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617A -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617A
KR20040001617A KR1020020036878A KR20020036878A KR20040001617A KR 20040001617 A KR20040001617 A KR 20040001617A KR 1020020036878 A KR1020020036878 A KR 1020020036878A KR 20020036878 A KR20020036878 A KR 20020036878A KR 20040001617 A KR20040001617 A KR 2004000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fixed
housing
guid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항
정병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617A/ko
Publication of KR2004000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서 원료를 하역하는 설비인 언로더에 설치되어 원료하역에 직접 사용되는 버켓의 호이스팅 와이어로프 교체를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하여 안전사고 및 설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부하를 경감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면에 지지되고 삼각형태를 이루면서 배치되고 그 꼭지점에는 고정환이 구비된 권취대와; 상기 권취대의 상면에 고정되고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에 고정되고 그와 동시에 회전되면서 낙하되는 와이어로프가 상기 권취대의 외표면에 권취되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로프를 언로더로부터 분리해낼 때에 와이어로프의 자중에 의한 낙하작용과 스파이어럴스프링의 탄성복귀력에 의한 하우징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부드럽고 원활하게 권취대에 코일형태로 권치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WIRE ROPE AUTOMATIC COILING DEVICE}
본 발명은 선박에서 원료를 하역하는 설비인 언로더에 설치되어 원료하역에 직접 사용되는 버켓의 호이스팅 와이어로프 교체를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하여 안전사고 및 설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부하를 경감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1)을 통해 석탄, 분광, 괴광 등의 원료가 수송되어 오면 이들 원료를 하역하는 설비인 언로더(UNLOADER)(2)의 버켓(3)을 이용하여 하역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켓(3)은 원료를 선박(1)에서 직접 퍼올리는 주장치로서 원료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버켓(3)이 달리 정해져 있으므로 원료의 종류에 대응되는 버켓(3)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며, 동시에 해당 버켓(3)의 와이어로프(4)도 같이 교체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버켓(3)은 그 자중만 해도 약 30톤이 넘다 보니 상기 와이어로프(4)의 무게 또한 엄청나서 신중한 작업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상기 버켓(3)의 와이어로프(4)를 교체할 때에 도 2의 도시와 같이, 먼저 버켓(3)을 지상으로 내린 다음 언로더(2)의 상측에 구비된 와이어드럼(도 1의 '5')에 감긴 와이어로프(4)를 풀어 내리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이때, 신호자의 수신호에 따라 2명의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로프(4)를 각각 1가닥씩 잡고 지상으로 내리면서 원형으로 적치하여 정리 보관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교체작업은 모두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과다한 시간 및 인력을 필요로 하고, 특히 지상에 보관된 와이어로프(4)를 와이어드럼(5)에 다시 감아 올릴 때 이용되는 보조와이어로프(6)와 와이어로프(4)를 연결하는 연결너트(7)가 상기 와이어로프(4)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시 용접부위가 떨어져 하부로에서 와이어로프(4)를 정리하는 작업자 위로 떨어져 치명적인 위해를 가하는 안전재해가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위험성이 상존해 있기 때문에 작업 기피현상이 심각하여 원료의 하역작업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언로더의 버켓에 연결된 와이어로프의 교환작업시 와이어드럼에서 풀려져 내려오는 와이어로프를 손쉽게 끌어 내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적치대에 자동적으로 권취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작업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원활한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하역설비인 언로더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버켓의 와이어로프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권취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권취장치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권취대 110....형상유지판
120....고정환 130....구름베어링
140....회전방지구 200....동력발생부
210....하우징 230....절개홈
240....스파이어럴스프링 250....고정부재
260....안내환 270....고정키
300....와이어안내부 310....서포트
320....고정판 340....가이드롤
350....손잡이 400....샤프트
본 발명은 바닥면에 지지되고 삼각형태를 이루면서 배치되고 그 꼭지점에는 고정환이 구비된 권취대와; 상기 권취대의 상면에 고정되고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에 고정되고 그와 동시에 회전되면서 낙하되는 와이어로프가 상기 권취대의 외표면에 권취되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권취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권취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권취장치는 바닥면에 지지되고 대략 삼각형태를 이루면서 와이어로프(W)가 권취되는 권취대(100)와, 상기 권취대(100)의 상면에 고정되고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200)와, 상기 동력발생부(200)에 고정되고 동시 회전되면서 낙하되는 와이어로프(W)를 안내유도하는 와이어안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권취대(100)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이 넓게 벌려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오므려진 형태로 배치된다.
