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630A -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630A
KR20040012630A KR1020030088317A KR20030088317A KR20040012630A KR 20040012630 A KR20040012630 A KR 20040012630A KR 1020030088317 A KR1020030088317 A KR 1020030088317A KR 20030088317 A KR20030088317 A KR 20030088317A KR 20040012630 A KR20040012630 A KR 20040012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frame
combine
gu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이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주 filed Critical 이동주
Priority to KR102003008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2630A/ko
Publication of KR2004001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6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0Arrangements of straw crush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는, 전방은 탈곡드럼에 대응되는 오목한 원호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검불에 섞여 있는 낟알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선별부를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고정수단과; 일측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은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 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톱니 형상의 절단날을 양측에 갖고 절단날의 사이에 관통홈을 갖되 탈곡드럼의 회전시 탈곡드럼의 구성요소인 탈곡날이 관통홈을 통과하면서 절단날 사이에 위치되는 검불을 절단하도록 된 검불절단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를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설치하면,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도 낟알의 선별을 위한 통공이 형성된 선별부와 검불이 크게 뭉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검불절단커터가 위치됨으로써 검불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여 탈곡드럼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이 발생되지 않고, 낟알의 손실도 적어진다.

Description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THE APPARATUS FOR COMBINE OF THRESHING FLOOR, WHICH PREVENTS DRY GRASS ACCUMULATION}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탈곡부에 검불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벼나 보리 따위를 거두어들이면서 동시에 탈곡과 선별 작업을 하는 농업기계로서 콤바인이 사용된다.
이러한 콤바인의 탈곡부는 절단날에 의해 베어진 후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작물의 이삭을 탈곡드럼에 형성된 다수 개의 탈곡날이 타격하여 작물의 낟알이 줄기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고, 이와 같이 분리된 낟알을 선별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런데, 작물의 낟알이 줄기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탈곡날이 이삭을 타격하면 줄기로부터 낟알만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작물의 잎새 및 이삭 전체가 떨어져 나가기도 하므로 탈곡부에는 상당량의 검불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당량의 낟알이 검불에 섞여 있기 때문에 낟알을 검불로부터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 검불이 계속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탈곡부에서 낟알이 1차 분리된 검불은 2차선별부를 경유하면서 다시 한 번 선별된 후 콤바인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 콤바인 탈곡부에 위치되는 검불에서 낟알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는 가늘은 철사로 이루어진 철망을 탈곡드럼의 외측에 위치시키는 것이었다.
그런데, 탈곡드럼의 외측에 위치되는 검불을 절단하지 않으면 검불에 섞여 있는 낟알이 잘 분리되지 못할 뿐 아니라 검불의 배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회전드럼에 검불이 견고하게 끼이고 과부하가 걸려 벨트가 끊어지거나 모터가 파손되는 등 신속하게 수리할 수 없는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96-049621호(콤바인용 검불절단 회전날 장치, 1998. 9. 15. 공개)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9459호(콤바인용 탈곡망, 2003. 3. 31.공고)와 같이 탈곡부에 위치되는 검불을 절단하기 위한 검불절단커터를 구비하는 기술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96-049621호의 경우에는 검불전단커터가 원형인 것이어서 탈곡날이 경유하지 못하는 검불절단커터(10)의 뒤쪽이나 상부에 검불이 쉽게 안착 및 적체되어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또,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9459호의 경우는 검불전단커터가 탈곡부의 전방 아래쪽에만 위치되어 있는 것이어서 검불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한 고장발생이 빈번하였다.
