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499A -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499A
KR20040009499A KR1020020043466A KR20020043466A KR20040009499A KR 20040009499 A KR20040009499 A KR 20040009499A KR 1020020043466 A KR1020020043466 A KR 1020020043466A KR 20020043466 A KR20020043466 A KR 20020043466A KR 20040009499 A KR20040009499 A KR 20040009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tance
hole cup
attack
g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379B1 (ko
Inventor
장재용
Original Assignee
장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용 filed Critical 장재용
Priority to KR10-2002-0043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3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9Sporting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2Absolute positions, e.g. by using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GPS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는 물론 그 잔여 거리와, 현재 위치 및 홀 컵 위치의 고도 차로 실제 공략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게임자에게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가 실시간으로 GPS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면서 게임자가 현재 홀을 공략할 수 있는 공략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GPS 정보를 포함하는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송신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메인 관리시스템이 수신하여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 내의 GPS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한 GPS 정보로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며, 판단한 현재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해당 홀의 지도정보를 검색한 후, 그 검색한 해당 홀의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 및 고도 차와, 수평 직선거리 및 고도 차에 따른 골프채 및 공략거리를 포함하는 공략정보를 산출하며, 산출한 공략정보와 풍향 및 풍속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며, 송신한 응답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가 수신하여 그 응답 데이터 내의 공략정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in golf links}
본 발명은 골프장에서 게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측정하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는 물론 그 수평 직선거리와 현재 위치 및 홀 컵 위치의 고도의 차에 따른 공략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게임자에게 알리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는 9개 또는 18개의 홀로 이루어진 코스에서 진행되고, 각 홀의 티샷 위치에서 제 1 타를 치기 시작하여 그린 내에 설치되어 있는 홀 컵에 골프 공을 넣으면 홀 아웃으로 현재 홀에서의 경기가 종료된다.
이러한 골프 경기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골프공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의 파악은 매우 중요하다. 즉, 골프 경기의 게임자는 골프공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정확하게 알아야 그에 적합한 골프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캐디(경기 도우미)의 경험이나, 거리표시용 고정 구조물 등을 바탕으로 한 개략적인 목측 등으로 골프공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게임자 자신의 목측 등으로 잔여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한 잔여 거리에 따라 골프채를 선택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고 있다.
그러나 캐디의 경험 및 목측이나, 게임자의 목측 등으로 측정하는 잔여 거리는 실제 거리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잔여 거리를 잘못 측정하여 골프채의 선택에 실패하고, 이로 인하여 골프공을 너무 멀리 치거나 또는 짧게 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골프공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게임자에게 알려주는 여러 가지의 측정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측정장치들 대부분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게임자들이 휴대하는 휴대기가 GPS 정보를 수신하여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의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홀 컵의 위치정보 등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계산하며, 그 계산한 잔여 거리를 표시부 등에 표시하여 게임자에게 알리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측정장치는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연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코스 지도, 코스 공략 방향 및 홀 컵을 향한 방향 등을 정확히 확인할수 있다.
그러나 골프 게임을 하기 전에 먼저 각각의 홀 내에 설치되는 홀 컵의 위치 정보들을 휴대기마다 저장해야 된다. 즉, 골프장의 각각의 홀 내에서 홀 컵을 어느 한 곳에 매설하지 않고, 관리자가 수시로 홀 컵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여 매설하고 있는 것으로서 홀 컵의 위치를 변경할 때마다 각각의 휴대기에 홀 컵의 위치를 저장해야 되어 많은 불편과 번거로움을 준다.
