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182A -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182A
KR20040009182A KR1020020043028A KR20020043028A KR20040009182A KR 20040009182 A KR20040009182 A KR 20040009182A KR 1020020043028 A KR1020020043028 A KR 1020020043028A KR 20020043028 A KR20020043028 A KR 20020043028A KR 20040009182 A KR20040009182 A KR 20040009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path
board
communic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9182A/ko
Publication of KR2004000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7Redund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보드와 다수개의 하위보드 사이에 구비된 통신경로들에 대해 이중화 개념과 통신 시간분배 방식을 적용하여 동시에 사용되지 않는 통신경로를 사용하는 보드에 대해 집적화된 통신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위보드의 데이터 버스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규약에 부합되도록 변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과; 선택 수단의 통신경로 설정을 제어하여 상위보드의 데이터 버스로 송신/수신될 데이터가 특정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과 통신할 하위보드를 연결하는 통신경로상으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버스제어 수단과; 버스제어 수단의 제어를 받아 지정된 하위보드로 송신/수신될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으로 연결되도록 통신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다수개의 하위보드와 선택수단을 연결하는 통신경로상의 종단에 각각 위치하여 선택 수단에 의해 설정된 통신경로에서 하위보드로 가는 전송선로에 대한 데이터 송신/수신을 처리하는 다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동일한 방식의 통신경로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상위보드를 설계한 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고자 하는 하위보드에만 활성화 신호를 주거나 받아서 선택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aster-board transmission path dualization in a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상위보드와 다수의 하위보드(Slave)간에 통신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위보드가 하위보드의 상태파악을 위해 동일한 프로토콜의 통신경로를 다수개 제공하는 보드 구성에서 특정 통신경로가 불안정할 때 다른 통신경로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한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보드는 상위보드와 다수의 하위보드간 통신경로를 제공한다. CDMA/UMTS(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등 모든 방식의 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보드는 하위보드의 상태파악을 위해 동일한 프로토콜의 통신경로를 다수개 제공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보드의 블록도이다.
도1에 따르면, 다수의 동일한 프로토콜에 대한 통신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보드는 크게 3개 블록으로 나뉘어진다. 주제어기(CPU)(111)와 이중 FIFO(First-In First-Out)(112)를 포함하는 블록1(110), 송신(TX) 및 수신(RX) 버스와 버스 제어기를 포함하는 블록2(120), 그리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Circuit)으로 구현되는 프로토콜 지원 로직(131)과 송신 및 수신 드라이버(132, 133)를 포함하는 블록3(130) 등 3개이다.
이처럼 구성되는 네트워크 보드는 하위보드들과의 통신정합을 위해 송신 및 수신 버스(121, 122)를 공유하고, 버스 제어기(123, 124)가 송신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해석하여 사용 가능한 다수의 통신경로중에서 목적지 주소로 가는 통신노드를 선택하여 통신경로를 열어준다. 송신 및 수신 버스(121, 122)와 버스 제어기(123, 124)는 공유되어 사용되며, 통신정합을 위해 구현된 프로토콜 지원 로직(131)과 송신 및 수신 드라이버(132, 133)는 통신경로와 일대일로 대응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유되지 않는다.
통신경로의 사용시 주제어기(111)의 수행성능을 고려한다. 하위보드와의 통신은 데이터 트래픽이 낮은 저속의 통신경로를 사용하는데, 송신 데이터 발생시 송신버스 제어기(123)가 해당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관련 통신경로만을 열어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버스 제어기(124)가 순차적으로 통신경로의 각 통신노드에 대해 수신 데이터의 유무를 파악하며 수신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경로를 제공한다.
창고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외부에 알려주는 방식으로는 크게 폴링 방식과 인터럽트 방식이 있다. 폴링 방식은 일정 영역의 레지스터값을 세팅하여 마스터가 주기적으로 레지스터값을 읽어들여 인식하는 방식이고, 인터럽트 방식은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때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마스터에 즉시 전달하는 방식이다.
기능상 구분된 3개 블록의 데이터 처리 동작은 다음과 같다.
