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554A - 증가된 마찰 계수를 갖는 훅 및 루프 체결구 - Google Patents

증가된 마찰 계수를 갖는 훅 및 루프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554A
KR20040010554A KR10-2003-7006095A KR20037006095A KR20040010554A KR 20040010554 A KR20040010554 A KR 20040010554A KR 20037006095 A KR20037006095 A KR 20037006095A KR 20040010554 A KR20040010554 A KR 20040010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oop fastener
loop
coefficient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3312B1 (ko
Inventor
마틴티모시알.
니브알렉산더제이.
슈미트리차드제이.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1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7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83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ated, laminated, or composi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부직 훅 및 루프 시스템과 비교하여 증가된 마찰 계수를 갖는 훅 및 루프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마찰 계수의 증가는 훅과 루프가 결합되었을 때, 심지어는 훅과 루프가 서로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접촉하고 있을 때조차, 훅 성분과 루프 성분의 결합을 강하게 한다. 성형 공정 중의 훅 및/또는 성형 공정 중의 루프에 택키파이어를 첨가함으로써, 또는 강도를 강화하는 섬유류와 강도는 더 작지만 더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섬유류를 사용하여 다성분 섬유를 압출함으로써, 또는 다양한 단면 형태의 섬유류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훅 및/또는 루프 구조 속에 표면 블룸 첨가제를 처리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증가된 마찰 계수를 갖는 훅 및 루프 체결구{HOOK AND LOOP FASTENER HAVING AN INCREASED COEFFICIENT OF FRICTION}
다이어퍼 체결 시스템과 같은 다수의 체결 시스템은 쉽게 체결하고 이완시키기 위한 훅 및 루프 시스템을 포함한다. 훅 성분은 대응하는 루프 성분으로부터 돌출한 많은 수의 루프와 맞물린(즉, 망에 걸린 또는 결합된) 많은 수의 돌출한 훅을 가진 평면 적층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많은 개개의 훅이 개개의 루프와 결합되어 있기도 하지만, 많은 개개의 훅이 개개의 루프와 그것들 사이에 어떠한 결합 없이 단지 서로 접촉만 한다. 이렇게 결합되지 않은 훅과 루프는 훅 성분과 루프 성분 사이의 전반적인 체결력에 어떠한 도움과 방해도 주지 않는다.
훅과 루프(결합되지 않고 접촉만 한 것들도 포함하여)의 대부분이 훅 성분과 루프 성분 사이의 체결력에 기여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에 대한 수요와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훅 및 루프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서로 결합된 훅 성분과 루프 성분의 정면도이다.
도2는 훅 위에 택키파이어를 가진 훅 성분의 측면도이다.
도3은 루프 위에 택기파이어를 가진 루프 성분의 측면도이다.
도4는 다성분 섬유로 만들어진 루프를 가진 루프 성분의 측면도이다.
도5는 다형태 섬유로 만들어진 단일 루프의 측면도이다.
도6은 도5에서 선6-6을 따라 취한, 다형태 섬유로 만들어진 루프의 단면도이다.
정의
본 명세서의 문맥에 있어서, 아래의 각 용어와 어구는 다음의 의미나 의미들을 포함한다.
"이성분 섬유(bicomponent fibers)"는 분리된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최소한 둘 이상의 폴리머로 형성되지만 하나의 섬유를 형성하도록 함께 스펀 가공된 섬유를 지칭한다.
"마찰"은 접촉하는 두 물체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을 저지하는 힘을 지칭한다. "마찰 계수"라는 용어는 어떤 표면을 따라 움직이고 있는 물체에 적용되는 법선력의 크기와 마찰력의 크기의 비를 지칭한다. 증가된 마찰 계수는 더 작은 마찰 계수보다 더욱 쉽게 두 물체를 접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그래서 증가된 마찰 계수를 가진 두 물체를 분리시키는 것은 더 작은 마찰 계수를 가진 두 물체를 분리시키는 것보다 더욱 어렵다.
"의료복"은 의료용(즉, 보호용 및/또는 외과용의) 가운, 모자, 장갑, 천, 안면 마스크, 혈압기, 붕대와 그와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박리력"은 두 인접한 물체를 서로로부터 반대 방향, 일반적으로 물체들이 접한 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당기려하는 힘을 지칭한다. 박리력은 "체결 강도"로도 지칭될 수도 있다.
"폴리머"는 단일중합체, 예컨대, 블록, 그라프트, 랜덤과 교대와 같은 혼성중합체, 삼량체 등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으면, "폴리머"라는 용어는 재료의 모든 가능한 기하학적 배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은 동일배열, 규칙배열 그리고 혼성 배열 대칭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그리고 그것에 대한 변형들은 연결되거나 연결할 수 있는 두 요소를 지칭하는데, 그 요소들은 요소의 한쪽이나 양쪽에 적용되는 분리력이 없이 연결되려는 경향이 있고, 상당한 영구 변형이나 파열없이 분리될 수 있는 요소이다. 요구되는 분리력은 대체로 흡수성의 의복을 입고 있는 동안 대하게 되는 것을 넘어선다.
"전단력"은 두 물체의 면 사이에 반대 방향인 평행한 미끄럼 운동을 발생시키는 힘을 지칭한다.
