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5341A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5341A
KR20040005341A KR1020020039850A KR20020039850A KR20040005341A KR 20040005341 A KR20040005341 A KR 20040005341A KR 1020020039850 A KR1020020039850 A KR 1020020039850A KR 20020039850 A KR20020039850 A KR 20020039850A KR 20040005341 A KR20040005341 A KR 20040005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ta
mobile terminal
control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102002003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5341A/ko
Publication of KR2004000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3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으로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며, 각종 경보 신호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받게 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제어장치(ECU)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차량 기능 제어신호를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각종 경보신호를 송신받을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특정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고유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며, 차량의 각종 기능 제어데이터가 선택 가능하게 저장되어진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전자 제어장치에 대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고, 그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인가된 경보신호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전자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있으며, 내부에 데이터 통신모듈이 구비된 데이터 송수신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장치간의 각종 데이터 중계처리를 행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중계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의 각종 기능제어를 이격된 거리에 무관하게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에서 감지된 각종 경보신호를 원격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의 위치를 각 중계기 단위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성 통신망을 통한 다국적 차량의 원격 제어도 가능해지고, 복잡한 리모콘 제어신호를 인가해야하는 가정의 섬세한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도 충분히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CAR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OF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으로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며, 각종 경보 신호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받게 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자동차 1000만대 시대가 도래되고, 운전자가 차량에서 지체하는 시간이 점차 증가되면서 차량은 이동수단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각종 차량 편의장치가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활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통신 기술과 함께 차량에 적용된 다양한 장치중 하나가 원격 시동장치이다.
원격 시동장치는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의 시동 및 도어락 제어데이터를 반송파인 적외선 신호에 반송하여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의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 시동장치는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정 거리이상의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 원격 시동장치의 리모콘으로부터 차량에 내재된 원격 시동장치측으로 단방향인 제어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차량에 이상유무가 인지되는 경우에도 운전자는 그 상태를 인지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이상유무가 쌍방향으로 원격 시동장치의 리모콘측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고 하더라도, 단방향일 때와 마찬가지로 일정 거리이상에는 그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하므로 운전자는 차량 이상유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차량의 위치가 지하거나, 건물 등에 의해 은폐된 경우에는 적외선 신호의 반송에 의해서 원격지의 차량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원격 시동장치는 단지 원격지에서 몇 개의 차량 기능을 제어할수 있다는 것 뿐, 차량의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은 전무하므로 차량을 도난 당한 경우나, 차량을 이용한 납치, 차량을 이용한 도주 등에는 그 차량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으로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하며, 각종 경보 신호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받게 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한 차량의 위치 요구신호에 따라 해당 차량이 위치된 이동통신 중계기의 위치 데이터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전송하여 차량의 개략적인 위치 인지가 가능하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에 원격 차량 제어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입력하여 원격지의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a, 3b,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차량 원격 제어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음성입력을 통한 차량 원격 제어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원격 경보 데이터 전송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차량 위치 인지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An:모바일 단말기, C1∼Cn:차량,
MDIS:이동통신 중계서버, 100:데이터 송수신장치,
200:ECU.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제어장치(ECU)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차량 기능 제어신호를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각종 경보신호를 송신받을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특정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고유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며,차량의 각종 기능 제어데이터가 선택 가능하게 저장되어진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전자 제어장치에 대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고, 그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인가된 경보신호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전자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있으며, 내부에 데이터 통신모듈이 구비된 데이터 송수신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장치간의 각종 데이터 중계처리를 행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중계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는 특정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위치데이터에는 위치정보 요구신호를 최초로 중계한 중계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는 각종 설정 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매개하여 인가된 각종 