블록1(110)을 살펴본다. 먼저, 하위보드와의 프로세서간 통신과 주제어기(111)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태스크) 사이에는 충분한 운용간격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래서 주제어기(111)는 이중 FIFO(112)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한다. 데이터 수신에 있어서는 높은 우선순위의 작업을 수행할 경우,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는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버스(121, 122) 또는 버스 제어기(123, 124)가 다른 버스 마스터(Bus Master)에 의해 점유중일 경우에 데이터 손실 가능성이 있는데, 이때 이중 FIFO(112)를 이용하여 송/수신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순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다른 작업의 우선 수행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한다.
블록1(110)의 주제어기(111)가 송신할 데이터를 이중 FIFO(112)에 저장하면, 이중 FIFO(112)는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송신 버스 마스터에 알려준다. 이중 FIFO(112)에서 송신 마스터에 대해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방식은 폴링 또는 인터럽트 방식 중에서 선택된다.
블록2(120)를 살펴본다. 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면, 송신 버스 마스터측의 송신 버스 제어기(123)는 전송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인코딩하고 관련 통신노드를 활성화한 후 송신한다. 수신 데이터의 경우, 송신 버스 제어기(123)는 블록3(130)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목적지 주소가 자신을 가리키면 해당 데이터를 수신처리하여 블록1(110)의 이중 FIFO(112)에 입력한다.
물리계층의 종단장치에 해당하는 블록3(130)을 살펴본다. 각 통신 노드는 프로토콜 지원 로직(131)과 송신 및 수신 드라이버(132, 133)를 포함하고 있다.블록2(120)에서 버스 제어기(123, 124)에 의해 활성화된 통신 노드측의 프로토콜 지원 로직(131)은 자신이 받은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 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신 드라이버(132)를 통해서 전송한다. 데이터 수신시에는 수신 드라이버(133)로 들어오는 데이터가 프로토콜 지원 로직(131)을 거쳐 블록2(120)로 전달된다..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주제어기와 각 통신노드는 버스 제어기에 의해서 제어되어 버스와 이중 FIFO를 공유하여 사용함에 비해, 프로토콜 지원 로직과 송신 및 수신 드라이버의 경우에는 통신경로를 공유하여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다수의 통신노드가 사용된다. 따라서 프로토콜 지원 로직과 송신 및 수신 드라이버의 경우, 하나의 통신노드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다른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여도 통신경로를 백업할 대체 통로가 없어 해당 통신노드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주제어기의 수행성능을 고려하여 다수의 통신경로를 지원하는 보드에서 폴링이나 인터럽트 방식 또는 토큰 방식으로 다수의 통신경로중 원하는 통신경로에 버스 마스터를 부여하여 사용하는 되는데, 통신경로를 독립적으로 운용하는 경우와 같이 모든 통신경로를 일대일 방식으로 설계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보드 공간상의 문제로 인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위보드와 다수개의 하위보드 사이에 구비된 통신경로들에 대해 이중화 개념과 통신 시간분배 방식을 적용하여 동시에 사용되지 않는 통신경로를 사용하는 보드에 대해 집적화된 통신경로를 제공하도록 한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와,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는, 상위보드의 데이터 버스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규약에 부합되도록 변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과; 선택 수단의 통신경로 설정을 제어하여 상기 상위보드의 데이터 버스로 송신/수신될 데이터가 특정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과 통신할 하위보드를 연결하는 통신경로상으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버스제어 수단과; 상기 버스제어 수단의 제어를 받아 지정된 하위보드로 송신/수신될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으로 연결되도록 통신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다수개의 하위보드와 상기 선택수단을 연결하는 통신경로상의 종단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설정된 통신경로에서 하위보드로 가는 전송선로에 대한 데이터 송신/수신을 처리하는 다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보드의 통신 경로 이중화 방법은, 상위보드에서 발생된 송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가 분석되는 단계와; 상기 목적지 주소로 가는 통신경로상의 데이터 입출력 수단이 활성화되어 클럭이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제외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의 송신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이 상기 공급된 클럭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를 해당 목적지 주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보드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부의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부의 루프시험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의 운용 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블록A 211 : 주제어기 및 이중 FIFO
212 : 송신 및 수신 버스 213 : 송신버스 제어기
214 : 수신버스 제어기 230 : 블록B
231, 232 : 제2 프로토콜 지원로직 233 : 선택부
234, 234A, 234B : 송신 드라이버
235, 235A, 235B : 수신 드라이버
233A : 송신 클럭 및 활성화 신호 생성기
333B : 수신 클럭 및 활성화 신호 생성기
233C : 루프시험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위의 네트워크 보드와 하위의 외부보드간의 통신에 적용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다수의 통신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보드 중에서 동시에 다수의 통신경로를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폴링, 인터럽트 또는 토큰 방식으로 동작하면서 다수의 통신경로 중 선택된 하나의 통신경로만을 사용하는 보드에 좀더 집적화된 통신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더욱더 많은 통신경로의 제공이 가능하며,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더욱더 효과적인 설계를 가능케 한다.