한편, 상기 기술 모두 검불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낟알의 선별을 위한 철망도 탈곡부의 하부에만 위치되어 있는 것이어서 탈곡부에서의 낟알선별이 미흡하여 콤바인의 외부로 배출되는 낟알의 손실 량이 큰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도 낟알을 선별할 수 있도록 통공을 갖는 프레임을 위치시키고, 이 프레임에 검불절단커터를 위치시켜 검불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여 고장이 발생되지 않으며, 낟알의 분리 효율도 우수하여 낟알의 손실이 크지 않도록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콤바인에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프레임의 전방이 평면일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비스듬하게 설치된 상태
B :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
도 3은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검불절단커터의 위치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통공의 크기를 통해 검불이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다수 개의 가로바 중 일부가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 되어 검불이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가로바에 형성된 돌기에 검불이 부딪혀 분산되도록 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탈곡드럼 1a. 탈곡날
2. 선별망 3. 검불절단커터
4. 뭉쳐진 검불 10. 검불절단커터
11, 12. 절단날 13. 관통홈
14. 볼트 20. 프레임
21. 선별부 21a. 통공
22. 커터고정홀 23. 가로바
23a. 돌기 24. 세로바
30. 프레임고정수단 31. 결합홀
32. 돌기 40. 이동가이드
41. 고정력설정버튼
본 발명은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도 검불의 절단을 위한 검불절단커터를 위치시켜 검불이 탈곡부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과부하 등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 상기와 같이 검불절단커터가 위치되는 탈곡부의 후방 상측에도 낟알의 선별을 위한 통공을 갖는 프레임을 위치시켜 낟알의 손실을 줄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는,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위치하되 탈곡드럼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탈곡드럼의 외측에 설치되고, 전방에 위치될 검불에 섞여 있는 벼의 낟알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선별부가 구비된 프레임을 갖는다.
또, 프레임을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고정수단을 갖는다.
또, 일측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은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톱니 형상의 절단날을 양측에 갖고 절단날의 사이에 관통홈을 갖되 탈곡드럼의 회전시 탈곡드럼의 구성요소인 탈곡날이 관통홈을 통과하면서 절단날 사이에 위치되는 검불을 절단하도록 된 검불절단커터;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출원의 발명자는 콤바인의 탈곡부에 검불이 견고하게 끼여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원인을 찾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검불이 탈곡부의 후방 상측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적체가 발생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적인 탈곡으로 적체가 심화되어 결국 탈곡드럼의 과부하 등으로 이어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검불이 탈곡부의 후방 상측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적체가 발생되는 이유를 분석한 결과, 이삭을 타격한 후 탈곡부의 후방 상측을 경유하는 순간의 탈곡드럼은 상부로 회전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탈곡드럼에 딸리어 가는 검불이 상부로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여 적체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검불의 적체가 심화되면 검불은 점차 견고하게 뭉쳐지기 때문에 탈곡드럼이 회전되더라도 검불이 탈곡드럼의 측방향으로 이송되지 못하므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설사 탈곡드럼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검불이 외부로 배출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검불은 상당한 정도로 뭉쳐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콤바인의 외부로 배출되는 검불에는 상당량의 낟알이 섞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소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을 경유하는 검불이 다소 적체되어 뭉쳐지더라도 이와 같은 검불의 뭉침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불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절단날(11, 12)을 양측에 갖고 절단날(11, 12)의 사이에 관통홈(13)을 가짐으로써 탈곡드럼(1)의 회전시 탈곡드럼(1)의 구성요소인탈곡날(1a)이 관통홈(13)을 통과하면서 절단날(11, 12) 사이에 위치되는 검불을 절단하도록 된 검불절단커터(10)를 구비한다..
즉, 검불이 다소 뭉쳐지더라도 뭉쳐진 검불이 검불절단커터(10)에 의해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계속적인 뭉침 현상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뭉쳐지지 않은 검불이라도 크기가 조금 큰 것은 검불 뭉침현상의 원인이 되므로 이와 같이 다소 큰 검불도 잘게 절단하는 것이다.
그런데, 검불절단커터(10)를 구비함에 있어서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1996-049621호와 같이 검불절단커터(10)의 형상이 원형인 등의 이유로 탈곡드럼(1)의 탈곡날(1a)이 경유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되면 그와 같이 탈곡날(1a)이 경유하지 못하는 부분에 검불이 쉽게 안착되고 적체되게 된다.
따라서, 검불절단커터(10)는 탈곡날(1a)이 경유하지 못하는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검불절단커터(10)의 일측이 후술하는 프레임(20)의 소정위치에 고정되고 타측은 프레임(20)의 전방으로 돌출 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현하는 경우가 있다.
