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301A -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 Google Patents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301A
KR20040003301A KR1020020037964A KR20020037964A KR20040003301A KR 20040003301 A KR20040003301 A KR 20040003301A KR 1020020037964 A KR1020020037964 A KR 1020020037964A KR 20020037964 A KR20020037964 A KR 20020037964A KR 20040003301 A KR20040003301 A KR 20040003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crane
working
mast
hanger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402B1 (ko
Inventor
정삼룡
한송수
이상헌
이계영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4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posts, e.g. scaffolding, trees or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층 건축물 골조 축조에 설치되는 상승형 타워크레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의 상승시 최하부의 콜라를 해체하기 위해 설치되는 작업발판이 상승하는 타워크레인을 따라 동시에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발판을 제공하고 하부 작업자에게는 낙하물 방지망의 역할이 되며 완벽한 작업발판을 반복적으로 제공하게 되는 등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트내에 설치되는 상승형 타워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타워크레인의 마스트 하단에 작업발판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행거에 의해 메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Climbing type tower-crane with a flying scaffolding}
본 발명은 초고층 건축물 골조 축조에 설치되는 상승형 타워크레인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의 상승시 최하부의 콜라를 해체하기 위해 설치되는 작업발판이 상승하는 타워크레인을 따라 동시에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발판을 제공하고 하부 작업자에게는 낙하물 방지망의 역할이 되며 완벽한 작업발판을 반복적으로 제공하게 되는 등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타워크레인은 건설현장 등에서 작업수화물을 용이하게 작업자가 원하는 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립구조체로서 작업환경에 따른 작업하중과 풍압과 같은 외부 하중조건들을 고려한 구조적 역학계산에 의거하여서 모멘트 등을 고려하여 작성된 하중표에 의해 적정한 작업수하물을 안전하게 승하강 및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타워크레인은 수직부재인 마스트가 바닥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연장 상승시키는 프리스탠딩타입(고정형)과 골조의 상승축조에 따라 마스트가 들려져 올라가는 클라이밍타입(상승형)을 포함하고, 트레이를 구비하여 지브가 수평적으로 회전하는 T타입과 지브가 상하 회동하는 러핑타입으로 분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러핑타입의 타워크레인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타워크레인(10)은 지반에 수직하게 세워진 마스트(11), 이 마스트(11)의 상부 선단부에서 카운트웨이트(12)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도록 된 수평대인 카운트지브(13) 및 후크블록(14)을 갖춘 메인지브(15), 상기 마스트(11)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구비된 스윙모터에 의해 짐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선회장치(16), 이 선회장치의 상부에서 운전석과 상기 카운트지브와 메인지브를 연결하여 지탱하는 켓트헤드(17), 상기 마스트의 소정위치에 배설되어 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유압상승장치(미도시) 등을 갖추고 있다.
한편 타워크레인(10)은 본골조(1)에 설치되기 보다는 엘리베이터실 또는 계단실을 형성하기 위해 선행 구축되는 수직 피트(PIT)(2)내에 설치하게 되고 초고층임을 감안하면 상기 타워크레인(10)은 클라이밍타입(상승형)이 설치된다.
이 때 피트(2)내의 벽에는 상기 타워크레인의 마스트(11)를 지지시키거나 상승시 지탱시키기 위해 H형강 형태의 지지대(3)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는 것과 함께 상기 지지대(3)상에는 콜라(COLLAR)(4)가 설치된다.
이렇게 수직 피트(2)내에 상승형 타워크레인을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건물이 한층 한층 축조되어 일정한 높이에 다다를 때마다 타워크레인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최하부에 위치한 지지대(3) 및 콜라(4)를 해체하여 최상부에 반복적으로 재설치하게 된다.
그럴 경우 최하부의 지지대(3) 및 콜라(4)를 해체하려면 피트(2) 허공에 작업반판을 만들게 되고 기존의 방식은 바닥으로부터 계속적으로 비계를 메어 올라가거나 필요한 높이의 허공에 발판을 가설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작업발판 설치작업은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닥으로부터 계속적으로 비계를 메어 올라가기에는 그 높이에 제한이 따르게 되고 비계의 설치작업에 있어서도 많은 자재 및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사용후 해체작업 역시 쉽지 않게 된다.
또한 필요한 높이의 허공에 발판을 가설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공중작업을 감수해야 하고 그럴 경우 낙하물의 발생에 따른 피트내 하부 작업자게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것과 함께 작업자의 추락을 보장할 수 없으며 그 설치작업은 건물이 한층 한층 축조될 때 마다 하부의 발판을 해체시켜 상부로 재설치해야 하는 등으로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워크레인의 상승시 최하부의 지지대 및 콜라를 해체하기 위해 설치되는 작업발판이 상승하는 타워크레인을 따라 동시에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발판을 제공하고 하부 작업자에게는 낙하물 방지망의 역할이 되며 완벽한 작업발판을 반복적으로 제공하게 되는 등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은 피트내에 설치되는 상승형 타워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타워크레인의 마스트 하단에 작업발판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행거에 의해 메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으로 타워크레인의 최초 상승후 두 번째 상승 이전에 미리 제작한 발판을 타워크레인의 마스트에 매달아 놓음으로써 타워크레인의 상승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작업발판이 상승하여 소요 위치에 놓이게 되어 타워크레인을 취급하는 작업자에게는 안전한 작업발판을 제공하고, 피트내 하부 작업자에게는 낙하물 방지망을 제공하게 되어 추락 및 낙하물에 의한 재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완벽한 작업발판을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피트내 상승형 타워크레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타워크레인의 상승을 나타내는 피트내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마스트 하부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피트내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본골조 2: 피트
3: 지지대 4: 콜라
10: 타워크레인 11: 마스트
20: 작업발판 21,22: 고리
23: 행거 23a,23b: 후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마스트 하부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피트내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은 타워크레인(10)의 마스트(11) 하단에 작업발판(20)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메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작업발판(20)이 마스트(11)에 메달릴 수 있도록 작업발판(20)상에 고리(21)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발판(20)에 설치된 고리(21)와 대향하도록 마스트(11) 하단에 고리(22)가 설치되며, 상기 대향하는 고리(21)(22)가 행거(23)로 연결된다.
