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119A - 폐지, 폐면섬유를 원료로한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지, 폐면섬유를 원료로한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119A
KR20040012119A KR1020020045499A KR20020045499A KR20040012119A KR 20040012119 A KR20040012119 A KR 20040012119A KR 1020020045499 A KR1020020045499 A KR 1020020045499A KR 20020045499 A KR20020045499 A KR 20020045499A KR 20040012119 A KR20040012119 A KR 20040012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eight
materials
manufacturing
wast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9124B1 (ko
Inventor
최재호
이욱재
Original Assignee
최재호
이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이욱재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02-004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124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41Paper, e.g. waste paper; Paper pulp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0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3Flame-proof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지, 폐면섬유를 물에 넣어 해리시킨 것에 난연재를 투입하고 일정비율의 황토 분말과 맥반석분말, 석탄회 미세분말을 혼합하여 교반한 것을 초지 방법과 같은 성형 방법으로 종이 또는 판 형태로 일정두께로 성형하여 탈수하고 송풍기로 바람을 보내면서 건조시킨 다음 표면 처리 공정을 거처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원료인 폐지나 폐면섬유 75-85중량%를 물에 넣어 해리시킨다음 일정수준에 도달할때까지 고해하여 공지의 사이즈제 충전제 보류향제를 첨가한 후 난연재로서 탄산수소나트륨 (NaHCO3)을 4-8중량%, 첨가하고 여기에 기능성 첨가제로 황토분말 4-8중량%, 맥반석 분말 4-6중량%, 석탄회 3-5중량%를 첨가하여 교반한다음 종이 또는 2-5mm 두께의 판으로 성형하고 탈수하여 이를 40℃이하에서 송풍기로 바람을 보내면서 건조시켜서 표면처리를 하여 제조되는 것인데 화재시 탄산수소나트륨의 분리반응작용과 기능성 첨가제로 사용한 황토, 맥반석, 석탄회등의 상호작용으로 난연효과가 탁월하고 평소에는 향균, 탈취, 항곰팜이 기능을 발휘할수 있어서 건강에 유익하며 방음, 단열, 습도조절기능이 우수하여 다른 내장재보다 쾌적한 내장효과를 낼수 있는 이점이 있고, 폐품의 재활용으로 산업분야의 이용도가 높으며 가격이 싸면서 작용효과가 월등한 새로운 난연성 내장재를 얻도록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지, 폐면섬유를 원료로한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FIRE RETARDANT INTERIOR MATERIAL BY USING WASTE PAPER AND COTTON}
본 발명은 폐지, 폐면섬유를 물에 넣어 해리시킨 것에 난연재를 투입하고 일정비율의 황토 분말과 맥반석분말, 석탄회 미세분말을 혼합하여 교반한 것을 초지 방법 같은 성형 방법으로 종이 또는 판 형태로 성형하여 탈수하고 송풍기로 건조시킨 다음 표면 처리 공정을 거처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다양한 구성의 난연성 내장재가 개발되어 있으나 경제성 난연성 문제에서 만족감을 얻을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폐지나 폐면섬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원료인 폐지나 폐면섬유 75-85중량%를 물에 넣어 해리시킨다음 일정수준에 도달할때까지 고해하여 공지의 사이즈제, 충전제, 보류향제를 첨가한 후 난연재로서 탄산수소나트륨 (NaHCO3)을 4-8중량%, 첨가하고 여기에 기능성 첨가제로 황토분말 4-8중량%, 맥반석 분말 4-6중량%, 석탄회미세분말 3-5중량%를 첨가하여 교반한다음 종이 또는 2-5mm 두께의 판으로 성형하고 탈수하여 이를 40℃이하에서 송풍기로 바람을 보내면서 건조시켜서 표면처리를 하여 제조된다.
