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816A -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816A
KR20040017816A KR10-2003-7016573A KR20037016573A KR20040017816A KR 20040017816 A KR20040017816 A KR 20040017816A KR 20037016573 A KR20037016573 A KR 20037016573A KR 20040017816 A KR20040017816 A KR 20040017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gram
uri
related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오카히데아키
쿠스미유키
시모지타츠야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7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8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which locates resources of other pieces of information, e.g.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23617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inserting additional data into a data carousel, e.g. inserting software modules into a DVB carous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1Reference data, e.g. a movie identifier for ordering a movie or a product identifier in a home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캐리어마다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단말이어도,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방송국(2)은 AV스트림 데이터 및 그 특성 데이터를 방송한다. 특성 데이터에는 URI결정 기초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다. 각 단말(4a∼4n)은 상기 스트림 데이터 및, 그 특성 데이터를 선택 수신한다. 각 단말(4a∼4n)에는 통신 캐리어ID가 기억되어 있고, 이 통신 캐리어ID와 특성 데이터 중의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의해,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컨텐츠 서버를 결정한다.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컨텐츠 서버가 결정되면, 미리 정해진 통신 캐리어의 접속 센터(4a∼4n)에 접속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컨텐츠 서버로부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시스템 및 그 방법{PROGRAN-RELATED INFORMATION FETCH SYSTEM AND METHOD}
오늘날, 위성을 사용한 디지털 방송에 더해서, 위성을 사용하지 않는 통상의 디지털 방송(이하,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라고 한다)이 예정되어 있다. 이러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서는, 위성 디지털과 달리 수신 안테너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로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것에 대해서, 그 실용화가 기대되고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유저는 휴대 단말로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내에서는, 프로그램내용에 관계가 있는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데이터 방송하고 있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서 상세정보를 기록한 컨텐츠 서버(정보배신 서버)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s)를 링크 정보로서 방송함으로써, 직접 액세스해서 다른 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로서 고려되는 것이,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탑재한 휴대전화이다. 이러한 휴대전화에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튜너를 탑재하면, 상기 방송 및인터넷을 통한 정보수집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서, 유저의 휴대 단말에 URI를 방송하는 데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 휴대전화의 브라우저가 채용하고 있는 언어(이하 브라우저 언어라고 한다)는 통일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같은 내용의 컨텐츠 데이터(배신 대상 데이터)라도, 복수의 언어용으로 각각의 데이터를 다른 URI로 기록함과 아울러, 상기 브라우저가 채용하고 있는 언어로 기술된 컨텐츠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방식도 고려된다. 단말에 캐리어ID를 기억해 둔다. 단말에서, 캐루(carousel)젤전송방식에 따라서 방송된 처리 프로그램의 스크립트를 수신한다. 단말은, 이러한 스크립트의 처리에 기초해서, 캐리어ID를 판독하고, 접속처의 URI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 경우, 캐루젤전송방식에 있어서의 DDB메시지 데이터, DII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이 그만큼 필요하게 된다. 또,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단말에서도, 방송 데이터를 사용해서 인터넷컨텐츠 서버의 리소스에 액세스가능한 방법 또는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없이, 단말의 단말속성에 일치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또는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및 통신을 경유한 정보수집가능한 단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송신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단말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단말의 외관도.
도 5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단말에 있어서의 URI취득처리 및 표시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7은 URI대응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다른 형태의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텔리비전 세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퍼스널 컴퓨터에 방송 수신 보드를 접속한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함과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 중에 혼재해서 방송하고, 각 수신단말에서는, 상기 단말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여, URI를 결정하고, 결정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는, A)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된 1)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및 2)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B)상기 수신한 특성 데이터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기초해서,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보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고 데이터 생성수단, C)상기 보고 데이터를 보고하는 보고수단, D)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E)조작자로부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명령이 주어지면, 상기 제어 정보 중의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 및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URI를 결정하는 URI결정수단, F)결정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보고 데이터 생성수단에 부여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된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더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가 혼재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URI를 결정하고, 이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방송장치에 있어서는, A)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기억수단, B)각 수신단말이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기억수단, C)상기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하는 방송수단을 구비하고, D)상기 방송수단은,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상기 스트림데이터의 특성 데이터 중에 혼재해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방송 방법에 있어서는,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함과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 중에 혼재해서 방송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하고, 각 수신단말은 URI결정 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의 프로그램특정 식별자 및 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건네 주고,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를 받고,이러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a)방송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b)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재생수단, c)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d)유저로부터의 명령이 주어지면,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URI결정 기초 데이터 및,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다운로드대상 데이터의 URI를 결정하는 URI결정수단, e)상기 결정된 URI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이것을 재생하는 제2재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다른 목적, 용도, 효과 등은 실시예 및 도면을 참작함으로써 분명해질 것이다.