제어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인가된 수신 데이터를 필터링 및 변조처리하기 위한 수신 신호처리부와; 이동통신망을 매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경보 신호 및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로 차량 위치 요구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를 통해 이동통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변조처리를 수행하는 송신 신호처리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기위한 디스플레이 구동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 데이터를 ECU로 인가시키거나, ECU로부터 전송된 차량상태 감지신호를 송신부로 인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송수신 알고리즘 및 장치 고유번호, 연동된 모바일 단말기 고유번호, 차량 위치요구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송신 제어데이터 및, 각종 생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인가된 제어데이터를 ECU로 인가하여 차량의 기능 제어를 행하도록 하며, ECU로 인가된 각종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차량 경보신호를 원격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차량의 위치 요구신호를 인가받아 특정 모바일 단말기 정보를 그 차량 위치 요구신호와 조합하여 이동통신 중계서버측으로 전송하도록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차량 기능제어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기등록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데이터 입력을 통해 원격 차량의 기능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음성인식 모듈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어 ECU와의 연동으로 차량의 각종 기능제어를 원격지의 모바일 단말기의 키조작으로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어메뉴를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과; 출력된 차량의 제어메뉴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제어메뉴를 선택하는 과정과; 그 모바일 단말기에 기저장된 고유번호의 데이터 송수신장치로 선택된 차량의 기능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송수신장치가 전송된 원격 제어 데이터를 ECU로 인터페이스하는 과정과; 상기 ECU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따라 차량의 기능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차량의 기능 제어 메뉴를 출력시키는 과정과; 해당 기능 제어메뉴별로 해당되는 음성 데이터를 녹취하는 과정과; 차량의 기능제어 데이터를 음성으로 입력하는 과정과; 해당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 기능제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음성 입력을 통해 원격지의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ECU와 연계된 차량의 각종 센서로부터 차량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ECU가 해당 차량 이상감지 신호에 따른 경보신호를 데이터 송수신장치로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기저장된 고유번호의 모바일 단말기로 해당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차량 위치 요구신호를 특정 차량의 데이터 송수신장치로 발생하는 과정과; 해당 데이터 송수신장치에서 기저장된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와 차량 위치정보 요구신호를 이동통신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최초로 수신한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차량의 위치를 중계기의 위치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C1∼Cn)으로 각종 차량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원격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원격지 차량(C1∼Cn)에 내재된 데이터 송수신 장치(도 2 참조)에는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고유 번호가 부여되어야만 하고, 그 고유번호가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A1∼An)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에는 원격지의 차량(C1∼Cn)으로 각종 차량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차량 제어신호 선택 및 선택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송신 알고리즘이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특정 차량 제어신호를 선택하고 이를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여 차량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는 차량(C1∼Cn)의 전자제어장치(이하, ECU: Electronic Control Unit)와 접속되어야 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는 송출하는 제어 데이터를 ECU가 인지할 수 있도록 코드 매칭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은 원격지의 차량(C1∼Cn)으로부터 발생된 각종 경보 신호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A1∼An)로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원격지 차량(C1∼Cn)에 내재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쌍방향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신부와 수신부가 각각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전송한 차량(C1∼Cn)의 위치 요구신호에 따라 해당 차량(C1∼Cn)이 위치된 이동통신 중계서버(MDIS)의 위치 데이터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A1∼An)측으로 전송하여 차량(C1∼Cn)의 개략적인 위치 인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기(A1∼An)에서 발생된 차량의 위치 요구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C1∼Cn)가 수신하여, 차량 위치 요구신호와 해당 모바일 단말기(C1∼Cn)의 번호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MDIS)로 전송하면,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MDIS)에서 해당 중계기(도시 생략)의 위치를 인지하여 그 위치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로 전송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차량(C1∼Cn)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A1∼An)에 원격 차량 제어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입력하여 원격지의 차량(C1∼Cn)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단말기(A1∼An)와 중계기의 구성으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는 바, 이는 단지 휴대폰이나 PCS 등의 모바일 단말기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신위성 및 그 위성 통신망을 이용한 다국간의 차량의 원격 제어도 충분히 가능함을 미리 밝힌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C1∼Cn)에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가 장착되고, 그 송수신 장치(100)에는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A1∼An)로부터 각종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기부여된 고유 번호가 저장되고, 통신 가능하게 개통된 상태이며, 그 고유번호가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A1∼An)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에는 원격지의 차량(C1∼Cn)으로 각종 차량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차량 제어신호 선택 및 선택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송신 알고리즘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는 차량(C1∼Cn)의 ECU(200)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가 송출하는 제어 데이터를 ECU(200)가 인지 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로부터 송출된 제어 데이터는 ECU(200)로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와의 동일한 코드로 매칭되어 진다.