다수의 통신경로 중 하나의 통신경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종래기술에서는 문제가 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보드의 문제를 해결하기 전까지 이중화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통신경로의 문제를 보완한 회로 구성을 제공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보드는 크게 블록A와 블록B로 나뉜다. 블록A(210)는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으로(도1에서 블록1 및 블록2에 해당), 주제어기(CPU) 및 이중 FIFO(First-In First-Out) (211), 송신 및 수신 버스(TX/RX BUS)(212)를 포함한다. 이중 FIFO(212)는 데이터를 저장, 출력하는 것으로, 먼저 입력된 데이터가 먼저 출력되도록 된 저장매체이며 입력과 출력을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송신 및 수신 버스는 데이터 버스이며, 다수개의 통신경로에 대해 공통 버스로 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추가적으로 블록A(210)는 통신정합의 종단을 공유하여 사용하며, 통신노드(외부보드)에 연결시에는 활성화 신호(TX/RX Enable Signal)를 이용하여 원하는 경로만을 열어 해당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버스 제어기(213)(214)는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송신 버스 및 수신 버스(212)를 제어하는 것으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Array) 내부에 설계되어 있으며, 송신버스 제어기(213)와 수신버스 제어기(214)로 구분된다. 송신버스 제어기(213)와 수신버스 제어기(214)는 블록B(230)의 통신경로 선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블록B(230)는 다수개의 프로토콜 지원로직(231)(232), 선택부(233), 송신 드라이버(234) 및 수신 드라이버(235)를 포함한다. 프로토콜 지원로직(231)(232)은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ASIC으로 구현된 로직회로이며, 제1 프로토콜 지원로직(231)과 제2 프로토콜 지원로직(232)으로 이중화 운용된다. 선택부(233)는 송신버스 제어기(213)와 수신버스 제어기(214)의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의 입력 데이터가 출력될 경로를 다수개의 가능한 경로중에서 선택하며, FPGA 내부에 설계된다. 드라이버(234)(235)는 보드내에서 사용하는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레벨의 데이터를 좀더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ECL(Emitter-Coupled Logic) 레벨로 변환시켜 주거나 ECL 레벨로 입력된 데이터를 TTL 레벨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송신 드라이버(234)와 수신 드라이버(235)로 구분된다.
여기서 다수개 구비된 프로토콜 지원로직 중에서 2개를 선택하여 각각 제1 프로토콜 지원로직(231)과 제2 프로토콜 지원로직(232)으로 사용한다. 프로토콜 지원로직(231)(232)의 이중화 운용에 의해 하나의 통신경로에 문제가 발생할 때 다른 통신경로를 통한 정상적인 통신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이중화된 통신경로를 각각 프라이머리(Primary)와 세컨더리(Secondary)라 칭하는데, 프라이머리는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통신경로이며, 세컨더리는 프라이머리 경로에 문제가 발생할 때 사용되는 통신경로이다.
그리고 다수의 통신경로를 지원하기 위해 각 프로토콜 지원로직(231)(232)과 드라이버(234)(235) 사이에 선택부(233)를 둔다. 기존의 버스 제어기에서 프로토콜 지원로직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던 제어신호를 활용하여 선택부(233)의 통신경로 선택 동작을 제어한다.
