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219A -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밸브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밸브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219A
KR20040016219A KR1020020048487A KR20020048487A KR20040016219A KR 20040016219 A KR20040016219 A KR 20040016219A KR 1020020048487 A KR1020020048487 A KR 1020020048487A KR 20020048487 A KR20020048487 A KR 20020048487A KR 20040016219 A KR20040016219 A KR 20040016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valve
valve
nozzle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6219A/ko
Publication of KR20040016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21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의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가스밸브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외부의 충격 및 자체 하중등에도 가스밸브의 처짐등 변위 발생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화염특성 및 우수한 초기 점화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스관(23)에 연결되는 가스밸브(30)와, 상기 가스밸브(30) 일측에 구비되어 가스를 혼합관(24)쪽으로 분사하게 되는 가스노즐(22)과, 상기 가스밸브(30)가 측벽(410)에 매달리는 형태로 체결되는 "ㄴ"자형의 마운트 브라켓(40)과, 대략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가면서 유로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다시 점차로 넓어지는 형태로서 가스노즐(2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는 혼합관(24)과, 상기 혼합관(24)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관(24)의 출구를 통해 나오는 혼합가스에 점화하는 점화장치(26)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조기의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40)의 바닥면(420)과 가스밸브(30) 사이에 상기 가스밸브(30)를 떠받쳐 지지하는 서포터(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밸브 장착구조{structure for mounting gas valve in gas burner for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내에 투입된 건조물에 대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가스를 연소시켜 열풍을 만들어내는 가스연소장치에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건조기의 내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닛(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드럼(1)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1)은 원통형으로 전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감겨지는 벨트홈(2)이 외주면 중간부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건조가 진행되는 공간인 건조챔버(5)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드럼(1)의 회전시 상기 건조챔버(5)내의 건조대상물을 끌고 올려가 낙하시킴으로써 건조대상물을 뒤집에 주어 건조효율을 높이는 리프터(6)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게 각각 프론트 서포터(7)와 리어 서포터(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와 리어 서포터(9)는 상기 드럼(1)의 앞쪽과 뒷쪽의 막아 건조챔버(5)를 형성하고 드럼(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서포터(7)와 회전하는 드럼(1) 사이 및 상기 리어 서포터(9)와 회전하는 드럼(1)의 사이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10)가 설치된다.물론, 프론트 서포터(7)와 상기 리어 서포터(9)에는 상기 드럼(1)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드럼(1)의 전방과 후방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서포터(7)에는 상기 건조챔버(5)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공(8)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8)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서포터(9)에는 열풍공급덕트(1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열풍공급덕트(12)는 상기 건조챔버(5)로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챔버(5)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의 통공(8)의 하단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 서포터(7)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챔버(5)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인 출구조립체(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에는 린트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필터(14)는 상기 건조챔버(5)를 빠져나가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예를 들어 실밥이나 먼지)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출구조립체(13)와 연통되게 린트덕트(15)가 설치되는데, 상기 린트덕트(15)의 내부로까지 상기 린트필터(14)가 위치된다. 상기 린트덕트(15)와 연결되어서는 블로워(17)가 설치되어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5)의 공기를 빨아내게 된다. 상기 블로워(17)는 블로워하우징(1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하우징(18)은 일측이 상기 린트덕트(15)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파이프(1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챔버(5)에서 빠져나와 상기 린트덕트(1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블로워(17)의 송풍작용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열풍공급덕트(12)의 입구측에는 가이드 펀넬(20)(Guide funnel)이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펀넬(20)은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풍을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입구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펀넬(20)의 입구측에는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관(24)(Mixing tube)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혼합관(24)은 출구부가 상기 가이드 펀넬(20)의 입구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들어온 상태로 위치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노즐(22)은 혼합관(24)의 입구에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가스노즐(22)은 가스의 공급 및 공급량 제어를 위한 가스밸브(30)에 구비된다.
상기 가스밸브(30)에는 별도의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가스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가스관(23)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혼합관(24) 내부의 혼합유로(240)에서는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된 가스와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 즉 1차공기가 섞여지게 된다.
