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765A -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765A
KR20040017765A KR1020020050207A KR20020050207A KR20040017765A KR 20040017765 A KR20040017765 A KR 20040017765A KR 1020020050207 A KR1020020050207 A KR 1020020050207A KR 20020050207 A KR20020050207 A KR 20020050207A KR 20040017765 A KR20040017765 A KR 20040017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card
card
identity verif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택
박재현
주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비젼
Priority to KR102002005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7765A/ko
Publication of KR2004001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7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two-dimensional arrays
    • H04N1/1959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two-dimensional arrays using a television camera or a still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과 같은 신원정보를 포함하는 신분증을 이용하여 본인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인확인 대상자의 신분증을 이용하여 본인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을 투입하기 위한 신분증 투입구; 상기 투입된 신분증을 소정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신분증 가이드부; 상기 정위치로 가이드된 신분증에 대해서 소정의 신원정보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신분증 카메라부;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에 의한 상기 촬영에 있어서 상기 신원정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부; 및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에 대해서 반사설정된 광로를 제공하는 광학거울부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장치로서,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는 상기 광학거울부에 대해서 동일한 분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는 조명을 위해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광원부를 매개하여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으로부터 상기 신원정보 영역을 조사하기 위한 간접광을 유도하는 중간 매개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본인확인 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에 따르면 신분증에 포함되어 있는 신원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추출함으로써 본인확인을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A device for verifying the personal identity using a identification card}
본 발명은 지문과 같은 신원정보를 포함하는 신분증을 이용하여 본인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서로 상이한 형태의 지문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특징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변화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로 본인을 확인함에 있어서 지문을 대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고, 이를 위해 주민등록증 등의 신분증은 지문정보를 포함하도록 되었다.
이에,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 등에서는 본인확인을 위해서 필요한 경우 주민등록증 등의 신분증에 포함되어 있는 지문정보와 대상자로부터 직접 획득한 생체지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본인확인을 수행하게 되는데, 종래로 이러한 과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이를 위해, 2000년 10월 26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0-0063083호의 "주민등록증을 이용한 본인확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나 2001년 1월 9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1-0001127호의 "지문판독에 의한 사용자 인증장치 및 방법", 그리고 2001년 1월 12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1-0002741호의 "주민등록증의 지문과 주민등록증의 지문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생체지문을 이용한 신분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2001년 3월 8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1-0012106호의 "주민증을 이용한 본인확인기" 등이 제안되었다.
전술한 특허출원에 개시된 발명은 모두 주민등록증에 포함된 지문정보와 대상자로부터 직접 취득한 생체지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대상자의 신원확인 또는 본인확인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최초의 특허출원일 이전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의해 출원공개된 바, 본 발명의 해석 및 심사에 있어서 참고자료로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출원에 개시된 발명은 주민등록증의 날인지문과 생체지문을 비교함으로써 그 순간의 본인확인 기능에만 치중하는 것에 불과할 뿐, 본인확인 문제에 대해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미연에 대비하기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라는 면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는 바가 없다. 