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464A -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464A
KR20040003464A KR1020020038177A KR20020038177A KR20040003464A KR 20040003464 A KR20040003464 A KR 20040003464A KR 1020020038177 A KR1020020038177 A KR 1020020038177A KR 20020038177 A KR20020038177 A KR 20020038177A KR 20040003464 A KR20040003464 A KR 20040003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re
pulley
showcase
guid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국
Original Assignee
문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국 filed Critical 문병국
Priority to KR102002003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464A/ko
Publication of KR2004000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4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4Ornamental buttons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를 구비하며 물품을 수납 및 진열하는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진열장에 구비되는 중공의 가이드 채널; 상기 가이드 채널에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에 일부 권취된 채로 상기 도어에 일부분이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상하이동시 연동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상하 이동시 도어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는 밸런싱 웨이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간편한 동작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진열장 사용의 편의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고, 종래 도어가 장착되는 부위에 도어 개폐를 위하여 형성하던 레일홈이나 손잡이 또는 좌우측 도어들간의 중첩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염려가 없으므로 외관미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of Showcase Door}
본 발명은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힘의 전달기구로서 도르래를 이용함으로써 진열장의 도어들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상품이나 장식물, 또는 식기류/술병 등을 진열하기 위한 일종의 가구로서 흔히 진열장 내지는 장식장, 찬장 등이 사용되고 있다(여기서는 이를 통틀어 '진열장'이라고 호칭한다).
이러한 진열장에는 통상적으로 유리와 같은 투명한 소재,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불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각종 도어가 설치됨으로써 진열품의 노출을 차단하게 되며, 필요시에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함에 따라 진열장내의 물품들을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진열장에 채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도어들은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도어에 일체로 또는 부가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소정의 손잡이를 잡고서 여닫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개폐 방식에 의하면, 도어를 개폐할 때에 도어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이 다소 불편하게 느껴지고, 도어가 장착되는 부위에 도어 개폐를 위하여 형성되는 레일홈이나 손잡이 또는 좌우측 도어들간의 중첩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관미를 해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개폐 방식에 따른 불편 또는 단점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를 사용자가 보다 간편 개폐할 수 있고, 외관상으로도 미적인 요소를 해치지 않는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진열장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설치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가이드 채널 부위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 채널2 : 제1도르래
3,16,17 : 와이어4 : 제1연결부재
5 : 제2연결부재6 : 제2도르래
10 : 진열장11 : 선반
12,12' : 상측 도어12a, 13a : 도어 프레임
13,13' : 하측 도어14 : 제1도르래쌍
15 : 제2도르래쌍18,18' : 밸런싱 웨이트 수단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를 구비하며 물품을 수납 및 진열하는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진열장에 구비되는 중공의 가이드 채널; 상기 가이드 채널에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에 일부 권취된 채로 상기 도어에 일부분이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상하이동시 연동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상하 이동시 도어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는 밸런싱 웨이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는 상하로 배치되어 상호간에 상기 밸런싱 웨이트 기능을 하는 상측 및 하측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르래는 상기 가이드 채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은 상기 상측 도어로 현수되어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은 상기 하측 도어로 현수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와이어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채널과 평행하게 상기 상측 도어로 현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 채널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하측 도어로 현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채널의 중앙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지지하는 별도의 도르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는 상하로 배치되는 상측 및 하측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르래는 상기 상측 도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배열되는 제1도르래쌍과, 상기 하측 도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배열되는 제2도르래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도르래쌍과 