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988A -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8988A
KR20040008988A KR1020020042758A KR20020042758A KR20040008988A KR 20040008988 A KR20040008988 A KR 20040008988A KR 1020020042758 A KR1020020042758 A KR 1020020042758A KR 20020042758 A KR20020042758 A KR 20020042758A KR 20040008988 A KR20040008988 A KR 20040008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ll
service
telephone
life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581B1 (ko
Inventor
김영성
조영호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2-004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5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08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46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ubscriber uses a multi-mode terminal which moves and accesses different networks with at least one network having a wireline access including cordless PBX
    • H04M3/42255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ubscriber uses a multi-mode terminal which moves and accesses different networks with at least one network having a wireline access including cordless PBX with the subscriber having a personal network-independent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사용자위치감지부, 평생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전화망으로부터의 통화의 호를 수신하고, 통화하려는 전화번호를 전화망으로 전송하며, 전화망과 사용자의 전화 단말기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화망연결부 및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사용자에게 연결하여 전화통화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화번호를 전화망연결부를 통해 전송하는 주처리부를 포함하여, 종래의 평생번호 착신번호 변경시 가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변경하는 것을 자동으로 가입자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하며, 사용자인 평생전화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경우 휴대폰을 거치대에 위치시키거나 이동시킴으로써 불편한 조작없이 자동으로 평생번호 착신이 변경됨으로써 진정한 평생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및 그 장치 {Auto switching method for one number servic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평생 전화 번호를 자동으로 절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전화서비스는 서비스 이용자가 가입하는 통신회사별로 정해지는 망 식별 번호와 서비스 이용자 각각에 할당된 7~8자리의 가입자 번호의 조합으로 되어있다.
신규로 통신회사의 전화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주거지 이동 및 전화 서비스 제공 회사의 변경에 따른 서비스 번호의 변경이 있을 경우 변경 번호의 고지를 가입자가 일일이 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 개의 번호로 모든 전화 서비스 번호를 대체하는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대두하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평생번호(One number service)서비스 이다.
이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사용자가 평생번호를 발급받는다. 이 평생번호는 바뀌지 않을 것이며, 다른 사람이 이 평생번호로 전화를 걸면 이 평생번호로 지정한 곳, 예를 들면 사무실로 전화가 오게 될 것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 자신이 외출할 때에는 자신의 이동전화인 휴대폰 번호를 평생번호 서비스에 대한 2차 착신 전화번호(혹은 2차 연결 전화번호)로 지정한다면 평생번호로 걸린 전화는 자신의 휴대폰으로 연결될 것이다.
그런데 이런 과정에서 평생번호 가입자의 사용상 불편함이 몇 가지 있다. 상기의 예에서 사무실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에 휴대폰으로 연결되게 하기 위해 2차 연결 전화번호를 설정해야 하며, 다시 사무실로 돌아오는 경우 다시 휴대폰으로 연결된 설정을 해제해야 한다. 만일 2차 연결 전화번호만이 아니라 3차 혹은 그 이상의 전화기로의 전화 자동 연결을 위한 것이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그 2차, 3차 연결 전화번호들을 설정해야 한다. 이 설정 작업을 위해서는 사용자는 설정할 때마다 그에 따른 반복적인 작업을 해야 한다.
