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430A - 인공 해중림 - Google Patents

인공 해중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430A
KR20040015430A KR1020020047520A KR20020047520A KR20040015430A KR 20040015430 A KR20040015430 A KR 20040015430A KR 1020020047520 A KR1020020047520 A KR 1020020047520A KR 20020047520 A KR20020047520 A KR 20020047520A KR 20040015430 A KR20040015430 A KR 20040015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s
artificial
sea
forest
defore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9738B1 (ko
Inventor
노홍길
현명택
양문석
고명철
김상현
박윤철
홍성완
이동원
김석우
Original Assignee
세기건설 주식회사
현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기건설 주식회사, 현명택 filed Critical 세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7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15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어초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고정물들을 설치하고, 고정물들간에 격자망상으로 이루어진 해중림 본체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해조류의 번식을 촉진시키고,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해류에 유동되지 않도록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물들;
상호 이격된 상기 고정물들간에 고정 설치되되 해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격자망상의 천연 로프로 이루어진 해중림 본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공 해중림{artificial fish-breeding ground}
본 발명은 해저면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인공 해중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어초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고정물들을 설치하고, 고정물들간에 격자망상으로 이루어진 해중림 본체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해조류의 번식을 촉진시키고,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인공 해중림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과 수온상승으로 인하여 최근 연안해역의 수심 10m 내외 지역의 암초에는 바닷물의 석회성분이 부착되면서 하얗게 변색되는 백화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암초등을 생존 기반으로 하는 미역과 다시마 등 해조류가 사라지면서 해조류를 먹고사는 해삼, 소라, 전복등 패류와 어류 등이 감소로 생태계 손상에따른 피해를 많이 받고 있다. 이와 같은 파손된 바다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연구결과 이러한 파괴된 생태계의 복원을 위해 해조류의 육성이 필수적인 것으로 도출되었고, 인공어초에 해조류를 붙여 투하하는 이른바 해중림(海中林)조성사업이 다각적으로 시도되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해중림이 해저면과 접촉에 의하여 해조류의 착생이 곤란하여 소기의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기존에 시도된 해중림의 문제를 열거하면
(1) 백화현상 등으로 생태계가 파손된 해저면에 투하된 인공어초에 백화현상 등이 동일하게 발생되어 새로운 생태계를 형성하는 데에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2) 인공어초를 해저면에 설치함으로써 인공어초에 부착된 해조류가 해저면과 빈번히 접촉되게 되어 착생과 성장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3) 패류가 인공어초에 부착되 해조류의 착생과 성장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4) 해조류를 단순히 인공어초에 부착 착생시키려 하였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5) 인공어초에 직접 해조류를 이식하는 방법은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고, 물속에서 장시간 체류하며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중림을 해저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들을 치유할 수 있도록 한 인공 해중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조류의 착생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 저렴한 가격으로 해중림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해중림의 음영의 효과로 치어들의 치난처와 어류의 생식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고정물을 인공어초로 설치함으로써 인공어초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조성된 해중림을 교체 및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신설장소에 해초류가 기 착생된 상태의 해중림을 조성하도록 함으로써 생태를 보다 빠른 시간에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고정물의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해류에 유동되지 않도록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물들;
상호 이격된 상기 고정물들간에 고정 설치되되 해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해중림 본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물들은 해저면에 설치한 인공어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중림 본체는 격자망상의 천연로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중림 본체에는 해류에 유동되는 인공수초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중림 본체와 상기 고정물들에는 상호 체결수단이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해중림 본체를 상기 고정물들에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물들에 상기 해중림 본체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고정물(1), (2), (3)은 철재빔이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해저면에 고정된다. 특히 인공어초로 이루어질 때는 인공어초 역할도 수행하면서해중림의 고정물의 역할도 하기 때문에 이중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고정물들(1), (2), (3)은 3층 구조로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 인공어초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상정하기로 한다.
고정물(1), (2), (3)은 직사각형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부로 올라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다층 형상을 이룬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3층 형상으로 폭이 좁아지는 각 층의 상부면에 체결수단들(16), (17), (18), (19), (20), (21)이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체결수단들은 각 층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에 국한 되지 않고 측벽면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체결수단들은 양 단이 콘크리트에 함몰 고정되는 U볼트나 끝이 환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앙카볼트등과 같이 해중림 본체(100), (110), (120), (130), (140), (150)의 양단에 형성된 샤클이나 턴버클등의 체결수단을 체결시킬 수 있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거리만큼 해저면에서 이격 설치된 고정물들(1), (2), (3)은 고정물들에는 해중림 본체(100), (110), (120), (130), (140), (150)들이 설치된다. 해중림 본체의 양단은 샤클이나 턴버클과 같은 결합구가 설치되어져 있어, 체결수단에 체결 또는 체결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져 있다.
해중림 본체는 양끝단에 체결수단이 형성되어져 고정물의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들과 연결부재들을 상호 수직방향으로 고정연결시키는 부연결부재들로 이루어져 격자망상을 이루는 것이 해류에 의한 유동을 최소화함으로써 해조류의 착상을 양호하게 하고, 해중림 본체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고정물 2의 최상층의 체결수단들(16), (16'), (16")에는 끝단에는 해중림 본체(130)를 형성하는 연결부재(13), (13'), (13")의 턴버클(30), (30'), (30")이 체결된다. 마찬가지로 중간층의 체결수단들(17), (17'), (17")에도 해중림 본체(140)의 연결부재(14), (14'), (14")가 연결, 설치되며, 아래층의 체결수단들(18), (18'), (18")에는 해중림 본체(150)의 연결부재(15), (15'), (15")가 연결,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들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진 고정물(3)의 각각의 체결수단에 연결, 결합됨으로써 고정물들(2), (3)에 해중림 본체(130), (140), (150)은 설치되게 된다.
상기에서 해중림 본체를 형성하는 연결부재 및 부연결부재는 천연마닐라 삼으로 하는 것이 바닷물과 유사한 비중을 갖도록 하여 체결수단에 과도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해중림 본체에는 합성수지 천이나 줄로 이루어진 인공해초들(34)이 고정 설치됨으로써 그물망 하부에 음영을 제공할 수 있어 어류들에 서식공간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고정물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정물은 고정물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해중림 본체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 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사방으로 해중림 본체를를 설치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들이 고정물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고정물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1) 해중림을 해저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해중림에 백화현상등이 전파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생태계 복원이 가능하도록 하고,
(2) 인공해초등을 해중림 본체의 로프에 설치함으로써 해조류의 착생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3) 고정물을 인공어초로 활용함으로써 패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4) 해중림 본체에 고정 부착된 인공해초 및 착생된 해조류등에 의하여 음영의 효과로 치어들의 피난처와 어류의 생식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어장을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5) 고정물, 해중림 본체등을 육상에서 제작하고, 해중에서 조립하게 됨으로써 제작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6) 해조류가 착생된 해중림 본체를 타 장소에 신설 배치된 고정물들에 재설치함으로써 신설장소의 파괴된 생태계를 보다 빠르게 복원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해류에 유동되지 않도록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물들;
    상호 이격된 상기 고정물들간에 고정 설치되되 해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해중림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중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물들은 해저면에 설치한 인공어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해중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중림 본체는 격자망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중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중림 본체에는 해류에 유동되는 인공수초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중림.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중림 본체와 상기 고정물들에는 상호 체결수단이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해중림 본체를 상기 고정물들에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해중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물들에 상기 해중림 본체들이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중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해중림은 천연재료의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중림.
KR10-2002-0047520A 2002-08-12 2002-08-12 인공 해중림 KR100519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520A KR100519738B1 (ko) 2002-08-12 2002-08-12 인공 해중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520A KR100519738B1 (ko) 2002-08-12 2002-08-12 인공 해중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044U Division KR200294786Y1 (ko) 2002-08-12 2002-08-12 인공 해중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430A true KR20040015430A (ko) 2004-02-19
KR100519738B1 KR100519738B1 (ko) 2005-10-11

