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402A -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402A
KR20040019402A KR10-2004-7002063A KR20047002063A KR20040019402A KR 20040019402 A KR20040019402 A KR 20040019402A KR 20047002063 A KR20047002063 A KR 20047002063A KR 20040019402 A KR20040019402 A KR 20040019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ata
load
determining
infra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4040B1 (ko
Inventor
해리스존엠.
에릭슨폴엠.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1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0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err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제 1 시간 기간 동안, 제 1 링크(132)를 거쳐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로 제 1 이동국(MS)(102)으로부터 인프라구조(124)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로 제 2 링크(134)를 거쳐 인프라구조로부터 제 2 MS(104)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 1 파워 레벨 각각은 오수신된 데이터의 재전송들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하도록 설계된다.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시, 데이터는 제 1 및 제 2 링크들을 거쳐 감소된 파워 레벨들로 전송되며, 오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에러율 목표들은 제 1 시간 기간의 경과 이후 조절될 수 있으며, 파워 레벨들 및 에러율 목표들은 각 링크의 RF 부하 및/또는 각 링크를 위해 결정된 에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링크 단위 기반으로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들은 잘 알려져 있으며, 지상 이동 라디오, 셀룰러 무선 전화 및 개인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유형들로 구성된다. 각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송신 통신 디바이스와 수신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 자원을 통해 전송되며, 이 통신 자원은 물리적 자원, 일반적으로는, 주파수 대역폭 상에서 동작하는 통신 채널을 포함한다.
전형적인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는 데이터 패킷들 또는 데이터 프레임들로 전송된다. 송신 통신 디바이스에서, 긴 데이터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데이터 블록들로 세분된다. 그후, 각 데이터 블록이 헤더로 랩핑되어(wrapped) 데이터 패킷을 형성한다. 각 데이터 패킷을 위한 헤더내에는 데이터 스트림내의 데이터 블록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가포함된다. 시퀀스 번호들은 수신 통신 디바이스가 다수의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터 패킷들을 소정 순서로 수신하고 원본 데이터 스트림을 재조합할 수 있게 한다.
수신 통신 디바이스는 재배열(resequencing) 또는 지터(jitter) 버퍼에 수신된 데이터 블록들을 저장하며, 여기서, 데이터 블록들은 그 적절한 순서로 재정렬되고 저장된다. 지터 버퍼는 사전결정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득 찼을 때,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즉, 청취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한다.
전형적인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오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은 수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NAK 메시지의 전송에 의해 확인 응답된다. NAK 메시지는 오수신 데이터 패킷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전송된 데이터 패킷들은 송신 통신 디바이스의 메모리내에 저장되어 있다. 송신 통신 디바이스가 NAK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송신 통신 디바이스는 식별된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한다.
지터 버퍼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오수신된 데이터의 재전송으로부터 초래하는 음성의 갭들을 피할 수 있다. 예로서, 송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통신 디바이스로 전달된 데이터 스트림은 오디오 메시지 "주문 금지"일 수 있다. 단어 "금지"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들이 오수신되는 경우에, 이들 패킷들내의 데이터는 재전송이 없이는 청취자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수신된 메시지는 단어 "금지" 대신에 갭이 나타나는 상태로 "주문 "으로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지터 버퍼들은 오수신 패킷의 재전송 동안의 오수신된 데이터 패킷 이후 수신된 모든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재전송된 패킷이 수신되었을 때, 패킷은 저장된 데이터 사이의 그 적절한 위치로 삽입되고, 데이터가 청취자에게 플레이 아웃(play out)된다. 지터 버퍼는 일반적으로 지터 버퍼가 오수신된 데이터가 통지되고, 재전송되고,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내에 적절히 삽입될 때까지 오수신된 데이터에 후속하여 수신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비록 지터 버퍼의 사용이 오수신된 데이터의 재전송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지만, 지터 버퍼의 사용은 또한 급송 메시지의 구성에 지연을 생성한다. 오수신된 패킷들의 확인 응답 및 재전송으로 인한 음성통신의 일부 지점에서 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신 통신 디바이스는 초기에 지터 버퍼가 가득찰 때까지 청취자에게 음성 통신을 전달하지 않는다. 대화의 시작시 시스템 지연을 부여함으로써, 추후 에러 패킷이 수신되고 후속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저장되어야만 할 때의 후속 음성 갭을 생성하지 않고, 오수신된 데이터가 재전송되어 이미 수신된 데이터내에 삽입될 수 있다.
단일 확인 응답 및 재전송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지터 버퍼 관련 지연은 200ms 이상일 수 있다. 이 지연은 예컨대 디바이스의 키패드상의 푸시-투-토크(PTT; push-to-talk) 버튼을 누름으로써,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 즉, 화자가 호를 개시하는 순간과 화자에 의해 입력된 오디오 메시지가 수신 통신 디바이스에서 청취자에게 전달되는 순간까지 사이의 다른 호 구성 지연들에 부가된다. 유사하게, 수신 통신 디바이스의 지터 버퍼의 충전(filling)으로부터 초래하는 지터 버퍼 지연은 급송 통신에서 화자가 변할 때마다 발생한다.
호 구성시의 지연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송신 통신 디바이스내로 말해진 오디오 메시지가 수신 통신 디바이스의 청취자에게 전달되는데 소요하는 시간의 소정의 지연이기 때문이다. 급송 호 구성시 지터 버퍼 지연을 부과하는 것에 대한 한가지 대안은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파워 레벨(power level)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패킷 데이터 또는 프레임 에러율(FER)과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파워 레벨 사이에 역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보다 높은 파워 레벨들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것은 전파 환경에서의 방해 요인들이 전송과 간섭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훼손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파워 레벨이 충분히 큰 경우에, FER은 허용가능한 FER을 달성하기 위해, 오수신된 데이터의 재전송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레벨까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증가된 파워 레벨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함으로써, 전송이 동일 또는 인접 주파수 대역폭들을 사용하는 다른 통신들과 간섭할 가능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동일 또는 인접 주파수 대역폭들을 사용하는 다른 통신들에 대해 생성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지터 버퍼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인프라구조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LP 프레임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시 통신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의 로직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시 통신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의 로직 블록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시 통신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의 도 6a의 로직 흐름도에 연속하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시 통신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의 로직 흐름도.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시 통신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의 도 7a의 로직 흐름도에 연속하는 도면.
동일 또는 인접 주파수 대역폭들을 사용하는 다른 통신들에 대해 생성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지터 버퍼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제 1 시간 기간 동안, 제 1 링크를 거쳐,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로 제 1 이동국(MS)으로부터 인프라구조로, 그리고, 제 2 링크를 거쳐,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로 인프라구조로부터 제 2 MS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 1 파워 레벨들 각각은 오수신된 데이터의 재전송들에 대한 필요성이 회피되도록 설계된다.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시, 데이터는 제 1 및 제 2 링크들을 거쳐 감소된 파워 레벨들로 전송되며, 이 전송들은 오수신된 데이터의 재전송을 포함한다.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된 에러 목표들도 제 1 시간 기간의 경과 이후 조절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파워레벨들 및 에러율 목표들(error rate targets)은 각 링크의 RF 로딩에 기초하여 및/또는 각 링크를 위해 결정된 에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링크 단위 기반(link-by-link basis)으로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시간 기간 동안 데이터의 제 1 세트를 제 1 파워 레벨로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파워레벨은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일부의 재전송을 이용하지 않고, 허용가능한 에러율로 데이터의 제 1 세트가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시 제 2 파워 레벨로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 2 파워 레벨은 제 1 파워 레벨 보다 작으며, 데이터의 제 2 세트의 일부가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오수신될 때, 오수신된 부분을 재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역방향 링크를 통해 제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인프라구조, 및 순방향 링크를 통해 인프라구조와 통신하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역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주파수(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순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2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제 1 및 제 2 RF 부하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순방향 링크를 위한 허용가능한 에러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RF 링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역방향 링크를 위한 허용가능한 에러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제 1 역방향 링크 및 제 1 순방향 링크를 통해 제 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인프라구조, 및 제 2 역방향 링크 및 제 2 순방향 링크를 통해 인프라구조와 통신하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 1 역방향 링크에 대응하는 제 1 에러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순방향 링크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에러 메트릭 및 제 2 에러 메트릭에 기초하여 제 1 역방향 링크 및 제 2 순방향 링크 중 하나 이상의 허용가능한 프레임 에러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7B를 참조로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통신 시스템(100)은 셀룰러 전화들 또는 무선전화들과 같은 다수의 이동국들(MS들)(102, 104)(2개가 도시됨)을 포함한다. 각 MS(102, 104)는 각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RAN)(106, 108)의 각 기지국(108, 122)에 의해 서빙된다. 각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송수신기 스테이션(BTS)(미도시)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08, 122)은 기지국의 관할 영역내의 이동국들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즉, 기지국(108)은 MS(102)에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기지국(122)은 MS(104)에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각 RAN(106, 118)은 각 기지국(108, 122)과 통신하는 각 중앙 스테이션 콘트롤러(CBSC)(110, 118)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 RAN(106, 118)은 각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112, 116)와 통신하며, 이 PDSN들은 또한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114)와 통신한다. RAN들(106 및 118), PDSN들(112, 116) 및 데이터 네트워크(114)는 함께 여기서, 총체적으로 고정 인프라구조(124)라 지칭된다.