다사 말해, 평생번호 서비스가 한 개의 번호를 이용한 서비스 이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함에도 불구하고 이동전화로 착신하여 대다수가 사용하며, 이때에 이용자의 이동에 따라서 변경되는 2차 연결 전화번호의 변경등록 시 눌러야 하는 전화기 버튼의 수가 최소16자리 ~ 26자리가 된다. 따라서 이동한 장소에 전화가 연결되기 위한 제1차, 제2차 및 제3차 연결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불편함의 대상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매번 2차 혹은 3차 연결 전화번호를 설정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평생번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장치의 구성을 일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장치의 다른 구현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가 사용되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방법은, (a)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면,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연결하는 단계; 및 (c)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장치의 일 태양은,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사용자위치감지부; 상기 평생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전화망으로부터의 통화의 호를 수신하고, 통화하려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으로 전송하며, 전화망과 사용자의 전화 단말기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화망연결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연결하여 전화통화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연결부를 통해 전송하는 주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장치의 다른 태양은,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사용자위치감지부; 소정의 전화망으로부터의 통화의 호를 수신하고, 통화하려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으로 전송하며, 전화망과 사용자의 전화 단말기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화망연결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평생전화번호의 통화의 호가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통화의 호가 착신되는 것을 감지하여그 통화의 호를 상기 자동 절체 장치가 연결된 전화기로 연결하며,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연결부를 통해 전송하는 주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고(100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call)를 상기 사용자에게 연결하며(110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한다(120 단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장치의 구성을 일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사용자위치감지부(200), 평생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전화망으로부터의 통화의 호를 수신하고, 통화하려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으로 전송하며, 전화망과 사용자의 전화 단말기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화망연결부(210)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연결하여 전화통화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연결부를 통해 전송하는 주처리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이 장치는 착신전화번호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거나 변경할 수 있는 착신번호입력부(230), 입력된 혹은 변경된 착신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재기록가능한 저장부(240), 상기 자동 절체 장치가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상태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250)와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는 착신전화 서비스를 받을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면 바로 사용자에게 전화를 연결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으면 다른 착신 번호로 전화가 연결되게 하는 것이 그 기능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가를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용자위치감지부(200)가 그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평생전화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가 부여받은 평생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려지는 경우에 제1 착신번호로 자신의 사무실의 전화번호로 지정을 하여, 평생전호번호로 전화를 한 경우에 자신의 사무실로 전화가 오도록 설정한 경우의 예를 든다. 이때에 사용자가 사무실에 부재중이어서 전화를 받을 수 없을 경우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번호로 제2 착신번호를 설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는 제1 착신번호가 지정된 상기의 사무실에 위치한 것으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사무실의 구역 내에 위치해야 한다. 이를 감지하는 사용자위치감지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물체가 놓여진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는 중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가 사용되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에 소정의 물체 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한 모습(400)으로 PSTN과 같은 공중 전화망과 전화 단말기 사이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사무실에 위치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410)를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420)에 안착시키면 사용자위치감지부(200)에 포함된 중량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 제공 범위 내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평생전화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대부분 이동 통신 단말기로 2차 착신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외출을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를 들게 되면 중량감지센서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서비스 위치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때에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를 놓아야 할 필요는 없다. 다른 적당한 물체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절체장치(420)에 안착하면 사용자가 서비스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위치감지부(200)를 구현하는 다른 예로는, 사용자가 소지한 소정의 무선통신수단이 일정 거리이내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비접촉 방식의, 예를 들면, RF 모듈을 부착하고, 사용자위치감지부(200)에 포함된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 범위 내에 있다고 감지하게 된다.
이 무선통신수단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될 필요는 없고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가지고 다니는 물품에 부착되어 있기만 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무선통신수단은 원거리 통신용을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사무실 권역 내를 감지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단이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RF 모듈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위치감지부(200)의 다른 구현 예로는, 외부의 소정의 입력에 의해 온/오프(on/off)되어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는 전환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참조번호 430의 토글 스위치를 사무실에 들어온 사용자가 on하여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 구역 내에 있다고 감지하게 되며, 사무실에서나가는 사용자가 토글 스위치(430)를 off하면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 구역 내에 있지 않다고 감지하게 된다.
전화망연결부(210)는 전화망과 전화 단말기간의 물리적인 연결을 하게 하는 부분이며, 전화망으로부터의 통화의 호를 수신하고, 통화하려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화망을 통해 전화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송수신 데이터의 통로가 된다.
