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541A - 신상정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신상정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541A
KR20080010541A KR1020060070645A KR20060070645A KR20080010541A KR 20080010541 A KR20080010541 A KR 20080010541A KR 1020060070645 A KR1020060070645 A KR 1020060070645A KR 20060070645 A KR20060070645 A KR 20060070645A KR 20080010541 A KR20080010541 A KR 20080010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ard
unit
light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명
Original Assignee
이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명 filed Critical 이종명
Priority to KR102006007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0541A/ko
Publication of KR2008001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이 금융기관에 제시하는 신분증, 및 비밀번호가 금융기관에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신분증을 올려놓는 촬상대,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을 통해 촬상대에 균일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신분증을 촬상하여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상부, 신분증을 소지한 신분증 소지자가 통장을 개설 시, 통장에 설정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비밀번호 입력부, 및 이미지 데이터와 비밀번호를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한다.
신분증, 핀-패드, 서버, 조명부, 촬상대

Description

신상정보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에 대한 블록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동작 개념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명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확산판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의 내부 블록개념도,
도 9는 촬상부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바람직한 일 예에 대한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촬상부에서 실제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일 예에 대한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의 내부 블록개념도,
도 13은 커버에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의 다른 예에 대한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상정보 처리장치 100 : 베이스 프레임
101 : 촬상대 101a : 제거 홈
101b : 삽입 홈 131 : 키 패드
133 : LCD
본 발명은 신상정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고객의 신분증 사본, 및 비밀번호가 은행 계원에게 제공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금융사고를 최소화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은 통장개설, 및 기타 금융거래를 위해 고객의 신분증이나 인감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고객이 통장을 개설할 때, 개설하고자 하는 통장의 비밀번호를 계원에게 통보해야 한다. 이때, 고객의 통장번호, 신분증 사본, 및 비밀번호가 계원에게 노출되며, 은행에서 발생되는 금융사고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은 2005년 9월부터 은행에 대해 핀-패드(Pin PAD)의 사용을 의무화 하고 있다. 핀-패드는 고객이 통장을 개설 시, 계원의 지시에 따라 은행전산망에 마련되는 서버로 고객이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장치로 계원은 고객이 타이핑한 비밀번호를 알 수 없도록 한다. 그러나, 비밀번호 이외에도 은행측(계원)은 고객의 신분증 사본을 통해 고객의 신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신상정보는 유출될 가능성이 상존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고객의 비밀번호, 및 신분증에 의한 신상정보가 은행측 서버에 직접 입력되도록 함으로서 고객이 계좌 또는 카드 개설, 출금시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위험을 제거함은 물론 고객의 신분증 사본과 신분증에 기재된 고객의 신상정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과 거래 시, 고객의 비밀번호, 및 신분증에 기재된 신상정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문객이 방문증을 교부받아 출입하는 장소에서 방문객의 신분증을 방문증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이 금융기관과 재차 거래 시, 금융기관과 고객이 1차 거래할 때, 확보된 고객의 신분증 이미지를 참조하여 고객의 신분증 위조를 방지 가능한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신분증을 올려놓는 촬상대, 점 광원을 면 광 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을 통해 상기 촬상대에 균일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신분증을 촬상하여 상기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상부, 상기 신분증을 소지한 신분증 소지자가 통장을 개설 시, 통장에 설정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비밀번호 입력부,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비밀번호를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조명부는, 투명한 평판형태를 가지며, 일 표면을 광 출사면으로 하고 일 측면은 광 입사면으로 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광 입사면에 광원을 제공하는 광 투사부, 및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의 반대편에 부착되며, 상기 광 투사부로부터 투사되는 빛을 상기 광 출사면 방향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반도체 발광소자일 수 있다.
