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706A - 좌판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 Google Patents

좌판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706A
KR20040009706A KR1020020043731A KR20020043731A KR20040009706A KR 20040009706 A KR20040009706 A KR 20040009706A KR 1020020043731 A KR1020020043731 A KR 1020020043731A KR 20020043731 A KR20020043731 A KR 20020043731A KR 20040009706 A KR20040009706 A KR 20040009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ower plate
plate
toilet
toil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765B1 (ko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구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화 filed Critical 구명화
Priority to KR10-2002-004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765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의 좌판을 사용자 중심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판 가변형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한 자세에서 비데 노즐의 물 분사 위치에 국부나 항문을 접근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국부나 항문의 세정 위치를 비데의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은,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에 고정된 하판과,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그 하판의 외부를 형성하고 하판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과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판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과 상판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에 고정된 하판과, 상기 하판을 변기 본체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그 하판의 외부를 형성하고 하판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과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판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과 상판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변기에 앉아 좌판을 움직이면서 원하는 세정부위를 물 분사점에 맞출수 있으므로, 비데기가 구비된 좌변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 시킨다.

Description

좌판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of Bidet Chamber-Pot}
본 발명은 좌변기의 좌판을 사용자 중심으로 조절하기 위한 좌판 가변형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한 자세에서 비데 노즐의 물 분사 위치에 국부나 항문을 접근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국부나 항문의 세정 위치를 비데의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10)는 도 1과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변기 본체(11) 및 그본체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고 저장하는 수조(12)와, 상기 변기 본체(11)의 윗면부(11a)와 닿아 변기 본체(11)의 윗면부를 이루는 좌대(11a)를 가리고 필요에 따라 올리고 내릴수 있게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변기 본체(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13)과, 상기 변기 본체(11)에 일단을 회전 되게 고정하여 좌판(13)과 닿아 물이 담겨 있는 수조(12)의 구멍을 덮어주는 뚜껑(14)으로 되어 있다.
좌변기(10)에 비데(Bidet)를 설치하는 경우, 변기 본체(11)의 주변부 적당한 위치에 물을 제어할 수 있는 비데(15)를 설치하고, 수조(12)에는 세정용 물 분사 노즐(16)을 설치한다.
단순 세정기능으로만 이해되던 비데에 여러 가지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을 달아 차별화 시킨 제품이 근래에 많이 출시되었고 실현성이 큰 다양한 기술들도 다양한 형태로 소개되었다.
위생필터를 사용하여 거른 물로 세정하여 사용자에게 상쾌한 느낌과 청결함을 준다던지, 유압식 댐퍼를 이용하여 부드러운 개폐를 가능하게 하여 이용중에 갑자기 좌판이 떨어져 다칠 염려를 줄여준다든지, 또한 좌판 커버의 탈.부착이 자유로워 실제 청소할 때 편리하도록 한 인체공학적 설계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좌변기 뿐만아니라 비데가 설치된 모든 좌변기들의 좌판(13)은 물 분사 노즐(16)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노즐(16)에서 분사되는 물의 분사 위치와 국부 및 항문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되었다.