그리고 수신하는 GPS 정보에는 많은 오차가 있으므로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즉, GPS에서 수신되는 위치측정 데이터는 군사상으로 사용되는 PPS(Precision Positioning Service)인 경우에 5∼15m이내의 오차 범위를 가지고, 민간에 제공되고 있는 SPS(Standard Positioning Service)는 30∼100m이내의 오차 범위를 가진다. 그리고 SPS는 정확도를 고의적으로 떨어뜨려 서비스하고 있으며, 또한 GPS 정보가 휴대기에 수신되는 과정에서 전리층에서의 굴절, 대기권에서의 굴절이나, 온도 및 습도의 변화 등에 따라 많은 오차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GPS 정보의 오차를 보정하지 않거나 휴대기의 용량 부족 등으로 오차보정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측정하는 현재 위치에 많은 오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휴대기는 단순히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직선 거리만을 측정하여 표시할 뿐이고, 현재 위치와 홀 컵 위치의 고도 차에 따른 실제 공략거리를 정확하게 산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되는 GPS 정보를 정확하게 보정하여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함은 물론 게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잔여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게임자 현재 위치와 및 홀 컵이 매설되어 있는 위치의 고도 차를 이용하여 실제 공략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게임자에게 알리고, 또한 현재 홀의 풍향 및 풍속 정보를 함께 알리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GPS의 위치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으로는 DGPS(Differential GPS)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DGPS는 특정 위치의 정확한 좌표 값을 미리 저장하여 두고, 그 특정 위치에서 수신되는 GPS 정보에 따른 좌표 값과 상기 미리 저장하여 둔 정확한 좌표 값을 비교하여 오차 값을 산정하며, 그 산정한 오차 값을 위치를 측정할 소정의 위치에서 수신되는 GPS 정보에 반영하여 보정하는 것으로서 DGPS를 사용할 경우에 위치오차의 범위를 1m 이내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DGPS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GPS 정보를 보정 및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인 잔여 거리는 물론 골프공과 홀 컵 위치의 고도 차에 따른 실제 공략거리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게임자에게 알린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는,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공략정보 요청 및 공략정보의 표시변경의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상기 GPS 수신기가 수신하는 GPS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키패드의 공략정보 요청 키신호에 따라 GPS 정보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그 전송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에 따라 메인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데이터를 저장 및 공략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공략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로 변조하고 안테나를 통해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메인 관리시스템이 송신하는 공략정보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복조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시키는 수신부로 휴대 단말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복조하는 공략정보 요청 수신부와, 상기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에 따른 응답 데이터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응답 데이터 송신부와, 상기 공략정보 요청 수신부가 수신하는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 내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해당 홀의 지도정보를 검색하여 그 지도정보로 현재 위치와 홀 컵 위치까지의 수평 직선거리, 선택할 골프채 및 공략거리를 포함하는 공략정보를 측정하며 측정한 공략정보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응답 데이터 송신부 및 안테나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컴퓨터로 메인 관리시스템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관리시스템은, 각각의 홀 내에 설치되어 풍향 및 풍속을 검출하고 검출한 풍향 및 풍속을 송신하는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시스템과, 상기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시스템이 송신하는 풍향 및 풍속을 수신하는 풍향/풍속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풍향/풍속 수신부가 수신한 풍향 및 풍속을 공략정보에 포함시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홀 내에 설치되어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GPS 정보를 송신하는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과, 상기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이 송신하는 GPS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GPS 정보를 보정하여 홀 컵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골프장의 거리 측정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실시간으로 GPS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면서 게임자가 공략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저장한 GPS 정보를 포함하는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송신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메인 관리시스템이 수신하여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 내의 GPS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한 GPS 정보로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며, 그 현재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해당 홀의 지도정보를 검색하며, 검색한 해당 홀의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메인 관리시스템이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 및 고도 차와, 수평 직선거리 및 고도 차에 따른 골프채 및 공략거리를 포함하는 공략정보를 산출하며, 산출한 공략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관리시스템이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며, 송신한 응답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가 수신하여 그 응답 데이터 내의 공략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 홀 내에 설치된 풍향/풍속 검출 시스템이 검출하여 송신하는 풍향 및 풍속 정보를 메인 관리시스템이 수신하고, 그 수신한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상기 공략정보에 포함시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 후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며, 또한 각 홀 내의 홀 컵 위치에 설치된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이 