상기 촬상부는, 상기 조명부와 상기 촬상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는, 숫자키를 구비하는 키 패드, 상기 키 패드에 의해 선택된 숫자가 표시되는 LCD, 및 상기 키 패드에 의해 선택된 숫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LCD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촬상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신분증의 테두리 형상에 따라 형성되 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영역을 식각하여 형성 함으로서 상기 신분증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삽입되도록 하는 신분증 삽입 홈, 및 상기 신분증 삽입 홈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신분증 삽입 홈 보다 더 깊이 식각 형성되어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신분증을 상기 신분증 삽입 홈에서 들어 올려 제거하도록 하는 제거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상대는, 투명, 및 반투명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신분증을 올려놓는 촬상대, 상기 신분증이 상기 촬상대에 위치 시, 상기 신분증을 촬상하여 상기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상부,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통장 개설 시, 통장 개설에 요구되는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상기 전송 처리부로 제공하는 비밀번호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상대에 위치하는 상기 신분증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는,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을 통해 상기 신분증에 균일한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는, 투명한 평판형태를 가지며, 일 표면을 광 출사면으로 하고 일측면은 광 입사면으로 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광 입사 면에 광원을 제공하는 광 투사부, 및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의 반대편에 부착되며, 상기 광 투사부로부터 투사되는 빛을 상기 광 출사면 방향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촬상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신분증의 테두리 형상에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영역을 식각하여 형성 함으로서 상기 신분증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삽입되도록 하는 신분증 삽입 홈, 및 상기 신분증 삽입 홈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신분증 삽입 홈 보다 더 깊이 식각 형성되어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신분증을 상기 신분증 삽입 홈에서 들어 올려 제거하도록 하는 제거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원고를 스캐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왕복 운동에 의해 원고에 기록된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광학 스캐닝부, 상기 원고를 상기 광학 스캐닝부에 밀착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 면에 마련되며,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 하기 위한 키 패드, 및 상기 키 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키 패드는, 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키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광학 스캐닝부와 대면하는 면에는 반사판이 마련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반사판이 마련되는 면과 반대면에 상기 키 패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원고를 스캐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왕복 운동에 의해 원고에 기록된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광학 스캐닝부,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을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신분증을 촬상하여 상기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신분증 촬상부, 및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 촬상부에 상기 신분증을 대면 시, 상기 신분증에 대한 출입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 촬상부에 상기 신분증을 재차 대면 시, 출입증 정보의 유효 사용기간을 만료시키는 신상정보 처리부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분증에 대한 고유번호를 방문자 스스로 설정하거나 설정된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고유번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상정보 처리부는,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 촬상부에 상기 신분증을 대면 후, 상기 신분증에 대해 설정된 고유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신분증에 대한 출입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 촬상부에 상기 신분증을 재차 대면 후, 상기 고유번호를 재 입력하면 상기 신분증에 대한 출입증 정보의 유효 사용기간을 만료시킨다.
상기 신상정보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신상정보 저장부, 및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을 상기 촬상부에 재차 대면 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신상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신상정보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상부에서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비틀림을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분증과 상기 촬상부의 대면 여부를 판단하는 신분증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분증 검출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CdS(황화 카드뮴 셀)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신분증 촬상부에서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저장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상정보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신상정보 저장부, 및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을 상기 촬상부에 재차 대면 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신상정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신분증을 스캐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왕복 운동에 의해 신분증에 기록된 문자, 및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광학 스캐닝부, 상기 신분증을 상기 광학 스캐닝부에 밀착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 면에 마련되며,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계좌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의 표면에는 점자가 