이때, 원격 차량 제어데이터는 차량의 원격시동 제어신호나, 차량의 히터, 에어콘 제어신호, 차량의 도어락 제어신호, 경보기 설정신호, 각종 조명기구 조작신호 등이 모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는 충격센서(도시는 생략) 등과 접속되어 차량의 도난 경보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내에는 별도의 송신부와 수신부가 각각 내장되며, 인가되는 센서의 감지신호를 경보신호로 인지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MIDS)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차량 위치요구신호와 모바일 단말기(A1∼An) 번호 정보, 데이터 송수신장치(100)에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번호 정보를 인가받아 해당 정보가 전송된 데이터 송수신장치(100)의 위치를 최초 데이터 중계를 행한 중계기(도시 생략)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인지하여 그 위치정보를 해당 고유번호의 모바일 단말기(A1∼An)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라 함은 휴대폰, PCS, PDA, 원격 노트북, 위성 통신기기 등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도 3a, 3b,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3a는 모바일 단말기(A1∼An)로부터 차량에 내장된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로 전송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A1∼An)로부터 차량에 내장된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은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헤더부(H)와, 데이터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테일부(T)와, 데이터 내용을 나타내는 콘텐츠부(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콘텐츠부(C)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의 고유번호 등이 내장된 호출 데이터(C1)와, 해당 차량의 기능 제어데이터(C2)로 구성된다.
한편, 도 3b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A1∼An)로 전송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로부터 모바일 단말기(A1∼An)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도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헤더부(H)와, 데이터의 종료위치를 나타내는 테일부(T)와, 데이터 내용을 나타내는 콘텐츠부(C)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콘텐츠부(C)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로부터 호출하고자 하는 특정 모바일 단말기(A1∼An)의 번호정보 등을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기 호출 데이터(C1)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충격센서 등: 도시 생략)로부터 인가받은 차량의 경보 데이터(C2)로 이루어진다.
도 3c는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특정 모바일 단말기(A1∼An)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로부터 호출하고자 하는 특정 모바일 단말기(A1∼An)의 번호정보 등을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기 호출 데이터(C1)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가 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로부터 인가받은 차량의 경보 데이터(C2)로 이루어진 데이터 프레임이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로부터 이동통신 중계서버(MDIS)로 인가되면,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MDIS)는 해당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로부터 최초 데이터를 중계한 중계기(도시 생략)의 위치 데이터(C3)를 조합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A1∼An)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차량(C1∼Cn)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중계기가 중계할 수 있는 위치가 반경 수 Km 이내 이므로, 사용자는해당 차량(C1∼Cn)의 위치를 수 Km 이내의 범위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는 키입력부, 수신부, 수신 신호처리부, 송신부, 송신 신호처리부,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 구동부, 인터페이스부, 데이터 저장부, 제어부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102는 각종 설정 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04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로부터 이동통신망을 매개하여 인가된 각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06은 상기 수신부(104)로부터 인가된 수신 데이터를 필터링 및 변조처리하기 위한 수신 신호처리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08은 이동통신망을 매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로 경보 신호 및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MDIS)로 차량 위치 요구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10은 상기 송신부(108)를 통해 이동통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변조처리를 수행하는 송신 신호처리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12는 상기 키입력부(102)를 통해 선택된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14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를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16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제어 데이터를 ECU(200)로 인가시키거나, ECU(200)로부터 전송된 차량상태 감지신호를 송신부(108)로 인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18은 송수신 알고리즘 및 장치 고유번호, 연동된 모바일 단말기(A1∼An) 고유번호, 차량 위치요구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송신 제어데이터 및, 각종 생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로부터 인가된 제어데이터를 ECU(200)로 인가하여 차량의 기능 제어를 행하도록 하며, ECU(200)로 인가된 각종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차량 경보신호를 원격의 모바일 단말기(A1∼An)로 전송하고, 차량의 위치 요구신호를 인가받아 특정 모바일 단말기(A1∼An) 정보를 그 차량 위치 요구신호와 조합하여 이동통신 중계서버(MDIS)측으로 전송하도록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차량 원격 제어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의 키를 조작하게 되면, 기저장된 차량의 원격 제어에 해당되는 차량 제어메뉴가 화면에 출력된다(제 1 단계: ST-1).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A1∼An)의 화면에 출력되는 다수의 차량 제어메뉴(예컨대, 차량 시동, 윈도우 락, 도어락, 각종 경보 설정 등)중 어느 하나의 제어메뉴를 선택하면(제 2 단계: ST-2),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는 그 내부에 기저장된 특정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의 번호로 해당 차량 제어 데이터를 단문 메시지시스템(SMS)과 같은 방식으로 전송한다(제 3 단계: ST-3).