각 RAN(106, 118)은 RAN의 관할 영역내의 이동국들에게 무선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며, 실질적으로 소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이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현재까지 여기에 채용되어온, TIA/EIA(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IS-2000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통신 시스템인 것이 적합하며, 이는 IS-2000 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호환성 표준을 제공하고, RAN들(106 및 118)은 각각 IS-2000 억세스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통신 시스템(100)이 시간 분할 다중 접속(TDMA),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과 같은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들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기지국(108)은 순방향 링크(130) 및 역방향 링크(132)를 통해 MS(102)와 무선 통신한다. 유사하게, 기지국(122)은 순방향 링크(134) 및 역방향 링크(136)를통해 MS(104)와 무선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들(130, 134) 및 역방향 링크들(132, 136) 각각은 다수의 통신 채널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각 링크의 다수의 통신 채널들은 파일롯 채널, 다수의 페이징 채널들 및 다수의 트래픽 채널들을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통신 채널이 전송된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직교 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통신 시스템인 것이 적합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시스템(100)은 통신 채널이 시간 슬롯을 포함하는 시간 분할 다중 접속(TDMA) 또는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 통신 시스템이나, 통신 채널이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인프라구조(124)의 기능 블록도이다. 인프라구조(124)는 수신기 유니트(202) 및 송신기 유니트(204)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신호 처리 유니트(206)와 통신한다. 신호 처리 유니트(206)의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유니트(206)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코더/디코더(코덱)(208)를 포함하며, 이는 수신기 유니트(20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송신기(204)를 경유한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신호 처리 유니트(206)는 RLP 버퍼(210), 바람직하게는 재배열 또는 지터 버퍼와, 입력 버퍼(212)를 추가로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각 RLP 버퍼(210) 및 입력 버퍼(212)가 신호 처리 유니트(206)와 연계된 메모리 유니트(214)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S(102) 및 MS(104)와 같은 이동국(300)의 블록도이다. 이동국(300)은 수신기(302) 및 송신기(304)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와 같은 신호 처리 유니트(306)와 통신한다. 신호 처리 유니트(306)는 보코더(328)와 같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 및 연계된 메모리나 신호 처리 유니트내에 저장되고 이동국(300)의 기능수행을 허용하는 프로그램들을 실행한다. 신호 처리 유니트(306) 또는 대안적으로는 신호 처리 유니트에 연계된 메모리는 송신기(304)를 통해 순차 전송을 위한 RLP 프레임들을 저장하는 RLP 입력 버퍼(322), 수신기(302)를 통해 수신된 RLP 프레임들을 저장하는 RLP 재배열 또는 지터 버퍼(324), 및 RLP 지터 버퍼(324)내에 저장된 RLP 프레임들로부터 유도된 보코더 프레임들을 저장하는 플레이 아웃 버퍼(326; play-out buffer)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동국(300)은 신호 처리 유니트(306)와 통신하는 아날로그-대-디지털 변환기(A/D)(308) 및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기(D/A)(310)와, A/D(308) 및 D/A(310) 각각과 통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2)를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12)는 이동국(300)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이동국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이동국에 의해 출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MS(102)와 같은 이동국의 사용자가 MS(104)와 같은 목표 이동국과 급송 통신을 개시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2)에 포함된 푸시-투-토크(PTT) 키를 누른다. PTT 키의 누름은 MS(102)가 역방향 링크(132)내의 채널, 바람직하게는 억세스 채널(ACH)을 거쳐 급송 요청을 전송하게 한다. 급송 요청은 MS(102)와 고유하게 연계된 식별자를 포함한다.
급송 요청 수신시, 인프라구조(124), 바람직하게는 RAN(106)은 역방향 링크(132) 및 순방향 링크(130)내의 트래픽 채널의 사용을 MS(102)에 할당한다. 그후, 트래픽 채널들 또는 화자 무선 주파수(RF) 링크들이 널리 알려진 채널 할당 및 호 구성 기술들에 의해 MS(102)와 인프라구조(124) 사이에서 역방향 링크(132)(즉, 화자 역방향 RF 링크) 및 순방향 링크(130)(즉, 화자 순방향 RF 링크) 각각에 구성된다. 화자 RF 링크들이 구성되고, 인프라구조(124)가 MS(104)의 가용성을 확인하는 MS(104)로부터의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이후, RAN(106)은 MS가 비프음과 같은 대화 허용 톤(TPT)을 플레이한 것을 나타내는 화자 역방향 RF 링크상의 MS(102)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여 MS(102)의 사용자에게 그 또는 그녀가 MS(102)로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린다. 이 메시지는 CDMA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후, MS(102)는 TPT를 플레이한다.
부가적으로, MS(102)로부터의 급송 요청 수신시, 인프라구조(124)는 RAN(118)을 통해 순방향 링크(134)내의 페이징 채널을 거쳐 페이징 메시지를 MS(104)에 보낸다. 페이징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MS(104)와 RAN(118)은 트래픽 채널들 또는 청취자 RF 링크들을 순방향 링크(134)(청취자 순방향 RF 링크) 및 역방향 링크(136)(청취자 역방향 RF 링크) 각각에서 구성하기 위해 CDMA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교환으로 결합한다. 청취자 RF 링크들은 공중(over-the-air) 링크를 제공하고, 이에 의해 RAN(118)은 RLP 프레임들을 MS(104)에 전송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132)내에 화자 역방향 RF 링크를, 그리고, 순방향 링크(134)내에 청취자 순방향RF 링크를 구축함으로써, 전체 순방향 링크가 MS(102)와 MS(104) 사이에 형성되며, 이는 두 개의 RF 레그(leg)들 또는 링크들, 즉, 화자 역방향 RF 링크 및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를 포함한다.
화자 RF 링크들을 구성하는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MS(104)로의 페이징 메시지들의 전송 이전에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화자 RF 링크들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청취자 RF 링크들의 구성의 완료 이전에 완료된다. 종래 기술에서, MS(102)의 사용자, 즉, 화자는 청취자 RF 링크들이 완성될 때까지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화자 RF 링크들의 완성과 청취자 RF 링크들의 완성 사이에 경과하는 시간의 양은 400ms 이상일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MS가 음성을 플레이하기 이전에 MS(104)내의 RLP 지터 버퍼(326)를 채우는데는 500ms 이상을 소요할 수 있다.
TPT가 플레이될 때, MS(102)의 사용자는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S(102)는 MS(102)가 현저한 음성 활성도를 검출할 때까지 어떠한 보코딩된 프레임들도 생성하지 않거나, 어떠한 RLP 프레임들도 전송하지 않아, RF 대역폭을 절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MS(102)는 TPT의 만료시 보코딩된 프레임들을 생성하기 시작한다. 후자의 실시예에서, MS(102) 및 특히, 보코더(328)는 화자가 대화를 시작할 때까지 묵음 보코딩된 프레임들을 생성한다.
MS(102)의 사용자가 MS로 대화를 시작할 때, 오디오 정보는 A/D(308)에 의해 디지털화되어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한다. MS(102)는 디지털 데이터를 MS(102)의 신호 처리 유니트(306)로 라우팅하고, 이는 디지털 데이터를 보코더(328)에 라우팅한다. 보코더(328)는 다양한 널리 알려진 음성 압축 알고리즘들 중 하나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를 압축하여 다중 보코딩된 프레임들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각 보코딩된 프레임은 매 45ms마다 보코딩된 프레임이 생성되면서 길이가 99 비트이거나 매 30ms 마다 보코딩된 프레임이 생성되면서 길이가 128 비트이다. 각 보코딩된 프레임은 그후 RLP 입력 버퍼(322)로 보내지고, 여기서, 프레임은 보코더(328)에 의해 출력된 다른 보코딩된 프레임들과 조합되고, RLP 헤더로 랩핑되어 RLP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MS(102)는 그후 RLP 프레임을 코덱(320), 송신기(304) 및 화자 역방향 RF 링크를 통해 RAN(106)으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LP 프레임(400)의 블록도이다. RLP 프레임(40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코더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페이로드(414)를 포함하고, 데이터 필드들(402-412)을 포함하는 헤더를 추가로 포함한다. 네트워크 용량 데이터 필드(402)는 네트워크가 동작하는 용량의 지표를 제공한다. 이 데이터 필드는 네트워크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위에서 또는 아래에서 동작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적합하다. 시퀀스(SEQ) 데이터 필드(404)는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 번호의 최하위 비트들(least significant bits)을 포함한다. 시퀀스 번호는 오디오 통신의 일부로서 MS에 의해 생성된 다른 RLP 프레임들에 대한 RLP 프레임의 시간적 위치에 대응한다. 시퀀스 번호는 수신 통신 디바이스가 소정의 순서로 RLP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그후, 이 프레임들을 프레임들이 생성되었던 순서로 재배열할 수 있게 한다. RLP 프레임이 재전송될 때, 원본 RLP 프레임의 SEQ 값이 유지된다. 재전송된 프레임 데이터 필드(REXMIT)(406)는 프레임이 재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일 때 "1"로 설정되고, 그 이외에는 "0"으로 설정된다. 보코딩된 프레임 데이터 필드(VS)는 RLP프레임내에 포함된 보코딩된 프레임들의 수를 나타내며, 분할 인덱스 데이터 필드(SPLT_INDX)(410)는 소정의 보코딩된 프레임들이 다수의 RLP 프레임들 사이에서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오디오 플레이 제어 데이터 필드(AUDIO_CTRL)(412)는 오디오 수신기가 소정의 수신된 코덱 샘플들을 플레이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 필드는 플레이가 시작되는 경우에 "1"로 설정되고, 플레이가 시작되지 않고 버퍼링이 발생해야 함을 나타내기 위해 "0"으로 설정된다.