이렇게 비데 노즐의 물 분사 위치는 변하지 않고 사용자 마다 좌변기에 않는 위치와 습성 등이 달라져 결과적으로 비데의 물 분사 방향이나 위치는 항상 정해져 있는데 반해 물 분사 작용점은 사용자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정확히 분사 노즐로 부터 분사되는 물이 닿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 함으로서, 그 만큼 세정 효율이 떨어지고 감각적으로 느끼는 상쾌함을 충족시키기 어려웠고, 실제로 청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와 같이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원하는 부위에 닿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좌판(13)에서 일어나 신체의 전신을 움직여서 물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원하는 부위에 접촉하도록 하는 사용법을 취하고 있으나, 노약자나 미성년 어린이의 경우에는 이러한 감각적 조치를 취하기가 어렵고 또한 좌변기에 착석한 채로 신체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행동자체가 부자연스럽고, 번거로워 비데의 사용 자체가 부담으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같은 현상은 비데 기능이 있음에도 물 분사 노즐을 통한 물 분사점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접촉시키는 비데 기능이 있음에도 휴지를 사용하는 이용상의 문제는 흔히 경험하는 현상으로서, 이는 쉽고 편리하며 위생적인 비데의 우수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사용상의 한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비데기의 사용상의 한계를 감안하여 분사 노즐의 물 분사 노즐(16)을 도 2와 같이, 앞으로 더 연장된 국부 세정용 분사 노즐(17)과 항문세정용 분사 노즐(18)을 따로 설치하여 물 분사점이 국부와 항문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물 분사 노즐의 개선 구조도 제시되었지만, 마찬가지로 물 분사노즐(16)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는 수동적인 구조 인데 반해 사용자의 착석 위치, 또는 신체 특성 차이에 따라 물 분사점이 수시로 변동되는 관계를 형성하여, 사용자는 비데를 사용하면서 원하는 부위에 의도하는 대로 물을 닿게 하지 못하여 만족할 만한 세정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데 기능이 있는 좌변기의 사용에 있어서 좌변기 사용자가 착석 위치에서 물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 되는 물의 분사점을 기준으로 원하는 세정 부위를 착석 상태에서 접근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분사 노즐을 통한 물 분사점이 항상 일정함에 따라 나타나는 비데의 사용상의 불편을 좌판의 위치 가변을 통해 착석 상태에서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원하는 세정부위를 접근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비데의 사용을 활성화 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 분사 노즐에 정확히 세정부위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데기의 사용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착석 위치 기준으로 엉덩이를 들지 않은 상태에서 착석 위치 조절이 가능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바닥에 설치되는 변기 본체 및 그 본체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고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이루는 좌대와 닿아 변기 본체의 좌대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과, 상기 수조에 설치된 비데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에 고정된 하판과,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그 하판의 외부를 형성하고 하판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과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판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과 상판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에 고정되는 하판과,
상기 변기 본체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그 하판의 외부를 형성하고 하판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과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판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과 상판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좌변기의 좌판을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좌판에 착석 상태에서 물 분사 노즐의 분사점을 중심으로 세정부위를 쉽고 편하게 접근시킬 수 있게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좌변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종래 물 분사 노즐의 설치 좌변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변기 본체와 좌판의 구성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좌대와 좌판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종단면 개략도 이고, (b)는 일부를 절취한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의 좌대와 좌판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종단면 개략도 이고, (b)는 일부를 절취한 평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설치 및 배열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하판의 올(all)커버형 배열 구조, (b)는 하판의 부분 커버형 배열 구조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위치 변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a)는 상판의 좌우(Ax) 방향의 위치 작용을 나타낸 참고 동작도, (b)는 좌판의 전후(Ay) 방향의 위치 변위를 작용을 나타낸 참고 동작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좌판 30:변기본체
