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834A -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 Google Patents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834A
KR20040013834A KR1020020046921A KR20020046921A KR20040013834A KR 20040013834 A KR20040013834 A KR 20040013834A KR 1020020046921 A KR1020020046921 A KR 1020020046921A KR 20020046921 A KR20020046921 A KR 20020046921A KR 20040013834 A KR20040013834 A KR 20040013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aste collection
drive shaft
screw portion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985B1 (ko
Inventor
허성
Original Assignee
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성 filed Critical 허성
Priority to KR10-2002-004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9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8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translato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8Ej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등의 유입수로에 설치되어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협잡물들을 기계적인 장치로 자동수거하는 오물수거장치에서 있어서, 여과망(47)으로부터 긁어 올려진 오물수거판(45) 상면의 오물들을 오물수거판(45) 자체가 회전되면서 오물처리부(49) 상부에서 자동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오물의 완벽한 처리와 동시에 작업의 간편성 및 능률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rake rotation structure of device for remove filth}
본 발명은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등의 유입수로에 설치되어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협잡물들을 기계적인 장치로 자동수거하는 오물수거장치에서 있어서, 여과망으로부터 긁어 올려진 오물수거판 상면의 오물들을 오물수거판 자체가 회전되면서 오물처리부 상부에서 자동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오물의 완벽한 처리와 동시에 작업의 간편성 및 능률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배수펌프장, 취수장 등으로 흘러 들어오는 유입수 중에는 생활용품이나 산업쓰레기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오물들도 함께 쓸려 내려와 이를 그대로 여과없이 방류할 경우 물의 오염이나 펌프장의 펌프막힘 및 파손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펌프장의 입구에 일정 간격의 평철로 제작된 그물망을 설치하여 그물망에 걸리는 오물을 갈고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걷어올리는 수거방식이 종래로부터 이용되고 있었다.
근래에 들어서는, 인력에 의한 오물수거 작업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점차 대체 실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오물수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그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오물수거장치는 수로의 폭에 따라 설치된 베드(10)의 상면에서 그 폭의 좌우로 이동되는 이동대차(12), 상기 이동차(12)의 전면에 설치된 비임승강대(20)와, 상기 비임승강대(20)에 장설되는 다단 슬라이드 비임(25)으로 이루어진 다단 승강장치, 상기 비임승강대(20)에 장설하여 비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비임 각도조절 실린더(40), 상기 비임승강대(20)의 배면에 장착된 승강실린더(30), 상기 다단 슬라이드 비임(25)의 하부 말단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수거판(45), 배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된 여과망(47)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오물수거장치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비임승강대(20)의 내부 로울러(21)에 장설된 다단 슬라이드 비임(25)이 승강실린더(30)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다단 슬라이드 비임(25)의 하부 말단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수거판(45)이 여과망(47)의 아래부분에 이동된 다음 상기 다단 슬라이드 비임(25)이 상기 여과망(47)의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오물수거판(45)이 여과망(47)에 걸린 오물을 긁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나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임 각도조절 실린더(40)가 작동되어 상기 비임승강대(20)를 앞으로 밀게 되면, 비임승강대(20)가 축(22)을 지점으로 회동되어 오물수거판(45)이 별도로 장치되어 있는 오물낙하판(24)의 하반측으로 회동되고 이때, 승강실린더(30)의 작동으로 상기 오물수거판(45)을 좀더 상승시키면서 상기 오물낙하판(24)의 끝단이 오물수거판(45)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이후 비임 각도조절 실린더(40)가 비임승강대(20)를 당겨 오물수거판(45)이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오물수거판(45) 상면의 오물이 아래로 낙하하여 오물처리부(49)를 통해 수집된 뒤 별도로 처리되게 된다.
