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762A -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762A
KR20210020762A KR1020200081962A KR20200081962A KR20210020762A KR 20210020762 A KR20210020762 A KR 20210020762A KR 1020200081962 A KR1020200081962 A KR 1020200081962A KR 20200081962 A KR20200081962 A KR 20200081962A KR 20210020762 A KR20210020762 A KR 20210020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leaner
suction unit
charging terminal
mou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이병조
정병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989,262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83156B2/en
Priority to PCT/KR2020/010772 priority patent/WO2021029704A1/en
Priority to CN202080057492.1A priority patent/CN114222518B/zh
Priority to EP20852850.5A priority patent/EP3993687A4/en
Publication of KR2021002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8Dual-powered vacuum cleaners, i.e. devices which can be operated with mains power supply or by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청소기 본체 또는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는 청소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청소기 거치장치는 청소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충전단자 및 상기 배터리가 상기 청소기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청소기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청소기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성이 개선된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 본체의 내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가전제품이다.
청소기는 흡입압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흡입압을 통해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는 그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성이 편리한 무선 청소기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무선 청소기를 포함하는 청소장치는, 청소기와, 청소기의 사용이 끝난 때 청소기를 보관 및 충전하도록 마련된 청소기 거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청소기의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해, 청소기 본체에 결합되는 배터리가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가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면, 사용자는 복수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배터리를 교환하면서 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배터리를 청소기 본체에 결합한 채로 충전하기도 하고, 배터리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배터리만 별도로 충전하기도 한다.
다만, 배터리가 결합된 청소기 본체를 거치 및 충전하는 청소기 거치장치와,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배터리를 거치 및 충전하는 배터리 거치장치는 구조가 서로 상이하여 제품 구매 시 어느 하나만 동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한 두 가지 방식의 충전 방법을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품 구매 시 동봉되어 있지 않은 거치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매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청소기 본체 또는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는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다양한 형태로 청소기 본체 또는 배터리를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는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는 청소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충전단자 및 상기 배터리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청소기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제1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가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 및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하단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제1안착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가이드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한 쌍의 보조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는 한 쌍의 배터리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보조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제1연결이라 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제2연결이라 할 때,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제1연결과 상기 제2연결은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제1충전단자와 상기 제2충전단자 및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유닛이 결합되는 흡입유닛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흡입유닛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포트는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거나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의 하면 후측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포트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포트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포트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가 자립(自立)하도록 바닥면 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거치대의 하면은 상기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제1충전단자와 상기 제2충전단자 및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홀더와, 상기 상부 홀더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 홀더와 상기 상부 홀더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상부 홀더와 상기 하부 홀더 사이에 위치한 구조물을 그랩(grasp)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부 홀더와 상기 상부 홀더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하부 홀더를 상기 상부 홀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하부 홀더를 상기 상부 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유닛이 결합되는 흡입유닛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흡입유닛에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의 측방에 배치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장치는 흡입유닛과 배터리가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가 거치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상기 청소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충전단자 및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로서, 상기 제1안착부보다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안착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를 통해 상기 제1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2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하단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제1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제1충전단자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유닛이 결합되는 흡입유닛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흡입유닛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포트는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거나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는 청소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충전단자와,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연결되거나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될 때, 상기 배터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부 및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흡입유닛을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흡입유닛 거치부로서, 상기 흡입유닛이 상방을 향해 배치되거나 하방을 향해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흡입유닛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는 청소기 본체를 충전하기 위한 제1충전 단자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2충전 단자를 포함하므로, 청소기 본체와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는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흡입유닛 거치부를 포함하므로, 흡입유닛 거치부의 방향을 변경하여 거치대를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청소기 거치장치의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와 청소기 거치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가 결합된 청소기 거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배터리가 결합된 청소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배터리가 결합된 청소기 거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연결포트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에서, 연결포트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청소장치의 사시도로서, 청소기가 비스듬히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청소장치에서, 청소기 거치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청소장치에서, 청소기 거치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청소기 거치장치가 지지부에 고정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청소장치에서, 청소기 거치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청소기 거치장치가 지지부에 고정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장치(1)는 청소기(10)와, 청소기 거치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11)와, 청소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관(16b)과, 연장관(16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흡입유닛(12)과, 청소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피청소면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미도시)와,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집진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장치(13)는 흡입모터보다 공기유동의 상류에 배치되어 메인 흡입유닛(1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어 모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집진장치(13)는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필터 하우징(13a)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3a)은 대략 도넛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필터(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필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일례로, 헤파 필터(Hepa Filter)가 필터 하우징(13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는 집진장치(13)에서 걸러지지 않은 초미세먼지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3a)은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청소기(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의 홀(13b)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1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4)을 잡고, 청소기(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조작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5)에 마련된 전원버튼등을 조작하여 청소기(10)를 온/오프시키거나 흡입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메인 흡입유닛(12)은 피청소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흡입유닛(12)은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메인 흡입유닛(12)과 청소기 본체(11)는 연장관(1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장관(16b)의 일 단은 메인 흡입유닛(12)에 피봇 연결되어, 메인 흡입유닛(12)이 연장관(16b)에 대해 관절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연장관 연결부(16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 연결부(16a)는 연장관(16b)을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하거나 청소기 본체(11)에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연장관 분리 버튼(16d)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장관 분리 버튼(16d)을 누름으로써 연장관(16b)을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연장관(16b)을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한 후, 메인 흡입유닛(12) 또는 보조 흡입유닛(17)을 직접 청소기 본체(11)에 결합할 수 있다.