31:수조 32:뚜껑
33:좌대 34:물분사노즐
35:비데기 40:하판
41:가이드레일 50:상판
51:플랜지슬라이더 52;하우징
53:내부공간 60:결합부
70:고정부 71:볼트
72:리턴스프링 73:힌지브래킷
74:힌지브래킷홈 75:고정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를 도면 도 3 내지 도 8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구조를 도 3을 참고로 제1실시예의 구조(이하, '제1구조') 및 제2실시예(이하, '제2구조')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구조는, 도 4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고 물을 담는 수조(31)가 있으며 뚜껑(32)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좌판을 지지하는 좌대(33)가 구성된 변기 본체(30)와, 변기 본체(30)의 윗면부를 이루는 좌대(33)와 닿아 변기 본체의 좌대(33)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3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20)과, 수조(31)를 중심으로 물 분사 노즐(34)이 설치된 비데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변기 본체(30)의 윗면부 좌대(33)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33)에 안착되고 그 뒤쪽은 변기 본체(30)에 고정되는 하판(40)과, 하판(40)과 결합되어 그 하판(40)의 외부를 형성하고 하판(40)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40)과 결합되는 상판(50), 상판(50)을 하판(40)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40)과 상판(50)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구조는, 도 5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고 물을 담는 수조(31)가 있으며 뚜껑(32)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좌판을 지지하는 좌대(33)가 구성된 변기 본체(30)와, 변기 본체(30)의 윗면부를 이루는 좌대(33)와 닿아 변기 본체의 좌대(33)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3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20)과, 수조(31)를 중심으로 물 분사 노즐(34)이 설치된 비데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변기 본체(30)의 윗면부 좌대(33)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33)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30)에 고정되는 하판(40)과, 하판(40)을 변기 본체(30)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70)와, 하판(40)과 결합되어 그 하판(40)의 외부를 형성하고 하판(40)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40)과 결합되는 상판(50)과, 상판(50)을 하판(40)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40)과 상판(50)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구조의 좌판(20)은, 상기와 같이 하판(40)과 상판(50) 그리고 이들을 서로 미끄럼 결합이 가능하여 상판(50)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결합부(60)를 모두 필수구성으로 포함하는 구조이다. 하판(40)은 변기 본체(30)에 볼트(71)와 같은 체결요소로 고정시켜 놓았다.(도 4)
이에 대하여 제2구조의 좌판(20)은, 제1구조와 마찬가지로 하판(40)과 상판(50) 그리고 이들을 서로 미끄럼 결합이 가능하여 상판(50)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결합부(60)를 모두 필수구성으로 포함하면서 하판(40)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70)를 구비하는 구조이다.(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에 관하여 제시된 상기 제1.2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도 6과 같이 변기 본체(30)의 좌대(33)와 하판(40)이 서로 닿는 면은 평면으로 형성하여 서로 평면접촉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좌대(33)와 하판(40) 접촉면의 균형을 이루어 전체 밸런스 유지와 흔들림 등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판(50)은 하판(40)과 결합되어 그 하판(40)의 외부를 감쌓아 가리기 위해 하판(40)의 윗면부를 수용하는 비워진 내부공간(53) 있는 하우징(52)으로 형성된다. 이는 하판(40)의 외부를 상판(50)으로 가려서 겉으로 드러나는 외관을 미려하게 처리하면서도 하판(40)의 노출을 가려서 작동 안전을 도모 하는 것이다.
또한, 상판(50)은, 도 7의 (a)와 같이 하판(40)의 모든 부분 감쌓는 올커버형으로 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도 7의 (b)와 같이 하판(40)을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나뉘어진 분리형 배열로 할 수 있다. 하판(40)에 대한 상판(50)의 올커버 또는 양방향 분리형 부분 배열 등의 선택은 상판의 배치 및 설계 자유도 그리고 사용자 선택성, 배열 대한 디자인 다양성 등을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의 (a)와 같은 올커버형 상판(50)인 경우, 그 뒤쪽에 리턴스프링(72)을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압축리턴스프링과 같이 복원성이 있는 스프링의 한쪽 끝을 상판(50)에 뒤쪽에 달고 다른 쪽 끝을 변기 본체(30)에 고정해 놓으면 상판(50)이 앞으로 이동되었더라도 사용자가 일어서면 스프링 복원력에 의한 상판(50)이 제자리를 찾아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판(40)과 상판(50)의 결합부는, 하판(40)의 윗면부를 수용하는 일정한 내부공간(53)을 가지며 양 방향이 벽으로 이루어진 상판(50)의 하우징(52)과, 하판(40)에 상판(50)을 결합하기 위해 상판(50)의 하우징(52) 벽면 가장자리 양측면을 안쪽 방향으로 절곡하여 하판(40)에 결합되는 플랜지 슬라이더(51)와, 상판(50)의 플랜지 슬라이더(51)가 결합될 때 그 단부측과 양방향이 일정한 'a2'간격을 유지한 채로 플랜지 슬라이더(51)를 안내 결합하기 위해 하판(40)의 양측 벽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레일(41)로 구성함으로서, 하판(40)과 상판(50)을 결합할 수 있다.
