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169A -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169A
KR20040017169A KR1020020049310A KR20020049310A KR20040017169A KR 20040017169 A KR20040017169 A KR 20040017169A KR 1020020049310 A KR1020020049310 A KR 1020020049310A KR 20020049310 A KR20020049310 A KR 20020049310A KR 20040017169 A KR20040017169 A KR 20040017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igment
composition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853B1 (ko
Inventor
최희성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85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ulfur
    • C09K11/562Chalcoge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4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aluminium
    • C09K11/641Chalcogenides
    • C09K11/643Chalcogenides with alkaline earth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어두운 곳에서도 형광안료 및 축광안료에 의한 야광효과로 차량위치의 식별력을 증대시켜 교통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동적이고 스포틱한 분위기의 타이어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무수지와 클레이, 촉진제, 가황제, 오일을 포함하는 타이어용 사이드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축광안료 5 내지 40중량부와 형광안료 5 내지 3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을 타이어 제조시 사이드부에 적용하여 제조된 발광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Luminescent compound for the tire side}
본 발명은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광물질과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서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의 경우 어두운 곳에서 형광안료 및 축광안료에 의한 야광효과로 차량위치의 식별력을 증대시켜 교통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동적이고 스포틱한 분위기의 타이어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타이어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타이어에 적용되는 소재가 다양화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요구 또한 점차 복잡하고 다양화되어가고 있다. 특히, 타이어에 대한 기본 요구성능인 안전성 측면이외에 쾌적한 안락성과, 연비성능, 마모성능 등의 타이어 성능향상을 함께 요구하고 있다.
이외에도 소비자들은 우수한 성능과 함께 시각적 효과가 높은 타이어를 원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타이어 개발회사에서는 새로운 패턴을 가지면서 다양한 칼라가 도입된 패션화된 타이어의 개발을 시도하면서 소비자의 성향과 욕구 충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소비자들도 타이어의 사이드부를 포함한 여러 부위에 시각적인 효과와 장식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칼라와 문양이 형성된 스티커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시각효과를 높이기 위해 타이어에 응용되고 있는 종래의 방법들(스티커 부착 등)은 빛이 있는 곳에서만 식별이 가능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어두운 곳에서의 식별력이 떨어져 충분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활동적이고 스포틱한 분위기의 타이어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어두운 곳에서도 형광안료 및 축광안료에 의한 야광효과로 차량위치의 식별력을 증대시켜 교통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동적이고 스포틱한 분위기의 타이어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타이어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 조성물을 타이어 제조시 사이드부에 적용하여 제조된 발광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무수지와 클레이, 촉진제, 가황제, 오일을 포함하는 타이어용 사이드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축광안료 5 내지 40중량부와 형광안료 5 내지 3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 조성물을 타이어 제조시 사이드부에 적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타이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축광안료와 형광안료를 포함하는 타이어용 사이드부 발광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의 경우 타이어의 사이드부가 어두운 곳에서도 형광 및 축광효과를 나타내게 되며, 따라서 차량 위치의 식별력 증대에 따른 교통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포틱한 분위기의 타이어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통상의 타이어용 사이드부 조성물에 축광안료와 형광안료가 더 포함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타이어용 사이드부 조성물은 주로 고무수지와 클레이, 촉진제, 가황제 및 오일로 구성된다. 