버퍼 지연을 최소화하고, MS(102)를 MS(104)에 연결하는 RF 링크들의 활용도를 최대화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100)은 RF 링크들, 즉, MS(102)와 MS(104) 사이의 전체 순방향 링크내에 포함된 화자 역방향 RF 링크 및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를 거쳐 RF 프레임들이 전송되는 파워 레벨을 제어 및 조절하고, 각 RF 링크를 위한 목표 에러율들을 조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S(102)와 MS(104)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시 시스템(100)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의 로직 흐름도(500)이다. 로직 흐름도(500)는 MS(102)가 RLP 프레임들을 역방향 링크(132)내의 화자 역방향 RF 링크를 통해 인프라구조에 전송하기 시작할 때 시작한다. MS(102)는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로 프레임들을 전송(504)한다.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은 MS(102)와 MS(104) 사이의 전체 순방향 링크를 위한 최초, 저 프레임 에러율(LOW_FER) 목표에 기초한다.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은 목표 이동국, 즉, MS(104)에 의해 수신된 RLP 프레임들이 인프라구조(124) 또는 MS(104) 중 어느 하나에 의한 RLP 프레임들의 어떠한 재전송들도 사용할 필요성이 없는 LOW)FER을 달성하기에 충분히 높은 파워 레벨이 되도록 설계된다. MS(102)는 화자가 대화를 시작한 이후, 제 1 파워 레벨로, 제 1 시간 기간, 즉, 제 1 버퍼 구축(BUFF_BUILD) 시간 기간을 위한 LOW_FER에 기초하여, 프레임들을 전송한다.
LOW_FER 목표는 오수신된 프레임들의 재전송들의 부재상태에서, 수신된 RLP 프레임들을 위한 원하는 프레임 에러율(FER)이다. 이 목표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유형과 함께 변화할 수 있다. 예로서, 음성 통신들은 데이터 통신들 보다 많이 에러들에 대한 내성이 존재하며, 따라서, 보다 높은 FER이 음성 통신들을 위해 허용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그리고,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하는 목적을 위해서, 음성 통신들을 위한 최소 내성 FER이 1퍼센트(%)이고, 영(0) 퍼센트 NAK 삭제율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어떠한 재전송들도 없이, LOW_FER 목표는 최대 1%로 설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재전송이 허용되는 경우, 그리고, 1%의 FER이 소망되는 경우, 이때, FER 목표는 10%로 설정될 수 있다. FER 목표를 10%로 설정함으로써, 원래 전송된 RLP 프레임들의 약 10%가 오수신되고, 그후, 약 10%의 재전송된 RLP 프레임들이 오수신되며, 전체 에러율은 10%x 10% = 1%(즉, 0.1x 0.1 =0.01)이다. 재전송들을 사용하고, 보다 높은 FER(즉, 10%)을 목표로함으로써, RLP 프레임들은 보다 낮은 파워 레벨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동일 또는 인접 대역폭들을 사용하는 다른 통신과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그러나, 재전송들을 사용함으로써, 부가적인 시스템(100) 대역폭이 소모되며, 시스템 용량 및 효율이 감소된다.
BUFF_BUILD 시간 기간은 대략 RLP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MS의 RLP 버퍼(324)를 채우기 위해 소요하는 시간의 길이이다. 지터 버퍼(324)의 크기는 수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오수신된 RLP 프레임의 통지의 전송으로부터 사전결정된 재전송들의최대수 이후, 정확하게 재전송된 프레임을 수신 통신 디바이스가 수신하거나 더 이상 지속이 이루어질 수 없는 프레임의 중단(abort)까지 경과할 수 있는 최대 시간 길이에 시스템(100) 성능의 변화들을 보상하기 위한 미소한 지연을 더한 것과 거의 같다. 중단은 단순히 특정 프레임을 전송하기를 시도하는 것을 시스템(100)이 포기하는 것을 나타낸다. 중단은 TIA/EIA에 의해 선포된 표준이며,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고 있는 IS-707 표준에 잘 규정되어 있다. 오수신된 RLP 프레임의 허용된 재전송들의 수가 보다 크면 클수록, 지터 버퍼의 크기는 커진다. 오수신된 RLP 프레임의 단 한번의 재전송이 허가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BUFF_BUILD 시간 기간을 위한 양호한 초기값은 300ms이다.
화자 RF 링크들이 구축된 이후, 그리고, 청취자 RF 링크들의 완성 이전에 인프라구조(124)에 의해 수신된 RF 프레임들은 인프라구조내의 RLP 버퍼(210)내에 저장된다. 인프라구조(124), 특히, 신호 처리 유니트(206)는 프레임이 정확히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수신된 신호를 위한 에러율을 측정하는 에러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해, 각 프레임에 대해 에러 점검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로서, 에러 메트릭은 각 수신된 RLP 프레임을 위해 FER 또는 비트 에러율(BER) 일 수 있거나, 수신된 신호에 대해 결정되어 각 SNR, CIR 또는 Eb/Io임계값에 비교된, 신호-대-잡음 비(SNR), 캐리어-대-간섭 비(CIR) 또는 Eb/Io비율(비트당 에너지/파워 밀도 당 간섭(헤르쯔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RLP 버퍼(210)에 저장된 프레임들은 재배열되지않으며, 청취자 MS(104)까지 전적으로 재배열 임무를 남겨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 유니트(206)는 RLP 버퍼(210)의 버퍼 깊이, 즉, 버퍼내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을 결정한다. 그후, 결정된 버퍼 깊이가 메모리 유니트(214) 또는 신호 처리 유니트(206)와 연계된 메모리내에 저장된 버퍼 깊이 임계값에 비교된다. 결정된 버퍼 깊이가 버퍼 깊이 임계값 보다 클 때, 신호 처리 유니트(206)는 버퍼(210)내에 저장된 프레임들을 재배열한다. 그 이외에, 신호 처리 유니트(206)는 저장된 프레임들을 재배열하지 않는다. RLP 프레임들을 재배열함으로써, 인프라구조(124)는 시스템(100)에 대한 신뢰성의 조치를 추가하고, 청취자 MS(104)가 MS가 프레임을 누락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결정된 버퍼 깊이가 버퍼 임계값 보다 클 때에만 RLP 프레임들을 재배열함으로써, BUFF_BUILD 시간 기간 동안, 특히, RLP 프레임들이 RLP 버퍼(210)가 완전히 채워지기 이전에, 인프라구조에 의해 MS(104)로 전달될 때, MS(102)로부터 MS(104)로의 RLP 프레임의 전달시 지연이 최소화된다.
BUFF_BUILD 시간 기간 동안,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은 데이터 재전송들이 화자 RF 링크들을 위해 필요하지 않는 충분히 높은 비율로 설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프라구조(124)는 청취자 RF 링크가 구축되자 마자 버퍼(210)내에 저장된 RLP 프레임들을 그 의도된 착신지, 즉, MS(104)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프라구조(124)는 저장된 프레임들의 전송 이전에, RLP 버퍼(210)의 버퍼 깊이를 결정한다. 그후, 인프라구조(124)는 버퍼(210)의 버퍼 깊이가 MS(104)내의 플레이 아웃 버퍼(326)를 위한 버퍼 깊이 목표에 적어도 동일하다는 것을 결정한 이후에만 저장된 프레임들을 MS(104)에 전송한다. 버퍼 깊이 목표는 MS(104)가 최초 오수신된 프레임의 통지를 전송한 시간과, 재전송들의 사전설정된 최대수 이후 MS가 정확하게 재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더 이상 지속될 수 없는 프레임 중단 시간 사이에 경과하는 시간의 양에 시스템(100) 성능의 변화들을 보상하기 위한 약간의 지연을 더한 것과 거의 같다.