검출하여 송신하는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메인 관리시스템이 수신하고 보정하여 홀 컵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당 홀의 지도 정보로 현재위치 및 고도와, 홀 컵의 위치 및 고도를 검색하고 현재위치로부터 홀 컵의 위치까지의 수평 직선거리를 산출하고, 산출한 수평 직선거리의 비거리를 가지는 하나의 골프채를 선택하며, 선택한 골프채의 타격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는 포물선을 설정하고 설정한 포물선이 현재 위치부터 홀 컵의 위치를 지나가도록 포물선의 크기를 조절하며, 크기를 조절한 포물선의 현재 위치로부터 수평으로 포물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공략거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골프채의 선택은, 현재 위치가 티샷 위치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티샷 위치일 경우에 수평 직선거리가 설정거리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수평 직선거리가 설정거리 이상일 경우에 '1번 우드'의 골프채를 선택하고, 수평 직선거리가 설정거리 이상이 아닐 경우에 수평 직선거리의 비거리를 가지는 하나의 골프채를 선택하며, 상기 현재 위치가 티샷 위치가 아닐 경우에 '1번 우드'의 골프채를 제외하고 수평 직선거리의 비거리를 가지는 하나의 골프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한 공략거리가 상기 선택한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 인지를 판단하여,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가 아닐 경우에 설정한 공략거리의 비거리를 가지는 골프채를 선택한 후 공략거리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리 측정장치에서 게임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거리 측정장치에서 골프장의 메인 센터에 설치되는 메인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거리 측정방법에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거리 측정방법에서 휴대 단말기가 GPS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포맷을 예로 들어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거리 측정방법에서 휴대 단말기가 생성하는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골프채의 종류에 따른 골프공의 타격 각도 및 비상 거리를 보인 예로 들어 보인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거리 측정방법에서 메인 관리시스템이 공략거리를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거리 측정방법에서 메인 관리시스템이 생성하는 응답 데이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GPS 수신기 110 : 키패드
12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30 : 표시부
140, 200 : 안테나 150 : 송신부
160 : 수신부 210 : 공략정보 요청 수신부
220 : 응답 데이터 송신부 230 : 풍향/풍속 검출 시스템
240 : 풍향/풍속 수신부 250 :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260 :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 270 : 컴퓨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리 측정장치에서 게임자가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10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공략정보 요청 및 공략정보의 표시변경의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110)와, 상기 GPS 수신기(100)가 수신하는 GPS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키패드(110)의 공략정보 요청 키신호에 따라 GPS 정보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그 전송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에 따라 메인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공략 정보를 저장 및 표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공략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로 변조하고 안테나(140)를 통해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송신부(150)와, 상기 메인 관리시스템이 송신하는 공략정보를 상기 안테나(140)를 통해 수신하고 복조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에 입력시키는 수신부(16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거리 측정장치에서 골프장의 메인 센터 등에 설치되는 메인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송신하는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안테나(200)를 통해 수신하고 복조하는 공략정보 요청 수신부(210)와, 상기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에 따른 응답 데이터를 고주파로 변조한 후 상기 안테나(200)를 통해 송신하는 응답 데이터 송신부(220)와, 각각의 홀 내의 폴(pole) 등에 설치되어 풍향 및 풍속을 검출하고 검출한 풍향 및 풍속을 송신하는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시스템(230)과, 상기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시스템(230)이 송신하는 풍향 및 풍속을 수신하는 풍향/풍속 수신부(240)와, 각각의 홀 컵 위치에 각기 설치되어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GPS 정보를 송신하는 복수의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250)과, 상기 복수의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250)이 송신하는 GPS 정보를 수신하는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260)와, 상기 공략정보 요청 수신부(210)가 수신하는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 내의 GPS 정보와 상기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260)가 수신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공략정보를 계산하고 계산한 공략정보에 상기 풍향 및 풍속을 포함시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응답 데이터 송신부(220) 및 안테나(200)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컴퓨터(2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거리 측정장치는, 게임자가 골프 게임을 할 경우에 휴대 단말기는 휴대하는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GPS 수신기(100)가 실시간으로 GP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GPS 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에 입력시키며,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GPS 수신기(100)로부터 GPS 정보를 입력받아 내장된 메모리(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 갱신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게임자가 키패드(110)를 조작하여 공략정보를 요청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실시간으로 저장한 GPS 정보를 독출하고, 그 독출한 GPS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포맷의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며, 그 생성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송신부(150)가 고주파 신호로 변조한 후 안테나(140)를 통해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한다.