더욱이, 이들 특허출원에 개시된 발명은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본인확인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이고도 효과적인 촬영구조 및 조명구조 등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는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신원정보를 구비한 신분증을 이용하는 본인확인 장치로서, 지문 및 번호(예컨대, 주민등록번호)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신분증에 포함되어 있는 신원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추출하여 본인확인을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한 본인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원정보를 구비한 신분증을 이용하는 본인확인 장치로서, 광학거울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광로를 반사설정함으로써 제품 사이즈에 대한 최적화가 가능하도록 한 본인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원정보를 구비한 신분증을 이용하는 본인확인 장치로서,빛의 분산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된 매개체에 광원을 조사하여 여기에서 발생하는 간접광을 신분증의 촬영을 위한 조명으로 이용함으로써 카메라를 이용한 데이터 획득에 있어서 오차율을 감소시켜 정확한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도록 한 본인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의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의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의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생체지문 입력모듈의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5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신분증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광학거울을 이용하여 신분증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7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와 신분증 간의 구성을 이용하여 획득한 촬영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와 신분증 간의 구성을 이용하여 획득한 촬영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9는 카메라와 신분증 간에 반사형 광로설정을 불완전하게 구성한 경우에 획득되는 촬영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와 조명시스템 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와 조명시스템 간의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 신분증 카메라 모듈
130 : 정면 카메라 모듈
140, 150 : 광학거울
160 : 광원부착판
170 : 투명 아크릴 판
180 : 신분증 투입구 가이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본인확인 대상자의 신분증을 이용하여 본인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을 투입하기 위한 신분증 투입구; 상기 투입된 신분증을 소정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신분증 가이드부; 상기 정위치로 가이드된 신분증에 대해서 소정의 신원정보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신분증 카메라부;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에 의한 상기 촬영에 있어서 상기 신원정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부; 및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에 대해서 반사설정된 광로를 제공하는 광학거울부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장치로서,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는 상기 광학거울부에 대해서 동일한 분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는 조명을 위해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광원부를 매개하여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으로부터 상기 신원정보 영역을 조사하기 위한 간접광을 유도하는 중간 매개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본인확인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100)의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인확인 대상자의 신분증을 장치(100)의 신분증 투입구 가이드(180)를 통해서 투입하고 소정의 조작을 수행하면, 본인확인 장치(100)가 신분증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한 신원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본 장치의 운영자에게 표시되도록 한다한다.
전술한 정보표시 기능을 위해서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외부 전산장치,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와의 다목적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고,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데이터를 전달하여 외부 전산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1에 도시된 본인확인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신분증의 양면을 모두 촬영하기 위해서 2조의 신분증 카메라 모듈(110, 12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2조의 신분증 카메라 모듈(110, 120)을 구비하여 신분증의 양면을 모두 촬영함으로써 신분증에 포함된 신원관련 정보, 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발급일자, 주소, 사진, 발급기관명, 날인지문, 및 주소지 변경사항의 전부 또는 주요한 일부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촬영대상 신분증에서 본인확인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신원관련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특히 "신원정보 영역"이라고 기술한다.