국내외에서 이러한 방식의 오물수거장치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방식으로서 상기 오물수거판(45)은 다단 슬라이드 비임(25)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오물수거판(45) 상면의 오물제거를 위해 별도로 장착된 오물낙하판(24)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의 가동현장에서의 실태는 상기 오물낙하판(24)이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오물수거판(45) 상면의 오물을 여과망(47) 앞으로 다시 떨어뜨리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물수거판에 의해 긁어 올려진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오물낙하판 등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오물수거판 자체가 회전되면서 오물을 오물처리부 상부에서 자동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오물의 완벽한 처리와 동시에 작업의 간편성 및 능률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오물수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판의 회전이 가능한 오물수거장치의 전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이동대차 40 : 비임 각도조절 실린더
45 : 오물수거판 47 : 여과망
49 : 오물처리부 70 : 구동축
72 : 나사부 74 : 스플라인부
76 : 암나사부 80 : 다단 슬라이드 비임
81 : 고정비임 85 : 회전모터
87 : 축결합대 89 : 삽입부
90 : 제1링크 92 : 제2링크
95 : 오물수거판 지지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비임의 내부에 내삽된 다단 슬라이드 비임이 신축동작에 의해 상,하강 작동하면서 상기 다단 슬라이드 비임의 하부 말단에 부착된 오물수거판이 배수로에 설치된 여과망에 걸린 오물을 긁어 올리도록 이루어진 오물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비임의 상부 내벽에 장착된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를 가지는 축결합대와, 상기 축결합대의 삽입부에 분리 또는 결합되고 상기 다단 슬라이드 비임의 내측벽면에 다수개의 베어링을 매개로 고정 지지되며 그 하측 끝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나사부에 끼움 결합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나사부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오물수거판을 고정 지지하는 오물수거판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어 암나사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오물수거판 지지축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링크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의 상측 끝단부는 그 외주면을 따라 스플라인 가공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축결합대의 삽입부는 그 내주면을 따라 스플라인 가공되어, 구동축의 상측 끝단부와 축결합대의 삽입부가 클러치 형태로 서로 원활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암나사부의 양쪽 축부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연결되고 그 말단부 보스는 상기 오물수거판 지지축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축의 나사부 양끝단부에 한쌍의 베어링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암나사부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판의 회전이 가능한 오물수거장치의 전체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비임(81)의 내부에는 신축동작이 가능하도록 다단 슬라이드 비임(80)이 내삽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비임(81)의 상부에는 와이어(82)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는 모터와 와이어드럼으로 구성된 권상장치(83)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비임(81)을 포함해 총 4단의 비임으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비임(81)의 상부 내측에는 내벽에 장착된 전자식 또는 유압식 회전모터(85)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일정 공간을 형성하면서 그 내주면을 따라 스플라인 가공된 삽입부(89)을 가지는 축결합대(8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축결합대(87)의 삽입부(89)에 분리 또는 결합되는 구동축(70)이 다단 슬라이드 비임(80)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축(70)은 다단 슬라이드 비임(80)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1단비임(80a)의 내측벽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베어링(60a,60b,60c)을 매개로 고정 지지된다.