즉, 탈곡날(1a)이 경유하지 못하는 프레임(20)의 뒤쪽 등에는 검불절단커터(10)가 위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콤바인의 탈곡드럼(1)이 이삭을 타격하여 낟알이 분리되도록 한 후 이를 선별하는 과정은 주로 탈곡드럼(1)의 하부에 위치된 선별망(2)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탈곡드럼(1)의 하부에도 상당량의 검불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쳐 선별되지 못한 낟알이 검불에 섞여 탈곡부의 후방 상측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과 같이 검불절단커터(10)가 탈곡부의 후방 상측으로 이동된 검불을 절단하면 검불에 섞여 있던 낟알이 순간적으로 검불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하부로부터 계속하여 검불이 올라오기 때문에 검불로부터 분리되었던 낟알은 곧 검불에 다시 섞이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탈곡부의 후방 상측을 경유하는 검불에 섞여 있는 낟알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낟알분리수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검불에 섞여 있는 작물의 낟알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다수 개의 통공(21a)이 형성된 선별부(21)를 갖는 프레임(20)이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 검불의 원활한 이송 및 작물의 낟알을 검불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검불이 흩어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탈곡드럼(1)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20)은 탈곡드럼(1)의 외측에 설치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프레임(20)과 탈곡드럼(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균일하지 못하면 검불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결국 검불이 적체되고 뭉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 상기와 같은 검불의 뭉침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검불절단커터(10)를 통해서도 완전하게 해소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프레임(20)의 전방이 도 2와 같이 평면의 것일 때 탈곡드럼(1)의 회전반경과 프레임(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프레임(20)의 중앙부 또는 일측에서 최소가 되고 양측 또는 타측으로 갈수록 최대가 되는 형상이 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2의 A지점, B지점, C지점에서 검불의 적체가 발생되고, 이 검불의 적체가 다른 부분으로 이어져 낟알의 선별이 미흡해지며, 자칫 탈곡드럼의 과부하로도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프레임(20)의 전방이 탈곡드럼(1)에 대응되는 오목한 원호의 형상인 경우 검불이 적체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검불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에서 탈곡드럼(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균일하여야 한다는 것이 매우 정밀한 정도의 균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주변보다 지나치게 큰 차이가 발생됨으로써 검불이 다량 적체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프레임고정수단(30)은 프레임(20)을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프레임고정수단(3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볼트를 사용하여 볼팅하는 것과 같이 각종 고정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 콤바인의 탈곡부에 결합홀(31)을 형성하고 이 결합홀(31)에 끼워지는 돌기(32)를 프레임(20)에 형성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그러나, 장시간 탈곡이 이루어질 경우 검불절단커터(10)가 무디어지기 때문에 검불절단커터(10)의 교체 및 수리를 위해서 프레임(20)은 콤바인의 탈곡부로부터 이탈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프레임고정수단(30)은 탈곡부로부터 프레임(20)의 교체가 용이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장치가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설치된 상태는 도 1과 같이 탈곡드럼(1)의 회전반경과 프레임(20)의 전방 사이에 균일한 공간이 형성되는 상태이다.
또, 콤바인의 탈곡부 왼쪽에서 벼와 같은 작물이 투입되면 탈곡부의 하부에 작물의 이삭이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탈곡드럼(1)이 회전되기 때문에 탈곡드럼에 형성된 탈곡날(1a)은 작물의 이삭을 타격하게 되는데 탈곡날(1a)의 회전시 작물의 줄기나 잎새부분도 타격되어 상당량의 검불이 발생된다.
탈곡날(1a)의 타격으로 이삭으로부터 분리된 낟알과 검불은 탈곡드럼(1)의 하부에서 타격되면서 탈곡드럼의 후방 상측으로도 이동하게 된다.
또, 탈곡날(1a)이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탈곡부의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타격된다.
상기와 같은 검불은 탈곡부의 하부에 형성된 검불절단커터(3)에 의해 잘게 분쇄된다.
또, 탈곡부의 하부에 형성된 선별망(1)(종래 콤바인에는 철망으로 되어 있음)에 의해 검불로부터 이삭이 분리되어 수거된다.
대부분의 낟알이 탈곡부의 하부에 형성된 선별망(1)에 의해서 분리되어 수거되지만 미쳐 분리되지 못한 상당수의 낟알은 검불에 섞인 상태로 탈곡부의 후방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검불이 탈곡부의 후방 상측으로 이동될 때 검불이 아래에서 위로 이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검불이 탈곡드럼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함이 다소 발생되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검불의 뭉침이 발생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탈곡부의 후방 상측에 검불의 뭉침이 발생되었을 때 검불절단커터(10)에 뭉쳐진 검불이 걸리게 되고 탈곡날(1a)이 검불절단커터(10)의 관통홈(13)을 통과하게 되어 뭉쳐진 검불을 절단하게 되므로 검불의 뭉침이 해소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검불의 뭉침이 크게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검불은 탈곡날(1a)에 의해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타격되고, 이로 인하여 검불에 섞여 있던 낟알은 선별부(21)의 통공(21a)을 통해 분리되어 수거된다.