"표면 블룸"은 어떤 물질이 어떤 재료에 첨가되거나 그 재료의 어떤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특히 표면 영역으로 이동하는 공정을 지칭한다. "표면 블룸 첨가제"라는 용어는 그 재료의 영역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그 물질을 지칭한다.
"택키파이어"는 약간 들러붙고 끈끈하거나 끈적한 느낌을 가진 수지를 지칭한다. 택키파이어는 고체 위에 점착성의 표면를 생성하기 위하여 고체 재료를 코팅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달리, 택키파이어는 점착성의 표면을 가진 재료를 생성하기 위해 다른 폴리머와 혼합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초래된 점착성의 표면은, 코팅되지 않은 고체 또는 혼합되지 않은 폴리머와 다른 표면 사이에서의 마찰에 비교하여, 코팅된 고체 또는 혼합 재료와 사실상 어떤 다른 표면 사이에서 더욱 큰 마찰력을 생성한다.
"열가소성 물질"은 열에 노출되었을 때 연화되고 실온으로 냉각되었을 때 사실상 연화되지 않았을 상태로 되돌아가는 물질을 설명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추가적인 언어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결구의 요소가 전통적인 부직 훅 및 루프 체결구에 비하여 증가된 마찰 계수를 갖는 훅 및 루프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마찰 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결합된 훅과 루프 및 접촉된(결합하지 않은) 훅과 루프 양쪽을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증가함에 따라 훅 및 루프 체결구의 성능이 증가된다. 본질적으로, 더 큰 분리력을 요구하는 증가된 마찰 계수로 인하여 훅 체결구와 루프 체결구는 전통적인 훅 및 루프 체결구보다 더 오랜 시간동안 결합되거나 접촉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예컨대, 훅 성형 공정 및/또는 루프 성형 공정에서 훅 및/또는 루프 성분에 택키파이어를 첨가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찰 조절제는 이미 성형된 루프 및/또는 훅의 표면 위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성분 섬유는 루프 성분을 성형하기 위해 압출 성형될 수 있다. 다성분 섬유는 강도를 향상시키는 섬유류와 더 작은 강도는 갖지만 더 큰 마찰 계수를 가지고 있는 섬유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형태, 멀티로벌, 또는 비정규형태 섬유는 접촉면을 증가시키거나 모서리 부를 제공함으로써 총 마찰을 증가시키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여전히 다른 실시예에서, 표면 블룸 첨가체는 블루밍이 완료된 후 체결구의 마찰 계수를 증대하기 위한 그런 방법에 있어서 훅 및/또는 루프 구조 안에서 처리될 수 있다.
훅 및 루프 체결구에 대한 이러한 개선들 중의 어떤 것은, 또는 이러한 개선들의 조합은, 훅과 루프 사이의 증가된 마찰을 가진 훅 및 루프 체결구가 되고, 개개의 훅과 루프는 훅 성분과 루프 성분의 사이와 심지어 서로 접촉하면서 결합되지 않은 훅과 루프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말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훅과 루프 사이에 증가된 마찰을 가진 훅 및 루프 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부직 훅 및 루프 체결구에 비하여 훅과 루프 사이에 증가된 마찰을 갖는 훅 및 루프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들은 훅 성분과 루프 성분 사이에서의 증가된 마찰 계수 및/또는 훅과 루프 사이의 증가된 접촉 면적을 제공한다.
이 훅 및 루프 체결구는 일회용 흡수 제품에 대한 체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그런 적합한 물품의 예로서는 기저귀, 트레이닝 바지, 여성 위생 용품, 실금 용품, 의료복을 포함한 다른 개인 치료용 또는 건강 치료용 의류, 또는 그와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 성분(22)과 루프 성분(24)을 포함하고 있는 체결 시스템(20)은 서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어, 또는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합될 수 있다. 훅 성분(22)은 훅 지지재(28)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나온 많은 수의 개별 훅(26)들을 갖는다. 유사하게 루프 성분(24)도 루프 지지재(33)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나온 다수의 개별 루프(30)를 갖는다. 개별 훅(26)과 개별 루프(30)가 서로 접촉할 때 강제로 떼어낼 때까지 훅(30)이 루프(30)에 래치 결합됨으로써 루프(30)로부터 훅(26)을 당겨 서로 결합한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훅(26)과 모든 루프(30)가 대응하는 루프(30) 또는 훅(26)과 결합하는 것은 아니다. 대체로 충분한 훅(26)과 루프(30)가 훅 성분(22)과 루프 성분(24) 사이의 체결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결합된다. 훅 및 루프 체결구(20) 내의 마찰 계수 및/또는 총 마찰이 증가함으로써, 훅(26)과 루프(30) 사이에 체결구(20) 내의 박리력 그리고 전단력이 증가되며, 그것에 의하여 루프 성분(24)으로부터 훅 성분(22)을 분리하기 위하여 체결구(20)에 작용하는 더 큰 박리력 그리고 전단력을 요구한다. 증가된 마찰 계수와, 심지어 서로 접촉하고 있지만 결합되지 않은 훅(26)과 루프(30)조차 박리력과 전단력을 어느 정도 제공하고, 마찬가지로 체결 강도에도 기여한다.
