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3379A -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3379A
KR20040013379A KR1020020046275A KR20020046275A KR20040013379A KR 20040013379 A KR20040013379 A KR 20040013379A KR 1020020046275 A KR1020020046275 A KR 1020020046275A KR 20020046275 A KR20020046275 A KR 20020046275A KR 20040013379 A KR20040013379 A KR 20040013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cleaner
cleaner body
gui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준
최건수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3379A/ko
Publication of KR20040013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3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Abstract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는 충전 바테리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된 바테리 단자접속부, 충전기에 형성되고 청소기 본체의 단자접속부와 결합하는 단자부를 형성한 바닥면과 청소기 본체의 일 면의 앞·뒤를 안내하도록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벽을 갖는 본체수용부, 청소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된 세 개의 지지 돌출부, 본체 수용부의 바닥면에 지지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세 개의 수용홈부, 및 가이드벽 및 청소기 본체에 관해 형성된 보조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장치가 일정한 형태와 위치로 배치된 가이드벽, 지지 돌출부, 수용홈부, 및 보조 가이드를 구비함으로, 사용자가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청소기 본체를 충전기에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Apparatus for mounting cleaner body for use in a charger of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청소기 본체를 충전기에 장착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진공 청소기 기술분야에는 전원에 코드를 착탈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청소기 본체 내부에 충전 바테리를 내장하는 충전식 진공 청소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충전식 진공 청소기는 사용후 소모된 바테리를 재충전하기 위하여 충전 바테리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장치를 구비한 충전기가 필수적으로 제공된다.
도 1을 참고하면, 충전 바테리를 내장한 일반적인 충전식 청소기와 청소기 본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충전기가 개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진공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는 먼지 흡입부(1a), 먼지 흡입부(1a)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도록 진공을 발생하여 공기를 빨아 들이는 블로워(4), 및 단자 접속부(5)와 연결된 충전용 내장 바테리(3)를 구비하는 본체(1)와; 손잡이부(2)를 포함한다.
충전기(10)는 단자 접속부(5)와 결합되는 단자부(9), 및 청소기 본체(1)의바닥에 형성된 수용홈(도시하지 않음)과 결합되는 돌기(12)를 형성한 바닥면(11)과, 측벽(13)을 구비하는 본체 수용부(7)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를 충전기(10)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는 청소기 본체(1)의 바닥에 형성된 수용홈과 단자 접속부(5); 및 충전기(10)의 본체 수용부(7)를 구성하는, 돌기(12) 및 단자부(9)를 갖는 바닥면(11)과 측벽(1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충전식 진공 청소기는 충전시, 청소기 본체(1)의 수용홈과 단자 접속부(5)를 충전기(10)의 돌기(12)와 단자부(9)에 각각 맞춘 후 청소기 본체(1)를 본체 수용부(11)의 측벽(13) 사이의 바닥면(11)에 내려 놓으면, 청소기의 자중에 의해 수용홈과 단자 접속부(5)가 돌기(12)와 단자부(9)에 결합되어, 청소기 본체(1)가 충전기(10)에 장착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청소기 본체(1)를 충전기(10)에 장착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는 청소기 본체(1)를 충전기(10)의 돌기(12)와 단자부(9)에 의해서만 정렬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단자부(9)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돌기(12)가 청소기 본체(1)의 수용홈과 완전히 맞물리기 전에는 청소기 본체(1)가 충전기(10)에 완전히 장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두 구성부분이 서로 맞물리는 것을 끝까지 확인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조립되어 충전용 내장 바테리(3)가 재충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장착장치는 청소기 본체(1)의 장착시 청소기 본체(1)의 하부부분이 충전기(10)의 측벽(13)에 의해 노출되지 않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1)를 충전기(10)에 장착한 후 청소기 본체(1)의 수용홈과 단자 접속부(5)가 충전기(10)의 돌기(12)와 단자부(9)에 완전히 장착 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착장치는 청소기 본체(1)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충전기(10)의 바닥면(11)에는 돌기(1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짐으로, 청소기 본체(1)를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청소기 본체(1)의 바닥에 바닥 지지부를 별도로 형성하기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청소기 사용시 청소기 본체(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쉽게 넘어질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사용자가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청소기 본체를 충전기에 장착할 수 있고 장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 청소기 본체의 바닥 지지부 역할 뿐 아니라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의 구성부분으로도 작용하는 복수의 지지 돌출부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가 적용된 일반적인 충전식 청소기와 충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청소기를 충전기에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가 적용된 충전식 청소기와 충전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충전기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청소기의 배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0a: 청소기 본체 5, 119: 단자 접속부
7, 131: 본체 수용부 9, 139: 단자부
10, 130: 충전기 12: 돌기
110: 청소기 112a, 112b, 112c: 지지 돌출부
114: 슬라이딩 롤러 116: 오목면
132a, 132b, 132c: 수용홈부 133a, 133b: 가이드벽
134: 슬라이딩 홈 136b: 볼록면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충전용 바테리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된 바테리 단자 접속부, 및 충전기에 형성되고 청소기 본체의 단자 접속부와 결합하는 단자부를 형성한 바닥면을 갖는 본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를 충전기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본체 수용부는 청소기 본체의 일 면의 앞·뒤를 안내하도록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는 청소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지지 돌출부, 및 본체 수용부의 바닥면에 지지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수용홈부를 더 포함한다.