이처럼 다수의 통신경로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경로를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하며, 외부보드에 대해 전송될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송신 및 수신 활성화 신호(TX/RX Enable Signal)가 각각의 외부보드에 연결된다. 데이터 송신의 경우에는 송신버스 제어기(213)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통신경로의 외부보드에 대해 송신활성화 신호(TX Enable Signal)를 보냄으로써 다수의 외부보드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필요한 통신노드의 외부보드만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며, 데이터 수신시에는 반대로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외부보드로부터 수신 활성화 신호(RX Enable Signal)를 받아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
도3은 선택부의 링크 분배 기능을 보인 것으로, 선택부(233)는 다수의 통신경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송수신 클럭 및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블록(233A)(233B)을 포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목적지 주소를 송신버스 제어기(213)가 분석한 후 데이터를 선택부(233)로 보내주면, 이 데이터는 선택부(233) 내부의 송신 클럭/활성화 신호 생성기(233A)로 입력된다. 송신 클럭/활성화 신호 생성기(233A)는 사용하고자 하는 통신경로상의 외부보드에 대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 활성화 신호(TX Enable Signal)를 먼저 보내고, 다른 외부보드들에 대해서는 송신 비활성화 신호(TX Disable Signal)를 보냄으로써, 외부보드와 공통으로 연결된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하여도 자동적으로 목적지 주소의 통신노드로 가는 통신경로를 통해서만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데이터 수신의 경우, 데이터 송신과는 반대 개념으로 동작하는데, 외부보드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수신 활성화 신호(RX Enable Signal)를 네트워크 보드로 먼저 전송한다. 네트워크 보드는 수신버스 제어기(214)를 이용하여 선택부(233)의 수신 클럭/활성화 신호 생성기(233B)에서 수신 클럭(RX Enable CLK)이 생성되도록 하고, 수신 활성화 클럭(RX Enable CLK)을 해당 외부보드로 공급하여 수신 데이터를 받을 준비를 한다. 또한, 네트워크 보드는 수신 비활성화 신호(RX Disable Signal)를 이용하여 다른 외부보드에 대해 자신이 데이터를 전송받고 있음을 알려준다.
도4는 선택부(233)의 이중화 기능을 보인 것으로, 이중화된 경로에 대한 루프시험을 위한 블록(233C)이 선택부(233)에 포함되어 있음을 보인다. 통신경로에대한 이중화는 송신 드라이버(234)와 수신 드라이버(235)를 이중으로 구현하고, 다수개의 프로토콜 지원로직 중에서 2개를 선택하여 프라이머리 경로와 세컨더리 경로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데이터 송수신에는 프라이머리 경로를 사용하고 세컨더리 경로는 격리시켜 놓는다. 그리고 주기적인 루프시험을 통해 통신경로의 상태를 확인하며, 프라이머리 통신경로가 불량하다고 판단되면 세컨더리를 프라이머리로 사용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의 운용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여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절차를 설명한다.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블록A(210)는 기존의 방식에서 같이 동작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운용체제 레벨에서 목적지 주소를 첨가한 후 이중 FIFO에 저장한다. 그러면 이중 FIFO가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게 되고, 송신버스 제어기(213)는 이중 FIFO를 읽어 들여 목적지 주소를 분석한 후 기본적으로 프라이머리 통신경로를 통해 송신하는데, 이때 데이터는 클럭/데이터 라인(CLK/Data Line)을 통해 목적지 주소로 가는 통신경로상에 위치한 송신 드라이버(234)로 전달된 후 송신된다(S51~S54).
만약 데이터가 수신단에 비정상적으로 수신되면, 더 이상 프라이머리 통신경로를 사용하지 않고 세컨더리 통신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세컨더리 통신경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과 동시에 프라이머리 통신경로로 폐회로를 구성하여 세컨더리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루프시험'을 통해 통신구간을 점검할 수 있다. 프라이머리와 세컨더리 경로의 전환은 송신 및 수신버스 제어기(213)(214)나 주제어기(211)의 제어에 따르도록 하면 된다(S55~S57).