(제1실시예)
(1)전체구성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낸다. 방송국(2)은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한다. 또한, 상기 스트림 데이터용 특성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방송된다. 이 특성 데이터에는, 후술하는 URI결정 기초 데이터가 기술되어 있다. 각 단말(4a∼4n)은 상기 스트림 데이터 및 그 특성 데이터를 선택수신한다.각 단말(4a∼4n)에는, 통신 캐리어 식별자가 기억되어 있고, 각 단말(4a∼4n)은 이 통신 캐리어 식별자와 특성 데이터 중의 URI결정 기초데이터에 의해,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컨텐츠 서버를 결정한다. 각 단말(4a∼4n)은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컨텐츠 서버를 결정하면, 미리 정해진 통신 캐리어의 접속 센터(4a∼4n)에 접속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컨텐츠 서버로부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에,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기술하고, 또한, 각 단말에 기억시킨 통신 캐리어 식별자를 사용하여,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판독하는 컨텐츠 서버를 결정함으로써, 브라우저 언어의 다른 단말이어도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2)정보배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도 2에, 배신장치(10)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AV데이터 기억부(13)에는 화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스트림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다.
테이블 기억부(14)에는, URI를 결정하기 위한 테이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 사양정보생성부(16)는, 테이블 기억부(14)에 기억된 테이블 데이터를 배치한 프로그램 사양정보(PSI)의 섹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송신 제어부(15)는 AV데이터 기억부(13)에 기억된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프로그램 사양정보의 섹션 데이터를 취득하여, 다중화부(17)에 전한다. 다중화부(17)는 각 스트림 데이터 및 상기 프로그램 사양정보의 섹션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1개의 스트림으로서, 송신부(19)에 전한다. 송신부(19)는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송신한다.
(3)단말의 기능 블록도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인 단말(4a)의 기능 블록도를 도 3에 나타낸다. 단말(4a)은 기억수단(27), 수신수단(21), 보고 데이터 생성수단(23), 보고수단(25), URI결정수단(31),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수단(33) 및 입력수단(29)을 구비하고 있다.
수신수단(21)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된 1)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및 2)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특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보고 데이터 생성수단(23)은 상기 특성 데이터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기초해서, 보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보고수단(25)은 상기 보고 데이터를 보고한다. 기억수단(27)은 통신 캐리어 식별자를 기억한다. 입력수단(29)에는,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그램관련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명령이 입력된다. URI 결정수단(31)은 입력수단(29)으로부터 취득 명령이 주어지면, 상기 특성 데이터 중의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 및 상기 통신 캐리어 식별자를 판독하고,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URI를 결정한다.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수단(33)은 결정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 생성수단(23)에 전한다. 이로 인해,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단말이어도, 프로그램에 의해 다른(동적으로 변화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4)단말의 하드웨어 구성
도 4에 단말(4a)의 외관평면도를 나타낸다. 단말(4a)은 인터넷용 브라우저 기능이 첨부된의 휴대전화에,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화상 및 음성 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림 데이터 수신기능이 부가된 단말이다. 도 4에 나타내는 펑션 버튼(506)을 누르고, 메뉴를 표시부(52)에 표시하여 선택함으로써, 방송 서비스의 선택, 전화로의 전환 등의 각종 처리를 할 수 있다. 정보취득 버튼(5Oa)은 방송 데이터 수신 중에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을 희망할 경우에 유저가 그것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정보취득 버튼(50a)이 눌렸을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에 단말(4a)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단말(4a)은 방송 데이터 수신부(54), 표시부(52), 음성출력부(53), ROM(40), RAM(42), CPU(44), 플래시 메모리(46), 통신부(48), 도 4에 나타내는 각종 키로 구성된 입력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방송 데이터 수신부(54)는 통상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마찬가지로,튜너, 트랜스포트 스트림데이터(TS디코더) 및 AV디코더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52)는 LCD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48)는 센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표시부(52), 음성출력부(53)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54)에서 수신된 AV데이터가 주어지면, 이것을 표시·음성출력한다.
플레시 메모리(46)에는, 후술하는 각종 프로그램, 캐리어별 ID가 기억되어 있다.
(5)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처리
이하, 도 6을 사용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A사의 통신 캐리어 단말(4a)에서, 어떤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시청 중에, 도 4에 나타내는 정보취득 버튼(50a)이 눌린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방송국(2)은 도 7에 나타내는 캐리어별 URI테이블을 특성 데이터PMT(program map table)에 기술해서 송신한다. 예를 들면, PMT의 기술자 영역(1) 또는 기술자 영역(2)에 기억할 수 있다. 또한, 기술자 영역(2)은 엘리멘터리 스트림(ES)마다 기억가능하므로, 어느 것에 기억할지는 송수신간에서 특정해 두면 좋다.
단말(4n)의 유저는, 입력부(50)(도 5참조)로부터 희망하는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선국 명령을 입력한다. 이로 인해, CPU(44)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54)에 선국 조건을 세트한다.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 표시부(52)에 표시되고, 음성 스트림 데이터는 음성출력부(53)로부터 출력된다. 표시된 화상을 보고,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정보취득 버튼(50a)을 누른다. 예를 들면,OO전기의 CM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지금, OO전기에서는 여름의 바겐세일 실시중! 상세히는, 정보취득 버튼을 눌러 주십시요」등이 표시되면, 열람을 희망하는 유저는 정보취득 버튼(50a)를 누른다.
