라이더(4)는 메모리카드(21)의 경사면부(22) 및 홈(23)과 서로 짝을 이루는 형상으로서, 메모리카드 커넥터(1)에 메모리카드(21)를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하면, 메모리카드(21)의 홈(23)에 슬라이더(4)의 암부(4a)가 진입하는 동시에, 캐치 스프링(8)의 캐치부(8a)가 메모리카드(21)의 오목부(24)에 끼워 맞추어지고, 이것과 동시에 메모리카드(21)의 경사면부(22)가 슬라이더(4)의 삼각 플레이트부(4b)에 접하고, 슬라이더(4)는 메모리카드(21)에 밀려서 후퇴한다.
도 11은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메모리카드(21)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메모리카드(21)의 접점이 메모리카드 커넥터(1)의 콘택트 핀(5)에 접촉하고, 캐치 스프링(8)의 캐치부(8a)는 톱 커버(3)에 설치된 록 플레이트(3a)에 의해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메모리카드(21)의 오목부(24)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메모리카드 커넥터(1)에는 슬라이더(4)의 후부측면에 형성한 하트형 홈 캠과, 베이스 프레임(2)에 설치한 록 핀에 의한 공지의 슬라이더 록킹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4)의 전후이동에 따라 록 핀은 하트형 홈 캠을 따라 움직이고, 슬라이더(4)가 록킹 위치로 후퇴하면 록 핀이 하트형 홈 캠의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져서 슬라이더(4)는 록킹 위치에 고정된다. 메모리카드(21)를 뺄 때는, 메모리카드(21)을 안쪽 방향으로 누르면, 록 핀이 하트형 홈 캠의 오목부로부터 벗어나서 슬라이더(4)의 로킹이 해제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더가 전진하여 메모리카드가 배출된다.
이상이 메모리카드(21)을 정확한 방향으로 장착했을 때의 설명이지만, 메모리카드(21)을 역방향으로 삽입했을 경우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21)의 측면에 의해 캐치 스프링(8)이 외측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슬라이더(4)가 후퇴하고, 캐치 스프링(8)의 캐치부(8a)가 톱 커버(3)의 록 플레이트(3a)에 닿아서 슬라이더(4)가 정지한다. 그리고, 메모리카드(21)가 더욱 밀려지면 캐치 스프링(8)이 슬라이더(4)로부터 탈락하거나, 캐치부(8a)가 구부러져 메모리카드(21)와 록 플레이트(3a) 사이에 막히거나 하여 캐치 스프링(8)이 파손되는 일이 있다. 또, 메모리카드(21)가 더욱 밀려지면 메모리카드(21)가 콘택트 핀(5)에 충돌해서 콘택트 핀(5)이 파손되는 일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메모리 카드의 빼기 조작 순서를 인식하고 있지 않은사람이, 메모리카드 커넥터(1)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21)를 빼려고 메모리 카드(21)를 잡아 당기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이 때,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치 스프링(8)의 원호형의 캐치부(8a)는, 그 전후 양단이 외측의 록 플레이트(3a)에 접해 있어 거의 휠 수 없으므로, 캐치부(8a)가 꺾여 굽혀지거나, 캐치 스프링(8)이 탈락하거나, 또는 록킹되어 있는 슬라이더(4)가 억지로 잡아 당겨져서 슬라이더 록킹 기구의 홈 캠이나 록 핀이 파손하는 일이 일어난다.