이때 고무수지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과 부틸고무)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고무수지는 천연고무 35 내지 45중량%와 합성고무 55 내지 65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타이어용 사이드부 조성물에 축광안료와 형광안료를 첨가하게 되는데, 축광안료는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중량부, 형광안료는 5 내지 30중량부 첨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광안료는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충분한 축광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4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축광안료의 함유로 인하여 타이어의 사이드부 물성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내에서 축광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축광안료는 80 내지 130메쉬의 입경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데, 상기 축광안료의 입경이 80메쉬 미만일 경우 다른 재료와의 분산성이 하락하고, 130메쉬를 초과할 경우 입자가 너무작아 축광효과가 하락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내의 입경을 갖는 축광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축광안료는 주성분인 클레이(SiO2, Al2O3)와 SrO3, Zr, Fe 등의 무기물로 구성되는 통상의 ZnS계 또는 AlSr계로서, 그 표면을 염료, Cu 또는 Eu 등으로 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축광안료의 여기피크 파장은 200 내지 450nm이고, 방출피크 파장은 470 내지 510nm이며, 색상은 노란색, 녹색, 연녹색, 청색, 분홍색, 붉은 색상을 나타내는 것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형광안료는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충분한 형광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형광안료의 함유로 인하여 타이어의 사이드부 물성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내에서 형광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형광안료는 270 내지 38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데, 형광안료로 270메쉬 미만의 것을 사용할 경우 다른 물질과의 분산성이 하락하는 단점이 있으며, 형광안료로 380메쉬를 초과한 것을 사용할 경우 입자가 너무 작아 형광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 내의 입자크기를 갖는 형광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형광안료는 일반적으로 시판중인 아민과 알데히드를 축합 반응시켜 제조한 열 경화성 수지에 염료를 투입하여 형성된 안료를 분말화시킨 것을 사용하였으며, 안료의 색상은 노란색, 녹색, 분홍색, 청색을 나타내는 것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타이어용 사이드부 조성물에 축광안료와 형광안료를 포함하는 발광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이 발광조성물을 타이어 제조시 사이드부에 적용하여 제조된 타이어의 경우 사이드부가 어두운 곳에서도 형광 및 축광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차량위치의 식별력이 증대되고, 그에 따른 교통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동적이고 스포틱한 분위기의 타이어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 사이드부 조성물에 축광과 형광 안료를 적용하여 물성의 하락 없이 타이어의 제조가 가능하며, 빛이 없는 곳에서 5시간 이상 육안으로 발광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야간의 식별력이 증대된 타이어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타이어용 사이드부 조성물을 통상의 타이어 제조순서에 따라 압출과 성형을 실시한 후 160℃에서 가황하여 가황고무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이에 대한 물성을 인장 시험기를 통해 시험하였으며, 발광 및 형광성은 크리스탈 박스(Crystal box)에 조성물을 채운 후 20시간이상 광을 차단한 다음 일반 햇볕에 20분간 노출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휘도를 TOPCON BM-5렌즈로 측정하고 이때의 휘도를 ABC로 구분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내에서 실시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형광성, 발광성 및 물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축광물질과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서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의 경우 어두운 곳에서 형광안료 및 축광안료에 의한 야광효과로 차량위치의 식별력을 증대시켜 교통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동적이고 스포틱한 분위기의 타이어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고무수지와 클레이, 촉진제, 가황제, 오일을 포함하는 타이어용 사이드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무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축광안료 5 내지 40중량부와 형광안료 5 내지 3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광안료는 여기 파장이 200 내지 400nm이고, 방출피크 파장은 470 내지 5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축광안료가 주성분인 클레이(SiO2, Al2O3)와 SrO3, Zr, Fe 등의 무기물로 구성되는 ZnS계 또는 AlSr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ZnSrP 또는 AlSr계 축광안료의 표면이 염료, Cu 또는 Eu로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광안료는 아민과 알데히드를 축합 반응시켜 제조한 열 경화성 수지에 염료를 투입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6. 청구항 1의 발광 조성물을 타이어 제조시 사이드부에 적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타이어.