다만,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100)는 주민등록증과 같이 신분증의 양면에 걸쳐서 주요한 신원정보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나타낸 것이고, 신분증에 따라서는 본인확인에 필요한 주요 신원정보가 모두 단면에 배치되어 있을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는 2조의 신분증 카메라 모듈(110, 120)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해당면에 대응하도록 1조의 신분증 카메라 모듈 만을 구비하더라도 무방하다. 물론, 이러한 경우라도 다른 특수한 목적, 예컨대 이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신분증을 투입하더라도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신분증 양면에 대해 2조의 신분증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신분증 카메라 모듈(110, 120)을 통해 신분증으로부터 획득된 신상정보의 전부 또는 주요한 일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인확인 대상자로부터 취득된 정보, 예컨대 생체지문이나 본인확인 대상자가 키보드 등을 통해 직접 입력한 주민등록번호 등과의 비교과정에서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본인확인을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인확인을 위한 종합적 데이터베이스는 전술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인확인 대상자의 신상정보가 외부 전산장치로 제공됨으로써 외부에서 구축될 수도 있고 혹은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가 저장장치 또는 대규모 메모리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그 내부에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신분증으로부터 획득된 신상정보와 본인확인 대상자로부터 취득된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100)에서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는 신분증 카메라 모듈(110, 120)을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데이터, 예컨대 촬영된 영상 이미지 혹은 본인확인 대상자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전술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산장치로 제공하고, 전술하였던 비교판단 과정은 이 외부 전산장치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1의 본인확인 장치(100)가 외부 전산장치와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서 외부 전산장치로부터 기준 개인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본인확인 장치(100)는 바람직하게는 신분증 카메라 모듈(110, 120)을 통해 획득한 신상정보를 외부 전산장치로부터 얻은 기준 개인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신분증의 위조 및 진위여부를 판별하여 만일 비정상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알람(alarm) 등의 방법으로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가 신분증 카메라 모듈(110, 120)을 통해 획득한 신상정보와 외부 전산장치로부터 얻은 기준 개인정보를 비교판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는 신분증 카메라 모듈(110, 120)을 이용하여 획득한 소정의 데이터, 예컨대 촬영된 신분증 영상 이미지, 또는 이로부터 추출한 부분영역 이미지를 전술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산장치로 제공하고 전술하였던 신분증의 위조 및 진위여부에 대한 판단은 이 외부 전산장치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인확인 장치(100)는 정면 카메라 모듈(130)을 구비하는데, 이는 신분증 소지자의 안면부를 촬영하여 본 발명의 장치(100)의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외부 전산장치 상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본 장치의 운영자가 본인확인 대상자의 안면부 이미지와 신분증으로부터 획득되는 사진 이미지를 비교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는 본인확인과 관련하여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논란이나 분쟁을 대비할 목적으로 본인확인을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본인확인 대상자의 안면부를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신분증으로부터 획득한 신상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본인확인 장치(100)는 신분증 투입구 가이드(18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본 장치의 운영자 또는 본인확인 대상자가 신분증을 정위치로 투입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인확인 장치(100)는 광원부착판(160)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소정의 조명부를 제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110, 120)를 사용하여 신분증의 신원정보 영역을 촬영하고자 할 때 적절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는 광학거울(140, 150) 및 투명 아크릴 판(170)을 더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200)의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에서와 같이, 도시된 본인확인 장치(200)는 신분증의 양면을 모두 촬영함으로써 신분증에 포함된 신원관련 정보의 전부 또는 주요한 일부를 자동으로 획득하기 위한 2조의 신분증 카메라 모듈(210, 220), 및 신분증 소지자의 안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면 카메라 모듈(230)을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인확인 대상자의 신분증이 장치의 신분증 투입구(260)를 통해서 투입되면, 이 신분증은 장치 내부의 가이드레일을 통해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200)의 정위치로 유도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도2에 도시된 본인확인 장치(200)는 광학거울(240, 250)을 더 포함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300)의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200)를 적절한 높이에서 수평으로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인확인 대상자의 신분증은 장치 내부의 가이드레일(360)을 통해 본인확인 장치(300)의 정위치로 유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정위치검출기(380)가 제공되어 예컨대 "딸깍" 등과 같은 인식가능한 음향 등을 활용함으로써 신분증이 정위치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낸다.