도2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서, 훅 성분(22) 상의 훅(2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택키파이어(34)로 코팅된다. 택키파이어(34)는 훅(26)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거나 훅 성형 공정 도중에 훅 재료와 섞여질 수도 있으며, 여기서 약간의 택키파이어(34)가 훅 표면에 나타나거나 훅 표면으로 옮겨질 수 있다.택키파이어(34)는 훅(26)에 약간 들러붙는, 끈끈한 또는 점착성의 느낌을 준다. 그러므로, 훅(26)이 루프(30)와 접촉할 때, 훅 성분(22)과 루프 성분(24) 사이의 마찰은 증가되고, 그것에 의하여 훅 성분(22)을 루프 성분(24)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박리력 및/또는 전단력의 크기가 증가된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력은 추가된 마찰에 의해 증가되는데, 그 이유는 훅 성분(22)과 루프 성분(30)이 떨어져 나갈 때 개별 훅(26)과 개별 루프(30)가 서로 전단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이다.
도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로서, 루프 성분(24) 상의 루프(3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택키파이어(34)로 코팅된다. 택키파이어(34)는 루프(30)를 코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루프 성형 공정 도중에 훅 재료에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택키파이어(34)는 루프(30)에 약간 들러붙는, 끈끈한 또는 점착성의 느낌을 주고, 그것에 의해 훅 성분(22)과 루프 성분(24) 사이의 마찰이 증가한다. 훅 성분(22)과 루프 성분(24) 양쪽 모두 훅(26)과 루프(30) 위에 택키파이어(34)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단순히 훅 성분(22)만 또는 루프 성분(24)만 택키파이어(34)를 포함할 수 있다.
택키파이어(34)는 훅 성분(22) 및/또는 루프 성분(24)에 접착성이나 약간의 끈끈함을 주는 어떠한 적절한 합성수지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탄성중합체, 규칙 배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고무와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 스티렌 블록 혼성중합체, 또는 그것의 조합들을 포함한다. 적절한 수지의 한 예로서는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소재한 헤르쿨레스 코퍼레이션에 의해 제작된 레갈레즈[REGALREZ(등록상표)]가 있다. 택키파이어(34)는 도장, 분무 코팅이 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훅(26)과 루프(30)에 외부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재료이고, 또는 훅 및/또는 루프 폴리머와 혼합함으로써 내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재료이다.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부직 루프 성분(24)의 마찰 계수는 개별 루프(30)가 루프 지지재(32)로부터 돌출되도록 만들기 위하여 압출된 다성분(36,38)의 섬유(39)를 사용함으로써 증가된다. 섬유 성분의 조합은 강도를 강화시키는 제1 섬유 성분(36)을 예컨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적당한 재료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제2의 적절한 섬유 성분(38)은 제1 섬유 성분(36)보다 더 작은 강도를 갖지만, 더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다. 제1 섬유 성분(36)으로 사용을 위하여 선택된 섬유 종류가 제2 섬유 성분(38)으로 사용을 위하여 선택된 섬유 종류와 같지 않는 한, 제2 성분(36)의 적절한 예로서는 제1 섬유 성분(36)에 적절한 어떤 동일한 종류의 섬유라도 포함한다.
이성분 섬유(Bicomponent fibers)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성분 섬유의 배열은 하나의 폴리머가 다른 것에 의해 둘러싸인 "시스-코어(Sheath-core)" 배열이다. 특히 강도 성분인 제1 섬유 성분(36)은 심으로 사용될 수 있고, 마찰 성분인 제2 섬유 성분(38)은 외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이성분 섬유 배열은 "병행(side-by-side)" 배열, 또는 "고립(islands-in-the-sea)" 배열을 포함하며, 두 배열 모두 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형태 또는 비정규형태 섬유(40)는 루프(30) 상에 표면 및 모서리 효과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루프 성분(24) 내에서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보다 명백하게, 도6은 도5에 있는 루프(30)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 내의 루프(30)는 부드러운 외면을 가진 루프와 비교하여 더 높은 마찰 계수를 생성하는 부드럽지 않은 외면(42)를 가진다. 부드럽지 않은 외면(42)을 가짐으로써, 외면의 표면적은 증가하고 모서리의 수는 외면에 대하여 생성된다. 이 모서리들은 루프(30)의 모서리가 훅(26)을 파들어가는 발톱 효과를 생성함으로써, 물리거나 단지 서로 접촉하는 동안에 루프(30)와 대응되는 훅(26) 사이의 마찰량을 증가시킨다. 예컨대, 루프(30) 내의 각각의 섬유들(40)은 유일 및/또는 비정규 형태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다른 두 유형의 섬유 형태가 루프(30)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적절하게는 적어도 다른 세 유형의 섬유 형태가 루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섬유들(42)의 단면 형태에 의해 결정되는 섬유 형태는 타원, 삼면체, 사면체, 혹은 기하학적으로든지 비정규적이든지 일반적인 다른 어떤 형태라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역시 다른 실시예에서, 계면활성제 블루밍 기술이 블루밍이 완료된 후 체결구(20)의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는 그런 방법에 있어서 훅 및/또는 루프 구조의 섬유 속으로 표면 블룸 첨가체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계면활성제 블루밍 기술은 콜만 외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6,043,168호에 개시되고, 여기에서 참조로 사용된다. 더욱 특히 계면활성제 블루밍 공정은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 블룸 첨가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국소 표면 첨가제의 처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내부 표면 블룸 첨가제는 훅 및/또는 루프 성형 공정 도중 훅 및/또는 루프 재료와 섞인다. 예컨대, 내부 표면 블룸 첨가제는 섬유 내에 비결정인 체로 남아 있는 물질이며, 가령 규칙배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부틸렌이 그것이다. 블루밍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내부 표면 블룸 첨가제는 폴리올레핀 합성수지에 첨가되고, 그리고 나서 훅 및/또는 루프 재료의 섬유로 스펀 가공된다.