상기 혼합관(24)의 선단에는 혼합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2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챔버(5)에 건조 대상물(예:세탁포)을 투입하고 도어를 닫은 후,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벨트홈(2)에 감겨있는 벨트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면서 드럼(1)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17)가 동작되면서 상기 건조챔버(5)의 공기를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빨아낸다. 이와 같이 되면 압력 차이로 인해 상기 건조챔버(5)로는 상기 열풍공급덕트(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열풍공급덕트(12)로 공급되는 공기는 가스연소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상태로 되어 유입된다.
즉, 상기 가스노즐(22)을 통해 가스가 상기 혼합관(24)의 내부로 분사되고, 상기 혼합관(24)의 입구로 1차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혼합관(24)의 내부에서 가스와 1차공기가 섞이고, 상기 혼합관(24)의 출구에서 상기 점화장치(26)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이와 같이 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상기 가이드 펀넬(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으로 만들게 된다.
한편, 상기 열풍은 상기 열풍공급덕트(12)를 통해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챔버(5)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챔버(5)의 내부에서 상기 열풍은 세탁포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건조챔버(5)를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공기가 건조챔버(5)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상기 블로워(17)의 흡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를 빠져나가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실밥등의 이물은 상기 린트필터(14)를 통과하면서 걸러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건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가스밸브(30)가 캐비닛을 구성하는 베이스상에 고정된 마운트 브라켓(4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데, 스크류등의 체결부재(60)가 상기 마운트 브라켓(40)의 측벽(410)을 관통하여 가스밸브(30)의 측면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가스밸브(30)에 장착된 가스노즐(22)이 정위치를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하여 화염의 연소상태가 불안정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혼합관(24)과 가스밸브(30)에 구비된 가스노즐(22)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데, 외부의 충격 및 자체 하중등에 의해 가스밸브(30)에 처짐등의 변위가 발생할 경우, 가스노즐(22)과 혼합관(24)과의 중심이 틀어지게 되고, 이에 기인하여 1차공기의 유입량 및 유입속도등 유동특성이 불량해짐으로 인해 화염의 연소상태가 불안정해지거나 초기점화력이 약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밸브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외부의 충격 및 자체 하중등에도 가스밸브의 처짐등 변위 발생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화염특성 및 우수한 초기 점화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 건조기의 가스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건조기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기술요부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기술요부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가스노즐23: 가스관
24: 혼합관240: 혼합유로
26: 점화장치30: 가스밸브
40: 마운트 브라켓 410:측벽
420:바닥면 50: 서포터
60,70,80:체결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스관에 연결되는 가스밸브와, 상기 가스밸브 일측에 구비되어 가스를 혼합관쪽으로 분사하게 되는 가스노즐과, 상기 가스밸브가 측벽에 매달리는 형태로 체결되는 "ㄴ"자형의 마운트 브라켓과, 대략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가면서 유로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다시 점차로 넓어지는 형태로서 가스노즐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스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는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관의 출구를 통해 나오는 혼합가스에 점화하는 점화장치를 포함하여서 된 건조기의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의 바닥면과 가스밸브 사이에 상기 가스밸브를 떠받쳐 지지하는 서포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는 외부의 충격 및 자체 하중등에도 가스밸브의 처짐등 변위 발생이 방지됨으로 인해, 1차공기의 유입량 및 유동속도등 유동특성이 안정화되어 결국 화염의 안정화를 도모함과 더불어 초기점화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기술요부를 보인 측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가스연소장치는 가스관(23)에 연결되는 가스밸브(30)와, 상기 가스밸브(30) 일측에 구비되어 가스를 혼합관(24)쪽으로 분사하게 되는 가스노즐(22)과, 상기 가스밸브(30)가 측벽(410)에 매달리는 형태로 체결되는 "ㄴ"자형의 마운트 브라켓(40)과, 상기 마운트 브라켓(40)의 바닥면(420)과 가스밸브(30) 사이에 상기 가스밸브(30)를 떠받쳐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서포터(50)(Support)와, 대략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가면서 유로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다시 점차로 넓어지는 형태로서 가스노즐(2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스노즐(22)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는 혼합관(24)과, 상기 혼합관(24)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관(24)의 출구를 통해 나오는 혼합가스에 점화하는 점화장치(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서포터(50)는 판상(板狀)의 구조체로서 가스밸브(30) 하부면에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마운트 브라켓(40)의 바닥면(420)에 타단이 체결되어, 상기 가스밸브(30)를 지지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조립시, 먼저 가스밸브(30)의 하부면에 판상의 서포터(50)을 갖다 댄 상태에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70)를 이용하여 상기 서포터(50)의 일단이 가스밸브(30)의 하부면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어, 베이스(도시되지 않음)상에 고정된 마운트 브라켓(40)의 측벽(410)에 서포터(50)가 결합된 가스밸브(30)를 갖다 댄 상태에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0)가 상기 마운트 브라켓(40)의 측벽(410)을 관통하여 상기 가스밸브(30)의 측면에 체결되도록 한다.