제1 프로토콜 지원로직(231)에 의해 통신규약의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는 송신 드라이버(234)로 전송되는데, 송신 드라이버(234)의 통신경로는 송신버스 제어기(213)에 의해 제어된다. 송신 드라이버(234)는 외부보드들과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통신하고자 하는 경로를 선택하고자 하면, 송신의 경우에는 송신버스 제어기(213)에서 보내고자 하는 경로에 송신 활성화 신호(TX Enable Signal)를 보내고, 다른 통신경로에 대해서 송신 비활성화 신호(TX Disable Signal)를 보냄으로써 통신경로를 공통으로 사용하더라도 하나의 외부보드에 대해서만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신 절차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는 무작위로 발생하므로, 수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인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식이 사용되는데, 수신버스 제어기(214)에서 수신단에 일정한 주기로 전송할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하는 폴링 방식이나 외부보드에서 인터럽트 방식으로 전송할 데이터의 유무를 알려주어 제어권을 가지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보드들이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때 네트워크 보드에 활성화 신호(RX Enable Signal)를 보낸다(S61).
네트워크 보드는 외부보드로부터 수신 활성화 신호(RX Enable Signal)를 받음과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하고, 다른 통신경로에 대해서는 수신 비활성화 신호(RX Disable Signal)를 보냄으로써 자신이 현재 데이터를 수신받고 있음을 알린다. 그러면 네트워크 보드는 하나의 외부보드로부터만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시간분배 방식을 적용하여 활성화 신호가 수신된 외부보드에 대해서만 통신경로를 활성화시켜 주고 다른 외부보드들의 통신경로를 차단하는 것이다(S62~S64).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기본적으로 외부의 하위보드들에 대한 상태관리를 위한 통신경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보드에서 최종적으로 외부 케이블과 연결되는 드라이브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동시에 같은 통신경로를 사용하는 멀티-프로그래밍 보드를 제외한 방식에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하위보드들은 자신의 상태를 상위보드에 보고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자신의 상태를 보고하는 하위보드 이외의 하위보드와의 통신정합은 필요 없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프라이머리와 세컨더리 개념을 이용하여 다른 하위보드와 통신정합을 할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동일한 방식의 통신프로토콜을 다수 지원하는 네트워크 보드에 있어서, 동일한 방식의 통신경로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후 제어신호를이용하여 통신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보드에만 활성화 신호를 주거나 받아서 선택적으로 통신을 함으로써 보드 설계를 단순하게 하며, 주제어기의 수행성능을 향상시키고 각 통신경로의 데이터 트래픽에 맞게 좀더 많은 통신경로를 지원할 수 있다.
둘째, 종래의 설계방식에서는 다수의 통신경로 지원을 위한 많은 부품 때문에 통신경로상에 프라이머리, 세컨더리와 같은 이중화 개념을 적용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선택부를 이용한 통신경로의 이중화를 달성하여 상위보드의 신뢰성이 증대된다.