국부 표면 첨가체는 훅 및/또는 루프의 표면에 적용되고, 내부 표면 블룸 첨가체와 같은 어떤 물질도 포함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루프 성분(24)의 개별 루프(30)는 누벼지고, 꿰매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부직 재료로부터 적절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루프 지지재(32)를 통해 내뿜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개시된 공정 개선에 덧붙혀서, 개별 루프(30)는 섬유상의 부직 망으로, 가령 건부직포섬유 망 또는 카드 형태의 스태이플 섬유상의 망으로 적절히 만들어진다. 대안으로 개별 루프(30)는 얀 또는 토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단 루프(30)가 형성되면, 루프를 형성하는 섬유는 열 및/또는 접착제 또는 다른 어떤 수단으로 루프 지지재(32)에 그 섬유를 접착함으로써 적절한 장소에 고정시킬 수 있다.
루프(30)는 반드시 일정 높이일 필요는 없지만, 약 0.00254cm부터 약 0.019cm까지, 또는 약 0.0381cm부터 약 0.0726cm까지의 범위 내의 높이를 반드시 가져야만 한다. 루프 지지재(32)는 일반적으로 약 0.025mm 내지 약 5mm 사이의 범위, 적합하게는 약 0.4mm 내지 약 2mm 범위 내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루프 지지재(32) 위의 루프(30) 밀도는 사용된 재료의 종류에 많이 의존하고, 약 16에서 약 620 제곱 센티미터 당 루프까지, 또는 약 124에서 약 388 제곱 센티미터 당 루프까지, 또는 약 155에서 약 310 제곱 센티미터 당 루프까지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훅 성분(22)의 개별 훅(26)은 전형적으로 훅 지지재(28)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한 기초부와 루프 성분(24) 위에서 대응되는 루프(30)과 체결할 수 있도록 각도가 있거나 굴곡진 기초부로부터 연장한 자유단을 갖는다. 사실상 어떠한 훅 형태도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개별 훅(26)은 J-형 자유단 또는 평면 자유단을 가질 수 있다. 훅(26)은 전형적으로 훅 지지재(28)와 함께 형성된다. 공압출 공정이 같은 공정에서 다양한 폴리머로부터 개별 훅(26)과 그 지지재(28)를 성형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다.
적절한 훅 성분(22)은 일반적으로 약 16 내지 약 620 제곱 센티미터 당 훅 사이, 또는 약 155 내지 약 310 제곱 센티미터 당 훅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훅(26)은 약 0.00254cm 내지 약 0.19cm, 또는 약 0.0381cm 내지 약 0.0762cm까지의 높이를 적절히 갖는다. 여기에 개시된 공정 개선에 덧붙여서, 훅(26)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강도 및/또는 마찰이 체결구 시스템(20)에 기여하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폴리머로부터 적절히 성형되거나 압출된다. 마찬가지로 훅 지지재(28)는 이런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훅 지지재(28)는 약 20 제곱 미터 당 그램에서 약 70 제곱 미터 당 그램의 범위 내의 기본 무게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약 0.5mm 내지 약 5mm의 범위 내, 적절히는 약 0.8mm 내지 3mm 사이의 범위내 두께를 갖는다.
증가된 마찰 계수를 가진 체결 시스템(20)은 어떤 개시된 실시예, 또는 개시된 실시예의 조합의 결과이다. 본 발명의 체결 시스템(20)은 어떤 마찰 계수 조정제도 갖지 않은 똑같은 체결 시스템보다 적어도 25% 더 큰 동마찰 계수를 갖는다. 더 정확히는 마찰 조정제를 가진 동마찰 계수는 아래 예에서 나타나듯이 어떤 마찰 계수 조정제도 갖지 않은 똑같은 체결 시스템보다 약 25%에서 약 50% 더 크다.