연장관(16b)의 청소기 본체(11)와 연결된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에는 흡입유닛 연결부(16c)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 연결부(16c)는 메인 흡입유닛(12)을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하거나 청소기 본체(11)에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 연결부(16c)에는 보조 흡입유닛(17)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피청소면의 상태에 따라 메인 흡입유닛(12)을 보조 흡입유닛(17)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일례로, 보조 흡입유닛(17)은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조 흡입유닛일 수 있으며, 좁은 틈을 청소하기 위해 입구가 좁게 형성된 형상으로 마련된 보조 흡입유닛일 수 있다. 보조 흡입유닛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흡입유닛(17)은 미 사용시 청소기 거치장치(100)의 흡입유닛 거치부(170, 도 2 참조)에 결합되어 보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조 흡입유닛(17)은 흡입유닛 거치부의 연결포트(175, 도 2 참조)에 결합되어 보관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거치대(110, 도 7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청소기 거치장치(100)의 사용 예에 따라 연결포트(175)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그와 달리, 연결포트(175)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10)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0)는 청소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20)는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마련되는 제2충전단자(131, 도 2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20)는 제2충전단자(13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가 제1충전단자(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청소기 본체(11)에 결합된 배터리(20)가 제1충전단자(12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청소장치(1)는 여분의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분의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2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사용자는 청소기 본체(11)에 장착된 배터리(20)가 소진된 후, 배터리(20)를 여분의 배터리로 교체한 후 청소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기(10)의 동작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청소기(10)가 보관 또는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 거치장치(100)에서 충전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벽면(30)에 고정되는 거치대(110, 도 7 참조)를 통해 벽면(3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와 청소기 거치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청소기 본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121)와,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충전단자(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안착될 때, 청소기 본체(11)가 제1충전단자(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청소기 본체(11)에 결합된 배터리(20)를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부(111)는 배터리(20)가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되어 단독으로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안착될 때, 배터리(20)가 제2충전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터리(20)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청소기(10)를 거치 및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된 배터리(20)를 거치 및 충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하나의 구성으로서, 청소기(10)와 배터리(20)를 선택적으로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배터리(20)를 분리하는 배터리 분리버튼(18)과, 제1충전단자(121)와 접촉하여 제1충전단자(12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마련되는 연결단자(19)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0)가 결합된 청소기 본체(11), 즉, 청소기(10)를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거치하면, 배터리(20)가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20)는 제1충전단자(121) 및 연결단자(19)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배터리(20)는, 사용자가 배터리(20)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미끄럼 방지부(21)와, 배터리(20)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 표시부(22) 및 돌출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3)는 배터리(2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20)의 일 면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배터리(20)는 청소기 본체(11)에 결합되었을 때, 미끄럼 방지부(21)가 청소기 거치장치(1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배터리(20)가 청소기 본체(11)에 결합되었을 때, 돌출부(23)가 청소기 본체(1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거치되어 충전될 때, 배터리(20)는 미끄럼 방지부(21)가 청소기 거치장치(1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청소기(10)의 연결단자(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121)와, 청소기(1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안착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부(101)에는 제1충전단자(121)가 마련될 수 있고, 제1지지면(115)이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배터리(20)의 단자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충전단자(131)와, 배터리(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2안착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안착부(102)에는 제2충전단자(131)가 마련될 수 있고, 제2지지면(13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면(115)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거치되었을 때, 청소기(10)와 접촉하여 청소기(10)를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지지면(115)는 청소기(10)와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청소기(10)는 배터리 가이드부(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거치장치(100)가 벽면(30)에 고정되었을 때,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연결포트(175)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흡입유닛 거치부(170)에 결합되는 보조 흡입유닛(17)이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부(111)는 배터리(20)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며, 배터리(20)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 부(11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부(111)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안착되거나 배터리(2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안착될 때, 배터리(20)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부(111)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안착될 때, 연결단자(19)와 제1충전단자(121)가 접촉하도록 배터리(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가이드부(111)는 배터리(2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안착될 때, 배터리(20)와 제2충전단자(1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터리(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벽면(30)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벽면(30)과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거치대(110)의 일 면을 관통하는 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상기 홀(116)에 체결부재(S)를 삽입한 후, 체결부재(S)를 벽면(30)에 결합시킴으로써 벽면(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116)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벽면(30)에 청소기 거치장치(100)가 결합되어 사용될 때, 청소기 거치장치(100)가 벽걸이 타입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청소기가 결합된 청소기 거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청소기(10)가 결합되었을 때, 청소기(10)는 제1안착부(101, 도 2 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청소기(10)가 결합되었을 때, 연결단자(19)는 제1충전단자(121)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단자(19)와 제1충전단자(121)가 접촉하면, 연결단자(19)와 제1충전단자(121)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결합되었을 때, 배터리(20)는 제2충전단자(131)가 삽입되는 단자 홈(미도시)이 청소기 본체(1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배터리(20)의 돌출부(23)가 청소기 본체(11)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배터리(20)의 미끄럼 방지부(21)가 청소기 거치장치(1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이하에서 배터리(2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대해 제1방향으로 배치되었다고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배터리가 결합된 청소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서, 배터리가 결합된 청소기 거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과 달리,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소기 거치장치(100)가 바닥면 상에 배치되었을 때, 배터리 충전 타입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청소기 거치장치(100)가 바닥면 상에 배치될 때,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연결포트(175)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포트(175)가 하방을 향하도록 흡입유닛 거치부(170)가 배치되면, 거치대(110)가 바닥면과 접촉하지 못하고, 청소기 거치장치(100)가 바닥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170)가 복수로 마련될 때, 복수의 흡입유닛 거치부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치대(110)의 좌측에 배치되는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거치대(110)의 우측에 배치되는 흡입유닛 거치부는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거치대(110)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거치대(1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거치대(11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위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 거치부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흡입유닛 거치부가 함께 거치대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흡입유닛 거치부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흡입유닛 거치부 각각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복수의 흡입유닛 거치부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가 배터리 충전 타입으로 사용될 때, 배터리(20)는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되어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거치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20)는 돌출부(23)가 청소기 거치장치(1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이하에서 배터리(2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대해 제2방향으로 배치되었다고 한다.