그래서, 메모리카드를 역방향으로 삽입한 경우나, 메모리 카드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가 잡아 당겨진 경우의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파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생기게 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1형태를 도시하며,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베이스 프레임의 평면도,
도 2는 베이스 프레임을 도시하며, 메모리카드 장착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4는 베이스 프레임을 도시하며, 메모리카드를 역방향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6은 베이스 프레임을 도시하며, 메모리 카드가 뽑혀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메모리카드 커넥터로 메모리카드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종래예를 도시하며,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베이스 프레임의 평면도,
도 9는 메모리카드의 사시도,
도 10은 메모리카드의 바닥면도,
도 11은 종래예를 도시하며, 메모리카드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평면도,
도 12는 종래예를 도시하며, 메모리카드를 역방향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베이스 프레임11a: 리브
12: 슬라이더13: 콘택트 핀
14: 캐치 스프링15: 캐치부
15a; 선단 폭확장부16: 톱 커버
16a: 록 플레이트21: 메모리카드
22: 경사면부23: 홈
24: 오목부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하는 것이며, 메모리카드 커넥터내에 배치한 슬라이더에 판 스프링인 캐치 스프링을 부착하고, 캐치 스프링은 선단부에 볼록형의 캐치부를 구비하고, 메모리카드 삽입시에 캐치부가 메모리카드의 측면의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지고, 메모리카드를 접속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에 캐치부가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설치한 록 플레이트와 메모리카드 사이에 끼워져 메모리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 불능으로 유지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에 있어서,
캐치 스프링의 캐치부의 선단을 상 또는 하로 폭을 넓혀서 L형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록 플레이트를 캐치부의 상기 폭확장부에만 대치하는 높이로 배치함으로써,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메모리카드를 역방향으로 삽입했을 때에, 캐치부의 폭확장부가 록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회전운동되어서 슬라이더가 이동하여, 캐치부와 록 플레이트의 충돌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의 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캐치 스프링이 외측으로 회전운동할 때에 캐치부가 상기 오목부내에 진입하도록 구성한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메모리카드 커넥터내의 콘택트 핀의 주위에 리브를 형성하고,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메모리카드를 역방향으로 삽입했을 때에 리브에 의해 메모리카드의 진입을 저지하고, 콘택트 핀의 파손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메모리카드 커넥터내에 배치한 슬라이더에 판 스프링인 캐치 스프링을 부착하고, 캐치 스프링은 선단부에 볼록형의 캐치부를 구비하여, 메모리 카드 삽입시에 캐치부가 메모리 카드의 측면의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져, 메모리 카드를 접속위치까지 삽입했을 때에 캐치부가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설치한 록 플레이트와 메모리 카드에 끼워져서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 불능으로 유지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장착시에 록 플레이트에 캐치부의 선단이 접하는 캐치 스프링과, 메모리 카드 장착시에 캐치 스프링의 캐치부의 선단에만 접하여, 캐치 스프링의 휘기 동작에 간섭하지 않는 록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에 가해지는 빼기 방향의 힘에 따라서 캐치 스프링이 휘고, 캐치부가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상기 캐치 스프링의 캐치부는 직선적 경사면으로 구성된 대략 V형인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1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상술한다. 도 1은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베이스 프레임(11)을 도시하고, 슬라이더(12)나 콘택트 핀(13)의 배열은,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메모리카드 커넥터(1)와 동일하지만, 캐치 스프링(14) 및 후술하는 톱 커버의 록 플레이트의 형상이 상위하다. 또, 베이스 프레임(11)에 콘택트 핀(13)의 주위를 둘러싸는 리브(11a)를 형성하고, 메모리카드를 역방향으로 삽입한 경우에 메모리카드가 리브(11a)에 닿아서 콘택트 핀(13)의 앞쪽에서 삽입을 저지되도록 하여, 콘택트 핀(13)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도 2는 정확한 방향으로 메모리카드(21)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종래예와 동일하게 메모리카드(21)의 좌측면의 오목부(24)에 캐치 스프링(14)의 캐치부(15)가 끼워 맞추어져서 메모리카드(21)와 함께 슬라이더(12)가 밀어 넣어지고, 메모리카드(21)의 접점과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콘택트 핀(13)이 접촉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과 같이 캐치부(15)의 선단 폭확장부(15a)가 톱 커버(16)에 형성된 록 플레이트(16a)에 접하여 외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캐치부(15)가 메모리카드(21)의 오목부(24)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되는 동시에, 도 2에 도시하는 슬라이더(12)의 측면에 형성된 하트형 홈 캠(17)과 베이스 프레임(11)에 부착한 록 핀(18)에 의한 공지의 슬라이더 록킹 기구에 의해 슬라이더(12)가 록킹 위치에 고정되어서 메모리카드(21)가 장착된다.