본 예에서, 대조 표준으로 한 조각의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했고 그 대조 표준의 동마찰 계수(kinetic coefficient of friction)를 각각 마찰 계수 조정제를 포함하는 여섯 샘플의 동마찰 계수와 비교했다. 그 결과는 표 1에서 보여준다. 마찰 계수 조정제를 가진 샘플에 있어서 동마찰 계수의 평균 증가는 42%이다. 동마찰 계수는 아래 설명되는 시험 절차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표 1: 동마찰 계수의 비교
샘플 최대하중(그램) 동마찰 계수 대조 표준에 비교한 동마찰 계수의 증가
100% 폴리프로필렌(대조표준) 74 0.26 ---
0.6 오시, 40% 폴리프로필렌, 60%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80 0.38 46%
0.6 오시, 55% 폴리프로필렌, 45%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87 0.38 46%
0.6 오시, 70% 폴리프로필렌, 30% 아르니텔(등록상표) EM400* 82 0.34 31%
1.0 오시, 40% 폴리프로필렌, 60%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84 0.34 31%
1.0 오시, 55% 폴리프로필렌, 45%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83 0.35 35%
1.0 오시, 70% 폴리프로필렌, 30% 아르니텔(등록상표) EM400* 96 0.41 58%
(* 인도 에반스빌에 소재한 디에스엠 엔지니어링으로부터 이용가능한 코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의 동마찰 계수의 표준 시험 방법, ASTM D-1894-78
이 시험법은 특별한 시험 조건에서 다른 물질 또는 동일 물질 넘어 미끄러질 때 플라스틱 필름과 시트의 미끄럼 마찰 계수의 결정을 포함한다.
본 시험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장치는 일단에 적절한 아이 스크류로 체결된 63.5mm(2.5인치) 정사각형에 약 6mm(0.25인치) 두께인 금속 블록으로 만들어진 슬레드를 포함한다. 게다가, 대략 150 ×300 ×1mm(6 ×12 ×0.040 인치) 크기의 연마된 플라스틱, 나무, 또는 금속판이 플래인으로 사용된다. 매끄럽고 평평한 유리조각이 평면의 상면을 덮고, 그것에 의해 시편을 위한 매끄러운 지지를 제공한다. 다른 재료는 시편을 원하는 치수로 자르기 위해 적절한 가위나 커터, 접착 테이프 가령 셀로판 또는 압력감도 테이프, 그리고 양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한다. 추가된 재료는 0.33 ±0.05mm(0.013 ±0.002 인치) 직경과 3.6kg(8 파운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나일론 모노필라멘트와, 저마찰 풀리 가령 금속 포크 위의 경화강 콘 베어링에 장착된 페놀수지 종류의 풀리와, 예컨대 스프링 게이지, 만능 시험기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마찰값의 ±5%까지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는 힘 측정 기구를 포함한다. 다른 장비는 지지 토대를 포함한다. 대략 200 ×380mm(8 ×15인치) 크기의 매끄러운 나무나 금속 토대는 플래인을 지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지지 토대는 단순한 직사각 상자여도 좋다. 플래인이나 슬레드를 구동 또는 끄는 장치도 역시 필요하다. 플래인은 만능 시험기의 크로스헤드에 의해 150 ±30mm/min(0.5 ±0.1ft/min)의 일정 표면 속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200mm(8인치)보다 작지 않은 한 구동 쌍의 고무 코팅 롤에 의해, 또는 동기 모터로 구동되는 워엄 드라이브에 의해 당겨진다. 항속 체인 드라이브 시스템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동력원은 150 ±30mm/min(0.5±0.1ft/min)의 일정 속도에서 수평으로 장착된 시편 위로 슬레드를 당기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플래인에 부착된 본 시험 시편은 그러한 압출 방향이 존재하고 식별 가능할 때 기계 방향으로 대략 250mm(10인치) 그리고 그 횡방향으로 130mm(5인치)로 잘려야만 한다. 보통 두께가 0.254mm보다 크지 않은 필름 시편은 대략 120mm(4.5인치)의 정사각형으로 재단되어야만 한다. 보통 두께가 0.254mm 보다 큰 시트 시편은 63.5mm(2.5인치)의 정사각형으로 재단되어야만 한다.
시험법은 250 ×130mm(10 ×5인치)의 필름이나 시트 시편을 250mm 방향 내에 시편의 기계 방향으로 한 플래인에 테이핑을 함으로써 이행된다. 만일 필요하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름 시편을 매끄럽게 하고, 손 기름 등을 통해 시편 표면을 변경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필름 시편에 대하여는, 필름을 잡아 늘이지 않고 시편을 강하게 당기면서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슬레드의 후부에 120mm(4.5인치) 정사각형 필름 시편의 모서리를 붙인다. 시트 시편에 대하여는, 양면 테이프를 가지고 두 번째 기질 또는 63.5mm(2.5인치)의 정사각형 시트를 붙인다. 시편의 기계 방향을 슬레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유지한다(여기서 그런 방향은 존재하고 식별 가능하다).
다음으로, 아이 스크류를 통해 시편으로 덮인 슬레드를 나이론 필라멘트에 부착한다. 만일 만능 시험기를 사용하면, 하중 감지 장치의 바닥에서 위로 그리고풀리를 통하여 필라멘트를 통과하고 안전하게 부착한다. 만일 스프링 게이지를 사용하면, 그것에 필라멘트를 안전하게 부착한다. 나일론 필라멘트는 최대 슬래드 또는 플래인 이동을 허락하도록 길이가 충분해야 할 것이다. 나일론 필라멘트 내에 약간의 처짐을 가지고 슬레드를 수평면 위에 적소에 가볍게 놓는다. 슬레드의 위치선정은 슬레드의 길이, 나일론 필라멘트의 인접 길이, 그리고 플래인에 장착된 시편의 긴 치수(기계 방향)가 평행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구동 메카니즘(150 ±30mm/min(0.5 ±0.1ft/min)의 속도를 공급하도록 미리 조정된)을 시작한다. 접촉 표면 사이의 마찰력의 결과로서, 슬레드 위의 인력이 접촉면에 작용하는 정지마찰력을 초과하거나 같아질 때까지 슬레드와 움직이는 플래인 사이에 아무런 즉각적인 움직임도 발생하지 않는다. 표면이 서로 일정하게 미끄러질 때 대략 130mm(5인치)를 진행하는 동안의 평균 기록을 기록한다. 이것은 표면 사이의 움직임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동적인 힘에 상당하며 보통 최초의 움직임에 필요한 정적인 힘보다 더 적다. 슬레드가 130mm(5인치) 움직인 후에 본 장치를 정지시키고 출발 위치로 되돌린다.