마킹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고객의 자필 서명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전송 처리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광학 스캐닝부와 대면하는 면에는 반사판이 마련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반사판이 마련되는 면과 반대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그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데 사용되는 오픈버튼을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광학 스캐닝부 또는 커버의 내측에 생성된 CdS(황화카드뮴셀)와; 상기 이미지 센서 및 CdS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신분증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CdS가 커버의 폐쇄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광학 스캐닝부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신분정보를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광학 스캐닝부 또는 커버의 내측에 생성된 광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 및 광센서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신분증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광센서가 커버의 폐쇄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광학 스캐닝부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신분정보를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금융기관 이용자가 통장을 개설하거나 금융 거래를 할 때, 고객이 제시하는 신분증과 비밀번호를 금융기관의 계원이 알 수 없도록 하기 위해 금융기관의 창구에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서는 창구에 위치하는 계원이 고객의 신분증 또는 비밀번호에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이는 금융 사고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고객이 통장을 개설할 때, 창구에는 핀-패드가 비치되어 고객이 통장에 설정하는 비밀번호를 계원이 알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고객이 통장을 개설하거나 대출, 및 기타 금융 서비스를 받을 때, 계원은 고객에게 신분증을 제시할 것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때, 고객의 신상정보가 계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고객의 신분증을 계원이 카피하여 사본을 보관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금융사고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100)는 촬상대(101), 키 패드(131), LCD(133)가 나타나 있다. 고객이 통장을 개설하고자 할 때, 고객은 자신의 신분증을 촬상대(101)에 위치시켜 신상정보 처리장치(100)에서 신분증을 촬상하도록 하며, 신상정보 처리장치(100)는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금융기관의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해 고객이 금융기관과 1차 거래 후, 2차 거래 시, 금융기관과 고객이 1차 거래할 때, 확보된 고객의 신분증 이미지를 계원이 대조 함으로써 고객의 신분증 위조를 방지 할 수 있다. 키 패드(131)는 숫자키, 및 특수문자를 포함하며, 은행에 따라서는 하이픈(-), 및 알파벳과 같은 특수문자나 텍스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에 대한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촬상부(110), 조명부(112), 전송 처리부(120), 비밀번호 입력부(130)를 포함하며, 촬상부(110)는 카메라(111), 및 전 처리부(113)를 구비하고, 비밀번호 입력부(130)는 키 패드(131), LCD(133), LCD 구동부(132)를 구비한다.
촬상부(110)는 촬상대(101)에 위치하는 신분증을 촬상하고, 촬상된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는 전 처리부(113)로 제공되며, 전 처리부(113)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게 된다. 촬상대(101)는 신분증을 소지한 고객이 자신의 신분증을 올려놓는 곳으로,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 면이 함몰된 형태를 가지며, 신분증이 카메라(111)를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대(101)의 일 면에는 신분증(예컨대 주민등록증)이 삽입될 수 있도록 주민등록증보다 큰 면적의 삽입 홈(101b)이 형성된다. 신분증은 삽입 홈(101b)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카메라(111)는 삽입 홈(101b)에 삽입된 신분증의 정면 또는 후면을 촬상하게 된다. 도면에서 삽입 홈(101b)의 좌측에는 삽입 홈(101b)에 삽입된 신분증을 손가락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거 홈(101a)이 마련된다. 제거 홈(101a)은 삽입 홈(101b)의 식각 깊이(d1)보다 더 깊이 형성되며, 삽입 홈(101b)과의 단차를 이용하여 신분증 소지자가 자신의 신분증을 검지 또 는 중지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삽입 홈(101b)과 제거 홈(101a)의 깊이 d1과 d2는 d1 < d2의 관계를 만족하여야 한다. 촬상부(110)는 촬상대(101)에 위치한 신분증을 촬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위해 카메라(111), 및 전 처리부(113)를 구비한다. 카메라(111)는 촬상대(101)에 위치한 신분증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전 처리부(113)로 제공한다. 전 처리부(113)는 카메라(111)에서 촬상된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이를 전송 처리부(120)로 제공한다. 이때, 전 처리부(113)는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jpeg, tiff, bmp, 및 기타 다양한 형식의 포멧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촬상대(101)는 신분증에 광원을 전달하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밀번호 입력부(130)는 고객이 통장을 개설 시, 고객이 통장에 대해 설정하는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전송 처리부(12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비밀번호 입력부(130)는 고객이 비밀번호를 타이핑하기 위한 키 패드(131), 고객이 타이핑한 비밀번호를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LCD(133), 및 LCD(133)를 구동시키는 LCD 구동부(132)를 구비한다.
전송 처리부(120)는 촬상부(110), 및 비밀번호 입력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데이터, 및 비밀번호를 미리 설정된 어드레스를 갖는 서버(예컨대 은행 서버)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전송 처리부(120)는 서버와 미리 약정된 방식에 따라 비밀번호 및 이미지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능이 더 추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송 처리부(120)는 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내부적으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 스 카드를 포함한다. 조명부(112)는 신분증에 광을 조사하여 신분증이 카메라(111)에 의해 명확히 촬상될 수 있도록 한다. 고객이 촬상대(101)에 신분증을 위치시키면 베이스 프레임(100) 내에 수납되는 카메라(111) 주위에는 신분증을 촬상하는데 요구되는 광원이 부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112)를 나타낸다.