이 경우의, 상세 플로우차트에 대해서, 도 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CPU(44)는 특성 데이터PMT(program map table)로부터 캐리어별 URI테이블을 판독한다(도 6 스텝 S1). 이 경우, 도 7에 나타내는 캐리어별 URI테이블이 판독된다. CPU(44)는 플래시 메모리(46)에 기억된 통신 캐리어 식별자인 통신 캐리어ID를 판독한다(스텝 S3). 이 경우, 통신 캐리어ID "A사"가 판독된다.
CPU(44)는 일치한 것을 특정하여, URI를 결정한다(스텝 S7). 이 경우, 통신 캐리어ID "A사"가 일치하므로, URI "http://www.A-CO.LTD/pana/국내/여행/index.html"이 결정된다. CPU(44)는 통신부(48)를 통해서, 미리 정해진 센터와의 통신을 확립한다(도 6 스텝 S9).
센터를 통해서, 결정한 URI로 특정되는 파일의 다운로드 요구를 행한다(스텝 S11). 이 경우, 파일 "http://www.A-CO.LTD/pana/국내/여행/lndex.html"은 통신 캐리어 A사가 채용하고 있는 브라우저 언어로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C-HTML언어로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CPU(44)는 이러한 URI로 특정된 C-HTML파일을 받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3), 수신하면, 받은 파일을 해석해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도 5에 나타내는 표시부(52)에 전한다. 이로 인해, 파일 "http://www.A-CO.LTD/pana/국내/여행/index.html"이 표시부(52)에 표시된다. 예를들면, 「지금의 바겐세일품 X사 밥솥×××, 금일중 29800엔!」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밥솥×××의 화상이 표시된다.
CPU(44)는 새로운 URI취득요구가 주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7), 주어지면, 스텝 S11 이하를 반복한다.
또한, B사의 통신 캐리어 단말(4b)에서, 소정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프로그램을 시청 중에, 도 4에 나타내는 정보취득버튼(50a)이 눌린 경우에는, 도 6 스텝 S3에서, 통신캐리어ID "B사"가 판독된다.
CPU(44)는 통신 캐리어ID "B사"가 일치하므로, URI "http://www.B-CO.LTD/pana/국내/여행/index.html" 이 결정된다. CPU(44)는 통신부(48)를 통해서, 미리 정해진 센터와의 통신을 확립한다(도 6 스텝 S9).
단말(4b)의 CPU(44)는 센터를 통해서, 결정한 URI로 특정되는 파일의 다운로드 요구를 행한다(스텝 S11). 이 경우, 파일"http//www.B-CO.LTD/pana/국내/여행/index.html"이 다운로드 대상으로서 지정된다. 여기에서는, 파일"http://www.B-CO.LTD/Dana/국내/여행/index.html"은 통신 캐리어 B사가 채용되고 있는, HDML언어로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CPU(44)는 이러한 URI로 특정되는 HDML데이터를 받으면, 받은 파일을 해석하고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도 5에 나타내는 표시부(52)에 전한다. 이로 인해, 파일"http://www.B-CO.LTD/pana/국내/여행/index.html"이 표시부(52)에 표시된다. 이 경우도, 통신 캐리어별로 기술 언어를 바꿔서 다른 URI에 기억시킨 것뿐이며, 실체 데이터는 같다. 따라서, 단말(4b)에는, 단말(4a)과 같은 화상이 표시된다.
이렇게 하여, 단말의 통신 캐리어ID마다, 다른 브라우저 언어로 기술된 컨텐츠 데이터의 URI가 결정되고, 다운로드가 이루어진다. 또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에 혼재해서 송신되고 있다. 따라서,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부분이 없어도,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URI결정 프로그램은 미리 각 단말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스크립트로 보낼 경우와 달리,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을 각 단말에서 생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말의 식별자를 사용해서 단말측에서 액세스처를 전환하도록 했다. 이로 인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인터넷 상에서는, 완전한 쌍방향을 실현할 수 있고, 단말로부터 서버에 대해서 요구 출력하고, 결과를 서버로부터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방송의 경우는, 의사적인 쌍방향통신을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의사적인 쌍방향통신으로, 자신의 브라우저의 종류를 서버에 요구로서 보낼 수 없는 경우라도, 단말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 요구를 할 때에, 단말로부터 주어지는 리퀘스트의 헤더정보로부터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단하고, 컨텐츠 서버가 송신하는 파일을 전환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방송의 경우는, 같은 시간에 같은 프로그램이 다수의 단말에서 수신되고, 그 결과, 그것을 시청한 다수의 시청자가 대략 같은 시기에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요구가, 배신 서버에 주어지는 일이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단말이 리퀘스트를 내고나서 컨텐츠 데이터를 받을 때까지의 리스폰스가 저하한다. 이에 대해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말에서 받는 컨텐츠데이터 파일을 단말측에서 결정하고 있으므로, 요구로부터 수취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6)URI를 생성하는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PMT에 통신 캐리어별의 URI로 구성된 테이블을 송신하고, 각 단말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 이에 대해서, URI 중 공통 부분을 PMT에 기술해서 송신하고, 각 단말에서 통신 캐리어별로 다른 부분을 대입하여, URI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불완전한 URI를 PMT에 기술해 두고, 수신단말이 A사의 것인 경우, 도 8의 A의 *부분에, A사의 ID인 "A-CO.LTD"를 대입하고, URI "http://www.A-CO.LTD/pana/국내/여행/index.html" 을 생성하면 좋다.