지지 돌출부와 수용홈부는 각각 세 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설치위치를 꼭지점으로 하였을 때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는 청소기 본체가 본체 수용부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가이드벽과 청소기 본체에 관해 형성된 보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보조 가이드부는 청소기 본체의 일 면에 인접한 두 면 중 한 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롤러, 및 슬라이딩 롤러를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대응하는 가이드벽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는 제 1 가이드와, 청소기 본체의 일면에 인접한 두 면 중의 다른 한 면에 형성된 수직방향 오목면, 및 수직방향 오목면을 가이드 하도록 대응하는 가이드벽에 형성된 대응 수직방향 볼록면을 구비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체 수용부의 바닥면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오목한 곡면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충전용 바테리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된 바테리 단자 접속부, 및 충전기에 형성되고 청소기 본체의 단자 접속부와 결합하는 단자부를 형성한 바닥면을 갖는 본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를 충전기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청소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된 세 개의 지지 돌출부, 및 본체 수용부의 바닥면에 지지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세 개의 수용홈부를 더 포함하며, 지지 돌출부와 수용홈부는 각각 설치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였을 때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를 첨부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가 적용되는 충전식 진공 청소기(110)와 충전기(130)가 도시되어 있다.
진공 청소기(110)는 측면 하부에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 두개의 바퀴(117),충전시의 직립상태(도 3)에서 앞면을 구성하는 바닥면(111a)의 앞쪽, 즉 도 3의 상부에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형성된 손잡이부(115), 앞쪽, 즉 도 3의 상부에 내부 먼지수집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먼지 흡입호스(118), 먼지 흡입호스(118)와 연결된 먼지 흡입부(도시하지 않음), 및 직립상태에서 바닥면을 구성하는 배후면(111c)의 일측에 충전용 내장 바테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된 단자 접속부(119)를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110a)로 구성된다.
충전기(130)는, 청소기 몸체(110a)의 배후면(111c) 쪽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고 청소기 몸체(110a) 내부의 내장 바테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도록 단자 접속부(119)에 대응하는 위치에 단자부(139)를 형성한 바닥면(131a)을 구비한 본체 수용부(131)를 포함하는 충전기 본체(130a)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는 청소기 몸체(110a)의 바닥면(111a)과 상부면(111b)의 배후부, 즉 도 3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 수용부(131)의 선단 및 후단에 본체 수용부(131)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가이드벽(133a, 133b), 청소기 본체(110a)의 배후면(111c)에 형성된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돌출부(112a, 112b, 112c), 및 본체 수용부(131)의 바닥면(131a)에 지지 돌출부(112a, 112b, 112c)와 대응하는 위치와 크기로 형성된 제 1, 제 2 및 제 3 수용홈부(132a, 132b, 132c)를 포함한다.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돌출부(112a, 112b, 112c)와 제 1, 제 2 및 제 3 수용홈부(132a, 132b, 132c)는 각각의 설치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였을 때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제 2 및 제 3 지지 돌출부(112a, 112b, 112c)는 제 1, 제 2 및 제 3 수용홈부(132a, 132b, 132c)와 결합하여 청소기 본체(110a)를 충전기(131)에 안정적으로 장착하는 장착장치의 구성부분의 역할 뿐 아니라, 청소기 사용시 청소기 본체(110a)를 일시적으로 직립상태로 대기시킬 경우 청소기 본체(110a)가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는 바닥 지지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는 청소기 본체(110a)가 본체 수용부(131)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 1 및 제 2 가이드벽(133a, 133b)과 청소기 본체(110a)에 관해 형성된 보조 가이드부(114, 134; 116, 136b)를 더 포함한다.