주처리부(22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고, 이때에 전화망연결부(210)를 통해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call)가 있으면, 사용자에게 그 호를 연결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없다고 감지되는 경우에 전화망연결부(210)를 통해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수신된다면,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화번호를 전화망연결부(210)를 통해 전송한다. 이때의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는 2차 착신번호인 사용자가 지정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된다. 상기와 같이 걸려온 통화의 호를 2차 착신번호로 연결하는 것은 이미 실행하고 있는 방법이며, 이를 구현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는 착신번호입력부(230)를 통해 착신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변경한다. 이를 위해서 자동 절체 장치에 연결된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한 DTMF 톤(tone)을 입력으로 받아 착신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변경하게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착신번호입력부(230)는 DTMF 톤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모듈은 이미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능 부품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번호입력부(230)는 착신전화번호 입력과 변경을 위한 키패드를 포함시켜 이를 통해 사용자가 착신전화번호에 대한 입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구현 방법으로는 착신번호입력부(230)는 USB 포트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프로그램을 통해 컴퓨터를 사용하여 착신번호를 입력/수정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구현 방법들 역시 현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들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착신번호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착신전화번호는 저장부(240)에 저장된다. 주제어부(220)는 필요시에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착신전화번호를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저장부(240)는 재기록이 가능한 EEPROM이나 Flash ROM과 같은 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저장부(240)에는 사업자 접속를 나타내는 특별한 식별 번호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주제어부(220)가 사업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이 착신번호를 변경하는 것을 막기 위해 소정의 비밀번호를 미리 혹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하게 하여 비밀번호가 입력되어야 착신번호를 변경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태표시부(25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가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상태인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사용자위치감지부(200)의 감지 상태에 따라 도 4에서 나타난 것처럼 이동(서비스 구간 내에 사용자가 없음), 착석(서비스 구간 내에 사용자가 있음)의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LED와 같은 소자의 발광 상태에 따라 그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고, 토글 스위치(430)의 상태에 따라 기계적으로(즉,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이동과 착석에 표시가 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원부(26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60)는 전화선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며, 2차 전지인 충전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AC 변환 기능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면, 종래에는 사용자가 사무실에서 나갈 때마다 2차 착신번호를 20개 정도의 전화 버튼을 눌러 설정하여야 하고, 사무실에 돌아오면 2차 착신 번호에 대한 설정을 해제하며, 다시 사무실에서 나갈 때에는 상기의 과정을 되풀이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자동 절체 장치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사무실에 있고 없는 것이 자동으로 감지되며, 그에 따라 미리 저장된 2차 착신 번호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통화 연결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무실을 떠날 때에 2차 착신 번호를 일일이 설정하고 해제하는 불편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의 경우 1차 착신번호인 사무실로 전화가 온 경우에 일정 회수 이상의 전화벨(예를 들면 3-9회) 신호가 울릴 때까지 혹은 일정 시간(예를 들면 15초 이상)동안 전화 연결을 시도하다가 다음의 착신번호로 전화연결이 시도된다. 이때에 다른 사람이 그 전화를 받는다면 전화를 건 사람의 통화 의도는 실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무실의 전화는 울리지 않고 시간 지연이 없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이는 주처리부의 기능을 확장하면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다) 전화를 건 사람의 통화 시도가 실패하지 않고 시간 지연도 없이 성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장치의 다른 구현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사용자위치감지부(300), 소정의 전화망으로부터의 통화의 호를 수신하고, 통화하려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으로 전송하며, 전화망과 사용자의 전화 단말기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화망연결부(310) 및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평생전화번호의 통화의 호가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통화의 호가 착신되는 것을 감지하여 그 통화의 호를 상기 자동 절체 장치가 연결된 전화기로 연결하며,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화번호를 전화망연결부(310)를 통해 전송하는 주처리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이 장치는 착신전화번호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거나 변경할 수 있는 착신번호입력부(330), 입력된 혹은 변경된 착신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재기록가능한 저장부(340), 상기 자동 절체 장치가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상태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350)와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6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위치감지부(300), 전화망연결부(310), 착신번호입력부(230), 저장부(340), 상태표시부(350) 및 전원부(360)는 도 2의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만 