배터리 가이드부(111)는, 배터리(2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대해 제1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와 배터리(20)가 청소기 거치장치(100)에 대해 제2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배터리(20)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부(111)는, 배터리(20)가 청소기 본체(11)에 결합되어 제1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청소기(10)가 제1안착부(101)에 안착되도록 배터리(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가이드부(111)는, 배터리(20)가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분리되어 제2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배터리(20)가 제2안착부(102)에 안착되도록 배터리(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청소기 본체(11)가 제1안착부(102)에 안착되었을 때, 배터리(20)는 배터리 가이드부(111)의 하단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0)가 제2안착부(102)에 안착되었을 때, 배터리(20)는 배터리 가이드부(111)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안착부(102)는 제1안착부(101)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20)가 제2안착부(102)에 안착되어 제2충전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제2지지면(132)은 배터리(20)의 하면과 접촉하여 배터리(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면(132)이 배터리(20)를 지지하므로, 배터리(20)는 제1안착부(101)까지 이동하지 않고, 제1안착부(101)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제2지지면(132)은 배터리(20)의 돌출부(23)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안착부(102)에는 배터리(20)의 돌출부(23)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0)가 제2안착부(102)에 안착될 때, 거치대(110)에 마련되는 보조 가이드부(112, 도 7 참조)가 배터리(20)의 돌출부(23)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부(112)는 돌출부(23)의 양 측면과 접촉하여 배터리(20)가 제2안착부(102)에 안착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한 쌍의 보조 가이드부(112) 사이의 거리는 한 쌍의 배터리 가이드부(111)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면(132)은 한 쌍의 보조 가이드부(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안착부(102)는 제1안착부(101)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안착부(102)는 제1안착부(101)의 내측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안착부(101)와 제2안착부(102)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제1안착부(101)에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121)와 제2안착부(102)에 마련되는 제2충전단자(131)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제1안착부(101)에 청소기(10)가 안착되었을 때, 제2충전단자(131)와 배터리(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제2안착부(102)에 배터리(20)가 안착되었을 때, 제1충전단자(121)와 배터리(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충전단자(121)와 제2충전단자(131)가 선택적으로 연결단자(19) 또는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청소기(10) 또는 배터리(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거치대(110)와, 거치대(110)에 결합되고 제1충전단자(121)를 수용하는 제1충전단자 수용부재(120)와, 거치대(110)에 결합되고 제2충전단자(131)를 수용하는 제2충전단자 수용부재(130)와, 전원 어댑터(미도시)와 결합되는 전원 연결부재(140)와, 거치대(110)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하부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거치대(110)의 일 측에 마련되어 흡입유닛 거치부(1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160)와, 지지돌기(160)에 결합되는 흡입유닛 거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10)는 제1안착부(101)와 제2안착부(102)를 형성하도록 내측이 함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110)는 배터리 가이드부(111)와, 배터리 가이드부(111)보다 상하 방향으로 짧게 마련되고 배터리 가이드부(111)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보조 가이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10)는 제1충전단자 수용부재(120)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삽입홀(113)과, 제2충전단자 수용부재(130)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삽입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충전단자 수용부재(120)는 제1충전단자(121)를 수용할 수 있다. 제1충전단자(121)는 제1플러스 단자(121a)와 제1마이너스 단자(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러스 단자와 제1마이너스 단자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제2충전단자 수용부재(130)는 제2충전단자(131)를 수용할 수 있다. 제2충전단자(131)는 제2플러스 단자(131a)와 제2마이너스 단자(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러스 단자(131a)와 제2마이너스 단자(131b) 사이에는 배터리(20)의 단자 홈(미도시)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위치고정 돌기(131c)가 마련될 수 있다. 위치고정 돌기(131c)는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은 아니며, 배터리(20)가 제2안착부(102)에 안착되었을 때, 배터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플러스 단자와 제2마이너스 단자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제1충전단자(121)는 제1와이어(1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와이어(122)는 전원 연결부재(140)와 제1충전단자(121)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22)는 제1플러스 와이어(122a)와 제1마이너스 와이어(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러스 와이어(122a)는 전원 연결부재(140)의 플러스 단자(미도시)와 제1플러스 단자(121a)를 연결할 수 있고, 제1마이너스 와이어(122b)는 전원 연결부재(140)의 마이너스 단자(미도시)와 제1마이너스 단자(121b)를 연결할 수 있다.