이 결합부는, 상판(50)을 하판(40)에 고정시켜 놓은 조건에서 상판(50)이 하판(40)에서 떨어지지 않고 또한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면서, 상판(50)에 형성된 플랜지 슬라이더(51)가 하판(40)의 가이드레일(41)과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로 상판(50)의 플랜지 슬라이더(51)가 하판(40)의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한 결합구조로 제시된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에서 제시한 제1.2구조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선택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제1구조는, 하판(40)과 상판(50) 그리고 이들을 서로 미끄럼 결합이 가능하여 상판(50)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결합부(60)로 이루어지고, 하판(40)의 뒤쪽을 볼트(71)로 변기 본체(30)에 고정시켜 놓았기 때문에 하판(40)을 뚜껑(32)과 같이 변기 본체(30)에서 젖히고 내릴 수 없는 제한이 따른다.(도 4)
이에 대하여, 제2구조는, 하판(40)과 상판(50) 그리고 이들 서로 미끄럼 결합이 가능하여 상판(50)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결합부(60)와 하판(40)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7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판(40)을 고정부(70)를 중심으로 뚜껑(32)과 마찬가지로 젖히고 내릴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도 5)
따라서, 하판(40)을 변기 본체(30)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70)는 제2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5와 같이 하판(40)의 뒤쪽에 돌출된 힌지브래킷(73)과, 그 힌지브래킷(73)을 고정하여 하판(40)을 변기본체(30)에 고정 지지하기 위해 변기 본체(30)에 형성된 힌지브래킷홈(74)과, 힌지브래킷(73)을 힌지브래킷홈(74)에 회전되게 고정하는 고정핀(75)으로 구성 가능하다.
여기서, 하판(40)에 형성한 힌지브래킷(73)은 단순히 하판(40)을 변기 본체(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기능 만을 한다. 따라서, 힌지브래킷(73)을 하판(40)이 아닌 변기 본체(30)에 두고, 이와 대응 되어 변기 본체(30)에 구성하는 것으로 제시한 힌지브래킷홈(74)을 하판(40)에 형성한다고 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20)에 관하여 상판(50)에 사용자가 착석한 조건을 기준으로 상판(50)의 위치 이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동작도이다.
사용자가 좌판(20)에 착석하여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힘은 상판(50)에 전달되고 이 방향성 힘에 따라 상판(50)이 움직인다.
상판(50)은 플랜지 슬라이더(51)가 양방향으로 절곡되어 변기 본체(30)의 좌대(33)에 닿아 있는 하판(40)의 가이드레일(41)에 장착되어 상판(50)은 하판(40)을 따르는 유동 가능하다.
도 6을 참고로 보면, 상판(50)과 하판(40)은 서로 플랜지 슬라이더(51)와 가이드레일(41)을 통해 결합되어 플랜지 슬라이더(51)의 끝단과 가이드레일(41)은 일정한 'a2' 간격이 유지되고 있다. 동시에 상판(50)의 하우징(52)에 수용되는 형태로 조합된 하판(40)의 윗면부 양측벽은 상판(50)의 하우징(52) 내벽과 일정한 'a1' 간격이 유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8의 (a)와 같이, 옆으로 미는 Ax 방향의 힘, 즉 좌우측 한쪽 방향 힘이 상판(50)에 전달되면 플랜지 슬라이더(51)와 가이드레일(41)과의 간격 'a1'과 'a2'가 동시에 비례적으로 벌어진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미는 Ay 방향의 힘이 상판(50)에 전달되면, 상판(50)은 앞쪽이나 뒤쪽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a1, a2간격의 변화를 동반하거나 아니면 동반하지 않는데, 통상 좌변기의 좌대(33)가 유연하게 구부러진 경우가 흔한 형상이고, 그 위에서 접촉하는 하판(40)이 좌대(33)를 따라 동일하게 구부러져 있다고 가정하면, a1,a2의 간격은 상판(50)의 전후 현재 위치가 구부러짐 각도를 달리 갖게 됨으로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판(50)은 하판(40)을 따라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함으로서, 좌변기 사용자가 상판(50)에 앉은 채로 원하는 방향으로 상판(50)을 엉덩이로 밀면, 엉덩이를 들지 않고 국부나 항문을 물 분사 노즐(34) 근처로 접근시키는 결과로 나타난다.