이후는 제1실시예와 같다. 이 경우, 테이블을 보낼 경우와 비교해서, 데이터량이 적어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7)기타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비디오기기 등에 기억해 두고, 나중에 재생할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브라우저기능이 첨부된 휴대전화에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설치했지만, 브라우저기능이 첨부된 휴대전화에 디지털 라디오방송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프로그램관련 정보로서는, 원래의 브라우저로 화면에 보고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취득 버튼(50a)을 전용 버튼으로서 설치하고있지만,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수신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소프트스위치를 화면 내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로그램관련 정보방송장치로서, 휴대전화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텔레비전(121)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선국이나 인터넷으로의 변환 등은 리모트 컨트롤(122) 등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용 퍼스널 컴퓨터(103)에 전용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수신기능을 갖는 보드(101)(카드 등도 포함한다)를 접속하고,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105)에 표시하고, 프로그램관련 정보는 퍼스널 컴퓨터의 브라우저 프로그램으로 표시 등 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 내부에 브라우저 언어식별자를 기억해 두고, 특성 데이터 중의 URI결정 기초 데이터로부터 취득처의 URI를 특정하도록 하면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에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수신처리기능 및 인터넷 통신기능의 쌍방을 구비하고, 휴대 단말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표시만, 화면이 큰 노트북 등에 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의 하드웨어 구성으로서는, 상기 실시예와 대략 같다. 노트북의 AV입력단자(도시생략)에 방송 데이터 수신부에서 수신한 AV스트림 데이터를 출력하는 점, 또한, 노트북과의 데이터의 교환은 USBIF56을 통해서 행해지는 점이 다르다.
또, 휴대 단말에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수신처리기능을 설치하고, 인터넷 통신기능을 통신보드로 실현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휴대 단말을 예로 설명했지만, 위성 디지털 방송이어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기기에 통신 캐리어ID가 아닌, 브라우저 언어식별자를 직접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기억하는 특성 데이터로서 PMT를 채용했지만, PSI(프로그램 사양정보)이면, PMT 이외이어도 좋다. 또한, PSI가 아니고, SI(프로그램 배열정보)에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EIT에 기억하면 좋다.
또,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스트림 기술자, 예를 들면, NPT참조 기술자, 또는 범용 이벤트 메시지 기술자 등에 기술하도록 해도 좋다. 범용 이벤트 메시지 기술자에 기술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프라이빗 데이터 바이트에 기록해 두면 좋다. 또한, 스트림 기술자는 테이블id가 DII메시지, DDB메시지와 다른 0X3D로 송신된다. 따라서, DII메시지, DDB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있어도, 수신가능하다. 또한, 스트림 기술자에 기술함으로써, 프로그램 도중에 전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저의 지령으로 URI결정 처리를 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저의 결정키가 눌리면, URI결정처리로 이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CM방송 중에, 버튼(50a)이 눌리면, 상품의 구입사이트로 이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저가 도 4에 나타내는 버튼(50a)을 누를 수 있는 타이밍을 화면 중에 표시하도록 했지만, 다른 방법으로 이것을 보고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버튼(50a)을 점멸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전환 준비완료 상태인 것을 유저에 알릴 수 있다.
또, URI결정 기초 데이터로서, 각 통신 캐리어용 컨텐츠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존재여부정보를 채용하고, 존재할 경우에, 별도로 정해져 있는 URI취득 서버에, 수신 중의 프로그램의 이벤트id를 건네어 대응URI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도, 존재여부정보로서, 각 브라우저 언어용 컨텐츠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존재여부정보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저가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을 지정했을 경우에, URI결정처리를 실행하도록 했지만, 이러한 타이밍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캐리어마다, 각 파일을 그룹화하도록 했지만, 각 파일의 디렉토리 구조에 대해서는 임의이다. 즉, 컨텐츠 데이터마다 정리해 두고, 이것을 캐리어별로 나누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http://www.pana/국내/여행/A-CO.LTD/index.html", http://www.pana/국내/여행/B-CO.LTD/index.htm1, http://www.pana/국내/여행/C-CO.LTD/index.html과 같이 분류해도 좋다.
또한, 방송은 1 대 다(多)이므로, 같은 시기에 캐리어별의 센터 컴퓨터에의 액세스가 집중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단말에 지역id나, 그룹id를 기억해 두고, 또한, 상기 URI를 세분화해 두면 좋다. 예를 들면, 같은 A사용 URI로서, "http://www.pana/국내/여행/A-CO.LTD/index.html"을 "http://www.pana/국내/여행/A-CO.LTD/osaka/index.html", "http://www.pana/국내/여행/A-CO.LTD/시코쿠/lndex.html" ···과 같이 지역마다 분할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 전화번호 등으로 세분화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말미의 숫자 등이다.