제2충전단자(131)는 제2와이어(13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와이어(133)는 제1와이어(122)와 제2충전단자(131)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133)는 제2플러스 와이어(133a)와 제2마이너스 와이어(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러스 와이어(133a)는 제1플러스 와이어(122a)와 제2플러스 단자(133a)를 연결할 수 있고, 제2마이너스 와이어(133b)는 제1마이너스 와이어(122b)와 제2마이너스 단자(133b)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와이어(122)와 제2와이어(133)는 전원 연결부재(140)와 병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커버(150)는 전원 연결부재(14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51)를 포함하고, 거치대(110)의 하면에 결합되어 거치대(110)의 개방된 하면(미도시)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거치대(110)로부터 양 측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160)의 위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돌기(160)는 거치대(110)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6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돌기(160)는 탄성돌기(161)와 회전 가이드 홈(162)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보조 흡입유닛(17)을 거치하여 보관하도록 마련되는 흡입유닛 거치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지지돌기(16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지지돌기(160)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 홈(171)과, 탄성돌기(161)가 삽입되는 돌기 홈(172) 및 회전 가이드 홈(162)이 배치되는 가이드 홈 수용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개방된 일 면(174)을 포함하고, 개방된 일 면(174)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포트(1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일 면(174)은 커버부재(180)에 의해 커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180)는 흡입유닛 거치부(170)를 지지돌기(1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 중 하나로서, 회전 가이드 홈(162)에 끼워지는 회전 가이드(18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돌기(161)는, 연결포트(175)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거나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돌기 홈(172)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돌기(161)가 돌기 홈(172)에 삽입됨으로써, 흡입유닛 거치부(170)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다만, 탄성돌기(161)의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돌기(161)는 돌기 홈(172)으로부터 인출되고,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지지돌기(16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흡입유닛 거치부(170)의 회전 중심은 지지돌기(160)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돌기(160)는 흡입유닛 거치부(170)의 삽입홈(171)에 삽입되므로, 흡입유닛 거치부(170)의 회전 중심은 흡입유닛 거치부(170) 상의 일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170)의 회전 중심은 제1지지면(115)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중심이 마련되는 흡입유닛 거치부(170)의 일 지점은 연결포트(175)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포트(175) 상의 일 지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흡입유닛 거치부(170)가 거치대(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연결포트(175)의 배치와 무관하게 거치대(110)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연결포트(175)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거치대(11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연결포트(175)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거치대(11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흡입유닛 거치부(170) 각각은 거치대(110)의 양 측벽에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1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흡입유닛 거치부(170)는 흡입유닛 거치부(170)와 별도로 마련되는 커버부재(18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 거치부(170)와 커버부재(180)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스탠드 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는 지지대(40) 및 베이스(50)와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50)는 베이스(50)의 중량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되는 웨이트 밸런서(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청소기 거치장치(100)와 베이스(5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100)가 스탠드 타입으로 사용되면, 벽면에 타공 작업이 없이도 안정적으로 청소기(10)를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청소기 거치장치(100)를 벽걸이 타입, 배터리 충전 타입, 스탠드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연결포트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에서, 연결포트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청소기(10, 도 2 참조)가 보관 또는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 거치장치(200)에 거치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청소기(10)의 연결단자(19, 도 2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221)와, 청소기(1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안착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부(201)에는 제1충전단자(221)가 마련될 수 있고, 제1지지면(215)이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배터리(20, 도 2 참조)의 단자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충전단자(231)와, 배터리(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2안착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안착부(202)에는 제2충전단자(231)가 마련될 수 있고, 제2지지면(23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면(215)은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200)에 거치되었을 때, 청소기(10)와 접촉하여 청소기(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지지면(215)은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200)에 거치되었을 때에도 청소기(1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청소기(10)는 배터리 가이드부(2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배터리(20)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 가이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부(211)는 배터리(20)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부(21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부(211)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200)에 안착되거나 배터리(20)가 청소기 거치장치(200)에 안착될 때, 배터리(20)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부(211)는 청소기(10)가 청소기 거치장치(200)에 안착될 때, 연결단자(19)와 제1충전단자(221)가 접촉하도록 배터리(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가이드부(211)는 배터리(20)가 청소기 거치장치(200)에 안착될 때, 배터리(20)와 제2충전단자(2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터리(2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배터리(20)가 제2안착부(202)에 안착될 때, 배터리(20)의 돌출부(23, 도 2 참조)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가이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부(212)는 돌출부(23)의 양 측면과 접촉하여 배터리(20)가 제2안착부(202)에 안착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부(212)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보조 가이드부(212) 사이의 거리는 한 쌍의 배터리 가이드부(211)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면(232)은 한 쌍의 보조 가이드부(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상기한 제1안착부(201)와, 제2안착부(202)와, 제1충전단자(221)와, 제2충전단자(231)와, 배터리 가이드부(211)와, 보조 가이드부(212)와, 제1지지면(215) 및 제2지지면(232)을 포함하는 거치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거치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 흡입유닛(17, 도 1 참조)을 거치하여 보관하도록 마련되는 흡입유닛 거치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벽면(30, 도 1참조)에 고정되거나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210)가 지지대(40, 도 9 참조) 및 베이스(50, 도 9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거치대(210)가 지지대(40) 및 베이스(50)와 연결됨으로써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스탠드 