도시된 조명부(112)는 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소자에 의해 발생되는 점 광원을 도광판(112d)에 제공하여 면 광원으로 변환하고, 도광판(112d)에 의해 형성된 면 광원을 신분증으로 투사함으로써, 신분증 전체에 대해 균일한 광을 투사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111)는 도광판(112)과 촬상대(101) 사이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도광판(112)에서 촬상대(101)로 투사된 광을 조명으로 하여 신분증을 촬상하게 된다. 이하,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조명부(112)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명부(112)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조명부(112)는 점 광원(112a), 광 가이드(112b), 면형 반사판(112c), 판형 반사판(reflector)(112f), 도광판(112d) 및 확산판(112e)을 갖는다.
점 광원(112a은 통상 LED(Light Emitting Diode)나 CCFL(Cold Cathod Fluorescent Lamp)을 사용하여 소정의 휘도를 갖는 백색광을 생성한다. 광 가이드(112b)는 점 광원(112a)에 의해 형성된 광을 투과 시킴으로서 점 광원(112a)을 선 광원으로 변환한다. 면형 반사판(112c)은 선 광원을 도광판(112d)으로 반사시킨다. 이에 따라, 도광판(112d)에는 광 가이드(112b)에서 투사된 빛이 다양한 각도 로 입사된다. 여기서, 도광판(112d)은 아크릴수지와 같이 빛을 잘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판형 반사판(112f)은 다양한 각도를 갖고 도광판(112d)으로 입사된 광을 확산판(112e)으로 반사시킨다. 확산판(112e)은 입사된 빛을 균일하게 퍼뜨리는 역할을 한다. 확산판(112e)은 입사된 빛을 산란 시킴으로서 광 가이드(112b)와 거리가 먼 곳도 균일한 휘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산판(112e)은 도 5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확산판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판(112e)은 도광판(112d)과 마주보는 면에는 프리즘의 형태를 가지고, 반대쪽 면은 평면의 형태를 가진다. 이를 통해 도광판(112d) 쪽에서 입사되는 빛이 촬상대(101b) 방향으로 난 반사되며, 도광판(112d)의 밝기가 균일하게 만들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나타낸다.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통상 핀-패드(pin-pad)라고 불리는 장치와 본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100)가 혼용되어 사용되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신상정보 처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되, 다만 촬상대(101)에 위치하는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만 획득하여 서버(미도시)로 제공하며, 고객이 신규 계좌를 개설 시, 서버로 제공하는 비밀번호는 시판되는 핀-패드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다. 시판되는 핀-패드(200)는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키 패드(210), 및 고객이 입력한 비밀번호를 표시하는 LCD(2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기존에 시판된 핀-패드(Pin PAD)를 교체하지 않고도 양자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촬상부(110), 전송 처리부(120), 및 비밀번호 입력부(130)에 대한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이는 도 1 ∼ 도 4을 통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나타낸다.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출입문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공공기관, 및 기업을 방문하는 방문자를 인증하고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공공기관이나 기업에서는 방문자를 위한 별도의 안내데스크를 통해 방문자를 일일이 확인 후, 방문증을 발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안내데스크에는 방문자의 신분증을 맡아 두었다가 방문자가 퇴거 시, 이를 돌려주고, 방문자에게 제공한 출입증을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내데스크 인원은 방문자가 미리 예약되어 있는지만을 판단하며, 방문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신분증을 출입증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의 일 예에 대한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400)는 촬상부(430), 신상정보 처리부(410), 고유번호 입력부(420), 신분증 검출부(440)를 포함하며, 신상정보 처리부(410)는 이미지 보정부(411), 신상정보 저장부(412), 신상정보 비교부(41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5)를 포함한다.
촬상부(430)는 방문자의 신분증을 촬상한다. 촬상부(430)는 CCD(Charge Coupled Device)를 이용하여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촬상부(430)에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생성되는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jpeg, bmp, tiff 및 기타 다양한 이미지 포멧들 중 하나로 변환하는 이미지 포멧 변환기를 더 포함하게 된다.
신상정보 처리부(410)는 방문자가 방문할 때의 이미지 데이터와 방문자가 퇴거할 때, 촬상부(430)에 대면시키는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방문자의 출입을 판단 및 통제하게 된다.