셋째, 프라이머리와 세컨더리, 즉 두개의 통신경로를 제공하므로 하나의 통신경로는 하위보드와의 통신정합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통신경로에 대해서는 주기적인 경로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통신경로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7)

  1. 상위보드의 데이터 버스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규약에 부합되도록 변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과;
    선택 수단의 통신경로 설정을 제어하여 상기 상위보드의 데이터 버스로 송신/수신될 데이터가 특정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과 통신할 하위보드를 연결하는 통신경로상으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버스제어 수단과;
    상기 버스제어 수단의 제어를 받아 지정된 하위보드로 송신/수신될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으로 연결되도록 통신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다수개의 하위보드와 상기 선택수단을 연결하는 통신경로상의 종단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설정된 통신경로에서 하위보드로 가는 전송선로에 대한 데이터 송신/수신을 처리하는 다수개의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버스제어 수단으로부터 송신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송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로 가는 통신경로상에 위치한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활성화시켜 특정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가 목적지 주소의 하위보드로 송신되도록 하기 위한 송신 활성화 신호 생성부와;
    특정의 하위보드로부터 수신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된 하위보드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활성화시켜 데이터를 수신한 후 특정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으로 입력시키기 위한 수신 활성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 중에서 복수개를 선택하여 프라이머리와 세컨더리로 이중화시키고, 상기 상위버스의 데이터 버스와 상기 선택부간에 교환되는 데이터는 상기 프라이머리와 세컨더리 경로상의 각 프로토콜 지원 수단에 의해 각각 처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프라이머리 경로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이 송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안에 상기 세컨더리 경로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에서 처리된 송신 데이터를 루프백시켜 검사하기 위한 루프백 시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5. 상위보드에서 발생된 송신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가 분석되는 단계와;
    상기 목적지 주소로 가는 통신경로상의 데이터 입출력 수단이 활성화되어 클럭이 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제외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의 송신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이 상기 공급된 클럭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를 해당 목적지 주소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보드의 통신 경로 이중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하위보드에서 상위보드로 송신할 데이터가 있으면 수신 활성화 신호가 생성되는 단계와;
    버스제어 수단이 상기 수신 활성화 신호를 확인하여 수신할 데이터를 보유한 하위보드로 가는 통신경로상의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활성화시키고 클럭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제외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들의 수신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입출력 수단이 상기 공급된 클럭에 따라 해당 하위보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보드의 통신 경로 이중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위보드의 프로토콜 지원 수단과 선택부 사이의 이중화된 경로에서 하위보드들에 대한 데이터 송신/수신은 프라이머리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프라이머리 경로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 장애가 발생하면 세컨더리 경로가 프라이머리 경로로 전환되며, 프라이머리 경로를 통한 하위보드로의 데이터 송신시 세컨더리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선택부에서 루프백시켜 통신경로의 상태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보드의 통신 경로 이중화 방법.
KR1020020043028A 2002-07-22 2002-07-22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40009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028A KR20040009182A (ko) 2002-07-22 2002-07-22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028A KR20040009182A (ko) 2002-07-22 2002-07-22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182A true KR20040009182A (ko) 2004-01-31

Family

ID=3731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028A KR20040009182A (ko) 2002-07-22 2002-07-22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91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0605A1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with master node and slave node
JPH0683742A (ja) リンク確立方法及び相互接続装置
US6751699B1 (en) Fibre channel mini-hub powered by and supported within a host computer and directly controlled over a bus of the host computer
US7706259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redundant structure of ATCA (advanced telecom computing architecture) system via base interface and the ATCA system for use in the same
CN110967969A (zh) 高可用性工业自动化系统及通过该系统传送信息的方法
KR10025771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프로세스 간의 정보교환 장치
US20050060394A1 (en) Programmable delay, transparent switching multi-port interface line card
KR20040009182A (ko) 통신시스템의 상위보드 통신경로 이중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N113346983B (zh) 具有镜像冗余的epa设备和epa系统
GB2377035A (en) A fault tolerant shared transceiver apparatus and system
JPH04286239A (ja) 通信装置
KR20010001368A (ko) 에이티엠 교환기 링크 보드의 이중화 구현 장치 및 방법
KR1003594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버스 이중화 장치
KR20020078165A (ko) 통신시스템의 최적화 정보 전송장치
KR950007438B1 (ko) 전자교환기용 패킷 버스 장치의 중앙 중재기
KR100191678B1 (ko) 통신망 이중화를 위한 통신망 검사방법
KR100448219B1 (ko) 전송 경로 이중화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39148B1 (ko) 다중 시스템의 프레임 동기신호 출력 장치 및 방법
WO2021234819A1 (ja) 増設ベースユニット、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0487367B1 (ko) Hldc 버스를 사용하는 통신 노드 네트워크
KR0124185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이중화된 하위프로세서 제어용 그로벌 버스 정합회로
KR20030070959A (ko) 알에스-485망 구현 장치 및 방법
KR100400929B1 (ko) 통신시스템의 가입자 유니트 다중 절체 장치 및 그 방법
KR100218395B1 (ko) 멀티-마스터 통신을 이용한 모니터링 기기
KR100616564B1 (ko)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아이피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