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270)는 보조 흡입유닛(17, 도 2참조)과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연결포트(27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포트(275)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포트의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고하면, 연결포트(275)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흡입유닛 거치부(270)는 거치대(21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포트(275)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스탠드 타입으로 사용되거나 벽면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연결포트(275)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흡입유닛 거치부(270)는 거치대(2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포트(275)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바닥면 상에 배치되어 자립(自立)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흡입유닛 거치부(270)는 거치대(2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270)는 청소기 거치장치(200)와 바닥면이 접촉하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청소기 거치장치(200)가 안정적으로 배터리(20)를 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거치대(210)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270)는 케이스(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220)는 도면상 상면과 전면이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210)는 케이스(220)의 개방된 전면과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221)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220)는 거치대(210)와 결합하여 청소기 거치장치(200)의 측면과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220)는 흡입유닛 거치부(270)의 제1고정 돌기(273)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고정 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홀(222)은 제1고정 돌기(273)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270)는 한 쌍의 연결포트(275)와, 한 쌍의 연결포트(275)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274)와, 연결 플레이트(274)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리브(272)와, 리브(272)의 일 측에 마련되는 제1고정 돌기(274)와, 회전 돌기(27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돌기(271)는 흡입유닛 거치부(27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 돌기(27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돌기(271)는 흡입유닛 거치부(270)의 일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 돌기(273)는 흡입유닛 거치부(270)의 타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 돌기(273)는 고정 홀(222)에 삽입되거나 고정 홀(222)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 돌기(273)는 탄성 변형에 의해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고정 돌기(273)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연결포트(275)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흡입유닛(17)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포트(275)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연결 플레이트(274)는 연결포트(275)가 복수로 마련될 때, 복수의 연결포트(275)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브(272)는 연결 플레이트(274)의 테두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브(272)는 후술할 리브 홈(225)에 삽입되거나 리브 홈(225)으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케이스(210)는 상기한 회전 돌기(271)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돌기 홈(223)과, 제2고정 돌기(224)와, 상기한 리브(272)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리브 홈(225)과, 거치대(210)가 바닥면 상에 배치될 때 거치대(210)를 지지하는 지지대(2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0)는 제1하면(227)과 제2하면(228)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돌기 홈(223)에는 회전 돌기(271)가 삽입될 수 있다. 회전 돌기(271)가 회전돌기 홈(223)에 삽입되면, 회전 돌기(271)는 회전돌기 홈(223)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입유닛 거치부(270)가 케이스(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돌기(271)는 탄성 변형에 의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회전돌기 홈(223)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돌기 홈(223)은 회전 돌기(271)가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가이드부(도번 없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흡입유닛 거치부(270)가 케이스(22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청소기 거치장치(20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케이스(220)는 리브(272)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리브 홈(225)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 홈(225)은 리브(27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포트(275)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리브(272)는 리브 홈(225)에 삽입될 수 있다. 리브(272)가 리브 홈(225)에 삽입될 때, 상기한 제1고정 돌기(273)가 고정 홀(22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고정 돌기(273)는 탄성 변형함으로써 고정 홀(222)에 삽입될 수 있다. 제1고정 돌기(273)가 고정 홀(222)에 삽입됨으로써, 연결포트(275)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제1고정 돌기(273)가 탄성 변형하여 고정 홀(222)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흡입유닛 거치부(27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케이스(220)는 제2고정 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270)는 제2고정 돌기(224)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돌기 홈(276)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포트(275)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제2고정 돌기(224)는 고정돌기 홈(276)에 삽입될 수 있다. 제2고정 돌기(224)는 고정돌기 홈(276)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 돌기(224)가 고정돌기 홈(276)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연결포트(275)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제2고정 돌기(276)가 고정돌기 홈(276)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흡입유닛 거치부(27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케이스(220)는 거치대(210)가 바닥면 상에 자립(自立)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바닥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하면(227)과,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하면(22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거치대(210)가 자립하도록 바닥면 상에 배치되었을 때, 거치대(210)의 하면이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흡입유닛 거치부(270)의 회전축(R)은 흡입유닛 거치부(270)의 일 단으로써, 연결포트(275)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거치대(210)가 바닥면 상에 배치되었을 때, 케이스(220)의 제1하면(227)은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 α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케이스(220)의 제1하면(227)은 그 전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후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제1거리보다 작은 제2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하면(227)의 후단은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한 소정 각도 α는 30°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케이스(220)는 케이스(220)의 제1하면(227) 전단에 마련되는 지지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26)는 바닥면과 접촉하여 케이스(220)의 제1하면(227)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스(220)는 거치대(210)가 바닥면 상에 배치되었을 때,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하면(2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하면(228)은 제1하면(227)보다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하면(228)은 제1하면(227)에 대해 소정 각도 α만큼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210)가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거치대(210)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200)는 배터리(20)를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 및 충전할 수 있다.