또한, 브라우저 언어식별자와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유무의 집합으로 구성된 대응 테이블, 또는, 통신 캐리어 식별자와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유무의 집합으로 구성된 대응 테이블을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혼재해서 방송하고, 각 수신단말에서는, 이 대응 테이블에 기초해서, 상기 URI결정 서버에의 통신 가부를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관련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만, 상기 URI결정 서버와의 통신을 시작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단말에서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단말에 있어서의 음악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등의 재생가능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이 다른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CPU를 사용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것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그 일부 또는 모두를, 로직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의 일부의 처리를 오퍼레이팅 시스템(OS)으로 시키도록 해도 좋다.
1)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은,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함과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 중에 혼재해서 방송하고, 각 수신단말에서는,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여, URI를 결정하고, 결정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따라서, 각 단말에 특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면, 상기 단말의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에 따른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단말에 여분의 기능을 탑재할 필요가 없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컨텐츠 서버의 URI결정은 각 단말 내에서 결정되므로,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처의 URI를 컨텐츠 서버와의 통신으로 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컨텐츠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2)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는 상기 단말에 있어서의 통신 캐리어 식별자이다. 따라서, 통신 캐리어마다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경우라도, 각 단말에 따른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3)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는 상기 단말에 있어서의 브라우저 언어식별자이다. 따라서, 단말에 의해 탑재하고 있는 브라우저의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경우라도, 각 단말에 따른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4)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상기 스트림의 프로그램 배열정보(SI)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배열정보를 취득하는 것만으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배열정보에 기억함으로써, 프로그램마다, 서비스마다, 또는 네트워크마다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기술할 수 있다.
5)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상기 프로그램 배열정보의 EIT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EIT를 취득 하는 것만으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EIT에 기억함으로써, 완전히 프로그램에 대응시켜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기술할 수 있다.
6)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상기 스트림의 프로그램 사양정보(PSI)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배열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간이수신 시스템이라도,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7)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상기 프로그램 사양정보의 PMT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배열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간이수신 시스템이라도, PMT를 취득하는 것만으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8)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상기 스트림의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의 스트림 기술자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임의의 시간에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간단히 송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벤트) 도중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처를 전환할 수 있다.
9)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URI와 통신 캐리어 식별자의 조합 데이터의 집합으로 구성된 대응 테이블이며,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통신 캐리어 식별자와 일치하는 조합 데이터가 특정되어 URI가 결정된다. 따라서, 대응 테이블로부터 선택하는 것만으로, URI를 특정할 수 있다.
10)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단말속성식별데이터는 상기 단말에 있어서의 통신 캐리어 식별자이며,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URI 중, 상기 통신 캐리어 식별자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데이터이며,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통신 캐리어 식별자를 부가함으로써, URI가 결정된다. 따라서, 대응 테이블로부터 선택하는 것만으로, URI를 특정할 수 있다.
11)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는 상기 단말에 있어서의 브라우저 언어식별자이며,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URI 중, 브라우저 언어식별자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데이터이며,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브라우저 언어식별자를 부가함으로써, URI가 결정된다. 따라서, URI와 브라우저 언어식별자의 조합 데이터를 보내는 경우와 비교해서, 특성 데이터 중에 보내는 데이터량을 적게 할 수 있다.
12)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의 조합 데이터의 집합으로 구성된 대응 테이블이며, 각 수신단말은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와 일치하는 조합 데이터를 특정하고, 그 플래그가 컨텐츠 서버로부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URI결정 서버에, 수신 대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특정 식별자를 송신하고,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컨텐츠 서버의 URI를 받고, 이러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따라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에, URI결정 서버에의 액세스가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URI결정 서버에의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다.
13)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수신단말은 유저의 지령으로 URI결정처리를 시작한다. 따라서, 유저지령이 있으면,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14)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수신단말은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재생 중에, 상기 유저에 의한 지령이 주어지면, 상기 URI결정처리를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방송 중의 유저가 소망하는 타이밍에서, 상기 결정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15)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수신단말은, 새로운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것을 갱신하고, 유저의 지령이 주어지면, 상기 최신의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사용해서 URI결정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유저로부터 지령이 주어지면, 바로,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16)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수신단말은 새로운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러한 데이터 중,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와 합치하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기억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만을 기억함으로써, 메모리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17)본 발명에 관한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는, A)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된 1)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및 2)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B)상기 수신한 특성 데이터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기초해서,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보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고 데이터 생성수단, C)상기 보고 데이터를 보고하는 보고수단, D)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E)조작자로부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명령이 주어지면, 상기 제어 정보 중의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 및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URI를 결정하는 URI결정수단, F)결정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보고 데이터 생성수단에 부여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각 단말에 여분의 기능을 탑재할 필요가 없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단말의 이해가능한 브라우저 언어로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해 둠으로써, 통신 캐리어마다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경우라도, 그에 따른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의 URI결정은 각 단말 내에서 결정되므로,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처의 URI를 컨텐츠 서버와의 통신으로 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컨텐츠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18)본 발명에 관한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스트림 데이터수신장치는 브라우징기능이 첨부된 휴대전화이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수단은 통신 캐리어별로 통신 센터의 서버를 통해서, 상기 컨테츠 서버에 액세스한다. 따라서, 종래의 브라우징기능이 첨부된 휴대전화에, 프로그램 데이터 수신수단 및 제어정보 수신수단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수신단말을 실현할 수 있다.