그러면, 해당 원격 차량내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는 해당 데이터중 제어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상기 ECU(200)로 인터페이스한다(제 4 단계: ST-4).
제어 데이터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ECU(200)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 제어 데이터를 인식하게 되어, 해당 차량의 기능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A1∼An)를 통해 차량 시동 제어데이터를 선택하여 전송한 경우라면, 그 시동 제어데이터가 상기 ECU(200)로 인가되어 사용자가 직접 차량의 키를 통해 시동을 거는 것과 동일한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인식하여 차량 시동을 걸게 되는 것이다(제 5 단계: ST-5).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음성입력을 통한 차량 원격 제어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차량 제어 메뉴별 음성 단축키 설정키를 선택하고(제 10 단계: ST-10), 그에 대한 음성 녹취를 수행한다. 그러면, 그 음성 데이터는 해당 차량 제어 데이터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A1∼An)에 저장되게 되어 초기 설정이 이루어진다(제 11 단계: ST-11).
이때,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의 키를 조작하게 되면, 기저장된 차량의 원격 제어에 해당되는 차량 제어메뉴가 화면에 출력된다(제 12 단계: ST-12).
그리고,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A1∼An)의 화면에 출력되는 다수의 차량 제어메뉴(예컨대, 차량 시동, 윈도우 락, 도어락, 각종 경보 설정 등)중 어느 하나의 제어 메뉴를 음성 입력을 통해 선택하면(제 13 단계: ST-13), 상기 모바일 단말기(A1∼An)는 그 내부에 기저장된 특정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의 번호로 해당 차량 제어 데이터를 단문 메시지 시스템(SMS)과 같은 방식으로 전송한다(제 14 단계: ST-14).
그러면, 해당 원격 차량내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는 해당 데이터중 제어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상기 ECU(200)로 인터페이스하고(제 15 단계: ST-15), 해당 차량의 기능제어를 수행하게 된다(제 15 단계: ST-15).
즉, 사용자가 "차량 시동" 이란 음성을 모바일 단말기(A1∼An)에 입력시키면, 그 모바일 단말기(A1∼An)가 단문 메시지 형태로 해당 "차량 시동"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로 전송하여 차량의 원격 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원격 경보 데이터 전송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차량에 구비된 각종 센서(예컨대, 충돌 센서 등)로부터 차량 상태의 이상여부가 감지되면(제 20 단계: ST-20), 그 이상여부 감지신호는 ECU(200)로 인가된다(제 21 단계: ST-21).
그리고, 해당 차량의 ECU(200)는 해당 감지신호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로 인가한다(제 22 단계: ST-22). 그러면, 상기 데이터송수신장치(100)는 이동통신망을 매개로 기저장된 특정 번호의 모바일 단말기(A1∼An)측으로 해당 경보 데이터를 전송하여 화면 출력되도록 한다(제 23 단계: ST-23).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A1∼An)를 통해 원격지에서 차량의 이상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의 차량 위치 인지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그 단말기에 기등록된 차량의 위치정보 요구신호를 발생하면(제 30 단계: ST-30), 해당 위치정보 요구신호는 기등록된 번호의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로 인가된다(제 31 단계: ST-31).