BUFF_BUILD 시간 기간 동안, 인프라구조(124)는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상에서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로 RLP 프레임들을 MS(104)에 전송(506) 한다.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과 유사하게,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도 저 프레임 에러율(LOW_FER) 목표에 기초하며, LOW_FER 목표가 데이터의 재전송을 이용할 필요 없이 MS(104)에서 달성될 수 있는 충분히 높은 파워 레벨이다. LOW_FER 목표는 시스템(100), 특히 인프라구조(124)에 프로그램되는 것이 적합하다. 화자 RF 링크들이 구축될 때, RAN(106)은 RLP 프레임들의 최초 전송을 위해 필요한 파워 레벨, 즉,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을 MS(102)에 알린다. 이 파워 레벨은 본 기술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MS(102)와 RAN(106) 사이의 프리앰블들(preambles)의 교환을 통해 통신되는 것이 적합하다. 대안적으로, 화자 RF 링크들의 구성시의 CDMA 시그널링 동안, RAN(106)이 MS(102)에 인프라구조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LOW_FER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전송 파워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신호를 보낼 수 있다. MS(104)와 RAN(118)이 청취자 RF 링크들을 구축할 때, RAN(118)은 MS(104)에게 추구되는 LOW_FER 목표를 MS에 알리는 CDMA 시그널링 메시지를 보낸다. 대안적으로 LOW_FER 목표 및/또는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은 MS(102) 및/또는 MS(104)에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때, 청취자 RF 링크들의 구축 동안의 CDMA 시그널링의 일부로서, MS(104)는 RAN(118)에 MS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LOW_FER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전송된 파워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것을 신호한다.
MS(104)가 인프라구조(124)로부터 RLP 프레임들을 수신하기 시작할 때, MS는 각 프레임을 MS내에 포함된 신호 처리 유니트(306)로 라우팅한다. 순차적으로, 신호 처리 유니트(306)는 프레임을 코덱(320)으로 라우팅하고, 이는 프레임을 디코딩하며, 디코딩된 프레임을 RLP 지터 버퍼(324)에 라우팅한다. 또한, 신호 처리 유니트(306)는 각 RLP 프레임상에 에러 점검을 수행하여 프레임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FER, BER, SNR, CIR 및 Eb/Io비율 같은 에러 메트릭을 순방향 링크(134)에 대하여 결정한다. 그후, MS(104)는 인프라구조(124)에 에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BUFF_BUILD 시간 기간 동안, 부정확하게 수신된 RLP 프레임들은 MS(104) 및 인프라구조(124) 각각에 의해 삭제되거나, 누락되며, 이 삭제 또는 누락된 프레임들의 어떠한 재전송도 존재하지 않는다.
MS(104)는 정확하게 수신된 RLP 프레임들을 RLP 지터 버퍼(324)내에 저장하고, 여기서, 프레임들은 각 프레임의 RLP 헤더에 포함된 순서(SEQ) 번호에 기초하여 재배열된다. MS(104)의 신호 처리 유니트(306)는 그들이 전송된 순서로 전송된 보코딩된 프레임들을 RLP 지터 버퍼(324)내에 저장된 재배열된 RLP 프레임들로부터 추출하고, 보코딩된 프레임들을 플레이 아웃 버퍼(326)에 저장한다. MS(104)가 보코딩된 프레임들의 플레이 시작이 허가될 때, 신호 처리 유니트(306)는 보코딩된프레임들을 보코더(328)로 라우팅하고, 여기서 보코딩된 프레임들은 압축해제되고 D/A(3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12)를 통해 MS(104)의 사용자에게 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S(104)는 시스템 디자인 또는 인프라구조(124) 중 어느 한쪽에 의해 프레임들이 MS에 의해 수신되자 마자 수신된 RLP 프레임들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를 플레이하도록 허가된다. RLP 버퍼(210)의 깊이가 플레이 아웃 버퍼(326)의 목표 깊이와 같은 깊이를 얻기 이전에 인프라구조(124)가 MS(104)에 RLP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프라구조는 MS(104)에게 수신된 RLP 프레임들에 포함된 오디오 정보를 플레이하기 이전에, 버퍼(210)의 깊이와 버퍼(326)의 목표 깊이 사이의 차이와 같은 시간의 양을 대기할 것을 지령할 수 있다. 후자의 실시예에서, 인프라구조(124)는 인프라구조가 MS내의 플레이 아웃 버퍼(326)를 채우기에 충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MS(104)에 전송할 때까지, MS(104)가 음성의 플레이을 지연하게 한다.
인프라구조(124)는 RLP 프레임들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플레이하기 시작할 것을 MS(102)에 지령 또는 허가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BUFF_BUILD 시간 기간 동안 MS(102)는 각 프레임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를 "0"의 값으로 설정한다. 인프라구조(124)가 RLP 프레임들을 MS(102)로부터 수신하고, MS(104)가 순차적으로 인프라구조(124)로부터 RLP 프레임들을 수신하였을 때, 인프라구조(124) 및 MS(104) 각각은 AUDIO_CTRL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값에 대해 각 수신된 RLP 프레임을 점검한다. 그 각 수신된 RLP 프레임들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 값이 "0"이 되자 마자,인프라구조(124) 및 MS(104) 각각은 오수신된 프레임들의 통지 없이 그 각 수신된 RLP 프레임들을 처리한다.
MS(104)가 수신된 RLP 프레임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에서 "1"을 검출할 때, MS는 이를 수신된 오디오 정보의 플레이에 대한 허가로서 해석한다. 따라서, 인프라구조(124)는 MS(104)가 오디오 정보의 플레이을 시작하기를 지령 또는 허가하기를 원할 때, 인프라구조는 RLP 프레임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내에 "1"의 값을 삽입한다. 인프라구조(124)가 MS(104)가 청취자 RF 링크들이 구축되자 마자 오디오 정보의 플레이을 시작하기를 지령 또는 허가하기를 원할 때, 인프라구조는 MS에 전송되는 모든 RLP 프레임들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내에 "1"을 삽입한다. 대안적으로, RLP 버퍼(210)의 깊이가 인프라구조(124)가 RLP 프레임들을 MS(104)에 전송하기 시작하는 시간에 플레이 아웃 버퍼(326)의 목표 깊이보다 작고, 인프라구조가 MS(104)가 오디오 정보를 플레이하기 이전에 버퍼 깊이 차이와 같은 시간의 양을 대기하기를 지령하고자 할 때, 이때, 인프라구조는 최초 RLP 프레임의 MS(104)로의 전송 이후에 버퍼 깊이 차이와 같은 시간의 양이 경과할 때까지 각 전송된 RLP 프레임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내에 "0"을 삽입한다. 버퍼 깊이 차이와 같은 시간의 양의 만료시, 그후, 인프라구조(124)는 MS(104)에 전송되는 RLP 프레임들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내에 "1"을 삽입하기 시작한다.
MS(104)가 "1"로 설정된 AUDIO_CTRL 데이터 필드를 가지는 수신된 RLP 프레임을 최초 검출하였을 때, MS(104)의 신호 처리 유니트(306)에 의해 실행되는 급송 어플리케이션은 플레이 아웃 버퍼(326)에 저장된 보코딩된 프레임들의 플레이을 시작할 것으로 신호된다. BUFF_BUILD 시간 기간의 만료 이후, MS(102)는 화자 버튼 방임(대화 송출의 종료)이 검출될 때까지, 모든 후속 전송된 RLP 프레임들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에 "1"의 값을 삽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BUFF_BUILD 시간 기간의 만료는 MS의 신호 처리 유니트(306)에 연결된 타이머(314)를 참조로 MS(102)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인프라구조(124)는 수신된 RLP 프레임들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내의 "1"을 검출함으로써, BUFF_BUILD 시간 기간의 만료를 결정한다. BUFF_BUILD 시간의 만료 결정시, 인프라구조(124)도 모든 후속 전송되는 RLP 프레임들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에 "1"의 값을 삽입한다. 그후, MS(104)는 수신된 RLP 프레임들의 AUDIO_CTRL 데이터 필드의 "1"을 검출함으로써 BUFF_BUILD 시간 기간의 만료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BUFF_BUILD 시간 기간의 만료는 MS(102), 인프라구조(124) 및 MS(104) 각각에 의해, 그 신호 처리 유니트(206, 206)에 각각 연결된 타이머들(216, 314)을 참조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BUFF_BUILD 시간 기간의 만료는 RLP 버퍼(210), 지터 버퍼(324) 및 플레이 아웃 버퍼(326) 중 하나 이상이 가득찬 것을 인프라구조가 결정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인프라구조(124)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 인프라구조(124)는 공지된 버퍼 크기들, 공지된 FER, 인프라구조에 의해 버퍼들로 전송된 프레임들의 수 및 공지된 MS의 플레이율에 기초하여 버퍼(324 또는 326)가 가득찰 때를 근사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인프라구조(124)는 그후, BUFF_BUILD 주기의 만료에 관련한 정보를 MS(102) 및 MS(104) 각각에 전달한다.