이미지 보정부(411)는 방문자가 촬상부(430)에 대면시키는 신분증의 비틀림을 보정한다. 통상 방문자가 자신의 신분증을 촬상부(430)에 대면시킬 때, 촬상부(430)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가로 세로 방향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촬상부(430)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레이아웃은 도 9에 도시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부분의 경우, 촬상부(430)에 대면되는 신분증(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φ만큼 비틀리게 된다. 이미지 보정부(411)는 뒤틀린 각도 φ를 보정 하여 도 9에 도시된 형태의 이미지로 변환하게 된다.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는 신상정보 저장부(412)에 저장된다.
신상정보 비교부(413)는 방문자가 퇴거 시, 방문자가 촬상부(430)에 대면하는 방문자의 신분증을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신상정보 저장부(412)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양자가 일치하면 이를 출입제어부(414)로 통보하며, 출입제어부(414)는 이에 응답하여 방문자가 퇴거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개패 한다. 신분증 검출부(440)는 외부의 광량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CdS(황화 카드뮴 셀)로 구성되며, 신분증에 의해 외부의 빛이 차단 시, 이 를 신상정보 처리부(410)에 통보한다. 신상정보 처리부(410)는 신분증 검출부(440)의 검출 결과, 촬상부(430)에 신분증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구동하게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5)는 보안 서버(미도시)와 네트워크 접속되며, 신상정보 저장부(412)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안서버로 전송한다. 고유정보 입력부(420)는 방문자가 안내데스크에서 할당받은 고유번호를 스스로 설정하거나 설정된 고유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는 방문자 이외의 타인이 방문자의 신분증을 소지하고 있더라도 이를 이용하여 출입문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문자가 촬상부(430)에 신분증을 대면시킨 후,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번호를 입력하면 출입문이 오픈되며, 방문자가 퇴거 시, 방문자는 자신의 신분증을 촬상부(430)에 재차 대면시킨 후, 고유번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따라서, 신상정보 저장부(412)는 이미지 데이터와 방문자가 입력한 고유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출입문의 입구, 및 출구 방향에 모두 마련되어야 한다. 요컨대, 상기 고유번호는 방문지에서 부여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나, 반대로 방문자가 자신이 기억하기 용이한 고유번호를 스스로 터치스크린이나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여 고유번호를 설정한 후, 이를 출입을 위한 고유번호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보정부(411)에서 변환된 이미지를 신상정보 저장부(412)에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변환된 이미지를 별도의 외부 서버에 저장시키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5)가 이를 서버로 전송하거나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1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 하도록 한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의 다른 예에 대한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되, 다만, 이미지 보정부(411)에서 변환된 신상정보를 네트워크 접속된 별도의 서버(500)가 저장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15)를 통해 외부 서버(500)에 저장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신상정보 비교부(413)에 제공하도록 하는 차이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방문자가 퇴거 시, 신상정보 비교부(413)가 방문자가 촬상부(430)에 대면하는 신분증을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서버(500)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한다. 비교결과 양자가 일치하면 이를 출입제어부(414)로 통보하며, 출입제어부(414)는 이에 응답하여 방문자가 퇴거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개패하게 된다. 또한, 신상정보 처리장치(400)에는 방문자의 안면부를 촬상하기 위한 별도의 카메라(450)가 더 마련되며, 방문자가 퇴거 시, 또는 출입 시, 방문자의 신분증에 대해 촬상된 이미지를 방문자의 안면을 촬상한 이미지와 함께 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고객의 신분증 스캔이 요구되는 경우, 은행 계원에게 고객의 신분증 정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나타낸다.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300)는 스캐너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며, 네트워크 포트(350)를 통해 스캐닝된 고객의 신분증 이미지가 금융기관 서버(미도시)로 제공되도록 한다. 고객은 커버(310)를 오픈 한 후, 플렛베드(330) 에 신분증을 올린 후, 커버(310)를 닫고 스캔 버튼(311)을 누르는 과정에 의해 자신의 신분증 데이터를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의 내부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신상정보 처리장치(300)는, 광학모듈(30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2), 쉐이딩 처리부(303), 스캐닝 제어부(304), 발광부(305), 키 패드(340), 메모리(307), 및 전송 처리부(306)를 구비한다.