도 3은 도 2의 A―A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여기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치 스프링(14)은 캐치부(15)의 선단 폭확장부(15a)만이 한층 높은 L형의 단차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톱 커버(16)로부터 수하해 있는 록 플레이트(16a)는 종래형보다도 짧고, 선단폭확장부(15a)에만 대치하는 높이로 되어 있어, 선단 폭확장부(15a)이외의 부분에는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록 플레이트(16a)와 베이스 프레임(11)의 내부 저면과의 간극의 상하 치수는 캐치 스프링(15)의 선단 폭확장부(15a)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메모리카드를 뒤집어서 삽입했을 경우는, 우선 캐치 스프링(14)의 캐치부(15)가 메모리카드(21)의 측면에 밀려서 외측으로 회전운동하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치부(15)의 선단부분이 슬라이더(12)의 오목부(12a)내에 퇴피한다. 그리고, 슬라이더(12)가 후방에 슬라이딩 할 때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치부(15)의 선단 폭확장부(15a)는 톱 커버(16)의 록 플레이트(16a)에 접촉하지 않고 록 플레이트(16a)의 외측을 진행하여, 도 4와 같이 역방향의 메모리카드(21)는 슬라이더(12)의 암부(12b)가 장해가 되어 삽입 도중에 정지한다. 여기에서, 메모리카드(21)를 뽑으면, 슬라이더(12)는 전진하여 도 1의 초기위치로 되돌아가고, 캐치 스프링(14)도 록 플레이트(16a)의 외측으로 휜 상태로부터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캐치 스프링(14)이 역방향의 메모리카드(21)에 밀려서 외측으로 회전운동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2)가 후퇴한 경우로서, 캐치 스프링(14)의 캐치부(15)는 톱 커버(16)의 록 플레이트(16a)에 충돌하지 않으므로, 메모리카드를 역방향으로 삽입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캐치 스프링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방향의 메모리카드(21)가 슬라이더(12)의 암부(12b)에 닿은 상태로부터, 더욱 강하게 메모리카드(21)가 밀려져서, 메모리카드(21)가 암부(12b)를 변형시키거나 암부(12b)에 좌초되거나 하여 메모리카드(21)가 전진한 경우는, 메모리카드(21)가 콘택트 핀(13)을 둘러싸는 리브(11a)에 닿아서 정지하여, 콘택트 핀(13)이 파손될 우려는 없다.
도 6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장착한 메모리 카드(21)를 뽑는 방향으로 잡아 당겼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록 플레이트(16a)와 베이스 프레임(11)의 내부 바닥면과의 간극의 상하 치수는 캐치 스프링(15)의 선단 폭확장부(15a)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보다도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의 록킹 상태에서 캐치 스프링(14)의 캐치부(15)의 정점에 외측방향으로의 압력이 걸린 경우에, 캐치 스프링(14)은 부착 지지점과 선단 폭확장부(15a)를 지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휘어서 슬라이더(12)의 오목부(12a)내에 퇴피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21)의 측면의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져 있는 캐치 스프링(14)의 캐치부(15)는, 뽑아내기 응력에 의해 외측으로 휘어서, 메모리 카드(21)의 오목부(24)로부터 벗어나고, 메모리 카드(21)가 메모리카드 커넥터로부터 뽑혀진다. 따라서, 종래의 삽발기구와는 달리, 메모리 카드의 뽑아내기에 의해 캐치 스프링이 꺾여 굽혀지거나 탈락하거나, 또는 슬라이더(4)가 억지로 잡아 당겨져서 슬라이더 록킹 기구의 홈 캠(17)이나 록 핀(18)이 파손하는 일이 없어,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 캐치부(15)의 형상은 대략 V형으로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측 경사면(도면에서 좌측)이 수직에 가까운 각도의 종래형과는 달리 직선적인 완만한 경사면이므로, 메모리 카드(21)가 뽑혀질 때에 메모리 카드(21)의 오목부(24)로부터 캐치부(15)가 원활하게 이탈하여, 캐치 스프링(14)에 가해지는 뽑아내기 응력이 경감되어서 내구성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그들 변형된 것에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는, 메모리카드를 역방향으로 삽입했을 때에, 슬라이더에 설치한 캐치 스프링의 캐치부가 록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퇴피한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하므로, 캐치 스프링의 캐치부가 록 플레이트에 충돌하지 않아, 캐치 스프링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슬라이더의 내측의 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캐치 스프링이 외측으로 회전운동할 때에 캐치부가 상기 오목부내에 진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캐치 스프링의 자유 회전운동범위가 확대되어, 캐치 스프링의 변형 방지에 유효하다.