도시된 가이드레일(360)은 신분증이 삽입 또는 배출될 때 상하로 움직이거나 뒤틀림이 생기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촬영대상인 신분증의 모양이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신분증의 걸림이나 배출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위치검출기(380)는 통상 가이드레일(360)의 끝단에 장착되며, 신분증의 정위치 삽입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 이외에 선택적으로 신분증의 삽입유무를 검출하여 신분증이 정위치에 삽입되었을 때에만 신분증 카메라 모듈(310, 320)이 작동하도록 하는 기능도 더 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100, 200, 3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생체지문 입력모듈(400)의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 200, 300)는 본인확인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지문정보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신분증으로부터 획득한 날인지문 정보와 대조할 본인확인 대상자의 생체지문을 획득할 목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생체지문 입력모듈(40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지문 입력모듈(40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장치(100, 200, 300)의 일부분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 모듈로서 제공되어 일종의 조합으로서 설치되어 운영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지문 입력모듈(400)은 본인확인 대상자의 생체지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생체지문 입력부(410) 및 획득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420)를 포함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100, 200, 300)는 신분증 카메라 모듈(110, 120; 210, 220)에 대해서 광학거울(140, 150; 240, 250; 340, 350)을 구비한다. 이하,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에 있어서 광학거울(140, 150)의 기능 및 구성, 그리고 광학거울(140, 150)을 사용할 때의 장점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5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신분증(510)을 카메라 모듈로 촬영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로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신분증(510)을 촬영함에 있어서, 촬영된 영상에서 신분증의 이미지(530)가 소망하는 만큼 모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의 결상렌즈(520)과 신분증(510)이 서로 충분한거리(540)를 갖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 때, 카메라 모듈의 결상렌즈(520)과 신분증(510)과의 거리(540)는 신분증(510)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이 넓을수록 더 멀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와 같이 신분증(510)에 포함된 신원관련 정보, 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발급일자, 주소, 사진, 발급기관명, 날인지문, 및 주소지 변경사항의 전부 또는 주요한 일부를 획득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신분증(510)의 대부분의 영역을 촬영하여야 하므로, 도5에서 카메라 모듈의 결상렌즈(520)로부터 신분증(510)까지의 거리(540)가 상당히 멀어야 한다. 그런데, 도2와 도5를 비교하면, 도5에서의 결상렌즈(520)로부터 신분증(510)까지의 거리(540)는 도2에서 카메라 모듈(210, 220)로부터 신분증 투입구(260) 까지의 높이에 대응하므로, 거리(540)가 멀어질수록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 200)의 전체 사이즈 또한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의 결상렌즈(520)로서 화각이 큰 렌즈, 즉 근거리에서 보다 넓은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렌즈를 사용하면 카메라 모듈의 결상렌즈(520)로부터 신분증(510)까지의 거리가 멀지않더라도 신분증(510)의 대부분의 영역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의 결상렌즈(520)로서 화각이 큰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이 렌즈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광로차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촬영된 영상(530)에 심한 왜곡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7은 종래기술(도5)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신분증(510) 간의 구성을 이용하여 획득한 촬영 영상(5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a)는 도5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구성에 따라 카메라 모듈과 신분증(510)을 배치하되 결상렌즈(520)로서 30°의 화각을 갖는 통상의 렌즈를 사용하고 결상렌즈(520)와 신분증(510) 사이의 거리(540)를 12㎝로서 충분히 멀리 위치시킨 후 획득한 촬영 영상이다. 도7(a)로부터 발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가로/세로 격자가 정확히 나타나는 양호한 상태이다.
반면, 도7(b)는 도5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구성에 따라 카메라 모듈과 신분증(510)을 배치하되 결상렌즈(520)로서 120°의 화각을 갖는 렌즈를 사용하고 결상렌즈(520)와 신분증(510) 사이의 거리를 6∼7㎝로서 가깝게 위치시킨 후 획득한 촬영 영상(530)이다. 도7(b)로부터 발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심하게 왜곡된 상태이다.
도5 및 도7을 참조하여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 200, 3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분증 카메라 모듈(110, 120; 210, 220)에 대해서 광학거울(140, 150; 240, 250; 340, 350)을 구비하여 광로를 반사설정하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광학거울(650)을 이용하여 신분증(610)을 카메라 모듈로 촬영하는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신분증(610)과 카메라 모듈(620)은 광학거울(650)을 기준으로 공간에 구분됨에 있어서 동일한 분면에 배치되고, 광학거울(650)을 이용하여 신분증(610)에 대한 광로를 반사설정하도록 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로는 광학거울에서 반사된 후 카메라 모듈의 결상렌즈(620)를 통해 촬상면 상에서 촬영 이미지(630)를 형성한다.