보조 가이드부(114, 134; 116, 136b)는 직립상태의 청소기 본체(110a)의 앞면을 구성하는 바닥면(111a)의 뒷쪽, 즉 도 3의 하부쪽 가장자리 중앙에 회동할 수 있게 형성된 슬라이딩 롤러(114), 및 청소기 본체(110a)가 충전기(130)의 본체 수용부(131)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롤러(114)를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대응하는 제 1 가이드벽(133a)의 내벽면(136a)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134; 도 4)을 구비하는 제 1 가이드(114, 134)와, 직립상태의 청소기 본체(110a)의 뒷면을 구성하는 상부면(111b)의 뒷쪽에 형성된 수직방향 오목면(116; 도 5), 및 수직방향 오목면(116)을 가이드 하도록 대응하는 제 2 가이드벽(133b)에 내벽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된 대응 수직방향 볼록면(136b)을 구비하는 제 2 가이드(116, 136b)를 포함한다.
본체 수용부(131)의 바닥면(131a)은 청소기 본체(110a)가 충전기(130)에 장착된 후 청소기 본체(110a)의 측면의 장착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가이드벽(133a, 133b) 쪽 부분을 제외한 양측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청소기 본체(110a)가 충전기(130)의 본체 수용부(131)에 삽입될 때 청소기 본체(110a)가 전·후 및 좌·우방향, 특히 좌·우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홈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를 사용하여 청소기 본체(110a)를 충전기(130)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 3, 도 4, 및 도 5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기 본체(110a)의 배후면(111c)이 바닥에 닿도록 직립시킨 상태에서, 한손으로 청소기 본체(110a)의 손잡이부(115)를 잡고 청소기 본체(110a)를 들어 올린다. 이 때, 손잡이부(115)가 청소기 본체(110a)의 바닥면(111a) 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110a)의 배후면(111c)의 아랫부분, 즉 도 3의 앞부분은 윗부분, 즉 도 3의 뒷부분 보다 약간 위쪽으로 더 들어 올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 다음, 청소기 본체(110a)의 바닥면(111a)의 뒷부분, 즉 도 3의 하부가 제 1 가이드벽(133a)의 내벽면(136a)과 접촉하고 제 2 가이드(116, 136b)의 수직방향 오목면(116)이 제 2 가이드벽(133b)의 대응 수직방향 볼록면(136b)과 맞물리도록 정렬한 다음, 청소기 본체(110a)를 서서히 아래로 내려 놓게 된다.
이 때, 청소기 본체(110a)의 배후면(111c)의 윗부분, 즉 도 3의 뒷부분이 먼저 본체 수용부(131)의 바닥면(131a)에 닿게 되며, 이에 따라, 단자 접속부(119)와 제 1 지지돌출부(112a)가 단자부(139)와 제 1 수용홈부(132a)와 먼저 맞물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가이드(114, 134)의 슬라이딩 롤러(114)는 제 1 가이드벽(133a)의 슬라이딩 홈(134)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홈(134)에 의해 아래로 가이드된다.