또, 탈곡드럼(1)의 탈곡날(1a)이 나선형의 배열구조를 갖는 상태이고, 회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뭉침이 없는 검불은 탈곡날(1a)에 의해 계속 타격되면서 탈곡부의 우측으로 이동되어 탈곡부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검불의 뭉침이 크게 발생되지 않기 때문은 탈곡드럼(1)은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져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고, 탈곡드럼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연료의 과도한 손실도 방지된다.
한편, 콤바인은 제조회사 및 그 크기에 따라 탈곡드럼(1)에 형성된 탈곡날(1a)의 간격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탈곡날(1a)의 간격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프레임(20)에 고정되는 검불절단커터(10) 간의 좌, 우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커터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터위치조정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프레임(20)에 다수 개의 커터고정홀(22)을 형성한 후 이 다수 개의 커터고정홀(22)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검불절단커터(10)와 프레임(20)을 볼팅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커터고정홀(10)이 측면으로 긴 형상이 되도록 하여 검불절단커터(10)의 위치설정이 보다 자유롭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 다른 형태로서, 도 4와 같이 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이동가이드(40)를 따라 검불절단커터(10)의 좌, 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좌, 우로의 이동은 고정력설정버튼(40)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뭉쳐져 있거나 큰 검불이 검불절단커터(10)에 의해 절단되어 분산되지만 검불이 보다 잘 분산되도록 하면 낟알의 수거율이 더욱 좋아지고, 검불의 배출도 더욱 잘 이루어져 콤바인의 고장률이 더욱 낮아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검불절단커터(10)에 의해 절단된 검불이 탈곡드럼(1)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되는 과정 중 소정의 물체에 부딪혀 분산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소정의 지점에서 좌, 우로 뻗은 복수 개의가로바(23)와 상기 가로바(23)에 교차되도록 세로로 뻗은 복수 개의 세로바(24)에 의해 선별부(21)의 통공(21a)이 형성되도록 하되 탈곡드럼(1)의 회전방향을 따라 올라오는 검불이 가로바(23)에 부딪혀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탈곡드럼(1)이 회전될 때 검불은 탈곡드럼의 탈곡날(1a)에 계속 타격되면서 탈곡드럼(1)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검불이 가로바(23)에 부딪혀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로바(23)와 세로바(24)에 의하여 프레임(20)의 선별부(21)에 통공(21a)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프레임(20)의 전방이 전체적으로 오목한 원호의 형상을 이루어야 하므로 가로바(23)의 설치 위치는 이를 고려한 위치가 되어야 한다.
탈곡드럼(1)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되어지는 검불이 가로바(23)에 부딪혀 분산되도록 하는 것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1 및 도 5와 같이 소정 크기의 선별부(21)에 대한 가로바(23)와 세로바(24)의 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선별부(21)에 형성되는 통공(21a)의 크기를 적절한 크기로 설정함으로써 뭉쳐진 검불의 일부가 통공(21a)에 삽입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통공의 크기는 실험결과 가로의 길이가 3.5cm 이하가 될 때 검불의 적체가 크게 발생되고, 13.5cm 이상이 될 때 프레임의 뒤쪽으로 너무 많은 양의 검불이 빠져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세로의 길이는 세로 1.5cm 이하가 될 때 검불의 적체가 크게 발생되고, 5cm 이상이 될 때 프레임의 뒤쪽으로 너무 많은 양의 검불이 빠져 좋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세로의 길이가 13.5cm가 되더라도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가로바(23)가 판재형상이고 탈곡부의 후방 상측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을 때는 프레임의 뒤쪽으로 빠지는 검불의 양이 적어졌다.
상기와 같이 구현하면, 탈곡드럼(1)에 의해 이동되는 검불 중 소정의 크기로 뭉쳐진 검불의 일부가 통공(21a)에 삽입되면서 가로바(23)에 부딪혀 분산된다.
그런데, 검불이 부딪히는 물체의 굵기가 2mm이하로 얇아 검불과 접촉되는 면적이 작을 때는 부딪히는 물체에 검불이 감기게 되어 검불의 분산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검불이 더욱 적체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주위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철망은 통상 직경이 2mm 이하의 가는 철사를 얽어서 만든 것이다.