상기 구동축(70)의 상측 끝단부에는 상기 축결합대(87)의 삽입부(89)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스플라인 가공된 스플라인부(74)가 형성되고, 그 하측 끝단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72)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축(70)의 스플라인부(74)와 축결합대(87)의 삽입부(89)는 클러치 형태로 자유롭게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서로 암,수의 스플라인 형태로 가공되어 있어 양자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축결합대(87)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70)도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70)의 나사부(72)에는 암나사부(76)가 끼움 결합되는데, 상기 암나사부(76)는 구동축(70)의 회전에 의해 나사부(72)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동축(70)을 1단비임(80a)의 내측벽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베어링(60a,60b,60c)이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축(70)의 나사부(72) 양끝단부에 한쌍의 베어링(60a,60b)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암나사부(76)의 외부 이탈을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70)의 나사부(72)에 끼워져 구동축(7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암나사부(76)와 오물수거판(45)을 고정 지지하고 있는 오물수거판 지지축(95) 사이에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링크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암나사부(76)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오물수거판 지지축(95)이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암나사부(76)의 양쪽 축부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1링크(90)와, 상기 제1링크(90)의 타단에 힌지핀(91)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그 말단부 보스(93)는 상기 오물수거판 지지축(95)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2링크(92)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암나사부(76)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링크(91)는 제2링크(92)를 일정각도 회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2링크(92)와 고정 결합된 오물수거판 지지축(95)도 일정각도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링크(92)의 보스(93)는 오물수거판 지지축(95)과 키(96)로써 체결되어 고정결합되며, 이외에도 용접 등 통상의 고정구조로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는 다단 슬라이드 비임(80)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1단비임(80a)의 내측벽면에 다수개의 베어링(60a,60b,60c)을 매개로 구동축(7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70)의 스플라인부(74)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부(89)를 가지면서 회전모터(8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축결합대(87)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70)의 나사부(72)에는 구동축(7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암나사부(76)가 끼움구비되고, 상기 암나사부(76)와 오물수거판 지지축(95) 사이에는 링크수단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고정비임(81)의 상부에 설치된 권상장치(83)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82)가 풀어지게 되면 고정비임(81)의 내부에 내삽되어 있던 다단 슬라이드 비임(80)은 신장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1단비임(80a)의 내측벽면에 고정 설치된 구동축(70)도 1단비임(80a)의 하강에 의해 같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82)가 감기게 되면 다단 슬라이드 비임(80)이 상승되면서 구동축(70)은 고정비임(81)의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다단 슬라이드 비임(80)의 하강 및 상승에 의해 그 하부 말단에 부착된 오물수거판(45)은 배수로에 설치된 여과망(47)에 걸린 오물을 긁어 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1단비임(80a)이 최상부로 상승된 경우, 즉 오물수거판(45)이 오물을 긁어올려 오물처리부(49)의 최상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1단비임(80a)의 내측벽면에 고정 지지된 구동축(70)의 스플라인부(74)는 축결합대(87)의 삽입부(89)내로 삽입되어 끼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모터(85)의 작동에 의해 상기 축결합대(87)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축(70)도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구동축(70)은 1단비임(80a)의 내측벽면에 다수개의 베어링(60a,60b,60c)을 매개로 지지되므로 베어링(60a,60b,60c)에 의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축(70)이 회전하게 되면 그 하측의 나사부(72)에 끼워진 암나사부(76)는 나사산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는데, 먼저 오물수거판(45)이 오물을 긁어 올리는 과정에서는 상기 암나사부(76)가 나사부(72)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다가 구동축(70)의 회전에 의해 암나사부(76)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암나사부(76)의 양쪽 축부에 힌지결합된 제1링크(90)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힌지핀(91)에 의해 연결된 제2링크(92)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링크(92)와 고정 결합된 오물수거판 지지축(9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오물수거판 지지축(95)에 의해 고정 지지된 오물수거판(4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의 동작은 상기 구동축(70)의 회전 방향이 바뀜에 따라 암나사부(76)가 나사부(72)의 나사산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면서 오물수거판(45)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상복귀되며, 이는 회전모터(85)의 정, 역회전 제어에 의해 원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차(12)의 선단에 연결된 고정비임(81)을 비롯한 다단 슬라이드 비임(80)이 비임 각도조절 실린더(40)에 의해 일정각도로 들어올려져 권상장치(83)에 의해 배수로의 바닥까지 하강한 뒤 상승하게 되면, 그 하부 말단에 설치된 오물수거판(45)은 여과망(47)에 걸린 오물을 긁어 올리게 된다.