Family

ID=3732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520A KR100519738B1 (ko) 2002-08-12 2002-08-12 인공 해중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5439A (zh) * 2016-12-30 2017-05-17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附着型贝类海区增殖器材及增殖方法
KR20180120969A (ko) 2017-04-28 2018-11-07 제주해양연구소 주식회사 해조류 로프의 설치가 간편한 수중 저연승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603B1 (ko) * 2015-02-05 2015-05-14 신의준 수중암반 및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해중림 조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956U (ko) * 1979-05-15 1980-11-27
JPS60100974U (ja) * 1983-12-15 1985-07-10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人工藻
JPS60100973U (ja) * 1983-12-16 1985-07-10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海藻養殖礁
JPH11285330A (ja) * 1998-04-01 1999-10-19 Ichiro Sakai 母藻ロープ固定式藻場・海中林生物増殖用基盤材システム
JP2002000114A (ja) * 2000-06-26 2002-01-08 Kaneda Kensetsu:Kk 海中草原造成用構造物
KR100397837B1 (ko) * 2001-07-09 2003-09-17 한국해양연구원 연안 어패조류용 복합 인공어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5439A (zh) * 2016-12-30 2017-05-17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附着型贝类海区增殖器材及增殖方法
KR20180120969A (ko) 2017-04-28 2018-11-07 제주해양연구소 주식회사 해조류 로프의 설치가 간편한 수중 저연승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9738B1 (ko) 200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496B1 (ko)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KR101723269B1 (ko) 방사상의 어초판과 연결다리를 가지는 인공어초
KR100572069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KR100572070B1 (ko) 조림초와 해중림 조성부재의 고정 방법
KR101001828B1 (ko) 해중림 조성용 기둥형 해중림초
KR20130003404U (ko) 해중림 조성 장치
KR100720121B1 (ko) 해중림조성용 반원통상 조림초
KR200399819Y1 (ko) 인공 해조류를 이용한 해중림초
KR101336410B1 (ko) 해중림조성장치
KR100998034B1 (ko) 해중림 조성용 인공 암초 구조물
KR101722386B1 (ko) 에이치형 해조류 이식 플레이트
KR100519738B1 (ko) 인공 해중림
KR10057206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KR102500637B1 (ko) 수중저연승 시설물
KR102532236B1 (ko) 수중저연승 시설물
KR200294786Y1 (ko) 인공 해중림
KR20130060686A (ko) 해중림 조성용 어초
KR19990055863A (ko) 양식설비
KR101631588B1 (ko) 인공어초
KR200406383Y1 (ko) 해중림 조성 시스템
KR200392536Y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0720124B1 (ko) 해중림조성용 계단식 조림초
KR200473630Y1 (ko) 해양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해중림 조성용 복합재질 콘크리트 블록
KR101127136B1 (ko) 해중림 패널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