BUFF_BUILD 시간 기간가 만료한 것을 결정하였을 때, 인프라구조(124) 및 MS(104) 각각은 통지(즉, NAK)를 전송함으로써, 오수신된 RLP 프레임들의 통지를 시작한다(512). 인프라구조(124)는 각 오수신된 프레임에 대하여 NAK를 순방향 링크(130)를 통해 MS(102)에 전송하고, MS(104)는 각 오수신된 프레임에 대한 NAK를 역방향 링크(136)를 통해 인프라구조(124)에 전송한다. 수신된 NAK들에 기초하여, 인프라구조(124)는 역방향 링크(136)를 위한 프레임 에러율(FER)을 결정할 수 있고, MS(102)는 순방향 링크(130)를 위한 프레임 에러율(FER)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프라구조(124) 및 MS(102)는 또한 수신된 NAK들에 기초하여 BER, SNR, CIR 또는 Eb/Io비율 같은 에러 메트릭들을 결정할 수 있다. MS(102)는 그후, 인프라구조(124)에 FER, BER, SNR, CIR 및/또는 Eb/Io비율 결과들을 전달할 수 있다.
BUFF_BUILD 시간 기간의 만료 이후, 인프라구조(124)가 MS(102)로부터 RLP 프레임들을 정확히 수신하였을 때, 인프라구조는 프레임들을 그 의도된 착신지, 즉, MS(104)에게로 포워딩한다. 그러나, 인프라구조(124)가 MS(102)로부터 잘못된 RLP 프레임을 수신할 때, 인프라구조는 오수신된 프레임을 식별하는 NAK를 MS(102)에 전송하고, RLP 버퍼(210)내에 MS(102)로부터 후속 수신된 RLP 프레임들을 저장한다. NAK에는 오수신된 프레임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 유사하게, BUFF_BUILD 시간 기간의 만료 이후 MS(104)가 인프라구조(124)로부터 잘못된 RLP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때, MS(104)는 잘못된 프레임을 식별하는 NAK를 인프라구조에 전송하고, 인프라구조로부터 후속 수신된 RLP 프레임들을 지터 버퍼(324)내에 저장한다. NAK들은 본 기술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는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MS(102) 또는 인프라구조(124)가 NAK를 수신하였을 때, MS(102) 또는 인프라구조(124)는 NAK에 식별된 RLP 프레임을 재전송(514)하고, 재전송된 프레임의 재전송된 프레임 데이터 필드(REXMIT)를 "1"로 설정한다. 인프라구조(124) 또는 MS(104)가 재전송된 RLP 프레임을 정확하게 수신하였을 때, 정확하게 수신된 프레임은 각 RLP 버퍼(210, 324)내에 버퍼링되어 있던 RLP 프레임들 사이의 그 프레임의 순차적 위치에 삽입된다. 정확하게 재전송된 프레임을 버퍼들(210 또는 324)내에 저장된 프레임들에 추가한 이후에, 인프라구조(124) 또는 MS(104)는 각각 그 버퍼링된 프레임들을 MS(104)에게 또는 MS(104)를 사용하여 청취자에게 전달한다. 인프라구조(124) 또는 MS(104) 중 어느 하나가 사전결정된 횟수, 바람직하게는 1회, 재전송된 프레임을 오수신하였을 때, 이때, 인프라구조 또는 MS는 프레임을 중단하고, 에러 프레임의 삽입 없이 각 버퍼들(210 및 324)에 저장된 프레임들을 전송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중단 이전에 프레임이 재전송되는 횟수가 시스템의 설계자에게 달려있으며,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기에 다른 재전송들의 횟수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BUFF_BUILD 시간 기간의 만료시, 인프라구조(124) 및 MS(104) 각각은 RLP 프레임들의 처리를 위해 보다 높은 프레임 에러율(HIGH_FER) 목표로 전환하고, MS(102) 및 인프라구조(124) 각각은 대응적으로 보다 낮은 전송 파워 레벨로 전환한다. 즉, 통지 시작 이후, 인프라구조(124) 및 MS(104) 각각은 오수신된 RLP 프레임들이 통지 및 재전송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당 에러들의 보다 큰 비율을 인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프라구조(124)는 오수신된 프레임들의 통지를 시작하고, MS(102)는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 보다 낮은 제 2 화자 링크 파워 레벨로 RLP 프레임들을 전송(508)하기 시작한다. 유사하게, MS(104)가 오수신된 프레임들의 통지를 시작하였을 때, 인프라구조(124)는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 보다 낮은 제 2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로 RLP 프레임들을 전송(510)하기 시작한다.
RLP 프레임들을 오수신된 프레임들의 통지에 대한 필요성을 최소화하는 보다 높은 파워 레벨들로 전송하고, 통지를 포함하지 않는 통신들을 위해 적합한 LOW_FER을 추구함으로써, 통신 시스템(100)은 BUFF_BUILD 주기 동안 지터 버퍼(324)의 사용을 최소화한다. 지터 버퍼(324)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통신 시스템(100)은 종래 기술에서 가능한 것 보다 신속하게 MS(104)를 사용하여 청취자에게 오디오 정보를 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청취자 RF 링크들이 구축되기 이전에도 화자가 MS(102)를 사용하여 대화를 시작하게 할 수 있으며, 청취자 RF 링크들이 구축될 때까지 전송된 RLP 프레임들을 인프라구조(124)내의 버퍼(210)네 저장한다. 청취자 RF 링크들의 완성시, 버퍼(210)내에 저장된 RLP 프레임들은 즉시 MS(104)에 다운로드되고, MS에 의해 즉시 플레이된다. 대안적으로, 인프라구조(124)는 인프라구조가 MS의 플레이 아웃 버퍼(326)를 채우기에 충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MS(104)에 전송할 때까지 음성의 플레이을 지연시키도록 MS(104)에 지령할 수 있다.
MS(102)의 보코더(328)에 의한 음성 압축 및 MS(104)의 보코더(328)에 의한 음성 압축해제로 인해, 오디오 데이터는 MS가 이를 플레이할 수 있는 것 보다 신속하게 MS(104)에 의해 수신된다. 결과적으로, BUFF_BUILD 주기 동안, 통신 시스템(100)은 MS가 오디오 정보를 플레이하는 동안 MS(104)내의 지터 버퍼(324)를 채운다. 지터 버퍼(326)가 채워진 이후에, BUFF_BUILD 주기가 종료한다. 이때, MS(104)내의 지터 버퍼(324)가 채워지고, 통지들 및 재전송들이 통신 시스템(100)에서 시행된다. 지터 버퍼가 채워졌기 때문에, 인프라구조(124) 또는 MS(104)에 의해 오수신된 RLP 프레임의 통지 및 재전송은 오디오 정보의 플레이에 갭을 생성하지 않는다. 또한, 통지들 및 재전송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보다 높은 FER 목표가 MS(102)와 MS(104) 사이의 전체 링크에 대하여 형성되고, RLP 프레임들이 모다 낮은 파워 레벨들로 전송된다. RLP 프레임들을 보다 낮은 파워 레벨로 전송함으로써, 동일 대역폭 또는 인접 대역폭들을 공유하는 다른 통신들과의 RF 간섭이 최소화된다.
급송 통신에서 청취자에게 오디오 정보의 플레이의 편의를 위한 상술된 프로세스는 또한, 급송 통신에서 말하는 사람의 변경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급송 통신의 개시와 유사하게, MS(104)의 사용자 같은 말하기를 원하는 급송 통신에 수반된 이동국을 사용하는 청취자는 사용자의 MS상의 PTT 키를 누름으로써, 역방향 링크(136) 및 순방향 링크(134) 같은 역방향 링크 및 순방향 링크내의 역방향 트래픽 채널들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때, 화자 RF 링크들이 역방향 링크(136) 및 순방향 링크(134) 각각에 사용자에 의한 사용을 위해 형성되고, 청취자 RF 링크들이 순방향 링크(130) 및 역방향 링크(132)내에 청취자, 즉, MS(102)를 위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MS(102) 및 MS(104)는 각각 그 이미 형성된 RF 링크들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술된 프로세스가 MS(104)의 사용자로부터 MS(102)의 사용자 및 급송 호의 소정의 다른 참여자에게로 오디오 정보를 플레이을 추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지터 버퍼들은 모두 리셋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MS(102)와 인프라구조(124)는 급송 통신 동안 소정 시기에 MS(102)와 MS(104) 사이의 순방향 링크의 그 각 레그들을 위한 프레임 에러율(FER) 목표 및 전송된 신호 파워 레벨들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통신의 FER 목표들 및 전송된 파워 레벨들의 조절시 시스템(100)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의 로직 흐름도(600)이다. 로직 흐름(600)은 인프라구조(124)가 화자 역방향 RF 링크를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132)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주파수(RF) 부하 메트릭을 결정(604)할 때 시작(602)한다. 예로서, 결정된 RF 부하 메트릭은 활성 통신들에 현재 할당된 역방향 링크(132)내의 모든 현존하는 트래픽 채널들의 백분율 또는 미할당 및 할당을 위해 가용한 역방향 링크(132)내의 모든 현존하는 트래픽 채널들의 백분율 같은 현재 사용중인 역방향 링크 RF 용량의 척도일 수 있다. 인프라구조(124)는 또한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를 포함하는 순방향 링크(134)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2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606)한다.