한편, 메인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 시스템(230)이 예를 들면, 홀 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그 홀 컵에 꽂아두는 폴(pole)이나 풍향 및 풍속을 검출하기에 적합한 위치 등을 선정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 시스템(230)은 해당 홀의 풍향 및 풍속을 검출하고, 검출한 풍향 및 풍속을 풍향/풍속 수신부(240)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250)은 홀 컵이 매설된 위치 등에 설치되어 내장된 GPS 수신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로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GPS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메인 관리시스템의 풍향/풍속 수신부(240)는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 시스템(230)이 송신하는 풍향 및 풍속을 수신하고, 그 수신한 풍향 및 풍속을 컴퓨터(270)로 입력시키며, 또한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260)는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250)이 송신하는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컴퓨터(270)로 입력시키는 것으로서 컴퓨터(270)는 풍향/풍속 수신부(240)로부터 각 홀의 풍향 및 풍속을 입력받아 메모리(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 저장함과 아울러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260)로부터 각 홀에 설치되어 있는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입력받아 보정한 후 그 보정한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 시스템(230) 및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250)은 무선으로 상기 검출한 풍향 및 풍속과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풍향/풍속 수신부(240) 및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260)로 각기 송신하거나 또는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 시스템(230) 및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250)과 풍향/풍속 수신부(240) 및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260)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풍향 및 풍속와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송신부(150)가 송신하는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안테나(200)를 통해 공략정보 요청 수신부(210)가 수신하고 복조하여 컴퓨터(270)로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컴퓨터(270)는 상기 공략정보 요청 수신부(210)가 수신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 내의 GPS 정보를 검출하여 보정하고, 그 보정한 GPS 정보로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다. 게임자의 현재 위치가 판단되면, 컴퓨터(270)는 그 판단한 현재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홀의 홀 컵의 위치정보를 메모리에서 독출함과 아울러 해당 홀의 지도정보를 내장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검색한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고도와, 현재 홀의 홀 컵이 설치된 위치의 고도를 판단하며, 판단한 현재 위치 및 고도와 홀 컵의 위치 및 고도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와, 공략 거리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공략거리가 산출되면, 컴퓨터(270)는 그 산출한 공략거리와,판단한 골프공의 현재 위치의 고도와 홀 컵의 고도에 따른 고도 차, 수평 직선거리, 풍향 및 풍속 등을 비롯한 각종 공략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포맷의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응답 데이터를 응답 데이터 송신부(220)에서 고주파 신호로 변조한 후 안테나(200)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메인 관리시스템이 송신하는 응답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가 안테나(140)를 통해 수신부(160)가 수신하고 복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로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공략정보를 저장하여 두고, 그 저장한 공략정보를 게임자의 키패드(110) 조작에 따라 표시부(130)에 표시하여 게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거리 측정방법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300)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0)가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단계(302)에서 GPS 수신기(100)가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현재 위치의 GPS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게임자가 키 패드(110)를 조작하여 공략정보를 요청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단계(304)에서 공략 정보의 요청을 판단하고, 단계(306)에서 현재 위치에 대한 GPS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포맷의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인 펄스, 휴대 단말기 자신에게 부여되어 있는 고유의 ID, 메인 관리시스템의 ID, GPS 정보 및 리드 아웃 펄스로이루어지는 소정 포맷의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단계(306)에서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단계(308)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수신부(160)의 수신신호로 현재 메인 관리시스템이 다른 휴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메인 관리시스템이 다른 휴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을 경우에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메인 관리시스템이 다른 휴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단계(310)에서 상기 생성한 소정 포맷의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생성한 소정 포맷의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송신부(150)로 출력하고, 송신부(150)는 그 소정 포맷의 데이터를 소정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로 변조한 후 안테나(140)를 통해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단계(312)에서 안테나(140) 및 수신부(160)를 통해 확인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메인 관리시스템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에 그 데이터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것으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메인 관리시스템으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312)의 판단 결과 메인 관리시스템으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에 단계(314)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에 단계(312)로 복귀하여 메인 관리시스템으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도 메인 관리시스템으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송신한 데이터가 메인 관리시스템에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308)로 복귀하여 메인 관리시스템이 다른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며, 다른 휴대 단말기와 통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단계(310)에서 상기 데이터를 다시 송신한 후 단계(312)에서 확인신호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메인 관리시스템의 컴퓨터(27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400)에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단계(402)에서 풍향/풍속 수신부(240)를 통해 각 홀의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계(404)에서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260)를 통해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406)에서 상기 수신한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보정한 후 단계(408)에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음 단계(41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안테나(200) 및 공략정보 요청 수신부(210)를 통해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410)의 판단 결과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컴퓨터(270)는 단계(402)로 복귀하여 각 홀의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며,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수신하고, 보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계속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410)의 판단 결과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가 수신되면, 컴퓨터(270)는 단계(412)에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의 수신을 휴대 단말기에 알리기 위한 확인신호를 생성하고 응답 데이터 송신부(220) 및 안테나(200)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송신한다. 다음 단계(414)에서는 상기 수신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에서 GPS 정보를 검출하여 보정하고, 단계(416)에서 상기 보정한 GPS 정보로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그 현재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현재 홀의 지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며, 그 검색한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단계(418)에서 공략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공략정보의 산출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450)에서 게임자의 현재 위치의 고도와, 홀 컵의 위치 및 고도를 검색하고, 단계(452)에서 게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 위치까지의 수평 직선거리를 산출한다.