19)본 발명에 관한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는 표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방송 데이터로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프로그램관련 정보로서 표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2O)본 발명에 관한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는 표시 데이터이다. 따라서, 방송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프로그램관련 정보로서 표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21)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된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더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가 혼재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URI를 결정하고, 이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따라서, 각 단말에 여분의 기능을 탑재할 필요가 없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단말을 이해할 수 있는 브라우저 언어로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해둠으로써, 통신 캐리어마다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경우라도, 그에 따른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의 URI결정은 각 단말 내에서 결정되므로,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처의 URI를 컨텐츠 서버와의 통신으로 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컨텐츠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22)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방송장치는, A)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기억수단, B)각 수신단말이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기억수단, C)상기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하는 방송수단을 구비하고, D)상기 방송수단은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 중에 혼재해서 방송한다. 따라서, 각 단말에 여분의 기능을 탑재할 필요가 없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단말을 이해할 수 있는 브라우저 언어로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해 둠으로써, 통신 캐리어마다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경우라도, 그에 따른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의 URI결정은 각 단말 내에서 결정되므로,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처인 URI를 컨텐츠 서버와의 통신으로 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컨텐츠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23)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방송장치는,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함과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 중에 혼재해서 방송한다. 따라서, 각 단말에 여분의 기능을 탑재할 필요가 없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단말을 이해할 수 있는 브라우저 언어로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해 둠으로써, 통신 캐리어마다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경우라도, 그에 따른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의 URI결정은 각 단말 내에서 결정되므로,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처인 URI를 컨텐츠 서버와의 통신으로 결정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컨텐츠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26)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하고, 각 수신단말은 URI결정 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의 프로그램특정 식별자 및 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건네고,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를 받고, 이러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따라서, 각 단말에 특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면,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단말에 여분의 기능을 탑재할 필요가 없어,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단말을 이해할 수 있는 브라우저 언어로 컨텐츠 서버에 업로드해 둠으로써, 통신 캐리어마다 브라우저 언어가 다른 경우라도, 그에 따른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의 URI결정은 URI결정 서버와의 사이에서 결정할 수 있으므로, 특성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프로그램관련 정보의 취득처인 URI기초 데이터를 방송할 필요가 없다.
27)본 발명에 관한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에 있어서는,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와 프로그램관련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존재 데이터로 구성된 대응 테이블을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혼재해서 방송하고, 각 수신단말에서는, 이 대응 테이블에 기초해서, 상기 URI결정 서버에의 통신 가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프로그램관련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만, 상기 URI결정 서버와의 통신을 시작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28)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a)방송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b)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재생수단, c)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d)유저로부터의 명령이 주어지면,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URI결정 기초 데이터 및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다운로드 대상 데이터의 URI를 결정하는 URI결정수단, e)상기 결정된 URI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이것을 재생하는 제2재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의 단말속성에 따라서 다른 URI에 데이터를 기억해 둠으로써, 상기 단말속성이 다른 단말에서, 단말의 제2재생수단에 일치한 데이터를 다운로드해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신단말」이란 송신 장치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를 말하고, 표시장치를 갖지 않는 소위 셋톱박스나, 표시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세트의 쌍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송신장치로부터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 휴대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도 포함한다.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란 단말의 속성을 식별하는 데이터이며, 실시예에서는, 각 단말에 있어서의 통신 캐리어 식별자 또는 브라우저 언어식별자가 해당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말에 있어서의 재생 데이터(음악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등)의 재생가능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도 포함한다.
「제1재생수단」은 실시예에서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54), 표시부(52) 및 음성출력부(53)가 해당된다.
「제2재생수단」은 실시예에서는, 브라우저 프로그램에 기초한 CPU의 표시 처리가 해당된다.
「특성 데이터」란, 스트림 데이터를 구성하는 패킷에 관한 특성을 기술한 데이터를 말하고, 실시예에서는 PMT에 해당된다.
「URI결정 기초 데이터」란, 단말에서 URI를 결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말하고,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캐리어별 URI테이블이 해당된다.
「통신로」란 유선일 경우는 물론 무선일 경우도 포함한다.
「통신로를 통해서 취득한다」란 1 대 1의 통신뿐만아니라, 1 대 다의 방송도 포함한다.