제 1 및 제 2 RF 부하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그후, 인프라구조(125)는 화자 역방향 RF 링크를 위한 FER 목표를 결정(608)하고,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를 위한 FER 목표를 추가로 결정(610)한다. FER 목표들은 각 링크상의 통신들이 얻기를 원하는 FER들이다. 상세히 상술한 바와 같이, FER 목표의 설정은 오수신된 프레임의허가된 재전송들의 수에 의존한다. 인프라구조는 또한 화자 역방향 RF 링크를 거쳐 전송되는 프레임을 중단하기 이전의 화자 RF 링크를 위한 재전송들의 수를 결정(612)하고,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내의 프레임을 중단하기 이전에 시도될 수 있는 청취자 RF 링크들을 위한 재전송들의 수를 결정(614)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다 큰 재전송들의 수들 및 보다 큰 전송된 파워 레벨들은 각각 보다 낮은 FER들에 대응하기 때문에, 얻어진 FER은 RLP 프레임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워 레벨에 관련된다. 결과적으로, 결정된 FER 목표들에 기초하여, 인프라구조(124)는 또한 화자 역방향 RF 링크를 위한 전송된 신호 파워 레벨을 결정(616)하고,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를 위한 전송된 신호 파워 레벨을 결정(618)하고, BUFF_BUILD 파라미터를 0으로 설정(620)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고, 로직 흐름이 종료(622)한다.
예로서, 그리고,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프라구조(124)는 역방향 링크(132)의 RF 부하가 순방향 링크(134)의 RF 부하 보다 큰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134)가 덜 붐비기 때문에, 인프라구조(124)는 순방향 링크(134)가 역방향 링크(132) 보다 삭제된 프레임들의 보다 많은 재전송들, 보다 높은 전송된 신호 파워 레벨 또는 양자 모두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프라구조(124)는 1회 대신 2회의 오수신된 RLP 프레임들의 통지 같은 화자 RF 링크들상에 보다 많은 통지들(예로서, NAK들)의 층들을 사용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프라구조(124)는 역방향 링크(134)의 RF 용량을 자유롭게 하고 및/또는 역방향 링크상의 간섭의 레벨들을 감소시키도록,화자 RF 링크들이 통지들의 보다 적은 층들 또는 보다 적은 전송된 신호 파워를 사용하여야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S(102)로부터 MS(104)로 전송된 신호를 위한 전체 순방향 링크 FER이 MS(102)로부터 인프라구조(124)까지의 레그를 거쳐, 그리고, 인프라구조(124)로부터 MS(104)까지의 레그를 거쳐 전송된 신호들을 위한 FER들의 조합이기 때문에, 인프라구조는 전체 순방향 링크(즉, MS(102)로부터 MS(104)까지) FER 목표를 유지하기 위해, 화자 역방향 RF 링크 및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를 거친 전송들에 대한 동시 조절들을 수행할 것을 판정할 수 있다. 예로서, 인프라구조(124)는 전체 순방향 링크 FER 목표를 유지하면서,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에 대하여 보다 낮은 FER 목표를 적용하고, 화자 역방향 RF 링크에 대하여 보다 높은 FER 목표를 적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FER 목표들의 조절에 부가하여, 인프라구조(124)는 전체 순방향 링크 FER 목표를 유지하기 위해,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를 위한 전송된 파워 레벨을 증가시키고, 화자 역방향 RF 링크를 위한 전송된 파워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인프라구조(124)는 추가로, 순방향 링크(130)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3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624)하고, 역방향 링크(136)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4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626)할 수 있다. 그후, 인프라구조(124)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RF 부하 메트릭들 각각에 기초하여 화자 역방향 RF 링크 및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 각각을 위한 FER 목표를 결정(628, 630)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RF 부하 메트릭들에 기초하여,인프라구조는 화자 RF 링크들 및 청취자 RF 링크들 각각을 위한 재전송들의 최대 횟수를 또한 결정(632, 634)할 수 있으며, 및/또는, 화자 RF 링크(132) 및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 각각을 위한 전송된 신호 파워 레벨들을 추가로 결정(636, 638)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결정된 RF 부하들에 기초하여 MS(102)와 MS(104) 사이의 링크 중 하나 이상의 레그들에 대한 FER 목표들 및/또는 전송된 신호 파워 레벨들을 조절하는 대신, 조절들은 각 레그를 위해 결정된 에러 메트릭들에 기초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에 의한 데이터의 전송의 로직 흐름도(700)이다. 로직 흐름도(700)는 인프라구조(124)가 화자 역방향 RF 링크에 대응하는 제 1 에러 메트릭을 결정(704)할 때 시작(702)한다. 에러 메트릭은 FER 또는 중단율인 것이 적합하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RF 링크를 위한 에러 메트릭을 결정하기 위한 다수의 방식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에러 메트릭은 비트 에러율들에 기초하거나, 사전결정된 임계값에 대한 신호 파워-대-간섭비의 비교에 기초할 수 있다. 중단율은 중단된 프레임들의 백분율에 대응한다.
또한, 인프라구조(125)는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메트릭을 결정(706)한다. 제 1 및 제 2 에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그후, 인프라구조(124)는 화자 역방향 RF 링크를 위한 FER 목표를 결정(708)하고,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를 위한 FER 목표를 추가로 결정(710)한다. 또한, 인프라구조는 화자 RF 링크들을 거쳐 전송된 프레임을 중단하기 이전의 화자 RF 링크들을 위한 재전송들의 수를 결정(712)하고, 청취자 RF 링크들을 거쳐 전송된 프레임을 중단하기 이전에 시도될 수 있는 청취자 RF 링크들을 위한 재전송들의 수를 결정(714)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에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인프라구조(124)는 화자 역방향 RF 링크를 위한 전송된 신호 파워 레벨을 결정(716)하고,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를 위한 전송된 신호 파워 레벨을 결정(718)하고, BUFF_BUILD 파라미터를 0으로 설정(720)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으며, 로직 흐름이 종료(722)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인프라구조(124)는 추가로, 순방향 링크(130)에 대응하는 제 3 에러 메트릭을 결정(724)하고, 역방향 링크(136)에 대응하는 제 4 에러 메트릭을 결정(626)할 수 있다. 그후, 인프라구조(124)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에러 메트릭들 각각에 기초하여 화자 역방향 RF 링크 및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 각각을 위한 FER 목표를 결정(728, 730)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에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인프라구조는 화자 RF 링크들 및 청취자 RF 링크들 각각을 위한 재전송들의 최대 횟수를 또한 결정(732, 734)할 수 있으며, 및/또는, 화자 RF 링크(132) 및 청취자 순방향 RF 링크 각각을 위한 전송된 신호 파워 레벨들을 추가로 결정(736, 738)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인프라구조(124)는 제 1, 제 2 또는 부가적으로 제 3 및 제 4 에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MS(102) 및 MS(104)로부터의 전송들을 위한, 전체 FER 목표 또는 전체 중단율 같은 전체 에러 목표를 결정(740)할 수 있다. 그후, 인프라구조(124)는 전체 에러 목표 또는 중단율을 에러 목표 또는 중단율 임계값에 비교(742)하고, 이 비교에 기초하여 화자 RF 링크들 및 청취자 RF링크들 중 하나 이상을 위한 FER 목표 또는 전송된 신호 파워 레벨을 조절(744)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인프라구조(124)는 링크의 각 레그의 성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면서, MS(102)와 MS(104) 사이의 링크를 위한 전체 에러율 또는 중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링크의 각 레그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재전송들을 최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레그들상에서 재전송들이 사용될 수 있고, 전송들이 다른 전송들과 최소로 간섭하는 레그들상에서 보다 높은 파워 레벨들로 전송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또한,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하는 목적을 위해서, 인프라구조(12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링크들(130-136)의 에러율들에 대한 조절들을 수행시 하기의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인프라구조(124)는 "Pr(AB)"를 추정하고, 여기서 Pr(AB)=역방향 링크(132)와 순방향 링크(134)를 거친 중단 가능성이다. 중단 가능성은 이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거나, 하기와 같이 이를 추정함으로써 추정될 수 있다.