또, 메모리카드 커넥터내의 콘택트 핀의 주위에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역방향으로 삽입한 메모리카드가 콘택트 핀에 충돌하여 콘택트 핀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페일 세이프(fail-safe) 작용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는,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가 잘못 잡아 당겨진 경우에, 캐치 스프링이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벗어나서 메모리 카드의 뽑아내기를 허용하도록 했으므로, 캐치 스프링이나 슬라이더 로킹 기구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캐치부의 형상을 대략 V형으로 함으로써, 메모리 카드가 뽑혀질 때에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캐치부(15)가 원활하게 이탈하여, 캐치 스프링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Claims (5)

  1. 메모리카드 커넥터내에 배치한 슬라이더에 판 스프링인 캐치 스프링을 부착하고, 캐치 스프링은 선단부에 볼록형의 캐치부를 구비하고, 메모리카드 삽입시에 상기 캐치부가 메모리카드의 측면의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지고, 메모리카드를 접속 위치까지 삽입했을 때에 상기 캐치부가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설치한 록 플레이트와 메모리카드에 끼워져서 메모리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 불능으로 유지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에 있어서,
    상기 캐치 스프링의 캐치부의 선단을 상 또는 하로 폭을 넓혀서 L형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록 플레이트를 상기 캐치부의 상기 폭확장부에만 대치하는 높이로 배치함으로써,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메모리카드를 역방향으로 삽입했을 때에, 상기 캐치부의 폭확장부가 록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슬라이더가 이동하여, 캐치부와 록 플레이트의 충돌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의 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캐치 스프링이 외측으로 회동할 때에 캐치부가 상기 오목부내에 진입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3. 메모리카드 커넥터내의 콘택트 핀의 주위에 리브를 형성하고,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메모리카드를 역방향으로 삽입했을 때에 리브에 의해 메모리카드의 진입을 저지하여, 콘택트 핀의 파손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4. 메모리카드 커넥터내에 배치한 슬라이더에 판 스프링인 캐치 스프링을 부착하고, 캐치 스프링은 선단부에 볼록형의 캐치부를 구비하고, 메모리 카드 삽입시에 상기 캐치부가 메모리 카드의 측면의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지고, 메모리 카드를 접속위치까지 삽입했을 때에 상기 캐치부가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설치한 록 플레이트와 메모리 카드에 끼워져서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 불능으로 유지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 장착시에 록 플레이트에 캐치부의 선단이 접하는 캐치 스프링과, 메모리 카드 장착시에 캐치 스프링의 캐치부의 선단에만 접하여, 캐치 스프링의 휘기 동작에 간섭하지 않는 록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에 가해지는 뽑기 방향의 힘에 따라서 캐치 스프링이 휘어, 캐치부가 메모리 카드의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스프링의 캐치부는, 직선적 경사면으로 구성된 대략 V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KR1020030058230A 2002-08-30 2003-08-22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KR20040019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6197 2002-08-30
JP2002256196A JP2004095417A (ja) 2002-08-30 2002-08-30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の挿抜機構
JPJP-P-2002-00256196 2002-08-30
JP2002256197A JP2004095418A (ja) 2002-08-30 2002-08-30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の挿抜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914A true KR20040019914A (ko) 2004-03-06

Family

ID=3149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230A KR20040019914A (ko) 2002-08-30 2003-08-22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394731B1 (ko)
KR (1) KR20040019914A (ko)
DE (1) DE6032619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1155B2 (ja) * 2004-01-26 2009-12-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8360B2 (ja) * 1999-12-27 2009-08-19 ユニオンマシナリ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365989B2 (ja) * 2000-05-16 2009-11-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
JP3713428B2 (ja) * 2000-09-27 2005-1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3429266B2 (ja) * 2000-10-19 2003-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3821648B2 (ja) * 2001-01-15 2006-09-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4731A2 (en) 2004-03-03
DE60326193D1 (de) 2009-04-02
EP1394731A3 (en) 2006-05-17
EP1394731B1 (en)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5260B1 (en) Card connector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a card to mounting position
JP3974259B2 (ja) 集積回路を備えたカードを接続するためのコネクタ、およびこのタイプのコネクタを備えた装置
CN100472892C (zh) 存储卡连接器
JP4331703B2 (ja) ハートカムを用いたイジェクト機構付きのカード用コネクタ
CN100573562C (zh) 存储卡连接器
TWI287748B (en) Memory card connector
US8235738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n improved retainer
JP4532420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30096521A1 (en) Card connector
US7377797B2 (en) Card-in/out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4365989B2 (ja)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035429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US792711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JP430741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50272290A1 (en) Card connector
US6790061B1 (en) Two-stage ejection mechanism of card connector
US6908322B1 (en) Smart card connector carriage
KR20040019914A (ko)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삽발기구
JP441730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7048606A5 (ko)
JP2009135032A (ja) コネクタ
JP3965282B2 (ja) ロック装置付きカードコネクタ
JP3650881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4095418A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の挿抜機構
JP3823903B2 (ja)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の挿抜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