이와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은 난연재로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했기 때문에 건조과정에서 가열로 인한 분리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40℃이하의 온도에서 송풍기로 바람을 보내는 건조방법으로 제조하게 되며,
본 발명의 난연 작용은 화재시 제품중에 혼합된 탄산수소나트륨이 열을 받으면 이산화탄소(C02)와 물(H2O)을 발생하는 분리반응작용이 일어나서 연소를 방지하고 기능성 첨가제인 황토, 맥반석, 석탄회등의 미세한 무기물 세립자 들이 연소를 방해하는 보완작용을 하여 난연효과를 높히게 되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난연재에 비하여 난연효과가 높고 또 본 발명은 폐지와 페면섬유를 재활용하므로 경제성을 높힐수 있으며 이로인해 환경오염을 방지할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제품의 색상 과 모양, 그리고 광택의 유무등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제조할수 있어서 (표면처리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을 발휘할수 있음) 천정재, 벽재, 바닥재(마루, 장판지포함)등 용도에 활용할수 있고 소재의 접촉질감을 단단하게 하거나 소프트하게 쿠션감을 살려서 제조하는 조정도 가능하며 시공의 편리를 위해 두께와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수도 있으며 특히 첨가제로 사용한 황토, 맥반석, 석탄회가 향균, 탈취, 항곰팜이 기능이 우수하므로 건강에 유익하면서 방음, 단열, 습도조절기능이 우수하여 다른 내장재보다 쾌적한 내장효과를 낼수 있는 제품을 제조할수 있고 재활용 소재로서 가격도 싸면서 작용효과가 월등하므로 새로운 난연성 내장재를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원료인 폐지나 폐면섬유 75-85중량%를 물에 넣어 해리시킨다음 일정수준에 도달할때까지 고해하여 공지의 사이즈제 충전제 보류향제를 첨가하면서 난연재로서 탄산수소나트륨(NaHCO3) 4-8중량%를 첨가하고 여기에 기능성 첨가제로 황토분말 4-8중량%, 맥반석 분말 4-6중량%, 석탄회 3-5중량%를 첨가하여 교반한다음 종이 또는 2-5mm 두께의 판으로 성형하고 탈수하여 이를 40℃이하에서 송풍기로 바람을 보내면서 건조시켜서 표면처리를 하여 제조되는 폐지, 폐면섬유를 원료로한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2002-0045499A 2002-08-01 2002-08-01 폐지, 폐면섬유를 원료로한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0479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499A KR100479124B1 (ko) 2002-08-01 2002-08-01 폐지, 폐면섬유를 원료로한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499A KR100479124B1 (ko) 2002-08-01 2002-08-01 폐지, 폐면섬유를 원료로한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119A true KR20040012119A (ko) 2004-02-11
KR100479124B1 KR100479124B1 (ko) 2005-03-24

Family

ID=3732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499A KR100479124B1 (ko) 2002-08-01 2002-08-01 폐지, 폐면섬유를 원료로한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1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92B1 (ko) * 2008-04-15 2008-11-17 에스와이글로벌 주식회사 건축 및 차량용 기능성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1010905A1 (ru) * 2009-07-24 2011-01-27 Peregudov Sergey Valerievich Тепло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119B1 (ko) 2005-12-08 2007-06-12 이병옥 폐 섬유 판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67400C (no) * 1989-07-03 1991-10-30 Fire Guard Scandinavia As Flammehindrende og roeykhindrende blanding,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en opploesning av blandingen og anvendelse av opploesningen.
KR100232122B1 (ko) * 1994-03-10 1999-12-01 허방욱 셀룰로오스물질을 발포시킨 완충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232121B1 (ko) * 1997-06-10 1999-12-01 허방욱 셀룰로오스물질을 발포시킨 완충단열재의 새로운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92B1 (ko) * 2008-04-15 2008-11-17 에스와이글로벌 주식회사 건축 및 차량용 기능성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1010905A1 (ru) * 2009-07-24 2011-01-27 Peregudov Sergey Valerievich Тепло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9124B1 (ko)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0885C1 (ru)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й конверсии каолинсодержащего материала в материал с пуццолановыми свойствами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цемента из этого материала
JP2547008B2 (ja) 軽量断熱ボ−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31196A (ko)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성형품 및이의 제조방법
CN102597127A (zh) 沉淀的碳酸镁
JP2011508839A (ja) 紙加工廃物で作られた吸音天井タイル
CN103773082A (zh) 一种氢氧化镁包覆碳酸钙无机复合阻燃填料的制备方法
CN107285738A (zh) 一种复合型轻质隔音墙砖
US6268042B1 (en) High strength low density board for furniture industry
KR101063289B1 (ko) 난연성 발포수지 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12119A (ko) 폐지, 폐면섬유를 원료로한 난연성 내장재의 제조방법
JP3958073B2 (ja) 製紙スラッジ焼却灰混合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CN108298894A (zh) 一种贝壳粉生态软瓷及其制备方法
CN109763590B (zh) 一种防火隔热的轻质墙板及其生产工艺
KR200181602Y1 (ko)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블록
KR930002667B1 (ko) 절연패널의 제조방법
US3897259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incombustibles
KR101756382B1 (ko) 폐기저귀 재활용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종이
KR100557328B1 (ko) 방염내장재의 제조방법
CN110845181A (zh) 一种轻质环保建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37777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숯보드
KR100937778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숯보드
KR102667624B1 (ko) 규산염 광물을 이용한 불연 구조체
CN109811571B (zh) 一种反应型阻燃植物纤维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471110B1 (ko) 패각을 이용한 기능성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5908559A (zh) 一种环保高适印性阻燃壁纸原纸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