Pr(AB) = S_ABORT + (1-S_ABORT)*R_ABORT;
여기서,
S_ABORT = SF*(SN+(1-SN)*SF)SRNDS
R_ABORT = RF*(RN+(1-RN)*RF)RRNDS
이고, SF=송신자(즉, MS(102))의 프레임 삭제율(역방향 링크(132)에 대해), SN=송신자의 NAK 삭제율(순방향 링크(130)에 대해), SRNDS=중단 이전의 송신자의 NAK들의 수(전체 라운드들에 걸친 합산), RF=수신자(즉, MS(104))의 프레임 삭제율(역방향 링크(136)에 대해), RN=수신자의 NAK 삭제율(순방향 링크(134)에 대해) 및 RRNDS= 중단 이전의 수신자의 NAK들의 수(전체 라운드들에 걸친 합산)이다. 인프라구조(124)는 또한, 링크들(130-136) 각각을 위한 RF 부하를 결정한다.
그후, 인프라구조(124)는 "Pr(AB)"를 중단 가능성에 대한 목표 레벨, 즉, AB_Target에 비교한다. Pr(AB)가 AB_Target 보다 클 때(">"), 그후, 인프라구조(124)는 최소 잔여 RF 용량으로 링크(130-136)상의 FER을 증가시킨다. PR(AB)가 AB_Target 보다 작을 때("<"), 이때, 인프라구조(124)는 최대 잔여 RF 용량으로 링크(130-136)상의 FER을 감소시킨다. 상기 공식들에 기초한 FER들의 조절에 의해, 인프라구조(124)는 전체 호에 걸친 동일 유효 RLP 프레임 중단율을 유지하면서, 호의 총 순방향 링크 RF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100)은 제 1 시간 기간, 즉, BUFF_BUILD 시간 기간 동안, 제 1 이동국(즉, MS(102))으로부터 인프라구조(124)로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인프라구조(124)로부터 제 2 이동국(즉, MS(104))으로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로 전송한다. 제 1 시간 기간은 지터 버퍼의 길이에 근사한 것이 적합하다.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 및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 각각은 오수신된 데이터의 재전송들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하도록 설계된다. 재전송들의 필요성을 소거함으로써, MS(104)내의 플레이 아웃 버퍼(326)는 보다 신속하게 채워질 수 있고, 음성 통신들은 보다 신속하게 화자로부터 청취자에게로 중계될 수 있다.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시, 데이터는 MS(102)로부터 인프라구조(124)로, 그리고, 인프라구조로부터 MS(104)로 감소된 파워 레벨들에서 전송되며, 이 전송들은 오수신된 데이터의 재전송을 포함한다. 후속하여 감소된 파워 레벨들로 동작함으로써, 다른 진행중인 통신들과의 RF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프레임 에러율(FER) 목표들은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 이후 조절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파워 레벨들 및 FER들은 각 링크의 RF 부하에 기초하여, 및/또는 각 링크에 대해 결정된 에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링크단위 기반으로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MS(102)로부터 MS(104)로의 데이터의 전달에 관한 전체 에러 목표들이 유지되면서, 각 링크내의 진행중인 통신들에 대한 간섭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을 그 특정 실시예를 참조로 특정하게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소자들에 대한 등가체 치환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다수의 변형들이 그 실질적인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교지들에 대한 특정 상황 또는 재료의 적응을 위해 다수의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포함되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Claims (15)

  1.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일부의 재전송을 이용하지 않고 허용가능한 에러율로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가 수신되도록 하는 제 1 파워 레벨로, 제 1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를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시, 상기 제 1 파워 레벨보다 작은 제 2 파워 레벨로,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상기 제 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의 일부가 상기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오수신되었을 때, 상기 오수신된 부분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워 레벨은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파워 레벨은 제 2 화자 링크 파워 레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인프라구조에 포함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일부의 재전송을 이용하지 않고 허용가능한 에러율로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가 제 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도록 하는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로, 상기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시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를 상기 무선 인프라구조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시, 상기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보다 작은 제 2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로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상기 무선 인프라구조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의 일부가 상기 제 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오수신되었을 때, 상기 무선 인프라구조에 의해 상기 오수신된 부분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은 상기 제 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인프라구조 사이의 트래픽 링크의 구성의 완료와, 상기 인프라구조와 상기 제 3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트래픽 링크의 구성의 완료 사이에서 만료되는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적어도 일부의 수신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플레이 아웃(play out)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 디바이스는 플레이 아웃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기간은 상기 플레이 아웃 버퍼에 대한 버퍼 깊이 목표와 대략 동일한 시간 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적어도 일부의 수신시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플레이 아웃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의 길이를 상기 인프라구조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제 3 통신 디바이스의 각각에 상기 제 1 시간 기간의 상기 결정된 길이를 상기 인프라구조에 의해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기간의 길이를 상기 인프라구조에 의해 결정하는 단계, 및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헤더 내의 데이터 필드를 통해 상기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에 관련한 정보를 상기 인프라구조에 의해 상기 제 3 통신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워 레벨은 제 1 화자 링크 파워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파워 레벨은 제 2 화자 링크 파워 레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인프라구조에 포함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일부의 재전송을 이용하지 않고 허용가능한 에러율로 제 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가 수신되도록 하는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로, 상기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시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를 상기 무선 인프라구조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 1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 보다 작은 제 2 청취자 링크 파워 레벨로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를 상기 무선 인프라구조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의 제 2 세트의 일부가 상기 제 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오수신될 때, 상기 무선 인프라구조에 의해 상기 오수신된 부분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 디바이스는 플레이 아웃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 기간은 상기 플레이 아웃 버퍼에 대한 버퍼 깊이 목표와 대략 동일하며,
    상기 제 1 시간 기간의 만료시, 상기 데이터의 제 1 세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플레이 아웃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역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제 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인프라구조와, 순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인프라구조와 통신하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주파수(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순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2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RF 부하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순방향 링크를 위한 허용가능한 에러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RF 부하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역방향 링크를 위한 허용가능한 에러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프라구조는 제 1 역방향 링크 및 제 1 순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제 1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상기 무선 인프라구조는 제 2 역방향 링크 및 제 2 순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제 2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며,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에 대응하는 제 1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에 대응하는 제 2 RF 부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순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3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4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RF 부하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순방향 링크,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 및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의 각각에 대해 허용가능한 에러율들이 결정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 제 1 역방향 링크 및 제 1 순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제 1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인프라구조, 및 제 2 역방향 링크 및 제 2 순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인프라구조와 통신하는 제 2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에 대응하는 제 1 에러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순방향 링크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에러 메트릭 및 상기 제 2 에러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 및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 중 하나 이상의 허용가능한 프레임 에러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에 대응하는 제 3 에러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에 대응하는 제 4 에러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에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역방향 링크 및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 중 하나 이상의 허용가능한 에러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에 대응하는 제 3 에러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에 대응하는 제 4 에러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에러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통신 유니트로부터 상기 제 2 통신 유니트로의 데이터 전송이 중단(abort)될 가능성을 결정하여, 중단 가능성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단 가능성을 중단 가능성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교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 상기 제 1 순방향 링크,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 및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 중 하나 이상의 허용가능한 에러율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주파수(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순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2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3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4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RF 부하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 상기 제 1 순방향 링크,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 및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 중에서 가장 큰 RF 부하를 가진 링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용가능한 에러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중단 가능성이 상기 중단 가능성 임계값보다 클 때, 상기 가장 큰 RF 부하를 가진 링크의 허용가능한 에러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1 무선 주파수(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순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2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3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의 RF 부하에 대응하는 제 4 RF 부하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RF 부하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 상기 제 1 순방향 링크,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 및 상기 제 2 순방향 링크 중에서 가장 낮은 활용율을 가진 링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용가능한 에러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중단 가능성이 상기 중단 가능성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가장 낮은 RF 부하를 가진 링크의 허용가능한 에러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47002063A 2001-08-10 2002-07-23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634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170201P 2001-08-10 2001-08-10
US60/311,702 2001-08-10
US09/971,430 2001-10-05
US09/971,430 US6665283B2 (en) 2001-08-10 2001-10-0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PCT/US2002/023436 WO2003015309A1 (en) 2001-08-10 2002-07-23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889A Division KR100626569B1 (ko) 2001-08-10 2002-07-23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에러율 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402A true KR20040019402A (ko) 2004-03-05
KR100634040B1 KR100634040B1 (ko) 2006-10-17