연결포트(275)가 상방을 향하도록 흡입유닛 거치부(270)가 거치대(210)의 후방에 배치되었을 때, 리브(272)는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브(272)가 바닥면과 접촉함으로써 청소기 거치장치(200)와 바닥면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 거치장치(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자립(自立)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거치장치(200)가 전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터리(20) 및 보조 흡입유닛(17)을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유닛 거치부(27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R)은 연결포트(275)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축(R)은 거치대(210)의 후단 및 하단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R)은 흡입유닛 거치부(270)의 일 단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돌기(271)가 회전축(R)을 형성하므로, 회전 돌기(271)와 회전축(R)은 같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R)이 연결포트(275)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흡입유닛 거치부(270)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포트(275)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유닛 거치부(170)가 회전하였을 때, 연결포트(175)는 위치를 유지한 채 회전만 하도록 마련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유닛 거치부(270)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포트(275)가 회전할 뿐만 아니라 그 위치도 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유닛 거치부(270)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포트(275)는 거치대(210)의 후방으로부터 거치대(210)의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연결포트(275)는 거치대(210)의 하방으로부터 거치대(210)의 후방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청소장치의 사시도로서, 청소기가 비스듬히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상기한 실시예와는 다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벽걸이 타입, 배터리 충전 타입, 스탠드 타입이 아닌 고정식 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정식 타입이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거치장치(300)가 벽면 타공이나 스탠드 없이 책상, 식탁, 선반 의 모서리(edge) 등에 고정되는 방식을 가리킬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고정식 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물로서, 후술할 고정부(320)의 가동 범위 이내의 두께를 갖는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책상, 식탁, 선반 등의 모서리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청소기 거치장치(300)가 설치되는 구조물을 지지부(S)라고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별도의 체결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간편하게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다. 또한,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구성이 간단하여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지지부(S)의 높이에 제한 없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청소기(10)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충분히 높은 위치의 지지부(S)에 설치될 수 있다. 충분히 높은 위치란, 연장관(16b)과 메인 흡입유닛(12)이 결합된 청소기 본체(11)가 청소기 거치장치(300)에 거치되더라도 연장관(16b)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청소기 거치장치(300)의 거치대(310)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청소기(10)의 길이보다 큰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300)가 충분히 높은 위치의 지지부(S)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 청소기(10)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10)가 수직하게 배치되더라도 메인 흡입유닛(12) 또는 연장관(16b)이 지면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청소기(10)가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도록 낮은 위치의 지지부(S)에 설치될 수 있다. 낮은 위치란, 연장관(16b)과 메인 흡입유닛(12)이 결합된 청소기 본체(11)가 청소기 거치장치(300)에 거치되었을 때, 연장관(16b)이 비스듬히 배치되는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청소기 거치장치(300)의 거치대(310)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청소기(10)의 길이보다 작은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300)가 낮은 위치의 지지부(S)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 청소기(10)는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10)가 수직하게 배치되면, 메인 흡입유닛(12)과 연장관(16b)이 지면과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충분히 높은 위치의 지지부(S, 도 15)뿐만 아니라 낮은 위치의 지지부(S, 도 16)에도 설치될 수 있다. 즉,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지지부(S)의 높이에 제한 없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거치장치(300)의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청소장치에서, 청소기 거치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거치대(310)와,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310)는 상기한 거치대(110, 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310)는 배터리 가이드부(311)와, 보조 가이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310)는 제1충전단자(313)와, 제2충전단자(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310)는 제1안착부(315)와, 제2안착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가이드부(311)와 보조 가이드부(312)는 각각 상기한 배터리 가이드부(111, 211) 및 보조 가이드부(112, 212)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충전단자(313)와 제2충전단자(314)는 각각 상기한 제1충전단자(121, 221) 및 제2충전단자(131, 231)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안착부(315)와 제2안착부(316)는 각각 상기한 제1안착부(101, 201) 및 제2안착부(102, 202)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20)는 거치대(310)의 아래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320)는 거치대(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20)는 지지부(S)를 그랩(grasp)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20)가 지지부(S)를 그랩함으로써 청소기 거치장치(300)가 지지부(S)에 설치될 수 있다.
거치대(310)는 고정부(3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거치대(310)가 고정부(320)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지지부(S)의 높이에 제한 없이 설치될 수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300)가 낮은 위치의 지지부(S)에 결합되었을 때, 거치대(310)가 회전하여 청소기(10)가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청소기 거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청소기 거치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거치대(310)와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310)는 상기한 거치대(110, 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320)는 상부 홀더(330)와 하부 홀더(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20)는 상부 홀더(330)와 하부 홀더(3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레버(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홀더(330)는 거치대(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홀더(330)는 다양한 방법으로 거치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310)의 양 측면 하단에는 샤프트부(317)가 마련될 수 있고, 상부 홀더(330)는 샤프트부(317)가 삽입되는 샤프트 홀(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부(317)가 샤프트 홀(331)에 삽입됨으로써 거치대(310)가 상부 홀더(3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거치대(310)의 양 측면 하단에 샤프트 홀이 마련되고, 상부 홀더(330)에 샤프트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샤프트 홀(331)에 삽입된 샤프트부(317)가 청소기 거치장치(3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1)는 청소기 거치장치(300)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 홀더(330)는 지지부(S)의 상면(S1)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패드(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패드(332)는 상부 홀더(330)와 지지부(S)의 상면(S1)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상부 패드(332)는 지지부(S)와의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고정부(320)가 지지부(S)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부 홀더(330)는 후술할 레버(35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레버 결합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 결합부(333)에는 레버(350)가 삽입될 수 있다. 레버 결합부(333)는 레버(350)와 나사 결합하도록 암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레버 결합부(333)의 내 측면에는 암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홀더(330)는 후술할 하부 홀더(340)의 보스부(343)가 삽입되는 보스 결합부(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 결합부(334)에는 보스부(343)가 삽입될 수 있다.