도6은 종래기술에서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과 신분증 사이의 거리(540, 640)를 비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과 신분증 사이의 거리(540)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신분증 사이의 거리(640)는 훨씬 가까움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거리(540, 640)는 본 발명에 따른 본인확인 장치(200)에 있어서 장치의 사이즈를 결정하는 인자이므로, 도6에 도시한 본 발명의 경로설정 구성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비해 제품의 사이즈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신분증(610) 간의 구성을 이용하여 획득한 촬영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결상렌즈(620)로서 도7(a)에서 사용하였던 30°의 화각을 갖는 통상의 렌즈를 사용하고 결상렌즈(620)와 신분증(610) 사이의 거리(640)를 5∼6㎝로서 가깝게 위치시킨 후 획득한 촬영 영상이다. 도8에 도시된 바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의 광로설정 구성에 의하면 카메라 모듈과 신분증 간의 거리(640)가 상당히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가로/세로 격자가 정확히 나타나는 양호한 상태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6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과 신분증(610) 간의 거리를 줄이기 위해 광학거울(650)을 이용하여 광로를 반사설정하는 경우에는 신분증(610)이 결상렌즈(620)의 광축과 다소간 기울어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촬영된 신분증 이미지(630)가 도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축 주위에서는 선명하지만 광축에서멀어질수록 희미해지면서 그 형태 또한 사다리꼴로 찌그러지는 왜곡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9는 카메라 모듈과 신분증(610) 간에 반사형의 광로설정을 불완전하게 구성한 경우에 획득되는 촬영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왜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광학거울(650)의 기울어짐 각도, 및 결상렌즈(620)와 이미지 촬상면(630)의 기하학적 상호관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반사설정되는 광로의 거리를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도9에 도시된 촬영 영상은 도7(b)의 촬영 영상과 비교할 때 그 왜곡의 정도가 훨씬 적으므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을 양호하게 설계함으로써 극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에 있어서 광학거울(140, 150)을 이용하여 광로를 반사설정하는 구성은 필수불가결의 요소가 아닌 선택적인 요소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110, 120)로부터 신분증 촬영면 사이의 광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접경로를 통해서도 가능하며, 이는 도7(a)로부터 명확하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의 사이즈를 최적화할 목적으로 선택적으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거울(650)을 이용하여 광로를 반사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 200, 300)는 신분증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면에 대해서 조명광을 매개하기 위한 중간층(170, 370)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에 있어서 조명광에 대한 중간 매개체(170)의 기능 및 구성, 그리고 사용시의 장점에 대해서 도10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1010, 1050)와 조명시스템(1020, 1030; 1060, 1070) 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0(a)의 카메라(1010)와 조명시스템(1020, 1030) 간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종래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광원(1020, 1030)을 카메라(1010)에 가까이 위치시키고 신분증(1040)에 빛을 직접 조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20, 1030)에서 나온 빛이 신분증(1040)에 반사되어 카메라(1010)로 바로 입사하기 때문에 신분증(1040)에 비춰진 조명기구물의 상이 촬영될 수도 있고 혹은 아주 밝은 원형 형태의 빛만이 촬영될 수도 있어 신분증(1040)에 포함된 신원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오류가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10(b)의 카메라(1050)와 조명시스템(1060, 1070) 간의 구성은 앞의 도10(a)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광원(1060, 1070)을 카메라(1050)으로부터 멀리 위치시켜 광원1060, 1070)으로부터의 빛이 신분증(1080)에 반사되어 카메라(1050)로 바로 입사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신분증(1080)의 표면 전체에 있어서 광량의 차이로 인해 부분적으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인해 신분증에 포함된 각종 신원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오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체 기구물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투명 아크릴 소재의판(170, 370)와 같이 빛의 분산도가 높은 소재로 구성된 중간 매개체에 광원을 조사한 후 이로부터 발생하는 간접 광을 신분증의 신원정보 영역에 대한 조명으로 이용하는 간접조명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신분증의 전체 표면에 빛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신분증에 포함된 각종 신원관련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와 조명시스템 간의 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에서 광원(1120, 1130)은 도1의 광원부착판(160) 상에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아크릴과 같이 빛의 분산도가 높은 소재로 구성된 중간 매개체(1150)에 삽입 몰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광원(1120, 1130)에서 발산된 빛은 중간 매개체(1150)로 투사되고, 다시 중간 매개체(1150)에서 나온 빛이 촬영대상물인 신분증(1140)을 조사한다. 이로써, 광원(1120, 1130)에서 나온 빛이 신분증(1140)에 반사되어 카메라(1110)되는 문제도 해결하면서 촬영대상물인 신분증(1140)을 밝고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1 내지 도3, 및 도11에서는 전술한 중간 매개체가 판의 형태(170, 370, 1150)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구성 내에서, 촬영 대상인 신분증 면과 광원 사이를 광의 경로에 있어서 매개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예컨대 광원의 둘레를 투명 아크릴 등으로 모자를 씌워 구성하거나 광원의 둘레에 빛의 분산도가 높은 소재로 코딩을 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간접조명은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중간 매개체를 통과하여 신분증의 신원정보 영역으로 도달하는 소위 투과형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광원에서 발생된 광이 빛의 반사율이 높은 중간 매개체에서 반사되고 이 반사된 광이 다시 주변의 다른 부위에 재차 반사되어 신분증의 신원정보 영역에 도달하는 소위 반사형 구성도 포함한다. 