그 후, 마지막으로 마운트 브라켓(40)의 바닥면(420)을 관통하여 서포터(50)의 타단에 체결부재(80)가 체결되도록 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가스밸브(30)에 장착된 가스노즐(22)이 정위치를 벗어나는 현상이 해소되며, 이에 따라 화염의 연소상태가 안정화된다.
즉, 혼합관(24)과 가스밸브(30)에 구비된 가스노즐(22)은 서로 대향하도록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서포터(50)가 마운트 브라켓(40)의 바닥면(420)과 가스밸브(30)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스밸브(30)를 지지하므로 인해, 외부의 충격 및 자체 하중등이 작용하더라도 가스밸브(30)에 처짐을 막아주게 된다.
또한, 가스밸브(30)에 처짐이 방지됨에 따라 가스노즐(22)과 혼합관(24)과의 중심이 틀어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1차공기의 유입량 및 유입속도등 유동특성이 안정화됨으로써 화염의 연소상태가 안정되며 초기점화력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포터은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판상 구조가 아니라도 무방하다. 즉, 상기 서포터는 마운트 브라켓(40)의 바닥면(420)과 가스밸브(30)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스밸브를 떠받쳐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는 가스밸브의 조립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외부의 충격 및 자체 하중등에도 가스밸브의 처짐등 변위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과 있다.
이와 아울러, 본 발명은 안정된 화염특성 및 우수한 초기 점화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가스관에 연결되는 가스밸브와, 상기 가스밸브 일측에 구비되어 가스를 혼합관쪽으로 분사하게 되는 가스노즐과, 상기 가스밸브가 측벽에 매달리는 형태로 체결되는 "ㄴ"자형의 마운트 브라켓과, 대략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가면서 유로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다시 점차로 넓어지는 형태로서 가스노즐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스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는 혼합관과, 상기 혼합관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관의 출구를 통해 나오는 혼합가스에 점화하는 점화장치를 포함하여서 된 건조기의 가스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브라켓의 바닥면과 가스밸브 사이에 상기 가스밸브를 떠받쳐 지지하는 서포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밸브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가스밸브 하부면에 일단이 체결되고 상기 마운트 브라켓의 바닥면에 타단이 체결되는 판상의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밸브 장착구조.
KR1020020048487A 2002-08-16 2002-08-16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밸브 장착구조 KR20040016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87A KR20040016219A (ko) 2002-08-16 2002-08-16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밸브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87A KR20040016219A (ko) 2002-08-16 2002-08-16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밸브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219A true KR20040016219A (ko) 2004-02-21

Family

ID=3732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487A KR20040016219A (ko) 2002-08-16 2002-08-16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밸브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62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635B1 (ko) * 2007-12-27 2013-09-1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635B1 (ko) * 2007-12-27 2013-09-1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325B1 (ko) 건조기의 버너지지장치
US20040123488A1 (en) Base structure for air inflow in clothes dryer
KR20040023997A (ko) 의류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이드펀넬과 인렛덕트와의조립구조
KR100578349B1 (ko) 건조기의 공기유동구조
KR101154947B1 (ko) 건조기의 히터 어셈블리
KR101211004B1 (ko) 건조기의 점화장치
KR100937409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20040016219A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밸브 장착구조
KR100893857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스노즐과 혼합관간의 결합구조
KR100780348B1 (ko) 건조기용 열풍공급장치
KR100780355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869504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662480B1 (ko) 의류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873123B1 (ko) 건조기의 블로워 하우징 조립구조
KR20090071429A (ko) 가스히터를 구비하는 건조기
KR101122078B1 (ko) 건조기의 가스연소장치
KR100798942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873122B1 (ko) 의류건조기의 인렛그릴 구조
KR100869503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706203B1 (ko) 흡기덕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건조기
KR100873121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869502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751800B1 (ko) 건조기용 가스히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08284A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807835B1 (ko) 건조기의 에어공급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