그러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는 이동통신 중계서버(MDIS)로 차량 위치 요구신호 및 그 데이터 송수신장치(100)에 기등록된 모바일 번호정보를 전송한다(제 32 단계: ST-32).
차량 위치 요구신호 및 특정 모바일 번호정보가 인가되면,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MDIS)는 그 데이터를 최초로 중계한 중계기의 위치정보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A1∼An)측으로 전송하여(제 33 단계: ST-33) 사용자가 차량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제 34 단계: ST-34).
본 발명에서 예시한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는 가정의 각종 전자기기에 접속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가정의 전자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도 충분히 가능하다. 현재 리모콘으로 제어되는 가정의 각종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모바일 단말기(A1∼An)와 데이터 송수신장치(100)를 통해 전자기기의 제어신호로 입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리모콘 제어신호를 입력해야 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제어도 충분히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은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의 각종 기능제어를 이격된 거리에 무관하게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에서 감지된 각종 경보신호를 원격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의 위치를 각 중계기 단위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성 통신망을 통한 다국적 차량의 원격 제어도 가능해지고, 복잡한 리모콘 제어신호를 인가해야하는 가정의 섬세한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도 충분히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자 제어장치(ECU)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차량 기능 제어신호를 단문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각종 경보신호를 송신받을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특정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고유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며, 차량의 각종 기능 제어데이터가 선택 가능하게 저장되어진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전자 제어장치에 대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제어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고, 그 전자 제어장치로부터 인가된 경보신호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전자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있으며, 내부에 데이터 통신모듈이 구비된 데이터 송수신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장치간의 각종 데이터 중계처리를 행하며,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중계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는 특정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위치데이터에는 위치정보 요구신호를 최초로 중계한 중계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는 각종 설정 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매개하여 인가된 각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인가된 수신 데이터를 필터링 및 변조처리하기 위한 수신 신호처리부와; 이동통신망을 매개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경보 신호 및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로 차량위치 요구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를 통해 이동통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변조처리를 수행하는 송신 신호처리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어 데이터를 ECU로 인가시키거나, ECU로부터 전송된 차량상태 감지신호를 송신부로 인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송수신 알고리즘 및 장치 고유번호, 연동된 모바일 단말기 고유번호, 차량 위치요구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송신 제어데이터 및, 각종 생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인가된 제어데이터를 ECU로 인가하여 차량의 기능 제어를 행하도록 하며, ECU로 인가된 각종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차량 경보신호를 원격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차량의 위치 요구신호를 인가받아 특정 모바일 단말기 정보를 그 차량 위치 요구신호와 조합하여 이동통신 중계서버측으로 전송하도록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차량 기능제어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기등록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데이터 입력을 통해 원격 차량의 기능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음성인식 모듈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5. 차량에 구비되어 ECU와의 연동으로 차량의 각종 기능제어를 원격지의 모바일 단말기의 키조작으로 수행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제어메뉴를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과;
    출력된 차량의 제어메뉴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제어메뉴를 선택하는 과정과;
    그 모바일 단말기에 기저장된 고유번호의 데이터 송수신장치로 선택된 차량의 기능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가 전송된 원격 제어 데이터를 ECU로 인터페이스하는 과정과;
    상기 ECU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따라 차량의 기능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차량의 기능 제어 메뉴를 출력시키는 과정과;
    해당 기능 제어메뉴별로 해당되는 음성 데이터를 녹취하는 과정과;
    차량의 기능제어 데이터를 음성으로 입력하는 과정과;
    해당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 기능제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음성 입력을 통해 원격지의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CU와 연계된 차량의 각종 센서로부터 차량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ECU가 해당 차량 이상감지 신호에 따른 경보신호를 데이터 송수신장치로 인가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기저장된 고유번호의 모바일 단말기로 해당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차량 위치 요구신호를 특정 차량의 데이터 송수신장치로 발생하는 과정과;
    해당 데이터 송수신장치에서 기저장된 모바일 단말기의 번호와 차량 위치정보 요구신호를 이동통신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중계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최초로 수신한 중계기의 위치 정보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차량의 위치를 중계기의 위치를 통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방법.