다음 단계(454)에서는 게임자의 현재 위치가 해당 홀에서 골프 게임을 시작하는 위치인 티샷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티샷 위치일 경우에 단계(456)에서 수평 직선거리가 설정 거리 이상 예를 들면, 골프공을 가장 멀리 칠 수 있는 '1번 우드'의 비거리인 약 220야드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456)의 판단 결과 수평 직선거리가 설정 거리 이상일 경우에 컴퓨터(270)는 단계(458)에서 골프공을 타격할 골프채로 '1번 우드'를 선택하고, 단계(460)에서 그 선택한 '1번 우드'의 타격 각도에 따른 포물선을 설정하며, 설정한 포물선이 홀 컵의 위치를 지나가도록 크기를 조절한 후 단계(462)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수평으로 포물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최종 공략거리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456)의 판단 결과 수평 직선거리가 설정 거리 이상이 아닐 경우에 컴퓨터(270)는 단계(464)에서 게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에 따라 하나의 골프채를 선택하고, 단계(466)에서 상기 선택한 골프채의타격 각도에 따른 포물선을 설정한 후 그 포물선이 홀 컵의 위치를 지나가도록 크기를 조절한 후 단계(468)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수평으로 포물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임시 공략거리로 설정한다.
여기서, 게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에 따라 골프채를 선택하고, 포물선을 설정하여 공략거리를 설정하는 동작을 도 6 내지 도 8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게임자의 타격 자세 및 타격력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채의 종류에 따라 골프공의 타격 각도와 비거리가 각기 상이하다. 그리고 골프공의 현재 위치 즉, 게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가 측정되면, 그 수평 직선거리의 비거리를 가지는 골프채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수평 직선거리가 190 야드 이상일 경우에 '3번 우드'를 선택하고, 수평 직선거리가 170 야드일 경우에 '5번 우드'를 선택하며, 수평 직선거리가 150 야드일 경우에 '5번 아이언'을 선택하며, 수평 직선거리가 70 야드 이하일 경우에 '피칭 웨지 아이언' 또는 '샌드 웨지 아이언'을 선택하는 것으로 수평 직선거리에 적합한 하나의 골프채를 선택한다.
하나의 골프채가 선택되면, 그 골프채의 타격 각도에 따른 포물선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3번 우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17도의 각도를 가지는 포물선을 설정하고, '5번 우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21도의 각도를 가지는 포물선을 설정하며, '5번 아이언'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31도의 각도를 가지는 포물선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선택한 골프채의 타격 각도에 따른 하나의 포물선을 설정한다.
포물선이 설정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자의 현재위치(P1)를 기준으로 하여 포물선이 홀 컵의 위치(P2)를 지나가도록 포물선의 크기를 조절한 후 게임자의 현재위치(P1)로부터 수평으로 포물선과 만나는 지점(P3)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공략거리로 설정한다.
이 때, 상기 공략거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자의 현재위치(P1)의 고도보다 홀 컵 위치(P2)의 고도가 높을 경우에 수평 직선거리보다 공략거리가 길게 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자의 현재위치(P1)의 고도보다 홀 컵 위치(P2)의 고도가 낮을 경우에 수평 직선거리보다 공략거리가 짧게 된다.