상기 상측 도어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와, 상기 제2도르래쌍과 상기 하측 도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로 이루어지고,상기 밸런싱 웨이트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진열장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장치가 적용되기 위한 진열장(10)의 수납/진열 선반(11)에 구비되는 동일 하중의 도어(12,13)가 상하로 한쌍이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진열장(10)의 측면부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12,13)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진열장(10)에 내부가 비어있는 가이드 채널(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채널(1)의 상측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제1도르래(2)가 설치되며, 이 제1도르래(2)에는 소정의 장력을 갖는 와이어(3)가 일부 귄취된 채로 현수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3)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채널(1)의 상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지면과 수직으로 드리워지면서 상기 도어(12,13)들중 상측 도어(12)측에 고정이 되며, 상기 와이어(3)의 타측은 가이드 채널(1)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지면쪽으로 드리워져 하측 도어(13)측에 고정이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3)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상측 도어(12) 및 하측 도어(13) 각각에 연결,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1 및 제2연결부재(4,5)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4,5)는 각각 상측 도어(12) 및 하측 도어(13)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어(12,13)의 외곽을 둘러싸는 도어 프레임(12a,13a)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도어(12,13)가 특히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경우에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채널(1)에 대하여 경사지게 현수된 와이어(3)의 타측과 접촉하면서 이 와이어(3)의 장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채널(1)의 중간부분에 또하나의 도르래로서 제2도르래(6)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장의 상측 도어(12)와 하측 도어(13)가 각각 진열장 선반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와이어(3)가 제1도르래(2)를 중심으로 일측은 제1연결부재(4)를 매개로 연결된 상측 도어(12)의 하중에 의해 당겨지고, 타측은 제2연결부재(5)를 매개로 연결된 하측 도어(13)의 하중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서로 동일한 하중을 갖고 있는 상측 도어(12)와 하측 도어(13)가 서로 밸런싱 웨이트 기능을 하여 평형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3)의 타측이 가이드 채널(1)에 대해 경사지게 하측 도어(13)로 현수되어 있기 때문에, 제1도르래(2)에 대한 와이어(3)의 항력이 증대되므로 미소한 외력의 작용에 의해 상측 도어(12) 및 하측 도어(13)가 쉽게 유동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어(12,13)를 개방하기 위해 소정의 힘으로 상측 도어(12)를 상방으로 밀거나 하측 도어(13)를 하방으로 밀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도어(12)와 하측 도어(13)의 평형 상태가 이완되어 와이어(3)의 일측과 타측이 제1도르래(2)를 중심으로 각각 상하로 이동하면서 와이어(3)에 연결된 상측 도어(12)는 상방으로 슬라이딩되고 하측 도어(13)는 이에 연동하여 하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진열장 선반(11)이 노출된다.
이와 같은 도어(12,13)의 개방에 있어서, 도어(12,13)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미는 힘의 대소에 따라 개방되는 정도가 결정되며, 개방된 이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12,13)가 쉽게 유동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채널(1)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제2도르래(6)가 경사지게 현수된 와이어(3)의 타측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3)의 이동시에 장력을 지지하게 되므로 와이어(3)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는 상하로 배치되는 상측 도어(12')와 하측 도어(13')가 서로 연동되지 않고 별도로 작동되도록 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르래는 상측 도어(12')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배열되는 제1도르래쌍(14)과, 하측 도어(13')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배열되는 제2도르래쌍(1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와이어는 상기 제1도르래쌍(14)과 상측 도어(12')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16)와, 상기 제2도르래쌍(15)과 하측 도어(13')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17)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제1 및 제2와이어(16,17)에는 각각 별도의 밸런싱 웨이트 수단(18,18')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동작은 앞서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되, 그 작동되는 방식은 이와 달리, 상측 도어(12')와 하측도어(13')가 서로 별도의 밸런싱 웨이트 수단(18,18')과 연결됨으로써 서로 연동되지 않고 별도로 상하 이동됨으로써, 어느 한쪽 도어만을 개폐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간편한 동작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진열장 사용의 편의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고, 종래 도어가 장착되는 부위에 도어 개폐를 위하여 형성하던 레일홈이나 손잡이 또는 좌우측 도어들간의 중첩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염려가 없으므로 외관미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5)

  1. 도어를 구비하며 물품을 수납 및 진열하는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진열장에 구비되는 중공의 가이드 채널;