KR1020020039850A 2002-07-09 2002-07-09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05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850A KR20040005341A (ko) 2002-07-09 2002-07-09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850A KR20040005341A (ko) 2002-07-09 2002-07-09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341A true KR20040005341A (ko) 2004-01-16

Family

ID=3731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850A KR20040005341A (ko) 2002-07-09 2002-07-09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534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565A (ko) * 2004-12-07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장치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텔레매틱스 장치 및 그를이용한 차량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
KR20070105601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만도 차량 제어 장치의 알림 처리 방법 및 그 차량 제어 장치
KR100843901B1 (ko) * 2004-12-04 2008-07-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지 차량 제어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0886683B1 (ko) * 2007-02-09 2009-03-04 한국위치정보 주식회사 차량 탑재용 초근접 위치추적 단말
KR101129271B1 (ko) * 2004-10-07 2012-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71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Gsm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KR200194511Y1 (ko) * 2000-03-21 2000-09-01 김주식 휴대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장치 및 그 휴대폰
KR20000053893A (ko) * 2000-04-28 2000-09-05 손영기 자동차도난경보시스템 및 자동차관리시스템을 내장하고자동으로 이동통신자동차위치추적시스템에 연결해주는자동차원격조정휴대폰 및 사용방법
JP2000295670A (ja) * 1999-04-09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遠隔操作装置および車両遠隔操作方法
KR20010090365A (ko) * 2000-03-25 2001-10-18 김민석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71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Gsm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의 원격제어방법 및 장치
JP2000295670A (ja) * 1999-04-09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遠隔操作装置および車両遠隔操作方法
KR200194511Y1 (ko) * 2000-03-21 2000-09-01 김주식 휴대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장치 및 그 휴대폰
KR20010090365A (ko) * 2000-03-25 2001-10-18 김민석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KR20000053893A (ko) * 2000-04-28 2000-09-05 손영기 자동차도난경보시스템 및 자동차관리시스템을 내장하고자동으로 이동통신자동차위치추적시스템에 연결해주는자동차원격조정휴대폰 및 사용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71B1 (ko) * 2004-10-07 2012-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43901B1 (ko) * 2004-12-04 2008-07-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지 차량 제어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20060063565A (ko) * 2004-12-07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 장치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텔레매틱스 장치 및 그를이용한 차량 장치의 원격 제어 방법
KR20070105601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만도 차량 제어 장치의 알림 처리 방법 및 그 차량 제어 장치
KR100886683B1 (ko) * 2007-02-09 2009-03-04 한국위치정보 주식회사 차량 탑재용 초근접 위치추적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6129B2 (en) Remote control of functions via wireless transmission of text-based messages
KR100843901B1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지 차량 제어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US9973608B2 (en) Flexible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matics to a vehicle
US75997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osition of remote vehicle using telematics system
KR100646710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US7672757B2 (en) Interface system between human and car
KR20060062640A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지 차량 진단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JP4432628B2 (ja) 車両遠隔監視システム、車両情報通信装置、通信端末、及び操作機
US7821383B2 (en) Apparatus for medium-range vehicle communications and control
US20060224305A1 (en) Vehicle uni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a vehicle and a wireless device
US20030193390A1 (en) Car control system and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US20070135978A1 (en) Vehicle status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765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ehicular information with a remote location
US75997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vehicle theft using telematics system
US81439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elematics terminal in vehicle
US20070156881A1 (en) Method for checking vehicle status in home telematics system
KR101369777B1 (ko)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시스템,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 장치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4079684A1 (en) A security system
KR20040005341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065212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US20060294364A1 (en) Security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JP2001063525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KR200183473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제어장치
KR1010733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차량용 텔레매틱스 시스템및 그 제어 방법
KR100723361B1 (ko) 차량의 원격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