만일 스트레인 게이지와 하중-변위 기록계가 사용되면, 슬레드가 움직이는 동안 차트 위에 도시된 최고점들과 최소점들 사이의 중간에 가장 일직선인 선을 그리거나, 또는 기록계 기록의 통합으로 평균 하중을 얻는다. 평균 하중은 슬레드 위에서 움직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동마찰력이다.
슬레드와 수평 플래인으로부토 필름 또는 시트 시편을 제거한다. 본 장치는 이제 다음 세트의 시편을 위한 준비가 된다. 새로운 세트의 시편들은 각가의 행정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동마찰 계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μk= Ak/B
여기서:
Ak= 필름 표면이 일정한 미끄럼을 하는 동안 얻어진 평균 비례 기록
B = 슬레드 무게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시된 전술된 실시예들의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알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지 몇몇의 전형적인 실시예가 상기에 자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신규한 개시와 이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전형적인 실시예 내에서 수많은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변경은 다음 특허청구범위와 모든 그에 균등한 것에 있어서 한정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다수의 실시예들이 일부 실시예들, 특히 양호한 실시예의 이점 모두를 달성하는 것이 아니며, 그렇지만 특별한 이점의 부재가 본 발명의 범주 밖인 그러한 실시예를 반드시 의미한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7)

  1. 훅 성분과 루프 성분을 포함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이며,
    상기 루프 성분은 루프 지지재와 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훅 성분은 훅 지지재와 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훅 및 마찰 계수 조정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훅 및 루프 체결구는 마찰 계수 조정제가 없는 같은 유형의 훅 및 루프 체결구보다 적어도 25% 더 큰 동마찰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훅 및 루프 체결구는 마찰 계수 조정제가 없는 같은 유형의 훅 및 루프 체결구보다 약 25% 내지 약 50% 더 큰 동마찰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마찰 계수 조정제는 택키파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택키파이어는 복수의 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6.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훅은 택키파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7. 제4항에 있어서, 택키파이어는 폴리에틸렌 탄성중합체, 규칙배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고무와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그리고 그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마찰 계수 조정제는 표면 블룸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훅 중에 적어도 일부는 표면 블룸 첨가제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10. 제8항에 있어서, 표면 블룸 첨가제는 내부 표면 블룸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11. 제8항에 있어서, 표면 블룸 첨가제는 국부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12. 훅 성분과 루프 성분을 포함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이며,
    상기 훅 성분은 훅 지지재와 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훅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 성분은 루프 지지재와 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루프와 마찰 계수 조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훅 및 루프 체결구는 마찰 계수 조정제가 없는 같은 유형의 훅 및 루프 체결구보다 적어도 25% 더 큰 동마찰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14. 제12항에 있어서, 훅 및 루프 체결구는 마찰 계수 조정제가 없는 같은 유형의 훅 및 루프 체결구보다 약 25% 내지 약 50% 더 큰 동마찰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15. 제12항에 있어서, 마찰 계수 조정제는 택키파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택키파이어는 복수의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루프는 택키파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18. 제15항에 있어서, 택키파이어는 폴리에틸렌 탄성중합체, 규칙배열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고무와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그리고 그것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19. 제12항에 있어서, 마찰 계수 조정제는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이성분 섬유는 루프 강도를 강화시키는 제1 섬유 성분과 훅 및 루프 체결구의 마찰 계수를 높이는 제2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 섬유 성분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2. 제20항에 있어서, 제2 섬유 성분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3. 제12항에 있어서, 마찰 계수 조정제는 다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다성분 섬유는 루프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제1 섬유 성분과 훅 및 루프 체결구의 마찰 계수를 높이는 제2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제1 섬유 성분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6. 제24항에 있어서, 제2 섬유 성분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7. 제12항에 있어서, 마찰 계수 조정제는 다양한 형태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8. 제27항에 있어서, 적어도 다른 두 종류의 섬유를 포함하고, 각 종류의 섬유는 그 나머지와 다른 단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29. 제27항에 있어서, 적어도 다른 세 종류의 섬유를 포함하고, 각 종류의 섬유는 그 나머지와 다른 단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0. 제27항에 있어서, 섬유 중에 적어도 일부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1. 제27항에 있어서, 섬유 중에 적어도 일부는 삼면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2. 제27항에 있어서, 섬유 중에 적어도 일부는 사면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3. 제12항에 있어서, 마찰 계수 조정제는 표면 블룸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4. 제33항에 있어서, 복수의 루프 중에 적어도 일부는 표면 블룸 첨가제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5. 제33항에 있어서, 표면 블룸 첨가제는 내부 표면 블룸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6. 제33항에 있어서, 표면 블룸 첨가제는 국부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7. 훅 성분과 루프 성분으로 이루어진 훅 및 루프 체결구이며,