KR10-2002-0049310A 2002-08-20 2002-08-20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KR100529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310A KR100529853B1 (ko) 2002-08-20 2002-08-20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310A KR100529853B1 (ko) 2002-08-20 2002-08-20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169A true KR20040017169A (ko) 2004-02-26
KR100529853B1 KR100529853B1 (ko) 2005-11-22

Family

ID=3732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310A KR100529853B1 (ko) 2002-08-20 2002-08-20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8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854B1 (ko) * 2002-08-20 2005-11-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KR100529855B1 (ko) * 2002-08-20 2005-11-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사이드부 코팅용 발광 조성물
CN102964639A (zh) * 2011-08-31 2013-03-13 赛轮股份有限公司 轮胎荧光胎侧胶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68806B (en) * 1999-09-15 2006-12-21 Rohm & Haas A catalyst useful for oxidation of alkanes
EP1090684A1 (en) * 1999-10-01 2001-04-11 Rohm And Haas Company A catalyst useful for the gas phase oxidation of alkanes, alkenes or alcohols to unsaturated aldehydes or carboxylic acid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826A (ja) * 1989-07-18 1991-03-04 Shizuoka Seiki Co Ltd 電解仕上げ加工機の通電装置
JP2597259Y2 (ja) * 1993-12-22 1999-07-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H08318715A (ja) * 1995-05-26 1996-12-03 Yoshio Sasaki 自動車等のタイヤ
JPH10907A (ja) * 1996-06-18 1998-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イヤと車輪と乗り物と製造方法
KR19990011831A (ko) * 1997-07-25 1999-02-18 남일 야광효과를 갖는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DE60022260T2 (de) * 1999-05-28 2006-06-08 Société de Technologie Michelin Gefärbte Kautschukzusammensetzung für Reifen
JP2002019402A (ja) * 2000-07-07 2002-01-23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ホイールキャップ
KR100756332B1 (ko) * 2001-12-21 2007-09-06 (주)브레인유니온시스템 복합 고분자 수지액 및 이를 이용한 피인쇄물 표면 처리 방법
KR20030092743A (ko) * 2002-05-31 2003-12-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발광 도료가 도포된 발광 타이어
KR20030092742A (ko) * 2002-05-31 2003-12-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발광 효과를 갖는 타이어용 사이드부 고무 조성물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KR100451861B1 (ko) * 2002-06-27 2004-10-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발광 타이어
KR100529855B1 (ko) * 2002-08-20 2005-11-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사이드부 코팅용 발광 조성물
KR100529854B1 (ko) * 2002-08-20 2005-11-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854B1 (ko) * 2002-08-20 2005-11-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KR100529855B1 (ko) * 2002-08-20 2005-11-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사이드부 코팅용 발광 조성물
CN102964639A (zh) * 2011-08-31 2013-03-13 赛轮股份有限公司 轮胎荧光胎侧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9853B1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7352B2 (en) Luminous materials
EP2571066B1 (en) Led module, led lamp, and illuminating apparatus
CN1659406B (zh) 汽车前灯、具有视觉效应的透镜或灯罩
EP1864274B1 (en) Illuminating device combining a led and a diffusing sheet
AU2001262545A1 (en) Improved luminous materials
JP3424566B2 (ja)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EP2546897A1 (en) White light illumination device
KR100529854B1 (ko)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KR100529853B1 (ko) 타이어의 사이드부용 발광 조성물
KR100529855B1 (ko) 타이어의 사이드부 코팅용 발광 조성물
US9488333B2 (en) Lighting device
KR100711618B1 (ko) 발광고무 조성물층이 포함된 타이어
KR100451861B1 (ko) 발광 타이어
RU2405804C1 (ru) Полимерная люминесцен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белого света, возбуждаемая синим светодиодом
CN102691942A (zh) 一种提高led照明隧道路面亮度的方法
KR20030092742A (ko) 발광 효과를 갖는 타이어용 사이드부 고무 조성물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KR20030092743A (ko) 발광 도료가 도포된 발광 타이어
KR19990011831A (ko) 야광효과를 갖는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KR100598144B1 (ko) 잔광시간이 길어진 축광안료조성물
JPH1021883A (ja) 一般照明用ランプ
KR102508483B1 (ko) 작업복용 고휘도 반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복
KR200363614Y1 (ko) 축광성 반지
CN116825931A (zh) 发光装置
KR20030027897A (ko) 개량된 광(光)물질
JP2020037636A (ja) 蓄光樹脂組成物及び蓄光樹脂成型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