하판(40)의 뒤쪽을 회전 가능한 회전 구조를 적용하여, 힌지브래킷(73)으로 변기 본체(30)에 고정해 놓으면, 하판(40)을 젖히고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좌판(20)의 전체를 변기 본체(30)의 좌대(33)로 부터 들어올려 청소도 가능하다. 이는 기존 좌판과 동일한 기능을 하면서도 좌판의 위치 이동기능만 부가된 경우와 같다.
한편, 좌변기 사용자가 좌판(20)에 착석한 조건을 기준으로 좌판(20)의 원할한 움직임은 곧 사용자가 물 분사 노즐(34)을 자신의 국부나 항문을 적절하게 접근시킬 수 있는 것과 같다.
예를들면, 좌판(20)에 앉아서 물 분사 노즐(34)을 통해 분사 되는 물의 분사점이 자신의 국부나 항문에 일치하지 않고 너무 뒤에 있다고 생각되면, 좌판(20)을 엉덩이로 뒤로 밀면 좌판(20)이 뒷 방향으로 이동하여 물 분사 노즐(34)에 자신의 국부나 항문이 최대로 접근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반대로 물 분사 점이 너무 앞쪽에 형성되면 엉덩이로 좌판을 앞쪽으로 끌어서 물 분사점을 자신의 국부나 항문에 정확히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 분사 점이 좌우 방향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쏠려 있다고 생각되면, 엉덩이로 좌판(20)을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밀면 마찬가지로 미는 방향으로 좌판(20)이 움직여서 정확하게 물 분사점을 자신의 국부나 항문 목표지점에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좌판은 좌판의 위치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라도 몇 번만 사용하면 몸에 익어 숙달된 상태로 좌판의 위치를 물 분사 노즐의 분사점에 맞추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비데의 기능 강화로 보건위생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바닥에 설치되고 물을 담는 수조가 있으며 뚜껑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좌판을 지지하는 좌대가 구성된 변기 본체와,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이루는 좌대와 닿아 변기 본체의 좌대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에 일단이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과, 수조를 중심으로 물 분사 노즐이 설치된 비데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바닥에 설치되는 변기 본체 및 그 본체에 형성되어 물을 배출하고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이루는 좌대와 닿아 변기 본체의 좌대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과, 상기 수조에 설치된 비데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에 고정된 하판과,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그 하판의 외부를 형성하고 하판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과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판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과 상판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하판의 모든 부분 감쌓는 올(All) 커버형으로 이루어 지며, 그 상판의 뒤쪽에 리턴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판의 윗면부를 수용하는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양 방향이 벽으로 이루어진 상판의 하우징과,
    상기 하판에 상판을 결합하기 위해 상판의 하우징 벽면 가장자리 양측면을 안쪽 방향으로 절곡하여 하판에 결합되는 플랜지 슬라이더와,
    상기 플랜지 슬라이더가 결합될 때 그 단부측과 일정간 간격을 유지한 채로 플랜지 슬라이더를 안내 결합하기 위해 하판에 형성된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4. 바닥에 설치되고 물을 담는 수조가 있으며 뚜껑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좌판을 지지하는 좌대가 구성된 변기 본체와, 변기 본체의 윗면부를 이루는 좌대와 닿아 변기 본체의 좌대를 가리면서 변기 본체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게 만들어진 좌판과, 수조를 중심으로 물 분사 노즐이 설치된 비데를 구비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의 윗면부 좌대를 따라 접촉하면서 그 좌대에 안착되고 뒤쪽은 변기 본체에 고정된 하판과,
    상기 하판을 변기 본체의 뒤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그 하판의 외부를 형성하고 하판을 따라 주어진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판과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하판에 이동 가능한 미끄럼 접촉으로 결합하기 위해 하판과 상판이 서로 닿는 결합면을 기준으로 미끄럼 접촉 결합으로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판의 뒤쪽에 돌출된 힌지브래킷과,
    상기 힌지브래킷을 고정하여 하판을 변기 본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해 변기 본체에 형성된 힌지브래킷홈과,