오물을 긁어 올린 오물수거판(45)은 다시 비임 각도조절 실린더(40)에 의해 오물처리부(49)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오물수거판(45)은 그 자체가 회전하면서 오물을 오물처리부(49)로 자유 낙하시켜 제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에 의하면, 오물수거판에 의해 긁어 올려진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오물낙하판 등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오물수거판 자체가 회전되면서 오물을 오물처리부 상부에서 자동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오물의 완벽한 처리와 동시에 작업의 간편성 및 능률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정비임의 내부에 내삽된 다단 슬라이드 비임이 신축동작에 의해 상,하강 작동하면서 상기 다단 슬라이드 비임의 하부 말단에 부착된 오물수거판이 배수로에 설치된 여과망에 걸린 오물을 긁어 올리도록 이루어진 오물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비임의 상부 내벽에 장착된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를 가지는 축결합대와;
    상기 축결합대의 삽입부에 분리 또는 결합되고, 상기 다단 슬라이드 비임의 내측벽면에 다수개의 베어링을 매개로 고정 지지되며, 그 하측 끝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나사부에 끼움 결합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나사부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오물수거판을 고정 지지하는 오물수거판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어 암나사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오물수거판 지지축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링크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상측 끝단부는 그 외주면을 따라 스플라인 가공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축결합대의 삽입부는 그 내주면을 따라 스플라인 가공되어, 구동축의 상측 끝단부와 축결합대의 삽입부가 클러치 형태로 서로 원활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암나사부의 양쪽 축부에 그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연결되고 그 말단부 보스는 상기 오물수거판 지지축상에 고정 결합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나사부 양끝단부에 한쌍의 베어링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암나사부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KR10-2002-0046921A 2002-08-08 2002-08-08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KR10051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921A KR100512985B1 (ko) 2002-08-08 2002-08-08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921A KR100512985B1 (ko) 2002-08-08 2002-08-08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834A true KR20040013834A (ko) 2004-02-14
KR100512985B1 KR100512985B1 (ko) 2005-09-07

Family

ID=3732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921A KR100512985B1 (ko) 2002-08-08 2002-08-08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74B1 (ko) * 2008-10-01 2009-05-28 (유)신일 수로용 이물질 제거시설
KR101957407B1 (ko) * 2018-08-06 2019-03-12 (주)블루엔 협잡물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588Y2 (ja) * 1980-12-13 1984-09-25 大同特殊鋼株式会社 伸縮管式除塵機における熊手回動昇降装置
JPS6150116U (ko) * 1984-09-06 1986-04-04
JPS62160312A (ja) * 1986-01-08 1987-07-16 Takashi Kubota 除塵機
KR100320068B1 (ko) * 1999-08-17 2002-01-10 백종진 다단식 유압 자동제진기
KR100378783B1 (ko) * 2000-11-02 2003-04-08 주식회사 대저토건 배수로의 오물수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74B1 (ko) * 2008-10-01 2009-05-28 (유)신일 수로용 이물질 제거시설
KR101957407B1 (ko) * 2018-08-06 2019-03-12 (주)블루엔 협잡물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985B1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07536B (zh) 一种节能环保用废水回收处理装置
CN111001206A (zh) 餐饮污水除渣设备及其工作方法
KR100944815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기계식 제진기
CN210356206U (zh) 一种污水自动处理装置
KR100512985B1 (ko) 오물수거장치의 오물수거판 회전구조
CN210784197U (zh) 一种生产车间移动式除尘装置
CN112892066A (zh) 一种化妆品植物原料提取系统及方法
CN219251892U (zh) 一种农村生活污水集中处理设备
CN208406242U (zh) 一种油罐清洗清罐油过滤装置
CN113018974B (zh) 一种工业污水处理系统
CN207042058U (zh) 一种环保的矿石清洗污水过滤处理设备
CN208878058U (zh) 一种节能环保用建筑废水处理装置
CN212631844U (zh) 一种环保工程用便于拆装的油污处理装置
CN220125643U (zh) 一种工业用过滤装置
CN218306449U (zh) 一种预制格栅井
CN113457258B (zh) 一种环保工程用生活废水处理装置
CN219231654U (zh) 一种反捞式格栅除污机
CN218911339U (zh) 水面垃圾污染防治装置
KR200332939Y1 (ko) 다단식 더블 아암 제진기
CN218507582U (zh) 一种污水处理用新型格栅机
CN204778894U (zh) 一种格栅机
CN220074989U (zh) 一种岩棉板生产用封边装置
CN216320402U (zh) 城市污水处理装置
CN218248770U (zh) 一种真空系统的节能型真空泵
KR200239062Y1 (ko) 전자동 다단제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