상기 행거(23)는 와이어, 로프, 체인, 환봉, 각봉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양단에 후크(23a)(23b)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행거(23)는 타워크레인의 상승시 상부의 지지대(3) 및 콜라(4)를 통과할 수 있는 폭을 지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업발판(20)은 피트(2)내 공간넓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타워크레인의 최초 상승후 두 번째 상승 이전에 미리 제작한 작업발판(20)을 타워크레인(10)의 마스트(11)에 매달아 놓음으로써 타워크레인(10)의 상승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작업발판(20)이 상승하여 소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즉 타워크레인의 최초 상승후 두 번째 상승 이전에 행거(23)를 사용하여 그 일단을 작업발판(20)에 설치된 고리(21)에 묶고 타단을 마스트(11)에 설치된 고리(22)에 묶음으로써 작업발판(20)은 마스트(11)에 매달리게 된다.
이 때 행거(23)의 양단에 후크(23a)(23b)가 설치될 경우에는 그 설치작업이 보다 간편해진다.
설치작업이 완료되고 건물이 한층 한층 축조되어 일정한 높이에 다다를 때 마다 타워크레인(10)을 상승시키게 되면 타워크레인의 마스트(11) 하단에 메달린 작업발판(20)이 자동적으로 상승하여 소요 위치에 놓이게 됨으로써 마스트가 벗어난 지지대(3) 및 콜라(4)를 해체시키기 위한 작업이 상기 작업발판(20)상에서 이루어져 작업자에게는 안전한 작업발판을 제공하고, 피트(2)내 하부 작업자에게는 낙하물 방지망을 제공하게 되어 추락 및 낙하물에 의한 재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완벽한 작업발판을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은 타워크레인의 마스트 하단에 작업발판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메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에 의해, 타워크레인의 상승시 최하부의 지지대 및 콜라를 해체하기 위해 설치되는 작업발판이 상승하는 타워크레인의 마스트를 따라 자동적으로 상승되어 소정 위치에 놓이게 됨으로써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발판을 제공하고 하부 작업자에게는 낙하물 방지망의 역할이 되며 완벽한 작업발판을 반복적으로 제공하게 되는 등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1. 피트내에 설치되는 상승형 타워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타워크레인의 마스트 하단에 작업발판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행거에 의해 메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발판(20)이 마스트(11)에 메달릴 수 있도록 작업발판(20)상에 고리(21)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발판(20)에 설치된 고리(21)와 대향하도록 마스트(11) 하단에 고리(22)가 설치되며, 상기 대향하는 고리(21)(22)가 행거(23)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23)는 와이어, 로프, 체인, 환봉, 각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23)는 타워크레인의 상승시 상부의 지지대 및 콜라를 통과할 수 있는 폭을 지니고, 상기 작업발판(20)은 피트(2)내 공간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KR10-2002-0037964A 2002-07-02 2002-07-02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KR100452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964A KR100452402B1 (ko) 2002-07-02 2002-07-02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964A KR100452402B1 (ko) 2002-07-02 2002-07-02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301A true KR20040003301A (ko) 2004-01-13
KR100452402B1 KR100452402B1 (ko) 2004-10-12

Family

ID=3731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964A KR100452402B1 (ko) 2002-07-02 2002-07-02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8436A (zh) * 2016-03-17 2016-06-15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超高层施工内爬塔吊底部防护平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4559B2 (ja) * 1993-01-13 1996-08-14 日精株式会社 駐車装置の作業用ゴンドラ
JP3379813B2 (ja) * 1994-03-17 2003-02-24 ジャパン スチール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吊り足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8436A (zh) * 2016-03-17 2016-06-15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超高层施工内爬塔吊底部防护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2402B1 (ko) 2004-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3874B2 (en) Climbing equipment and climbing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CN201826542U (zh) 自爬升防护网
CN104929353A (zh) 可拆卸楼梯式电梯井自动爬升操作平台
KR100909447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0452402B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
JP3237295U (ja) 建築物外部のクライミング式工事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
CN115584851A (zh) 一种筒类构筑物无支撑杆绿色滑模施工平台
US20070267249A1 (en) Roof safety system
WO1992021838A1 (en) Work platform system for multi-storey buildings
CN216950218U (zh) 一种钻井扶梯跌落防护装置
CN217027998U (zh) 一种加高的吊篮悬挂结构
JP4011722B2 (ja) 吊り階段
CN220167447U (zh) 一种便携式的高空安全作业装置
AU20192012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vertically adjustable tower crane
CN212201874U (zh) 登高作业安全防护用吊架笼装置
JP2855210B2 (ja) 深礎工法における作業足場
CN220036560U (zh) 一种悬挂式笼梯
CN210857952U (zh) 一种新型附着式升降脚手架
CN215671309U (zh) 一种预制临时上人楼梯
CN2167147Y (zh) 互升降外墙脚手架
CN213296082U (zh) 一种高空作业平台
CN210828301U (zh) 一种爬架用通道板装置
CN213015273U (zh) 一种脚手架
CN212387689U (zh) 一种装配式建筑用升降装置
KR100583775B1 (ko) 건축용 비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