Family

ID=269780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063A KR100634040B1 (ko) 2001-08-10 2002-07-23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67008889A KR100626569B1 (ko) 2001-08-10 2002-07-23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에러율 결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889A KR100626569B1 (ko) 2001-08-10 2002-07-23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에러율 결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665283B2 (ko)
EP (1) EP1419589A1 (ko)
JP (2) JP2004538712A (ko)
KR (2) KR100634040B1 (ko)
CN (1) CN1541458A (ko)
WO (1) WO2003015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2601B2 (en) * 2001-06-19 2007-11-06 At&T Corp. Error-rate management in wireless systems
US20030078066A1 (en) * 2001-10-23 2003-04-24 Mark Maggenti System and method for approximating half duplex wireless dispatch system
US7162418B2 (en) * 2001-11-15 2007-01-09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ation-quality buffering process for real-time audio
US7096274B1 (en) * 2002-02-12 2006-08-22 3Com Corporation Optimum frame size predictor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411934B2 (en) * 2002-02-12 2008-08-12 Broadcom Corporation Packetized audio data operation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
US8619718B2 (en) * 2002-04-05 2013-12-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a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node B resource management for high speed downlink packet data service
US6822950B2 (en) * 2002-05-06 2004-11-23 Motorola, Inc. Interference-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CDMA services
US7154907B2 (en) * 2002-05-10 2006-12-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setting nodes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040059978A1 (en) * 2002-06-25 2004-03-25 Parvathanathan Subrahmanya Reduced latency for recovery from communications errors
KR100514144B1 (ko) * 2002-10-29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방법
US7551588B2 (en) * 2003-03-06 2009-06-23 Nortel Networks Limited Autonomous mode transmission from a mobile station
US7260087B2 (en) * 2003-04-02 2007-08-21 Cellco Partnership Implementation methodology for client initiated parameter negotiation for PTT/VoIP type services
US9185228B1 (en) 2003-09-25 2015-11-10 Smith Micro Software, Inc. Buffering voice data in network-based instant connect communication
AU2003304655A1 (en) * 2003-11-11 2005-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ng playout buffer based on audio burst length
US7292564B2 (en) * 2003-11-24 2007-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real-time, interactive radio communications
US7058066B1 (en) 2004-01-22 2006-06-06 Cisco Technologies, Inc. Controlling the transition glitch that occurs when a gateway switches from voice over IP to voice band data
US7809388B1 (en) 2004-02-26 2010-10-05 Core Mobility, Inc. Selectively replaying voice data during a voice communication session
US7620004B2 (en) * 2004-04-30 2009-11-17 Alcatel-Lucent Usa Inc. Methods of power overload control in communication systems
EP1754386A4 (en) * 2004-06-09 2010-03-03 Vanu Inc REDUCING THE COST OF THE CELLULAR TERRESTRIAL BOND
US7681100B2 (en) * 2004-08-18 2010-03-16 Pine Valley Investment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transmission of voice packe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4556581B2 (ja) * 2004-09-14 2010-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398096B2 (en) * 2004-12-03 2008-07-08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ay reduction via automatic target packet transmission
KR100700568B1 (ko) * 2004-12-29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Ptt 단말기에서의 음성 데이터 재전송 방법
JP4337051B2 (ja) * 2005-01-31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I20050114A0 (fi) * 2005-02-01 2005-02-01 Nokia Corp Nousevalta siirtotieltä tulevan datan käsittely viestintäjärjestelmässä
US7774014B2 (en) * 2005-08-26 2010-08-10 Alcatel-Lucent Usa Inc. Reducing call drops in spread spectru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70091920A1 (en) * 2005-10-20 2007-04-26 Harris John M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capacity of a network
US8259840B2 (en) * 2005-10-24 2012-09-04 General Motors Llc Data communication via a voice channe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discontinuities
US8194779B2 (en) * 2005-10-24 2012-06-05 General Motors Llc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via a voice channe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194526B2 (en) * 2005-10-24 2012-06-05 General Motors Llc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via a voice channe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496366B2 (en) * 2005-12-19 2009-02-24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city control facilit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0499869C (zh) * 2006-05-24 2009-06-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接入方法及系统
JP5014727B2 (ja) * 2006-10-03 2012-08-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ユーザ端末
KR100953567B1 (ko) * 2006-12-05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확인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E102007010868A1 (de) * 2007-03-06 2008-09-11 Rohde & Schwarz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Übertragungsverhaltens von Unterkanälen
JP5044380B2 (ja) * 2007-12-04 2012-10-1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配信装置及びコーデック変換装置、通信システム
WO2009131502A1 (en) * 2008-04-24 2009-10-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rror rate management
US7756059B1 (en) * 2008-05-19 2010-07-13 Meru Networks Differential signal-to-noise ratio based rate adaptation
US8325601B2 (en) * 2009-05-08 2012-12-04 Canon Kabushiki Kaisha Reliable network streaming of a single data stream over multiple physical interfaces
US8880716B2 (en) * 2009-05-08 2014-11-04 Canon Kabushiki Kaisha Network streaming of a single data stream simultaneously over multiple physical interfaces
US8396960B2 (en) * 2009-05-08 2013-03-12 Canon Kabushiki Kaisha Efficient network utilization using multiple physical interfaces
JP5540824B2 (ja) 2010-03-29 2014-07-0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管理サーバ
US8356109B2 (en) 2010-05-13 2013-01-15 Canon Kabushiki Kaisha Network streaming of a video stream over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P3025528B1 (en) * 2013-07-23 2018-09-05 Uniu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ush-to-talk voice communication ove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s
US9332103B2 (en) * 2014-01-23 2016-05-03 Harris Corporation User protection in a multimod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CN105955162B (zh) * 2016-05-18 2018-05-25 山东广域科技有限责任公司 扣件结构的电力调度自动化控制系统及方法
CN108563207A (zh) * 2016-05-18 2018-09-21 常州爱上学教育科技有限公司 用网络管控系统调节信息帧路由的智能电力调度控制系统
CN106026386B (zh) * 2016-05-18 2019-03-08 北京慧辰资道资讯股份有限公司 防脱落的电力调度自动化控制系统及方法
DE102019133894A1 (de) * 2019-12-11 2021-06-17 Beckhoff Automation Gmbh Verfahren zum zyklischen Übertragen von Daten zwischen Kommunikationsteilnehmern auf einem Datenübertragungskanal und Datenübertragun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2452B (en) * 1982-12-08 1986-10-08 Racel Ses Limited Radio systems
FR2592256B1 (fr) * 1985-12-20 1988-02-12 Trt Telecom Radio Electr Dispositif d'asservissement de la puissance d'emission d'un faisceau hertzien
US5210751A (en) * 1989-09-19 1993-05-1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re-transmission control in units of slots
US5085106A (en) * 1990-10-30 1992-02-04 Automotive Products (Usa) Inc. Electric shift apparatus with removable control module
NZ255617A (en) * 1992-09-04 1996-11-26 Ericsson Telefon Ab L M Tdma digital radio: measuring path loss and setting transmission power accordingly
GB2292289B (en) * 1994-08-11 1998-06-17 Roke Manor Research Power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mobile radio stations
FI101332B1 (fi) * 1995-12-18 1998-05-2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Epäjatkuvalähetys monikanavaisessa suurinopeuksisessa datasiirrossa
US5722051A (en) * 1996-02-13 1998-02-24 Lucent Technologies Inc. Adaptive power control and coding scheme for mobile radio systems
US6112092A (en) * 1996-04-18 2000-08-29 Lucent Technologies Inc. Self-configurable channel assignment system and method
JP2982750B2 (ja) * 1997-07-09 1999-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情報処理装置
US6085106A (en) 1997-07-29 2000-07-04 Nortel Networks Limited Forward link power control in a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GB2328584B (en) * 1997-08-22 2002-05-29 Nokia Mobile Phones Ltd Switch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US6038452A (en) * 1997-08-29 2000-03-1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 network utilizing a quality of service protocol
US6452950B1 (en) * 1999-01-14 2002-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jitter buffering
US6487415B1 (en) * 1999-07-19 2002-11-2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initiating call blocking based upon pilot fraction
US6968201B1 (en) * 1999-10-06 2005-11-2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verse link interference rise and power control instability in a wireless system
US6985739B2 (en) * 2000-12-15 2006-0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mission and congestion control in a CDMA-base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38712A (ja) 2004-12-24
KR20060064025A (ko) 2006-06-12
CN1541458A (zh) 2004-10-27
US6665283B2 (en) 2003-12-16
US20030190926A1 (en) 2003-10-09
US20030032439A1 (en) 2003-02-13
KR100634040B1 (ko) 2006-10-17
JP2007124672A (ja) 2007-05-17
EP1419589A1 (en) 2004-05-19
WO2003015309A1 (en) 2003-02-20
KR100626569B1 (ko) 200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569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에러율 결정 장치
KR100711532B1 (ko) 시스템 지연을 감소시키는 방법
US200601820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JP5207011B2 (ja) バッファ状態報告
JP3782114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高速データ転送方法
JP4756314B2 (ja) 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並びに基地局制御装置。
RU2364036C2 (ru) Временной мониторинг повторной передачи пакета в процессе мягкой эстафетной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US77338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US201200931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plink signaling information
JP2007166642A (ja) データ再送の送信タイミングを制御する方法、基地局、移動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1704665A1 (en) Repairing errors in data of mbms service
KR20050106351A (ko)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의스케쥴링을 위한 최적 기지국 선정 방법 및 장치
US749636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city control facilit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866348B1 (ko) 역방향 패킷 전송에 있어서 소프트 핸드오버 단말들을 위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JP4847543B2 (ja) メディアフレームの耐性のある表現形を使用してメディア伝送品質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901394A (zh) 在分组数据通信系统中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