특히, 상기 권취대(100)는 사각막대형상의 부재들이 대략 삼각형태를 이루면서 삼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무게를 줄임으로써 이동의 용이성을 확보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권취대(100)는 사각막대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권취대(100)의 상단부에는 각 내면들과 연결고정되는 형상유지환(110)이 용접과 같은 방식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형상유지환(110)의 중심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구(112)가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권취대(100)의 꼭지점에는 고정환(12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환(120)에는 한쌍의 와셔(132)에 의해 고정되는 구름베어링(13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환(1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원통형상의 회전방지구(140)가 일체로 고정된다.
동력발생부(200)는 원통형상의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면을 분리가능하게 밀폐하는 커버(220)와, 상기 하우징(210)에 삽입되는 스파이어럴스프링(240)과,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 하단에 고정된 안내환(260)과,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 일부가 종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환(120), 구름베어링(130) 및 하우징(210), 커버(220)를 관통하여 샤프트(400)가 끼워지며, 상기 샤프트(400)의 상하단은 각각 고정너트(410a,410b)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상기 스파이어럴스프링(240)의 일단은 상기 샤프트(400)에 형성된 고정홈(420)에 끼워진 후 용접과 같은 방식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210)의 절개홈(23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후 고정부재(250)를 통해 상기 하우징(210)과 일체로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안내환(260)과 회전방지구(140)는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키(270)가 끼워져 상기 하우징(210)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잡아주게 된다.
와이어안내부(3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 일부로부터 돌출연장된 서포트(310)와, 상기 서포트(310)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판(320)과, 상기 고정판(320)의 상면에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면서 돌출형성된 다수의 지지브라켓(330)과, 상기지지브라켓(330)들에 의해 착탈가능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된 다수의 새들형 가이드롤(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310)는 그 길이 일부 하단면에 하향 돌출된 손잡이(350)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2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고정판(320)은 그 중앙에 상기 와이어로프(W)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340)들은 와이어로프(W)가 통과되면서 구름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와이어로프(W)의 원활한 하강 혹은 상승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키(270)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손잡이(350)를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하우징(2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스파이어럴스프링(240)은 시계태엽과 같이 압축되게 된다.
상기 스파이어럴스프링(240)이 최대로 압축시키는 과정에서 안내환(260)과 회전방지구(140)를 일치시킨 후 고정키(270)를 상기 안내환(260)과 회전방지구(140) 사이에 끼워 넣어 스파이어럴스프링(240)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로프(W)를 가이드롤(340)들 사이로 인입시켜 고정판(320)을 관통시킨 후 와이어로프(W)를 권취할 준비를 하게 된다.
준비가 완료되면 신호자의 수신호에 따라 언로더(2)의 운전자가와이어로프(W)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고정키(270)를 안내환(260)과 회전방지구(14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와이어로프(W)는 그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됨과 아울러 스파이어럴스프링(240)의 압축상태가 해제되면서 풀리는 과정에서 샤프트(400)를 중심으로 하우징(21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회전동작에 따라 하강되던 와이어로프(W)는 가이드롤(340)을 통해 안내되면서 권취대(100)에 코일형태로 권취되면서 적재되게 된다.