다만, 전술한 투과형 구성과 반사형 구성은 둘다 광원에서 생성된 광이 직접 신분증의 신원정보 영역에 직접 조사되지 않고 소정의 중간 매개체를 통해 간접광을 형성하고 이 간접광에 의해 신원정보 영역을 조사하는 간접조명 방식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에 있어서 중간 매개체(170, 1150)을 이용하여 신분증의 촬영면에 간접조명을 수행하는 구성은 필수불가결의 요소가 아닌 선택적인 요소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에 있어서 신분증의 촬영면에 대해서 광원을 직접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신분증으로부터 신원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보다 정확성을 높일 목적으로 선택적으로 간접조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 200, 300)는 신분증의 양면을 모두 촬영하여 신원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 광학거울, 투명 아크릴 판 등을 각각 2조씩 구비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구성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100, 200, 300)에 있어서도, 검사대상인 신분증에 따라서 단면에 소망한는 주요 신원관련 정보가 모두 기재되어 있어 단면만 촬영하더라도 충분한 경우에는 본인확인 장치(100, 200, 300)에 전술한 구성부분들을 1조씩만 구비하더라도 무방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에 따르면 신분증에 포함되어 있는 신원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추출함으로써 본인확인을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에 따르면 광학거울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광로를 반사설정함으로써 제품 사이즈에 대한 최적화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인확인 장치에 따르면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중간 매개체에 조사하여 여기에서 발생하는 간접광을 신분증의 촬영을 위한 조명으로 이용함으로써 카메라를 이용한 데이터 획득에 있어서 오차율을 감소시켜 정확한 데이터 획득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본인확인 대상자의 신분증을 이용하여 본인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을 투입하기 위한 신분증 투입구; 상기 투입된 신분증을 소정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신분증 가이드부; 상기 정위치로 가이드된 신분증에 대해서 소정의 신원정보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신분증 카메라부;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에 의한 상기 촬영에 있어서 상기 신원정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부; 및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에 대해서 반사설정된 광로를 제공하는 광학거울부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장치로서,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는 상기 광학거울부에 대해서 동일한 분면에 배치되는 특징을 갖는 본인확인 장치.
  2. 본인확인 대상자의 신분증을 이용하여 본인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을 투입하기 위한 신분증 투입구; 상기 투입된 신분증을 소정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신분증 가이드부; 상기 정위치로 가이드된 신분증에 대해서 소정의 신원정보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신분증 카메라부; 및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에 의한 상기 촬영에 있어서 상기 신원정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부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장치로서, 상기 조명부는 조명을 위해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광원부를 매개하여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광으로부터 상기 신원정보 영역을 조사하기 위한 간접광을 유도하는 중간 매개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본인확인 장치.
  3. 본인확인 대상자의 신분증을 이용하여 본인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을 투입하기 위한 신분증 투입구; 상기 투입된 신분증을 소정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신분증 가이드부; 상기 정위치로 가이드된 신분증에 대해서 소정의 신원정보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신분증 카메라부;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에 의한 상기 촬영에 있어서 상기 신원정보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명부; 및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에 대해서 반사설정된 광로를 제공하는 광학거울부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장치로서,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는 상기 광학거울부에 대해서 동일한 분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는 조명을 위해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상기 신원정보 영역과 상기 광원부를 매개하여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으로부터 상기 신원정보 영역을 조사하기 위한 간접광을 유도하는 중간 매개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본인확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확인 장치는 상기 본인확인 대상자의 안면부를 촬영하기 위한 정면 카메라부, 및 상기 정면 카메라부로부터 생성된 안면부 촬영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더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본인확인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중간 매개부에 삽입몰딩되어 구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이 상기 중간 매개부를 통과하면서 간접광이 유도되며, 상기 간접광이 상기 신원정보 영역을 조사하는 특징을 갖는 본인확인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확인 장치는 상기 본인확인 대상자로부터 생체지문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생체지문 획득모듈을 더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본인확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확인 장치는 상기 신분증 카메라부에서 획득한 촬영 영상에서 상기 본인확인 대상자의 날인지문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날인지문 데이터를 상기 생체지문 획득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생체지문 데이터와 비교판단하여 상이점이 발견되는 경우에 이를 알리는 특징을 갖는 본인확인 장치.