상기 단계(468)에서 임시 공략거리가 설정되면, 컴퓨터(270)는 단계(470)에서 그 설정한 임시 공략거리가 상기 선택된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470)의 판단 결과 공략거리가 선택된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가 아닐 경우에 단계(472)에서 임시 공략거리에 따른 하나의 골프채를 다시 선택하고, 단계(466)로 복귀하여 포물선을 설정 및 크기를 조절하며, 단계(468)에서 임시 공략거리를 설정한 후 그 임시 공략거리가 상기 선택된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470)의 판단 결과 공략거리가 선택된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일 경우에 컴퓨터(270)는 단계(474)에서 그 임시 공략거리를 최종 공략거리로 설정한 후 복귀한다.
한편, 상기 단계(454)의 판단 결과 게임자의 현재 위치가 티샷 위치가 아닐 경우에 컴퓨터(270)는 단계(476)에서 티샷 위치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1번 우드'를 제외하고, 게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에 따라 하나의 골프채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수평 직선거리가 190야드 이상일 경우에 '3번 우드'를 선택하고, 수평 직선거리가 180야드 이상일 경우에 '3번 아이언'을 선택하며, 수평 직선거리가 170∼180야드일 경우에 '5번 우드' 또는 '4번 아이언'을 선택하는 것으로서 수평 직선거리에 따른 하나의 골프채를 선택한다. 골프채가 선택되면, 다음 단계(478)에서 상기 선택한 골프채의 타격 각도에 따른 포물선을 설정한 후 그 포물선이 홀 컵의 위치를 지나가도록 크기를 조절한 후 단계(480)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수평으로 포물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임시 공략거리로 설정한다.
상기 단계(480)에서 임시 공략거리가 설정되면, 컴퓨터(270)는 단계(482)에서 그 설정한 임시 공략거리가 상기 선택된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482)의 판단 결과 공략거리가 선택된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가 아닐 경우에 단계(484)에서 임시 공략거리에 따른 하나의 골프채를 다시 선택하고, 단계(478)로 복귀하여 포물선을 설정 및 크기를 조절하며, 단계(480)에서 임시 공략거리를 설정한 후 그 임시 공략거리가 상기 선택된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482)의 판단 결과 공략거리가 선택된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일 경우에 컴퓨터(270)는 단계(484)에서 그 임시 공략거리를 최종 공략거리로 설정한 후 복귀한다.
이와 같이 공략정보가 산출되면, 컴퓨터(270)는 단계(420)에서 그 공략정보로 소정 포맷의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인펄스, 메인 관리시스템의 ID,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휴대 단말기의 ID, 수평 직선거리, 고도 차, 골프채, 공략거리, 풍향정보, 풍속정보 및 리드아웃 펄스의 순서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응답 데이터의 생성이 완료되면, 단계(422)에서 그 응답 데이터를 응답 데이터 송신부(220)가 변조한 후 안테나(200)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고, 단계(424)에서 상기 송신한 응답 데이터에 따른 확인신호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휴대 단말기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단계(426)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에 단계(424)로 복귀 및 확인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도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단계(422)로 복귀하여 응답 데이터를 다시 송신한 후 단계(424)에서 확인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하며, 단계(424)에서 확인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종료한다.