「구조기술형 언어기술 데이터」란, 문서 데이터를 표시할 경우의 배치위치, 문자열의 크기, 참조하는 도형 데이터에 관한 정보 등의 표시지정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를 말하고, 실시예에서는, BML언어로 기술된 데이터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HTML, XML형 데이터, MHEG규격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유저 특성정보」란 실시예에서는 유저 속성이 해당된다.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란, 프로그램을 기록한 ROM, RAM, 플렉시블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를 말한다. 또한, 전화회선, 반송로 등의 통신 매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CPU에 접속되어, 기록된 프로그램이 직접 실행되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뿐만아니라, 일단 하드디스크 등에 인스톨한 후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CD-ROM 등의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프로그램」이란, CPU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소스형식의 프로그램, 압축처리된 프로그램, 암호화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데이터를 기록한 기록매체」란, 데이터를 기록한 ROM, RAM, 플렉시블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를 말한다. 또한, 전화회선, 반송로 등의 통신 매체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데이터」란, CPU가 직접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암호화된 데이터, 패킷화된 데이터, 반송파에 탑재된 데이터(즉 데이터에 의해 변조한 반송파)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했지만, 한정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아니며, 설명을 위해 사용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일탈하는 일없이,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8)

  1.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함과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 중에 혼재해서 방송하고,
    각 수신단말에서는,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여, URI를 결정하고, 결정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 데이터는 상기 단말에 있어서의 통신 캐리어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정보 식별 데이터는 상기 단말에 있어서의 브라우저 언어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상기 스트림의 프로그램 배열정보(SI)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상기 프로그램 배열정보의EIT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상기 스트림의 프로그램 사양정보(PSI)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상기 프로그램 사양정보의 PMT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상기 스트림의 이벤트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의 스트림 기술자에 기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URI와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의 조합 데이터의 집합으로 구성된 대응 테이블이며,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와 일치하는 조합 데이터가 특정되어, URI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는 상기 단말에 있어서의 통신 캐리어 식별자이며,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URI 중, 상기 통신 캐리어 식별자에 해당되는 부분을 제외한 데이터이며,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통신 캐리어 식별자를 부가함으로써, URI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는 상기 단말에 있어서의 브라우저 언어식별자이며,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URI 중, 브라우저 언어식별자에 해당되는 부분을 제외한 데이터이며,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브라우저 언어식별자를 부가함으로써, URI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와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의 조합 데이터의 집합으로 구성된 대응 테이블이며,
    각 수신단말은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와 일치하는 조합 데이터를 특정하고, 그 플래그가 컨텐츠 서버로부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URI결정 서버에, 수신대상 프로그램의 프로그램특정 식별자를 송신하고,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컨텐츠 서버의 URI를 받아서, 이러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은 유저의 지령으로 URI결정처리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은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재생 중에, 상기 유저에 의한 지령이 주어지면, 상기 URI결정처리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은 새로운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것을 갱신하고, 유저의 지령이 주어지면, 상기 최신의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사용해서 URI결정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은 새로운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러한 데이터 중, 상기 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판독해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17.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된 1)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및 2)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한 특성 데이터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기초해서, 영상 및 또는음성을 포함하는 보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고 데이터 생성수단;
    상기 보고 데이터를 보고하는 보고수단;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조작자로부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명령이 주어지면, 상기 제어정보 중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 및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URI를 결정하는 URI결정수단; 및
    결정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해서, 상기 보고 데이터 생성수단에 부여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는 브라우징기능이 첨부된 휴대전화이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수단은 통신 센터의 서버를 통해서, 상기 컨텐츠 서버에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는 표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는 표시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림 데이터 수신장치.
  21.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된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에 더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가 혼재된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URI를 결정하고, 이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22.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기억수단;
    각 수신단말이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2기억수단; 및
    상기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하는 방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송수단은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 중에 혼재해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방송장치.
  23.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함과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를 상기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 중에 혼재해서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방송방법.
  24. 1)비디오 스트림 데이터, 오디오 스트림 데이터, 이들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
    2)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유저에 보고하는 보고부; 및
    3)네트워크에 접속된 센터 컴퓨터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
    를 구비한 방송 데이터 수신단말을,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 장치로서 기억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수신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특성 데이터 중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URI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5.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결정 기초 데이터로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와,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URI와의 대응 테이블로 구성된 데이터를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6. 영상 및 또는 음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방송하고,
    각 수신단말은 URI결정 서버에, 상기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특정 식별자 및 단말 내에 기억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건네고,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I를 받고, 이러한 URI로 특정되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와 프로그램관련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프로그램관련 정보 존재 데이터로 구성된 대응 테이블을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혼재해서 방송하고, 각 수신단말에서는, 이 대응 테이블에 기초해서, 상기 URI결정 서버에의 통신 가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방법.
  28. 방송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1재생수단;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유저로부터의 명령이 주어지면, 상기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는 URI결정 기초 데이터 및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단말속성 식별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URI결정 기초 데이터에 기초해서, 다운로드 대상 데이터 URI를 결정하는 URI결정수단; 및
    상기 결정된 URI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이것을 재생하는 제2재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장치.