광학모듈(301)은 백색 냉음극 형광 램프(미도시), 및 CIS(Contact Image Sensor, 또는 CCD나 3색 LED)(미도시)를 구비하며, 백색 냉음극 형광 램프는 플렛배드(330)에 놓여진 신분증에 빛을 조사하고, CIS는 신분증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2)는 광학모듈(301)에서 획득된 아날로그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후, 이를 쉐이딩 처리부(303)로 제공한다. 쉐이딩 처리부(303)는 커버(310)의 안쪽에 마련되는 반사판(312)을 스캐닝하여 반사판(312)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가 일정한 계조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쉐이딩 처리부(303)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02)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의 계조를 보정하여 스캐닝 제어부(304)로 제공하게 된다. 이때, 쉐이딩 처리부(303)는 디지털 데이터의 계조를 보정하는 보정값을 스캐닝 제어부(304)로 제공한다.
키 패드(310)는 금융기관 서버(미도시)로 제공할 비밀번호, 주민등록 번호, 및 기타 금융기관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스캐닝 제어 부(304)는 전송 제어부(306)를 통해 키 패드(340)에서 입력된 정보와 쉐이딩 처리부(303)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300)는 금융기관 서버(미도시)와 전용 네트워크로 접속됨이 바람직하며, 키 패드(340)를 통한 정보의 입력은 계원의 지시에 따라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캐닝 제어부(304)는 쉐이딩 처리부(303)에서 제공되는 보정값을 참조하여 발광부(305)의 발광 강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면에는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할 비밀번호, 주민등록 번호, 및 기타 금융기관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키 패드(340)가 도시되어 있으나, 키 패드(310) 대신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커버(310)에 터치스크린이 사용되는 실시예는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커버(310)에 터치스크린(320)이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신산정보 처리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되, 도 11에 도시된 키 패드(340) 대신, 커버(310)에 터치스크린(320)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객의 키 입력을 처리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터치스크린(320)에는 고객이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321), 스캔버튼(322), 확인버튼(333), 및 취소버튼(334)이 마련된다. 터치스크린(320)에는 키(321)와 기능버튼(322 ∼ 334)이 마련되어 고객이 원하는 숫자 및 기능버튼(322 ∼ 334)을 선택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객이 통장개설 시, 인감 대신 자필서명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터치스크린(320)에 표시되는 키(321) 자리에 자필 서명을 입력하여도 된다. 여기서, 고객에 의한 자필 서명은 별도의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입력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커버(310)의 전면이 입력장치로 사용되므로 키(321), 및 각종 기능버튼(322, 333, 및 334)의 크기도 대폭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노인, 및 장애인이 사용하기에 더 용이한 측면이 있다. 이에 더하여 시각장애인을 위해서 터치스크린의 표면은 점자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점자 처리된 터치스크린(320)은 도 11에 도시된 키 패드(340)에 비해 더 크고 넓은 면적을 갖는 키(321)와 기능버튼(322, 333, 및 334)의 크기에 힘입어 장애인도 편하게 금융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개폐식으로서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로 사용되는 바, 신분정보를 스캔하기 위해서는 위 커버를 개방하여야 하며, 위 커버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위 커버의 일측에 개폐장치를 형성하고, 형성된 개폐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오픈버튼(미도시)을 위 신상정보 처리장치의 일측에 더 구비하도록 하여, 위 오픈버튼을 이용하여 커버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오픈버튼을 눌러 잠금장치를 해제시키면 위 커버는 힌지수단 및 스프링 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개폐장치는 선택적인 것으로서 위 개폐장치를 반드시 구비하도록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광학 스캐닝부 또는 커버의 내측에 생성된 CdS(황화카드뮴셀)와; 상기 이미지 센서 및 CdS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신분증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CdS가 커버의 폐쇄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광학 스캐닝부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신분정보를 스캐닝할 수 있 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 센서가 신분증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CdS가 커버의 폐쇄를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는 스캔 동작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별도로 스캔 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도 스캔을 편리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dS는 보다 넓은 개념인 광센서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위와 같이 제어부가 이미지 및 커버 폐쇄를 동시에 인식하는 경우에만 스캐너가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고객이 금융기관측에 제공시하는 신분증, 및 비밀번호가 금융기관에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기존의 핀 패드와 병행하여 사용하거나, 기존의 핀-패드를 통합하여 구현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금융기관에 설치하기 위해 기 가설된 핀 패드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금융기관 이외에도 기업이나 공공기관의 출입을 관리하는데 이용 가능하며, 방문자의 신분증과 출입증을 교환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상정보 처리장치를 금융거래에 이용 시, 타인에 의해 위조된 신분증이 은행 계원에게 제시된다 하더라도 기존에 거래된 정보에 의해 위조 여부가 판별되는 바, 위조된 신분증에 의한 금융거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Claims (35)

  1. 신분증을 올려놓는 촬상대;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을 통해 상기 촬상대에 균일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신분증을 촬상하여 상기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상부;