이와 같이 메인 관리시스템이 공략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가 안테나(140) 및 수신부(160)를 통해 수신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로 입력시키는 것으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단계(316)에서 응답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에 단계(318)에서 그 응답 데이터 내의 휴대 단말기 ID로 자신이 송신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에 따른 응답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318)의 판단 결과 자신의 응답 데이터가 아닐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단계(316)로 복귀하여 응답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318)의 판단 결과 자신의 응답 데이터일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단계(320)에서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저장하고, 단계(322)에서 응답 데이터의 수신을 메인 관리시스템에 알리기 위한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며, 단계(324)에서 응답 데이터 내의 공략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다음 단계(326)에서는 게임자가 키 패드(110)를 조작하여 공략정보의 표시 변경을 요청함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키 신호의 입력에 따라 수평 직선거리, 고도 차, 골프채, 공략거리, 풍향정보 및 풍속정보 등의 공략정보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로 공략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하여 게임자의 현재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는 물론 선택된 골프채에 따른 공략거리와, 고도 차, 풍향 및 풍속 등 골프 게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게임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게임자는 정확한 공략정보를 참조하면서 골프 게임을 하여 보다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공략정보 요청 및 공략정보의 표시변경의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
    상기 GPS 수신기가 수신하는 GPS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키패드의 공략정보 요청 키신호에 따라 GPS 정보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그 전송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에 따라 메인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데이터를 저장 및 공략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공략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고주파 신호로 변조하고 안테나를 통해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메인 관리시스템이 송신하는 공략정보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복조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시키는 수신부로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로 구성된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2. 휴대 단말기가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복조하는 공략정보 요청 수신부;
    상기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에 따른 응답 데이터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응답 데이터 송신부;
    상기 공략정보 요청 수신부가 수신하는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 내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해당 홀의 지도정보를 검색하여 그 지도정보로 현재 위치와 홀 컵 위치까지의 수평 직선거리, 선택할 골프채 및 공략거리를 포함하는 공략정보를 측정하며 측정한 공략정보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응답 데이터 송신부 및 안테나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컴퓨터로 이루어진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홀 내에 설치되어 풍향 및 풍속을 검출하고 검출한 풍향 및 풍속을 송신하는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풍향/풍속 검출시스템이 송신하는 풍향 및 풍속을 수신하여 상기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풍향/풍속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풍향/풍속 수신부가 수신한 풍향 및 풍속을 공략정보에 포함시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홀 내의 홀 컵 위치에 설치되어 GPS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GPS 정보를 송신하는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및
    상기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이 송신하는 GPS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홀 컵 위치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GPS 정보를 보정하여 홀 컵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5. 휴대 단말기가 실시간으로 GPS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면서 게임자가 공략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저장한 GPS 정보를 포함하는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제 1 과정;
    상기 제 1 과정에서 송신한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를 메인 관리시스템이 수신하여 공략정보 요청 데이터 내의 GPS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한 GPS 정보로 게임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며, 그 현재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해당 홀의 지도정보를 검색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에서 검색한 해당 홀의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메인 관리시스템이 현재 위치로부터 홀 컵까지의 수평 직선거리 및 고도 차와, 수평 직선거리 및 고도 차에 따른 골프채 및 공략거리를 포함하는 공략정보를 산출하는 제 3 과정;
    상기 제 3 과정에서 산출한 공략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 4 과정; 및
    상기 제 4 과정에서 송신한 응답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가 수신하여 그 응답 데이터 내의 공략정보를 표시하는 제 5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각 홀 내에 설치된 풍향/풍속 검출 시스템이 검출하여 송신하는 풍향 및 풍속 정보를 메인 관리시스템이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과정은, 상기 수신한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상기 공략정보에 포함시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 후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각 홀 내의 홀 컵 위치에 설치된 홀 컵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이 검출하여 송신하는 홀 컵 위치의 GPS 정보를 메인 관리시스템이 수신하고 보정하여 홀 컵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해당 홀의 지도 정보로 현재위치 및 고도와, 홀 컵의 위치 및 고도를 검색하고 현재위치로부터 홀 컵의 위치까지의 수평 직선거리를 산출하는 제 11 과정;
    상기 제 11 과정에서 산출한 수평 직선거리의 비거리를 가지는 하나의 골프채를 선택하는 제 12 과정;
    상기 제 12 과정에서 선택한 골프채의 타격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는 포물선을 설정하고 설정한 포물선이 현재 위치부터 홀 컵의 위치를 지나가도록 포물선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 13 과정;
    상기 제 13 과정에서 크기를 조절한 포물선의 현재 위치로부터 수평으로 포물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공략거리로 설정하는 제 14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과정은;
    현재 위치가 티샷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제 21 과정;
    상기 제 21 과정에서 현재 위치가 티샷 위치일 경우에 수평 직선거리가 설정거리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22 과정;
    상기 제 22 과정에서 수평 직선거리가 설정거리 이상일 경우에 '1번 우드'의 골프채를 선택하는 제 23 과정;
    상기 제 22 과정에서 수평 직선거리가 설정거리 이상이 아닐 경우에 수평 직선거리의 비거리를 가지는 하나의 골프채를 선택하는 제 24 과정;
    상기 21 과정에서 현재 위치가 티샷 위치가 아닐 경우에 '1번 우드'의 골프채를 제외하고 수평 직선거리의 비거리를 가지는 하나의 골프채를 선택하는 제 25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4 과정에서 설정한 공략거리가 상기 제 12 과정에서 선택한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 인지를 판단하는 제 17 과정; 및
    상기 제 17 과정의 판단 결과 골프채의 공략범위 이내가 아닐 경우에 설정한공략거리의 비거리를 가지는 골프채를 선택한 후 상기 제 13 과정 및 제 14 과정을 수행하여 공략거리를 설정하는 제 18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의 거리 측정방법.