이와 같이 가늘은 철사를 얽어서 만든 철망 중 메쉬(mesh)가 큰 철망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선별부(21)를 만들었다면, 뭉쳐진 검불의 일부가 철망에 삽입되면서 철망의 구성요소인 가로로 뻗은 철사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나, 철사의 굵기가 너무 얇아 검불은 잘 분산되지 못하고 가로로 뻗은 철사에 걸쳐있는 상태가 되거나 철사에 감기게 되는 경우가 많아 결국 검불의 적체가 더욱 심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통공(21a)의 크기만을 이용한 방법으로 검불이 분산되도록 하는 경우에 가로바(23)는 검불과의 접촉면이 적어도 5mm 이상이 되는 비교적 굵은 것이어야 한다.
검불이 가로바(23)에 부딪혀 분산되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6과 같이 가로바(23) 중 일부가 프레임(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검불이 프레임(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로바(23)에 부딪혀 분산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할 경우 프레임(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로바(23) 사이의 간격은 뭉쳐진 검불의 일부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가 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로바(23)를 사용할 경우에는 통공(21a)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통공(21a)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로와 세로로 뻗은 것은 철사처럼 가늘은 것이 아니라 바(bar)와 같이 비교적 굵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은 검불들이 통공(21a)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로와 세로로 뻗은 것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검불이 가로바(23)에 부딪혀 분산되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7과 같이 가로바(23)가 소정의 부위에 다수 개의 돌기(23a)를 갖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즉, 탈곡드럼(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는 검불 중 뭉침이 있는 검불이 가로바(23)의 돌기(23a)에 부딪혀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돌기(23a)에 검불이 걸려있거나 감겨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는 검불과의 접촉면이 2cm정도 이상의 비교적 굵은 것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돌출되는 높이도 2cm정도로 비교적 낮게 설정하여 검불이 계속하여 돌기에 걸려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통공(21a)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로바(23)와 세로바(24)를 사용한다는 것의 의미는 통공(21a)을 형성하는 것이 가늘은 철사와 같은 것이 아니라 직경이 5mm 이상이거나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5mm 이상으로 비교적 굵은 바(bar)의 의미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가로바(23)는 도 5와 같이 판재형상으로 구현하고, 탈곡부의 후방 상측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도록 하는 것이 낟알의 선별을 감안할 때 바람직하다.
즉, 검불이 가로바(23)에 부딪혀 분산될 때 낟알이 통공(21a)의 앞쪽이 아닌 뒤쪽으로 떨어져 분류될 수 있도록 하고, 분산되는 검불의 일부가 통공(21a)의 뒤쪽으로 떨어지더라도 그 양이 과도하지 않도록 하여 낟알의 선별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세로바(24)는 프레임(20)의 전방에 위치되는 끝부분이 유선형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탈곡부의 좌측에서 탈곡이 시작되면서 발생된 검불은 탈곡드럼(1)의 회전시 탈곡날(1a)의 배열 상태로 인하여 탈곡부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세로바(24)가 곡선을 갖는 유선형이 되도록 하여 탈곡드럼의 회전에의한 검불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만 검불절단커터(10)를 위치시키면 검불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낟알의 선별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도 1과 같이 콤바인의 탈곡부 하부 및 전방에 검불절단커터(10)가 존재하는 형태에서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를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설치하면,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도 낟알의 선별을 위한 통공이 형성된 선별부와 검불이 크게 뭉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검불절단커터가 위치됨으로써 검불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여 탈곡드럼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이 발생되지 않고, 낟알의 손실도 적어진다.