도 2에서 사용자위치감지부(200)에서 사용자의 위치 감지를 위해 도 4의 자동 절체 장치에 안착되는 것이 꼭 이동통신단말기일 필요는 없었지만, 도 3의 사용자위치감지부(300)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때에는 도 4의 자동 절체 장치에 안착되는 것이 이동통신단말기일 것이 필요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평생전화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가 부여받은 평생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려지는 경우에 제1 착신번호로 자신의 사무실의 전화번호로 지정을 하고, 2차 착신 번호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번호인 경우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는 제1 착신번호가 지정된 사무실이 아닌 장소 예를 들면 집에 위치한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가 집에 돌아와서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370)를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420)에 안착시켜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감지된 경우에,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의 번호로 전화를 걸게 되면, 사무실로 전화가 걸렸다가 사용자가 없으므로 즉각 이동통신단말기(370)로 전화가 오게 된다. 그런데 집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전화를 받는 것은 불편한 점이 많으므로주처리부(320)는 이동통신단말기(370)로 통화의 호가 착신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자동 절체 장치가 연결된 일반 전화기로 연결한다. 도 4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에 안착되면 이동통신단말기로 통화의 호가 착신되는 것을 아는 것은 용이하며, 기본에 공개된 시장에서 사용되는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처리부(330)는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화번호를 전화망연결부(3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3의 자동 절체 장치를 이용해서 사용자는 평생전화번호에 건 전화 통화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것을 사용에 간편한 일반 전화로 자동적으로 연결되게 하여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자신이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다른 착신 번호로 전화가 절체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의 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태양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사용자위치감지부, 평생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전화망으로부터의 통화의 호를 수신하고, 통화하려는 전화번호를 전화망으로 전송하며, 전화망과 사용자의 전화 단말기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화망연결부 및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사용자에게 연결하여 전화통화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화번호를 전화망연결부를 통해 전송하는 주처리부를 포함하여, 종래의 평생번호 착신번호 변경시 가입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변경하는 것을 자동으로 가입자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하며,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인 휴대폰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화기에 부착된 자동절체기를 통하여 가입자가 입력시킨 착신번호로 자동 다이얼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인 평생전화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경우 휴대폰을 거치대에 위치시키거나 이동시킴으로써 불편한 조작없이 자동으로 평생번호 착신이 변경됨으로써 진정한 평생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착신되는 전화를 변경하는 경우에 별도의 시간 지연이나 전화벨 소리없이도 즉각적으로 다음의 착신 번호로 전화를 연결할 수 있어 통화의 성공률도 높아지며 소음 방지를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절체 장치를 집과 사무실(영업소)등 최소 2개이상의 쌍으로 공급하게 되면 평생번호 사업자의 수익모델과도 직결되는 호 접속이 하루에 최소 2회 이상 발생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사업자 측에서도 수익 모델 면에서 이점이 크게 된다.

Claims (11)

  1.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면,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연결하는 단계; 및
    (c)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2.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사용자위치감지부;
    상기 평생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전화망으로부터의 통화의 호를 수신하고, 통화하려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으로 전송하며, 전화망과 사용자의 전화 단말기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화망연결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연결하여 전화통화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연결부를 통해 전송하는 주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감지부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물체가 놓여진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는 중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감지부는 사용자가 소지한 소정의 무선통신수단이 일정 거리이내에 위치한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장치.
  5. 평생전화번호 서비스에서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를 소정의 착신번호로 자동으로 절체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는 사용자위치감지부;
    소정의 전화망으로부터의 통화의 호를 수신하고, 통화하려는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으로 전송하며, 전화망과 사용자의 전화 단말기간의 송수신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화망연결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평생전화번호의 통화의 호가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통화의 호가 착신되는 것을 감지하여 그 통화의 호를 상기 자동 절체 장치가 연결된 전화기로 연결하며,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평생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의 호가 상기 소정의 착신전화번호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망연결부를 통해 전송하는 주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감지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놓여진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는 중량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감지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장치.