그 후, 청소기 본체(110a)의 배후면(111c)의 윗부분이 본체 수용부(131)의 바닥면(131a)에 지지된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110a)의 배후면(111c)의 아랫부분이 본체 수용부(131)의 바닥면(131a)에 닿게 되면, 제 2 및 제 3 지지돌출부(112b, 112c)는 제 2 및 제 3 수용홈부(132b, 132c)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청소기 본체(110a)의 배후면(111c)은 완전히 본체 수용부(131)의 바닥면(131a)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청소기 본체(110a)의 배후면(111c)이 완전히 본체 수용부(131)의 바닥면(131a)에 안착되면, 청소기 본체(110a)는 단자 접속부(119)가 충전기(131)의 단자부(139)에 접속되는 재충전 상태로 충전기(131)에 장착되는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는 일정한 위치와 형태로 배치된 가이드벽, 지지 돌출부, 수용홈부, 및 보조 가이드를 구비함으로, 사용자가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청소기 본체를 충전기에 장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는 충전기에 장착된 청소기 본체의 측면이 본체 수용부의 바닥면 구조에 의해 완전히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를 충전기에 장착한 후 장착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의 지지 돌출부는 청소기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 역할 뿐 아니라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의 구성부분으로도 작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충전용 바테리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된 바테리 단자 접속부, 및 충전기에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단자 접속부와 결합하는 단자부를 형성한 바닥면을 갖는 본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를 충전기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수용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일 면의 앞·뒤를 안내하도록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일 면에 형성된 세 개의 지지 돌출부, 및 상기 본체 수용부의 상기 바닥면에 상기 지지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세 개의수용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돌출부와 상기 수용홈부는 각각 설치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였을 때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본체 수용부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가이드벽 및 상기 청소기 본체에 관해 형성된 보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일 면에 인접한 두 면 중의 한 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롤러, 및 상기 슬라이딩 롤러를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벽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는 제 1 가이드와;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일 면에 인접한 두 면 중의 다른 한 면에 형성된 수직방향 오목면, 및 상기 수직방향 오목면을 가이드 하도록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벽에 형성된 대응 수직방향 볼록면을 구비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수용부의 상기 바닥면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오목한 곡면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6. 충전용 바테리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의 일 면에 형성된 바테리 단자 접속부, 및 충전기에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단자 접속부와 결합하는 단자부를 형성한 바닥면을 갖는 본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본체를 충전기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일 면에 형성된 세 개의 지지 돌출부, 및 상기 본체 수용부의 상기 바닥면에 상기 지지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세 개의 수용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돌출부와 상기 수용홈부는 각각 설치 위치를 꼭지점으로 하였을 때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KR1020020046275A 2002-08-06 2002-08-06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KR20040013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275A KR20040013379A (ko) 2002-08-06 2002-08-06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275A KR20040013379A (ko) 2002-08-06 2002-08-06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379A true KR20040013379A (ko) 2004-02-14

Family

ID=3732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275A KR20040013379A (ko) 2002-08-06 2002-08-06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33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3977A (zh) * 2017-06-22 2019-08-09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电动吸尘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967A (ko)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전원코드 잠금장치겸용 브러쉬홀더
KR19990048519A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측면로울러 장착구조
KR20020000508A (ko) * 2000-06-23 2002-01-05 다카노 야스아키 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967A (ko)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전원코드 잠금장치겸용 브러쉬홀더
KR19990048519A (ko) * 1997-12-10 1999-07-0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측면로울러 장착구조
KR20020000508A (ko) * 2000-06-23 2002-01-05 다카노 야스아키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3977A (zh) * 2017-06-22 2019-08-09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电动吸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57834A1 (en) Cleaner holder
US10959589B2 (en) Cleaner holder
US11363928B2 (en) Cleaner holder
US10194779B2 (en) Cleaner holder
TW201739408A (zh) 吸塵器支持架
CN209404646U (zh) 手持电动工具与附件架的组合及附件架
JP2004121469A (ja) 充電式掃除機
CN114222518B (zh) 用于吸尘器的支架和具有支架的清洁装置
JP2001353112A (ja) 電気掃除機
JP3933855B2 (ja) 充電式電気掃除機
JP3787546B2 (ja) 充電機器及び充電台
KR20040013379A (ko) 진공 청소기용 충전기의 본체 장착장치
JP2016039860A (ja) 充電式電気掃除機
JP2003284656A (ja) 充電式電気掃除機
KR20210020762A (ko)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JP4019715B2 (ja) 電気掃除機及び充電台
JP3204254B2 (ja) 充電式電気掃除機
JP2001346743A (ja) 電気掃除機
CN216020862U (zh) 充电座、清洗机及清洁系统
KR100397200B1 (ko) 휴대용 무선 진공청소기용 받침대
JP3067663U (ja) 充電式電気掃除機
CN214755571U (zh) 一种带有缠线装置的移动电源
KR200247346Y1 (ko) 휴대용 무선 진공청소기용 받침대
JP2001346744A (ja) 電気掃除機
JPH0946262A (ja) 携帯電子機器用充電器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