KR10-2003-7016573A 2001-07-25 2002-07-08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178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24219 2001-07-25
JP2001224219 2001-07-25
PCT/JP2002/006921 WO2003010962A1 (en) 2001-07-25 2002-07-08 Program-related information fetch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816A true KR20040017816A (ko) 2004-02-27

Family

ID=1905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573A KR20040017816A (ko) 2001-07-25 2002-07-08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205218A1 (ko)
EP (1) EP1411723A4 (ko)
JP (1) JP4119838B2 (ko)
KR (1) KR20040017816A (ko)
CN (1) CN1324891C (ko)
WO (1) WO20030109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207A (ko) * 2009-03-25 201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3586B2 (ja) * 2003-09-12 2008-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4096915B2 (ja) * 2004-06-01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US7904575B2 (en) * 2006-08-25 2011-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protocols of embedded audio/video contents
KR100801004B1 (ko) * 2006-08-25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임베디드 aⅴ 컨텐츠의 프로토콜 매칭 장치 및 방법
EP1901452A1 (fr) 2006-09-13 2008-03-19 Nagravision S.A. Méthod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de services dans différents types de réseaux de diffusion
JP4977898B2 (ja) * 2009-08-27 2012-07-18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携帯端末
EP2712190A4 (en) * 2011-05-20 2014-11-12 Japan Broadcasting Corp COOPERATIVE BROADCAST COMMUNICATION RECEPTION DEVICE
CN102724573B (zh) * 2012-05-31 2014-09-10 江苏省广电有线信息网络股份有限公司无锡分公司 一种数字电视个性化节目选择和排序的方法
JP7301663B2 (ja) * 2019-07-31 2023-07-03 Tvs Regza株式会社 通知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281A (en) * 1994-09-07 1998-09-01 Rsi Systems, Inc. Peripheral audio/video communication system that interfaces with a host computer and determines format of coded audio/video signals
US5961603A (en) * 1996-04-10 1999-10-05 Worldgate Communications, Inc.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access to an information source through a networked distribution system
CN1187090A (zh) * 1996-11-27 1998-07-08 摩托罗拉公司 无线音频视频会议和电话的装置、方法和系统
US6610105B1 (en) * 1997-12-09 2003-08-26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source access in a mobile environment
IL136918A0 (en) * 1998-01-09 2001-06-14 Swisscom Ag Method for interactive telecommunication
US6459427B1 (en) * 1998-04-01 2002-10-01 Liberate Technologies Apparatus and method for web-casting over digital broadcast TV network
TR200101580T2 (tr) * 1998-12-02 2001-11-21 Swisscom Mobile Ag Programa eşlik eden verileri almaya ve işlemeye yarayan seyyar aygıt ve yöntem.
US7089579B1 (en) * 1998-12-20 2006-08-08 Tvworks, Llc System for transporting MPEG video as streaming video in an HTML web page
JP2000197018A (ja) * 1998-12-25 2000-07-14 Toshiba Corp デジタル映像コンテンツにおける番組関連情報のmpegトランスポ―トストリ―ムへの挿入方法、番組関連情報に対応するアプリケ―ションソフトウェアの起動方法及びデジタル映像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
JP4244432B2 (ja) * 1999-03-31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伝送方法、伝送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7120167B1 (en) * 1999-06-03 2006-10-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ing system and its method
JP3492265B2 (ja) * 1999-10-29 2004-02-03 ボーダフォン株式会社 デジタル無線電話によるメッセージ通信システム
US6519771B1 (en) * 1999-12-14 2003-02-11 Steven Ericsson Zenith System for interactive chat without a keyboard
GB2365287B (en) * 1999-12-16 2002-11-06 Actv Inc Method using a local host for network communication
JP2001195335A (ja) * 2000-01-14 2001-07-19 Toppan Printing Co Ltd コンテンツデータ流通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流通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877769B2 (en) * 2000-04-17 2011-01-25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descriptor and extended information descriptor data structures for digital television signals
JP2001358745A (ja) * 2000-06-09 2001-12-26 Toshiyuki Nakanishi 適合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020087969A1 (en) * 2000-12-28 2002-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TV audience estimation and program rating in real-time using multi level tracking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207A (ko) * 2009-03-25 201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10962A1 (ja) 2004-11-18
CN1324891C (zh) 2007-07-04
EP1411723A4 (en) 2006-07-05
WO2003010962A1 (en) 2003-02-06
US20040205218A1 (en) 2004-10-14
EP1411723A1 (en) 2004-04-21
CN1535534A (zh) 2004-10-06
JP4119838B2 (ja)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7551B (zh) 移动电视频道和服务访问过滤
US8892636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JP5051444B2 (ja) 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方法、記録再生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US8973026B2 (en) Decoding media content at a wireless receiver
US20090328099A1 (en) Broadcast system with a local electronic service guide generation
US200600754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music
MX2008002599A (es) Metodo de suministro de modelos de mensajeria en guia de servicio de radiodifusion digital.
KR20070033559A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데이터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29566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이용한미리보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0701748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brief information on data broadcasting servic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terminal
US7567793B1 (en) Inform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method
WO2007071946A1 (en) An enhanced interactive television return path
KR20040017816A (ko) 프로그램관련 정보취득시스템 및 그 방법
JP6864811B2 (ja) 放送コンテンツ再生装置
CN105208449A (zh) 一种同步浏览涉及播出电视节目相关资讯的方法及系统
CN113747183A (zh) 一种直播视频分享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KR20060021485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dmb 방송 검색 시스템 및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US200800722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mime type in digital video broadcasting terminal
KR100827156B1 (ko) 방송 화면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dvb―h 시스템
JP2003153218A (ja) 番組関連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及びポータルサーバ及び番組関連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及び番組関連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US200702947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SG in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JP5013043B2 (ja) 番組配信システム
KR10070385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US8578424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JP2024035527A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