하부 홀더(340)는 상부 홀더(330)와 결합할 수 있다. 하부 홀더(340)는 상부 홀더(33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홀더(340)는 상부 홀더(330)에 대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홀더(330)와 하부 홀더(340) 사이의 간격이 변할 수 있다.
하부 홀더(340)는 지지부(S)의 하면(S2)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하부 패드(34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패드(341)는 하부 홀더(340)와 지지부(S)의 하면(S2)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하부 패드(341)는 지지부(S)와의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고정부(320)가 지지부(S)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하부 홀더(340)는 후술할 레버(350)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레버 홀(342)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홀(342)에는 레버(350)가 삽입될 수 있다. 레버(350)는 레버 홀(342)을 통과하여 상기한 레버 결합부(333)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홀더(340)는 상부 홀더(330)의 보스 결합부(334)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보스부(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343)는 하부 홀더(34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343)는 보스 결합부(334)에 삽입됨으로써 하부 홀더(340)와 상부 홀더(33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 홀더(330)에 대한 하부 홀더(34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레버(350)는 상부 홀더(330) 및 하부 홀더(340)와 결합될 수 있다. 레버(350)는 하부 홀더(340)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버(350)가 회전함에 따라 하부 홀더(340)와 상부 홀더(330)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3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부 홀더(340)와 상부 홀더(3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레버(350)는 사용자가 레버(35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헤드(351)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351)는 사용자가 헤드(351)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350)는 레버 결합부(333)와 나사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53)는 수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몸체부(353)의 외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53)는 레버 결합부(333)의 암 나사부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몸체부(353)는 레버 홀(342)을 관통할 수 있다. 레버 홀(342)의 직경은 몸체부(353)의 외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레버(350)는 하부 홀더(340)의 아래로부터 하부 홀더(340) 및 상부 홀더(330)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353)는 하부 홀더(340)의 레버 홀(342)을 관통하여 레버 결합부(333)의 암 나사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헤드(351)의 외경은 레버 홀(342)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51)는 레버 홀(342)을 관통할 수 없다. 몸체부(353)는 레버 결합부(333)와 결합될 수 있고, 헤드(351)는 하부 홀더(34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청소장치에서, 청소기 거치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청소기 거치장치가 지지부에 고정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상부 홀더(330)와 하부 홀더(340)가 최대로 이격된 거리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지지부(S)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홀더(330)는 지지부(S)의 상면(S1)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패드(332)가 지지부(S)의 상면(S1)과 접촉할 수 있다.
하부 홀더(340)와 상부 홀더(330) 사이에는 지지부(S)가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하부 홀더(340)는 지지부(S)와 접촉하지 않았기 때문에 고정부(320)가 지지부(S)에 고정되지 않는다. 하부 홀더(340)와 상부 홀더(330) 사이의 거리가 지지부(S)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자유롭게 고정부(320)를 지지부(S)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반대로 지지부(S)를 상부 홀더(330)와 하부 홀더(340)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청소장치에서, 청소기 거치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청소기 거치장치가 지지부에 고정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청소기 거치장치(300)는 레버(350)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부(S)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홀더(330)와 하부 홀더(340) 사이에 지지부(S)를 위치시킨 후, 레버(350)를 회전시킴으로써 하부 홀더(3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부 홀더(34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홀더(330)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레버(350)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부(320)가 지지부(S)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 홀더(34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패드(341)가 지지부(S)의 하면(S2)과 접촉할 수 있다. 상부 패드(332)가 지지부(S)의 상면(S1)과 밀착되고, 하부 패드(341)가 지지부(S)의 하면(S2)과 밀착되면, 고정부(320)가 지지부(S)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320)가 지지부(S)에 고정되면, 거치대(310)에 청소기(10)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것과 달리, 고정부는 다른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는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홀더는 상부 홀더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하부 홀더가 상부 홀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탄성력 이상의 힘을 제공하여 하부 홀더를 상부 홀더로부터 이격시킨 후,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 사이에 지지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 사이에 지지부를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가 지지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 사이에 지지부가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부는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는 책상, 식탁, 선반 의 모서리(edge) 등에 고정될 수 있고, 거치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거치장치(4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 거치장치(400)는 거치대(410)와 고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410)는 상기한 거치대(310)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부(420)는 기본적으로 상기한 고정부(32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고정부(420)는 흡입유닛 거치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460)는 고정부(420)의 상부 홀더(430)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 거치부(460)는 보조 흡입유닛(17, 도 2 참조)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연결포트(46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포트(46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포트의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포트(46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포트(461)는 상부 홀더(430)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포트(461)는 거치대(410)의 양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포트(461)가 거치대(410)의 측방에 배치됨으로써, 거치대(410)가 고정부(420)에 대해 회전하더라도 연결포트(461)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거치대(410)에 청소기(10)를 거치시킴으로써 청소기(10)를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부(420)에 보조 흡입유닛(17)을 거치할 수 있다. 보조 흡입유닛(17)을 보관할 장소를 따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청소기(10)를 충전 및 거치하는 거치대(410)와 인접한 곳에 흡입유닛 거치부(460)가 마련되므로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청소장치 10 : 청소기
11 : 청소기 본체 12 : 메인 흡입유닛
13 : 집진장치 14 : 핸들
15 : 조작부 16a : 연장관 연결부
16b : 연장관 16c : 흡입유닛 연결부
16d : 연장관 분리 버튼 17 : 보조 흡입유닛
18 : 배터리 분리버튼 19 : 연결단자
20 : 배터리 21 : 미끄럼 방지부
22 : 잔량표시부 23 : 돌출부
100, 200, 300, 400 : 청소기 거치장치
101, 201, 315, 415 : 제1안착부
102, 202, 316, 416 : 제2안착부
110, 210, 310, 410 : 거치대
111, 211, 311, 411 : 배터리 가이드부
112, 212, 312, 412 : 보조 가이드부
120 : 제1충전단자 수용부재
121, 221, 313, 413 : 제1충전단자
130 : 제2충전단자 수용부재
131, 231, 314, 414 : 제2충전단자
170, 270, 460 : 흡입유닛 거치부
175, 275 : 연결포트

Claims (27)