  8.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위치감지부는 외부의 소정의 입력에 의해 온/오프(on/off)되어 사용자가 상기 자동 절체 장치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감지할 수 있는 전환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장치.
  9.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화번호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거나 변경할 수 있는 착신번호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혹은 변경된 착신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재기록가능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장치.
  11.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절체 장치가 착신전화번호로 착신전환 상태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생 번호 자동 절체 장치.
KR10-2002-0042758A 2002-07-20 2002-07-20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및 그 장치 KR10047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758A KR100473581B1 (ko) 2002-07-20 2002-07-20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758A KR100473581B1 (ko) 2002-07-20 2002-07-20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988A true KR20040008988A (ko) 2004-01-31
KR100473581B1 KR100473581B1 (ko) 2005-03-10

Family

ID=3731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758A KR100473581B1 (ko) 2002-07-20 2002-07-20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39B1 (ko) * 2002-09-28 2009-11-19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전화 가입자의 가입전화번호로 평생번호를 부여하기위한 평생번호 가입자 발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610166B1 (ko) 2022-10-25 2023-12-06 (주)유비테크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자동 절체 통신 방법 및 자동 절체 통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485A (ko) * 1999-03-16 1999-08-05 최각진 평생고유번호를 소유한단말기(터미날)나 평생개인번호를 갖는 아이씨카드로 자동 착신전환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
KR20010011750A (ko) * 1999-07-30 2001-02-15 김진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 통화 전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391171B1 (ko) * 1999-08-04 200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100900814B1 (ko) * 2002-06-03 2009-06-04 국방과학연구소 지역망간 자동착신전환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39B1 (ko) * 2002-09-28 2009-11-19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전화 가입자의 가입전화번호로 평생번호를 부여하기위한 평생번호 가입자 발신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610166B1 (ko) 2022-10-25 2023-12-06 (주)유비테크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자동 절체 통신 방법 및 자동 절체 통신 장치
EP4362551A1 (en) 2022-10-25 2024-05-01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Automatic switching communication method and automatic switching communication device using directional antenn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3581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007B2 (en) Auto sensing home base station for mobile telephone with remote answering capabilities
US6018665A (en) Wireless terminal with auxilary desktop unit
US7177664B2 (en) Bluetooth interface between cellular and wired telephone networks
US20020193107A1 (en) Wireless/wireline communication
WO1998021911A1 (en) Device for routing information updates
KR100406071B1 (ko) 통신시스템
JPH07250376A (ja) コードレス端末制御システム
GB2419066A (en) Call forwarding between mobile and landline telephones
US20050090271A1 (en) Call routing configuration from a mobile terminal docking station
US7046783B1 (en) Seamless re-direction of calls between home and mobile telephones
KR100473581B1 (ko) 평생 번호 자동 절체 방법 및 그 장치
US20050174992A1 (en) Landline telephones converted to transmit and receive cell phones telecommunication
US6606507B1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and method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states and modes
KR100247030B1 (ko) 디지털 통신망에서 호출자정보 안내방법
JP2009060346A (ja) 携帯電話機の通信システム
KR100500032B1 (ko)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421847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호전환방법
KR10045517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피호출자 신원확인 장치 및 방법
KR200245830Y1 (ko) 발신자번호 음성 확인장치
KR100602627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 전환방법
JPH06197387A (ja) 電話機呼出し方式
KR20000024011A (ko) 유선 전화 부가 서비스의 자동적인 활성 및 비활성 방법
JP2002315051A (ja) 電話システム
KR19980048781A (ko) 개인번호를 이용한 호 자동접속시스템 및 호 자동접속방법
JPH07240951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