    상기 가이드 채널에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에 일부 권취된 채로 상기 도어에 일부분이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상하이동시 연동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상하 이동시 도어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는 밸런싱 웨이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하로 배치되어 상호간에 상기 밸런싱 웨이트 수단으로 기능하는 상측 및 하측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르래는 상기 가이드 채널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은 상기 상측 도어로 현수되어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은 상기 하측 도어로 현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채널과 평행하게 상기 상측 도어로 현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 채널에 대해 경사지게 상기 하측 도어로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의 중앙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지지하는 별도의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하로 배치되는 상측 및 하측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르래는 상기 상측 도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배열되는 제1도르래쌍과, 상기 하측 도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배열되는 제2도르래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도르래쌍과 상기 상측 도어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와, 상기 제2도르래쌍과 상기 하측 도어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런싱 웨이트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KR1020020038177A 2002-07-03 2002-07-03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KR20040003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177A KR20040003464A (ko) 2002-07-03 2002-07-03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177A KR20040003464A (ko) 2002-07-03 2002-07-03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907U Division KR200291318Y1 (ko) 2002-07-03 2002-07-03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464A true KR20040003464A (ko) 2004-01-13

Family

ID=3731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177A KR20040003464A (ko) 2002-07-03 2002-07-03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4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019B1 (ko) * 2011-02-10 2011-05-17 탱크테크 (주) 화재진압용 미분무수 노즐
KR101040075B1 (ko) * 2009-04-27 2011-06-09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3188Y2 (ko) * 1983-02-10 1989-12-14
KR910000183U (ko) * 1989-06-05 1991-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쇼우케이스의 자동 폐문 장치
KR950029296U (ko) * 1994-04-09 1995-11-17 이은옥 승강가변식 가구의 승강장치
JPH11229702A (ja) * 1998-02-18 1999-08-24 Yukihiro Asano 移動壁又は移動型絵画等の展示パネル等の上下動装置
KR200283675Y1 (ko) * 2002-04-23 2002-07-27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캔바스 도어의 상하 이동장치
KR200308436Y1 (ko) * 2002-12-12 2003-03-28 주식회사 티에스에스 문화재 전시용 벽부형 진열장의 전면스크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3188Y2 (ko) * 1983-02-10 1989-12-14
KR910000183U (ko) * 1989-06-05 1991-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쇼우케이스의 자동 폐문 장치
KR950029296U (ko) * 1994-04-09 1995-11-17 이은옥 승강가변식 가구의 승강장치
JPH11229702A (ja) * 1998-02-18 1999-08-24 Yukihiro Asano 移動壁又は移動型絵画等の展示パネル等の上下動装置
KR200283675Y1 (ko) * 2002-04-23 2002-07-27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캔바스 도어의 상하 이동장치
KR200308436Y1 (ko) * 2002-12-12 2003-03-28 주식회사 티에스에스 문화재 전시용 벽부형 진열장의 전면스크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075B1 (ko) * 2009-04-27 2011-06-09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035019B1 (ko) * 2011-02-10 2011-05-17 탱크테크 (주) 화재진압용 미분무수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05561B2 (en) Retail product display system with a drawer provided with a movable demonstration product locator at its front
US6840592B2 (en) Drinking glass display and storage cabinet
US20130257236A1 (en) Furniture including a slidable display stand for concealing a television
DK1138228T3 (da) Salgsdisk med et varerum med et lukkende betjeneligt lukke
KR200291318Y1 (ko)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KR20040003464A (ko) 진열장 도어 개폐장치
CA2920267C (en) Cabinet doors
KR100838341B1 (ko)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
JP2004305491A (ja) 昇降吊戸棚
KR200352107Y1 (ko) 서랍장을 구비한 화장대
JPH10262843A (ja) 昇降収納装置
US929457A (en) Display-box for stores.
KR200181591Y1 (ko) 가구의 서랍 개량 구조
US9451837B2 (en) Temperature controlled display cabinet, in particular a freezer island, comprising a door
KR20140059475A (ko) 은닉형 슬라이딩 방식의 진열장
KR200337575Y1 (ko) 보조 테이블이 갖추어진 수납장
ITPN940033U1 (it) Apparecchio frigorifero verticale con chiusura perfezionata delle porte
KR102466402B1 (ko)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JP7371971B2 (ja) 棚上開口の開閉扉を支持する支柱体
KR102117198B1 (ko) 차단봉 기능을 갖는 실외 배너 광고장치
KR200197983Y1 (ko) 회전 진열장
KR100791593B1 (ko) 라이터용 진열장
JP2002017464A (ja) 昇降式戸棚
JP3471697B2 (ja) 吊り戸棚
JP4443311B2 (ja) 昇降収納ラックの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