Claims (4)

  1. 콤바인의 탈곡부에 검불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위치하되 탈곡드럼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탈곡드럼의 외측에 위치되고, 전방은 탈곡드럼에 대응되는 오목한 원호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전방에 위치될 검불에 섞여 있는 벼의 낟알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선별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고정수단과;
    일측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은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톱니 형상의 절단날을 양측에 갖고 절단날의 사이에 관통홈을 갖되 탈곡드럼의 회전시 탈곡드럼의 구성요소인 탈곡날이 관통홈을 통과하면서 절단날 사이에 위치되는 검불을 절단하도록 된 검불절단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검불절단커터 간의 좌, 우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커터위치조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선별부에 형성된 통공은 프레임의 전방이 오목한 원호의 형상을 갖도록 소정의 지점에서 좌, 우로 뻗은 복수 개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에 교차되도록 세로로 뻗은 복수 개의 세로바에 의해 형성되어 있되 탈곡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올라오는 검불이 가로바에 부딪혀 분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는 판재형상이고 탈곡부의 후방 상측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KR1020030088317A 2003-12-03 2003-12-03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KR20040012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317A KR20040012630A (ko) 2003-12-03 2003-12-03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317A KR20040012630A (ko) 2003-12-03 2003-12-03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801U Division KR200343111Y1 (ko) 2003-11-17 2003-11-17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630A true KR20040012630A (ko) 2004-02-11

Family

ID=3732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317A KR20040012630A (ko) 2003-12-03 2003-12-03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263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3514A1 (en) * 2017-12-28 2019-07-04 Robertson Brian G Combine harvester concave bar and separator grate
WO2019133517A1 (en) * 2017-12-28 2019-07-04 Robertson Brian G Combine harvester concave frame assembly
WO2019133520A3 (en) * 2017-12-28 2020-03-26 Robertson Brian G Combine harvester concave threshing bars
US10716260B2 (en) 2017-12-28 2020-07-21 Brian G. Robertson Combine harvester concave bar and separator grate
CN114223406A (zh) * 2021-12-15 2022-03-25 浙江工业大学台州研究院 一种自动上料玉米脱粒机
US11464169B2 (en) 2017-12-28 2022-10-11 Brian G. Robertson Combine harvester concave threshing bar
USD990525S1 (en) 2019-02-14 2023-06-27 Brian G. Robertson Combine harvester concave threshing ba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3514A1 (en) * 2017-12-28 2019-07-04 Robertson Brian G Combine harvester concave bar and separator grate
WO2019133517A1 (en) * 2017-12-28 2019-07-04 Robertson Brian G Combine harvester concave frame assembly
WO2019133520A3 (en) * 2017-12-28 2020-03-26 Robertson Brian G Combine harvester concave threshing bars
US10716260B2 (en) 2017-12-28 2020-07-21 Brian G. Robertson Combine harvester concave bar and separator grate
US11134613B2 (en) 2017-12-28 2021-10-05 Brian G. Robertson Combine harvester concave bar and separator grate
USD949930S1 (en) 2017-12-28 2022-04-26 Brian G. Robertson Combine harvester concave threshing bar
US11464169B2 (en) 2017-12-28 2022-10-11 Brian G. Robertson Combine harvester concave threshing bar
USD990525S1 (en) 2019-02-14 2023-06-27 Brian G. Robertson Combine harvester concave threshing bar
CN114223406A (zh) * 2021-12-15 2022-03-25 浙江工业大学台州研究院 一种自动上料玉米脱粒机
CN114223406B (zh) * 2021-12-15 2022-09-20 浙江工业大学台州研究院 一种自动上料玉米脱粒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26159A (en) Straw chopper and spreader for harvesters
EP1461993B1 (en) Deflector plate for a chopper on a combine harvester
EP1461994B1 (en) Chaff discharge device for a combine harvester
US6843719B1 (en) Floating combine sieve assembly
EP0793412B1 (de) Strohhäcksler zum zerkleinern von halmgut hinter den kornabscheideeinrichtungen eines mähdreschers
EP2820937B1 (en) Actuation linkage for flexible crop residue management
US4505434A (en) Forage harvester recutter screen
KR20040012630A (ko)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CN108934413B (zh) 用于联合收割机的切碎器组件及联合收割机
KR200343111Y1 (ko)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에 검불이 적체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
US4550552A (en) Sugar cane harvesting method and apparatus
US10420277B2 (en) Spreading arrangement and a combine harvester comprising a spreading arrangement
US4471788A (en) Corn harvester
KR200344537Y1 (ko)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위치되는 탈곡망
KR20040012629A (ko) 콤바인의 탈곡부 후방 상측에 위치되는 탈곡망
KR101772867B1 (ko) 수확기의 요동 선별 장치
KR100662863B1 (ko) 콤바인용 검불 절단장치
JP3713889B2 (ja) コンバイン等の倒伏判定装置
CN109121664B (zh) 一种半喂式联合水稻收割机
JP6297907B2 (ja) コンバイン
CN204837082U (zh) 联合收割机的秸秆粉碎装置
CN2540086Y (zh) 一种背负式联合收割机
JP2009148184A (ja) 自脱型コンバイン
KR890001482Y1 (ko) 탈곡 장치
CN213662501U (zh) 一种纵轴流联合收割机新型排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