    상기 힌지브래킷을 힌지브래킷홈에 회전되게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2002-0043731A 2002-07-24 2002-07-24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8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731A KR100489765B1 (ko) 2002-07-24 2002-07-24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731A KR100489765B1 (ko) 2002-07-24 2002-07-24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706A true KR20040009706A (ko) 2004-01-31
KR100489765B1 KR100489765B1 (ko) 2005-05-17

Family

ID=3731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731A KR100489765B1 (ko) 2002-07-24 2002-07-24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7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004B1 (ko) * 2002-07-24 2005-01-26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68003B1 (ko) * 2002-07-24 2005-01-26 주 ) 건축사사무소뿌리건축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89766B1 (ko) * 2002-07-24 2005-05-17 (주)건축사사무소 제일건축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90586B1 (ko) * 2002-07-24 2005-05-24 (주)건축사사무소도심건축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
KR100705647B1 (ko) * 2006-04-14 2007-04-09 주식회사 가온메카트로닉스 시트 및 비데의 고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958B2 (ja) * 1997-06-11 2000-07-12 有限会社 コーケンエンジニアリング 便口幅可変型便座を設ける便器及びそれに用いる便座
JP2000333877A (ja) * 1999-05-25 2000-12-05 Showa Prod:Kk 幼児用便器の便座
KR200293113Y1 (ko) * 2002-04-23 2002-10-25 박종만 자동 벌어짐 변기 커버
KR100467969B1 (ko) * 2002-07-24 2005-01-26 주식회사 거성종합건축사사무소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
KR100490587B1 (ko) * 2002-07-24 2005-05-19 (주)건축사사무소도심건축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004B1 (ko) * 2002-07-24 2005-01-26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68003B1 (ko) * 2002-07-24 2005-01-26 주 ) 건축사사무소뿌리건축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89766B1 (ko) * 2002-07-24 2005-05-17 (주)건축사사무소 제일건축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90586B1 (ko) * 2002-07-24 2005-05-24 (주)건축사사무소도심건축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
KR100705647B1 (ko) * 2006-04-14 2007-04-09 주식회사 가온메카트로닉스 시트 및 비데의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9765B1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3789T3 (es) Mando a distancia.
JP4339829B2 (ja) 浴室用折り畳み椅子
US6226804B1 (en) Automatic toilet cover and seat lifting and lowering device
GB1595026A (en) Combination water closet and bidet
KR100489765B1 (ko)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68004B1 (ko)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68003B1 (ko)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89766B1 (ko) 좌변기의 위치 이동형 좌판
KR100467969B1 (ko)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
KR100467968B1 (ko)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
KR100490586B1 (ko)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
KR101722727B1 (ko)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
KR100490587B1 (ko) 좌판의 위치 가변형 좌변기
JP4441428B2 (ja) シャワー装置
JPH08243056A (ja) 便 器
JP5537450B2 (ja) 可搬便器
EP0839235B1 (en) A shower device
JP3896337B2 (ja) 洋風便器の小便補助機構及び小便補助具
KR102627071B1 (ko) 기능성 건강 쾌변기
EP0556237B1 (en) Sanitary seat
JPS629412Y2 (ko)
KR102648109B1 (ko) 장애인용 이동식 화장실 겸용 헤어 샴핑 장치
KR102515990B1 (ko) 변좌 리프팅 장치
JP2004358112A (ja) 位置調整機能付き便座
KR101742184B1 (ko) 노즐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