KR10-2002-0043466A 2002-07-24 2002-07-24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KR10053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466A KR100534379B1 (ko) 2002-07-24 2002-07-24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466A KR100534379B1 (ko) 2002-07-24 2002-07-24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499A true KR20040009499A (ko) 2004-01-31
KR100534379B1 KR100534379B1 (ko) 2005-12-08

Family

ID=3731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466A KR100534379B1 (ko) 2002-07-24 2002-07-24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3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58B1 (ko) * 2006-04-13 2007-05-28 주식회사 자티전자 휴대용 골프안내 보조 단말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20170017195A (ko) * 2015-08-05 2017-02-15 주식회사 문화방송 골프 거리 안내 장치 및 방법
WO2018194362A1 (ko) * 2017-04-21 2018-10-25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6259B1 (ko) * 2017-11-22 2019-03-08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07675A1 (ko) * 2017-11-28 2019-06-06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536722A (zh) * 2017-04-21 2019-12-03 Vc株式会社 距离测量设备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9141A2 (ko) * 2009-08-14 2011-02-17 (주)인포빌 골프장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KR20110017802A (ko) * 2009-08-14 2011-02-22 (주)인포빌 골프장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KR101183931B1 (ko) 2010-03-22 2012-09-18 (주)에스제이트랜드 지피에스 신호를 이용한 골프정보 처리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58B1 (ko) * 2006-04-13 2007-05-28 주식회사 자티전자 휴대용 골프안내 보조 단말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20170017195A (ko) * 2015-08-05 2017-02-15 주식회사 문화방송 골프 거리 안내 장치 및 방법
WO2018194362A1 (ko) * 2017-04-21 2018-10-25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536722A (zh) * 2017-04-21 2019-12-03 Vc株式会社 距离测量设备及其控制方法
JP2020517415A (ja) * 2017-04-21 2020-06-18 株式会社ヴイシー 距離測定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0536722B (zh) * 2017-04-21 2021-08-03 Vc株式会社 距离测量装置及其控制方法
US11506793B2 (en) 2017-04-21 2022-11-22 Vc Inc. Distance measur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956259B1 (ko) * 2017-11-22 2019-03-08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03468A1 (ko) * 2017-11-22 2019-05-31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378384B2 (en) 2017-11-22 2022-07-05 Vc Inc. Distance measur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107675A1 (ko) * 2017-11-28 2019-06-06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거리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47010B2 (en) 2017-11-28 2024-04-02 Vc Inc. Distance measur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379B1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335B2 (en) Method of providing golf contents in mobile terminal
EP0694170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two objects on a golf course
KR101169851B1 (ko) 표고차를 고려한 골프 거리 측정 방법
KR101010201B1 (ko) 골프장 거리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US11577125B2 (en) Sensor device-equipped golf shoes
KR100534379B1 (ko) 골프장의 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JP3050544B1 (ja) 位置情報を用いた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60102071A (ko) 골프용 정보 단말기
KR100597385B1 (ko) 골프장의 측정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166177B1 (ko) 골프의 그린정보 제공시스템
WO2010016616A1 (en) Golf navigation system and portable golf navigation apparatus
KR20020036361A (ko) 골프 정보 시스템
KR101700376B1 (ko) 그린 홀과의 잔여 거리 제공 방법
KR20100115926A (ko) 골프장 거리측정 시스템
KR100647773B1 (ko) 휴대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제공방법
US9921076B2 (en) Display control device
KR100970252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골프 플레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34264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골프 보조 방법 및 시스템
KR100727060B1 (ko) 골프 정보 서비스 방법및 장치
KR20040020201A (ko) Gps를 이용한 골프 내 코스 거리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749512B1 (ko) Rf-id 태그를 이용한 골프용 거리 측정 방법
JP6089480B2 (ja) ゴルフ支援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
KR20020004198A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골프 정보 참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5912A (ko) 골프장 거리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35218A (ko) Gps기반 골퍼용 거리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