    상기 훅 성분은 훅 지지재와 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훅과 제1 마찰 계수 조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 성분은 루프 지지재와 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루프와 제2 마찰 계수 조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8. 제37항에 있어서, 훅 및 루프 체결구는 제1 마찰 계수 조정제가 없고 제2 마찰 계수 조정제도 없는 같은 유형의 훅 및 루프 체결구보다 적어도 25% 더 큰 동마찰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39. 제37항에 있어서, 훅 및 루프 체결구는 제1 마찰 계수 조정제가 없고 제2 마찰 계수 조정제도 없는 같은 유형의 훅 및 루프 체결구보다 약 25% 내지 약 50% 더큰 동마찰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0. 제37항에 있어서, 제1 마찰 계수 조정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훅 성분을 코팅한 택키파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1. 제37항에 있어서, 제1 마찰 계수 조정제는 복수의 훅을 만드는 폴리머와 혼합된 택키파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2. 제37항에 있어서, 제2 마찰 계수 조정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프 성분을 코팅하는 택키파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3. 제37항에 있어서, 제2 마찰 계수 조정제는 복수의 루프를 만드는 폴리머와 혼합된 택키파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4. 제37항에 있어서, 제2 마찰 계수 조정제는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5. 제44항에 있어서, 이성분 섬유는 루프 강도를 강화시키는 제1 섬유 성분과 훅 및 루프 체결구의 마찰 계수를 높이는 제2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6. 제37항에 있어서, 제2 마찰 계수 조정제는 다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7. 제46항에 있어서, 다성분 섬유는 루프 강도를 강화시키는 제1 섬유 성분과 훅 및 루프 체결구의 마찰 계수를 높이는 제2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8. 제37항에 있어서, 제2 마찰 계수 조정제는 다양한 형태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49. 제48항에 있어서, 적어도 다른 두가지 유형의 섬유를 포함하고, 각 유형의 섬유는 그 나머지와 다른 단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50. 제37항에 있어서, 제1 번째 마찰 계수 조정제는 표면 블룸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51. 제50항에 있어서, 복수의 훅 중에 적어도 일부는 표면 블룸 첨가제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52. 제50항에 있어서, 표면 블룸 첨가제는 내부 표면 블룸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53. 제50항에 있어서, 표면 블룸 첨가제는 국부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54. 제37항에 있어서, 제2 마찰 계수 조정제는 표면 블룸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55. 제54항에 있어서, 복수의 루프 중에 적어도 일부는 표면 블룸 첨가제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56. 제54항에 있어서, 표면 블룸 첨가제는 내부 표면 블룸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57. 제54항에 있어서, 표면 블룸 첨가제는 국부 표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훅 및 루프 체결구.
KR1020037006095A 2000-11-03 2001-10-31 증가된 마찰 계수를 갖는 훅 및 루프 체결구 KR100753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05,512 2000-11-03
US09/705,512 US6489004B1 (en) 2000-11-03 2000-11-03 Hook and loop fastener having an increased coefficient of friction
PCT/US2001/045634 WO2002035956A2 (en) 2000-11-03 2001-10-31 Hook and loop fastener having an increased coefficient of fri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554A true KR20040010554A (ko) 2004-01-31
KR100753312B1 KR100753312B1 (ko) 2007-08-29

Family

ID=24833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095A KR100753312B1 (ko) 2000-11-03 2001-10-31 증가된 마찰 계수를 갖는 훅 및 루프 체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489004B1 (ko)
KR (1) KR100753312B1 (ko)
AR (1) AR031203A1 (ko)
AU (1) AU2002220105A1 (ko)
DE (1) DE10196883T1 (ko)
GB (1) GB2385373B (ko)
MX (1) MXPA03003837A (ko)
WO (1) WO200203595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591A (ko) * 2000-02-03 2001-08-20 복성해 아라니콜라 프로테오리티쿠스에서 분리한 신규 금속성단백질 분해효소 및 그의 유전자
US6588073B1 (en) * 2000-08-11 2003-07-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le fasteners with angled projections
US6562278B1 (en) * 2000-08-29 2003-05-1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housing structures and micromachines incorporating such structures
US7578812B2 (en) * 2001-03-01 2009-08-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e-fastened absorbent article having simplified fastening features
CA2499951C (en) 2002-10-15 2013-05-28 Peijun Jiang Multiple catalyst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US7223822B2 (en) 2002-10-15 2007-05-2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ple catalyst and reactor system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US20040088835A1 (en) * 2002-11-08 2004-05-13 Tachauer Ernesto S. Active fasteners
US7344525B2 (en) * 2002-11-22 2008-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fastening system
US20050097794A1 (en) * 2003-11-07 2005-05-12 Wescott Catherine H. Self-hanging poster board
US20050148981A1 (en) 2003-12-30 2005-07-07 Price Cindy L. Customizable absorbent article with extensible layers
US7468860B1 (en) 2004-03-19 2008-12-23 Desai Shrikant M Hook and loop device applied to control shock and vibration of critical components
US20100227112A1 (en) * 2006-10-27 2010-09-09 Nanlin Han Composite Ply with Adhered Groupings of Fiber Fasteners
US7725992B2 (en) * 2006-12-29 2010-06-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chanical fastener