    상기 신분증을 소지한 신분증 소지자가 통장을 개설 시, 통장에 설정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비밀번호 입력부;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비밀번호를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투명한 평판형태를 가지며, 일 표면을 광 출사면으로 하고 일 측면은 광 입사면으로 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광 입사면에 광원을 제공하는 광 투사부; 및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의 반대편에 부착되며, 상기 광 투사부로부터 투사되는 빛을 상기 광 출사면 방향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상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산란시키는 확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반도체 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조명부와 상기 촬상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는,
    숫자키를 구비하는 키 패드;
    상기 키 패드에 의해 선택된 숫자가 표시되는 LCD; 및
    상기 키 패드에 의해 선택된 숫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LCD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신분증의 테두리 형상에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영역을 식각하여 형성 함으로서 상기 신분증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삽입되도록 하는 신분증 삽입 홈; 및
    상기 신분증 삽입 홈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신분증 삽입 홈 보다 더 깊이 식각 형성되어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신분증을 상기 신분증 삽입 홈에서 들어 올려 제거하도록 하는 제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대는,
    투명, 및 반투명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10. 신분증을 올려놓는 촬상대;
    상기 신분증이 상기 촬상대에 위치 시, 상기 신분증을 촬상하여 상기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상부;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통장 개설 시, 통장 개설에 요구되는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상기 전송 처리부로 제공하는 비밀번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대에 위치하는 상기 신분증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을 통해 상기 신분증에 균일한 광원 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투명한 평판형태를 가지며, 일 표면을 광 출사면으로 하고 일측면은 광 입사면으로 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광 입사면에 광원을 제공하는 광 투사부; 및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의 반대편에 부착되며, 상기 광 투사부로부터 투사되는 빛을 상기 광 출사면 방향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신분증의 테두리 형상에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 영역을 식각하여 형성 함으로서 상기 신분증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내에 삽입되도록 하는 신분증 삽입 홈; 및
    상기 신분증 삽입 홈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신분증 삽입 홈 보다 더 깊이 식각 형성되어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신분증을 상기 신분증 삽 입 홈에서 들어 올려 제거하도록 하는 제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16. 원고를 스캐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왕복 운동에 의해 원고에 기록된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광학 스캐닝부;
    상기 원고를 상기 광학 스캐닝부에 밀착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 면에 마련되며,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 하기 위한 키 패드; 및
    상기 키 패드에 의해 입력되는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는,
    숫자, 문자, 및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키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광학 스캐닝부와 대면하는 면에는 반사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반사판이 마련되는 면과 반대면에 상기 키 패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0. 원고를 스캐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왕복 운동에 의해 원고에 기록된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광학 스캐닝부;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을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1. 신분증을 촬상하여 상기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신분증 촬상부; 및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 촬상부에 상기 신분증을 대면 시, 상기 신분증에 대한 출입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 촬상부에 상기 신분증을 재차 대면 시, 출입증 정보의 유효 사용기간을 만료시키는 신상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에 대한 고유번호를 방문자가 스스로 설정하거나 설정된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고유번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상정보 처리부는,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 촬상부에 상기 신분증을 대면 후, 상기 신분증에 대해 설정된 고유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신분증에 대한 출입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 촬상부에 상기 신분증을 재차 대면 후, 상기 고유번호를 재 입력하면 상기 신분증에 대한 출입증 정보의 유효 사용기간을 만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정보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신상정보 저장부; 및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을 상기 촬상부에 재차 대면 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신상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신상정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서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비틀림을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과 상기 촬상부의 대면 여부를 판단하는 신분증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 검출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CdS(황화 카드뮴 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접속되며,