KR1020020050207A 2002-08-23 2002-08-23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KR20040017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207A KR20040017765A (ko) 2002-08-23 2002-08-23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207A KR20040017765A (ko) 2002-08-23 2002-08-23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217U Division KR200294410Y1 (ko) 2002-08-23 2002-08-23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765A true KR20040017765A (ko) 2004-02-27

Family

ID=3732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207A KR20040017765A (ko) 2002-08-23 2002-08-23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77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850A (ko) * 2018-11-20 2020-05-28 박만석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3086A (en) * 1978-07-28 1981-02-24 Szymon Szwarcbier Process and apparatus for positive identification of customers
JPH08305784A (ja) * 1995-04-21 1996-11-22 Eastman Kodak Co 個人識別証
KR20010034977A (ko) * 2000-05-17 2001-05-07 안선태 보안성 카드의 식별 장치 및 그 식별 방법
KR20010067697A (ko) * 2001-03-08 2001-07-13 이성제 주민증을 이용한 본인확인기
KR20010106703A (ko) * 2000-05-23 2001-12-07 김영준 굴절률 차이를 이용한 지문 스캐너 및 지문 인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3086A (en) * 1978-07-28 1981-02-24 Szymon Szwarcbier Process and apparatus for positive identification of customers
JPH08305784A (ja) * 1995-04-21 1996-11-22 Eastman Kodak Co 個人識別証
KR20010034977A (ko) * 2000-05-17 2001-05-07 안선태 보안성 카드의 식별 장치 및 그 식별 방법
KR20010106703A (ko) * 2000-05-23 2001-12-07 김영준 굴절률 차이를 이용한 지문 스캐너 및 지문 인식 시스템
KR20010067697A (ko) * 2001-03-08 2001-07-13 이성제 주민증을 이용한 본인확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850A (ko) * 2018-11-20 2020-05-28 박만석 신분증 신원확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081B2 (en) Information reading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information reading device
TW511038B (en) High contrast, low distortion optical acquisition systems for image capturing
US62925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a human finger from a reproduction of a fingerprint
US9064139B2 (en) Low power fingerprint captur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20160012217A1 (en) Mobile terminal for capturing biometric data
EP2435991A2 (en) Handheld portable device for verification of travel and personal documents, reading of biometric data and identification of persons holding these documents
US11235613B2 (en) Document authentication by attitude-independent determination of surface appearance using controlled illumination
KR102101045B1 (ko) 바이오메트릭 및 바이오그래픽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스테이션
KR100894696B1 (ko) 신분증 위변조 판별 장치, 및 시스템
WO2012042887A1 (ja) 帳票読取装置
JP2004038305A (ja) 個人識別装置
CN101064833A (zh) 摄影装置和监视系统
TWI512635B (zh) 身分證偽造變造真偽識別裝置
JP2003187235A (ja) 指静脈認識装置
JP2007334659A (ja) 個人認証システム
CN109286757A (zh) 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KR20070025451A (ko) 신분증 이미지 획득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신원확인 시스템
KR200294410Y1 (ko)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JP2020144692A (ja) 顔照合装置、顔照合システム、顔照合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の発行システム
KR102118961B1 (ko)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KR20040017765A (ko)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KR20080010541A (ko) 신상정보 처리장치
KR200352669Y1 (ko) 신분증 위변조 식별장치
JP4896552B2 (ja) 撮像装置および生体認証装置
WO2022163775A1 (ja) 写真撮影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