JP3134280U (ja) * 2007-05-29 2007-08-09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用装着具
WO2008154303A1 (en) 2007-06-07 2008-12-18 Velcro Industries B.V. Needling loops into carrier sheets
US8673097B2 (en) 2007-06-07 2014-03-18 Velcro Industries B.V. Anchoring loops of fibers needled into a carrier sheet
JP5494008B2 (ja) * 2010-02-26 2014-05-1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用カフおよびこれを備えた血圧情報測定装置
BR112014004253B1 (pt) 2011-08-25 2021-04-27 Velcro BVBA Método de produzir um produto de fixação engatável em malha em forma de folha e produto de malha em forma de folha
EP2747726B1 (en) 2011-08-25 2015-10-28 Velcro Industries B.V. Hook-engageable loop fastene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EP2862708B1 (de) * 2013-10-18 2016-04-27 Mondi Gronau GmbH Schlaufenbildendes Verschlusselement für Klettverschlüss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schlusselementes
US10582743B2 (en) 2016-03-21 2020-03-10 Delphini, Llc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ed interlocking fasteners and seals
CN114839357B (zh) * 2022-03-25 2023-05-16 河海大学 一种多孔沥青混合料冻胀应力与冻胀应变测试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8734A (en) * 1972-04-04 1980-04-22 Brumlik George C Self-gripping devices with flexible self-gripping means and method
IT1145830B (it) 1980-02-12 1986-11-12 Franz Astl Dispositivo per la giunzione scioglibile di due elementi
US4875259A (en) 1986-09-08 1989-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termeshable article
JPH0637709Y2 (ja) 1986-11-26 1994-10-05 吉田工業株式会社 面フアスナ−のフツク
US4946527A (en) 1989-09-19 1990-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faste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023772C (en) 1989-09-19 1995-02-07 Charles Frederick Battrell Absorbent article having a textured fastener
ES2074663T3 (es) 1990-09-21 1995-09-16 Minnesota Mining & Mfg Sujetador mecanico y estructura de pañal.
US5201101A (en) 1992-04-28 1993-04-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attaching articles and a pair of articles fastened by the method
US5676652A (en) 1992-07-23 1997-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undergarment covering components with mechanical fasteners having improved tactile properties
JPH0677255A (ja) * 1992-08-24 1994-03-18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762645A (en) 1994-06-06 1998-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JPH0862868A (ja) * 1994-08-18 1996-03-08 Mitsubishi Chem Corp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US5636414A (en) 1995-02-24 1997-06-10 Litchholt; John J. Two mechanism mechanical fastener
US5657516A (en) 1995-10-12 1997-08-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al structured fastener elements
JP3877842B2 (ja) 1997-03-05 2007-02-07 ユニチカ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用雌材の製造方法
GB2327710A (en) 1997-07-25 1999-02-03 Ykk Europ Ltd Surface fastener engaging elements
DE19732552A1 (de) 1997-07-29 1999-02-04 Hartmann Pau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Verschlußelementen bei saugfähigen Hygieneartikeln zum einmaligen Gebrauch
EP0894448B1 (en) 1997-07-31 2001-05-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chanical fastening element
US6043168A (en) 1997-08-29 2000-03-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ernal and topical treatment system for nonwoven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54130A1 (en) 2003-03-20
KR100753312B1 (ko) 2007-08-29
AU2002220105A1 (en) 2002-05-15
WO2002035956A3 (en) 2002-10-17
US6645600B2 (en) 2003-11-11
MXPA03003837A (es) 2003-07-28
US6489004B1 (en) 2002-12-03
GB0312108D0 (en) 2003-07-02
GB2385373B (en) 2004-07-28
AR031203A1 (es) 2003-09-10
GB2385373A (en) 2003-08-20
DE10196883T1 (de) 2003-12-18
WO2002035956A2 (en) 200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312B1 (ko) 증가된 마찰 계수를 갖는 훅 및 루프 체결구
KR102245694B1 (ko) 기계식 체결구, 체결 시스템, 및 일회용 흡수 용품
US5858515A (en) Pattern-unbonded nonwoven web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5614281A (en) Creped nonwoven laminate loop fastening material for mechanical fastening systems
EP1735134B1 (en) Methods of manufacturing a stretched mechanical fastening web laminate
EP0930968B1 (en) Laminated fabric having cross-directional elasticity
DE602004006781T2 (de) Schlingenware
US20140349062A1 (en) Reticulated thermoplastic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RU2426827C2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которая включает автоадгезивный материал
AU742081B2 (en) Nonwoven webs having improved softness and barrier properties
KR970700799A (ko) 코팅된 부직 재료, 그의 제조방법 및 일회용 위생 흡수 물품에서 그의 용도(coated nonwoven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use of said material in a disposable absorbent hygiene article)
TW201240652A (en) Structured surface with multiple-post cap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