  1. 청소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충전단자; 및
    상기 배터리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청소기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제1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 및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 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하단과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제1안착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가이드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한 쌍의 보조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는 한 쌍의 배터리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보조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배터리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마련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제1연결이라 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제2연결이라 할 때,
    상기 제1연결과 상기 제2연결은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단자와 상기 제2충전단자 및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 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유닛이 결합되는 흡입유닛 거치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흡입유닛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포트는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거나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의 하면 후측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포트의 외부에 위치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포트가 상방7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포트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의 하방에 위치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가 자립(自立)하도록 바닥면 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거치대의 하면은 상기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단자와 상기 제2충전단자 및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홀더와, 상기 상부 홀더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 홀더와 상기 상부 홀더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상부 홀더와 상기 하부 홀더 사이에 위치한 구조물을 그랩(grasp)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부 홀더와 상기 상부 홀더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하부 홀더를 상기 상부 홀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하부 홀더를 상기 상부 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청소기 거치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유닛이 결합되는 흡입유닛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흡입유닛에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의 측방에 배치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20. 흡입유닛과 배터리가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기 본체가 거치되는 청소기 거치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상기 청소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
    상기 제1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청소기 본체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충전단자; 및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로서, 상기 제1안착부보다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안착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2안착부; 를 포함하는 청소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를 통해 상기 제1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2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청소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될 때,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청소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하단과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가이드부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청소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제1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청소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거치장치는,
    상기 제1충전단자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거치대; 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유닛이 결합되는 흡입유닛 거치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는 상기 흡입유닛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포트는 상기 흡입유닛 거치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거나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청소장치.
  27. 청소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충전단자;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2충전단자;
    상기 청소기 본체가 상기 제1충전단자와 연결되거나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제2충전단자와 연결될 때, 상기 배터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배터리 가이드부; 및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흡입유닛을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흡입유닛 거치부로서, 상기 흡입유닛이 상방을 향해 배치되거나 하방을 향해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흡입유닛 거치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거치장치.
KR1020200081962A 2019-08-14 2020-07-03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20210020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89,262 US11583156B2 (en) 2019-08-14 2020-08-10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CT/KR2020/010772 WO2021029704A1 (en) 2019-08-14 2020-08-13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2080057492.1A CN114222518B (zh) 2019-08-14 2020-08-13 用于吸尘器的支架和具有支架的清洁装置
EP20852850.5A EP3993687A4 (en) 2019-08-14 2020-08-13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DEVICE WITH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455 2019-08-14
KR20190099455 2019-08-14
KR1020200038986 2020-03-31
KR1020200038986A KR20210020749A (ko) 2019-08-14 2020-03-31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762A true KR20210020762A (ko) 2021-02-24

Family

ID=746893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986A KR20210020749A (ko) 2019-08-14 2020-03-31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1020200081962A KR20210020762A (ko) 2019-08-14 2020-07-03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986A KR20210020749A (ko) 2019-08-14 2020-03-31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207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919B1 (ko) 2021-10-14 2022-02-08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919B1 (ko) 2021-10-14 2022-02-08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749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3156B2 (en) Stand for cleaner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880276B2 (ja) 掃除機据置台
US10194779B2 (en) Cleaner holder
US11484166B2 (en) Cleaner holder and cleaner unit
JP2021176501A (ja) 掃除機据置台
US20210345848A1 (en) Vacuum cleaner hold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KR102295181B1 (ko)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US11426040B2 (en) Cleaning apparatus
JP2020110472A (ja) 電気掃除機
KR20210020762A (ko)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JP2016131792A (ja) 電気掃除装置
CN109982623B (zh) 清扫机
JP2024015308A (ja) 掃除機システム
JP6628511B2 (ja) 電気掃除装置
JP2020110509A (ja) 電気掃除機
KR20210047741A (ko)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JP6922786B2 (ja) 掃除機システム
JP2019098029A (ja) 電気掃除機
JP2020092828A (ja) 電気掃除機
JP2019146925A (ja) 掃除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