    상기 신분증 촬상부에서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저장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정보 처리부는,
    상기 신분증 소지자가 상기 신분증을 상기 촬상부에 재차 대면 시,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는 신상정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29. 신분증을 스캐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왕복 운동에 의해 신분증에 기록된 문자, 및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광학 스캐닝부;
    상기 신분증을 상기 광학 스캐닝부에 밀착시키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 면에 마련되며,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를 입력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이미지 파일을 금융기관 서버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계좌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의 표면에는 점자가 마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고객의 자필 서명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전송 처리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광학 스캐닝부와 대면하는 면에는 반사판이 마련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반사판이 마련되는 면과 반대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그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데 사용되는 오픈버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광학 스캐닝부 또는 커버의 내측에 생성된 CdS(황화카드뮴셀)와; 상기 이미지 센서 및 CdS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신분증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CdS가 커버의 폐쇄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광학 스캐닝부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신분정보를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신상정보 처리장치는 광학 스캐닝부 또는 커버의 내측에 생성된 광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 및 광센서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신분증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광센서가 커버의 폐쇄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광학 스캐닝부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신분정보를 스캐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상정보 처리장치.
KR1020060070645A 2006-07-27 2006-07-27 신상정보 처리장치 KR20080010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645A KR20080010541A (ko) 2006-07-27 2006-07-27 신상정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645A KR20080010541A (ko) 2006-07-27 2006-07-27 신상정보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541A true KR20080010541A (ko) 2008-01-31

Family

ID=3922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645A KR20080010541A (ko) 2006-07-27 2006-07-27 신상정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05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582B1 (ko) * 2013-12-03 2014-08-01 (주) 디에스앤씨 신분증 교환식 출입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534405B1 (ko) * 2013-10-29 2015-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스캔 장치
KR20180085266A (ko) * 2017-01-18 2018-07-26 (주)에이텍티앤 신분증인식기의 피인식물 안착기구
CN115331320A (zh) * 2021-05-11 2022-11-11 新世界发展有限公司 一种访客管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405B1 (ko) * 2013-10-29 2015-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스캔 장치
KR101424582B1 (ko) * 2013-12-03 2014-08-01 (주) 디에스앤씨 신분증 교환식 출입증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5266A (ko) * 2017-01-18 2018-07-26 (주)에이텍티앤 신분증인식기의 피인식물 안착기구
CN115331320A (zh) * 2021-05-11 2022-11-11 新世界发展有限公司 一种访客管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669B2 (en) Device for collecting personal data from user
US10963549B2 (en) Device for collecting personal data from user
US20160012217A1 (en) Mobile terminal for capturing biometric data
CN109074475A (zh) 包括在光学图像传感器上方且与光源横向相邻的针孔阵列掩膜的电子设备和相关方法
WO20010654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a human finger from a reproduction of a fingerprint
KR100894696B1 (ko) 신분증 위변조 판별 장치, 및 시스템
CN108305411B (zh) 出入境全业务一体化智慧办证终端及业务处理方法
JP6513866B1 (ja) 本人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536443A (ja) 制御照明を用いた表面外観の判定による文書認証方法
US6263090B1 (en) Code reader fingerprint scanner
KR20080010541A (ko) 신상정보 처리장치
KR20090132839A (ko) 전자 id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200412422Y1 (ko) 다기능 본인확인 등록 장치
JP2007509401A (ja) 画面画像認証
JP2022027560A (ja) 本人確認装置
KR20010067697A (ko) 주민증을 이용한 본인확인기
KR20070025451A (ko) 신분증 이미지 획득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신원확인 시스템
RU74231U1 (ru) Система денежных переводов
KR100230160B1 (ko) 서류 확인 시스템
JP6992926B1 (ja) 写真撮影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90443B1 (ko)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미세 데이터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070177222A1 (en) Document disposal apparatus
WO2022163775A1 (ja) 写真撮影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294410Y1 (ko) 신분증을 이용한 본인확인 장치
KR102490515B1 (ko)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비가시적인 데이터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