권취가 완료된 와이어로프(W)는 적치 보관토록 하고, 본 발명의 권취장치는 이동시켜 또다른 권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치 보관된 와이어로프(W)를 다른 언로더에 장착시킬 때에는 풀 때의 역순으로 작업하여 장착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로프를 언로더로부터 분리해낼 때에 와이어로프의 자중에 의한 낙하작용과 스파이어럴스프링의 탄성복귀력에 의한 하우징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부드럽고 원활하게 권취대에 코일형태로 권치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바닥면에 지지되고 삼각형태를 이루면서 배치되고 그 꼭지점에는 고정환(120)이 구비된 권취대(100)와;
    상기 권취대(100)의 상면에 고정되고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200)와;
    상기 동력발생부(200)에 고정되고 그와 동시에 회전되면서 낙하되는 와이어로프(W)가 상기 권취대(100)의 외표면에 권취되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안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200)는 원통형상의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면을 분리가능하게 밀폐하는 커버(220)와,
    상기 고정환(120), 하우징(210) 및 커버(220)를 관통하여 고정되되 상기 하우징(210)은 아이들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배설되는 샤프트(400)와;
    일단은 상기 샤프트(400)에 고정되고 이에 코일형태로 권취된 후 상기 하우징(210)의 일부를 관통하여 그 외주면에 고정된 스파이어럴스프링(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안내부(300)는 상기 동력발생부(200)와 연결되고 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배설된 서포트(310)와,
    상기 서포트(310)의 단부에 고정되고 그 중앙에는 와이어로프(W)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판(320)과,
    상기 고정판(320)의 상면인 관통공을 둘러싸는 형태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지지브라켓(330)과,
    상기 지지브라켓(330)들에 의해 착탈가능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된 다수의 새들형 가이드롤(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환(120)은 그 외주면 일부에는 회전방지구(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 일부에는 안내환(260)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환(260)과 회전방지구(140)를 관통하여 이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키(270)가 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KR1020020036878A 2002-06-28 2002-06-28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KR20040001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878A KR20040001617A (ko) 2002-06-28 2002-06-28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878A KR20040001617A (ko) 2002-06-28 2002-06-28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617A true KR20040001617A (ko) 2004-01-07

Family

ID=3731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878A KR20040001617A (ko) 2002-06-28 2002-06-28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6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016B1 (ko) * 2005-05-09 2007-03-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셋팅장치
KR100696012B1 (ko) * 2005-05-09 2007-03-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셋팅장치
WO2017142152A1 (ko) * 2016-02-17 2017-08-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블 권선 장치
CN108483301A (zh) * 2018-05-21 2018-09-04 国家海洋局第海洋研究所 一种新型、便捷的缆绳夹持配重
KR20210128812A (ko) 2020-04-17 2021-10-27 유한회사 와이디 로프 소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016B1 (ko) * 2005-05-09 2007-03-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셋팅장치
KR100696012B1 (ko) * 2005-05-09 2007-03-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셋팅장치
WO2017142152A1 (ko) * 2016-02-17 2017-08-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블 권선 장치
CN108483301A (zh) * 2018-05-21 2018-09-04 国家海洋局第海洋研究所 一种新型、便捷的缆绳夹持配重
KR20210128812A (ko) 2020-04-17 2021-10-27 유한회사 와이디 로프 소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303875U (zh) 一种消防检修用电焊机
KR20040001617A (ko) 와이어로프 자동 권취장치
CN203411255U (zh) 一种散货船吊机
CN103896162A (zh) 一种船用固定杂物吊机
WO2017020122A1 (en) Cable guide for drill line slip and cut operations on a drilling rig and related method for achieving a tensioned state of the drill line
JPH03272998A (ja) 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取替方法
CN212217587U (zh) 一种随车吊吊车驾驶舱座椅骨架焊接工装
GB2183212A (en) Apparatus for handling loads
KR20130004699U (ko) 리프팅 러그의 제거용 안전 지그
CN201660388U (zh) 钢绳牵引车钢绳张紧装置
US2367912A (en) Tagline device
CN213141339U (zh) 一种电力线路检修辅助装置
US48588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objects inside a limited access vessel
KR101911526B1 (ko) 스풀링 윈치 장치 및 이 장치의 작동 방법
CN208964282U (zh) 电力施工用出线管理装置
CN220723188U (zh) 一种方便运输的绕线设备
CN110980520B (zh) 钢丝绳快速更换方法
EP0121957A1 (en) Combination of a hoist drum and hoist cable for a winch
CN114314403A (zh) 一种带载排绳装置
US2424307A (en) Rotary pay-off
KR100823680B1 (ko) 선박 건조를 위한 블록 지지 파이프 제거용 에어윈치
CN221026935U (zh) 一种铜线放线打结时的乱线停机防护装置
KR19980043629U (ko) 호이스팅 와이어 로프의 자동 권취장치
CN217358578U (zh) 一种建筑外墙高空检测系统
US3000589A (en) Wire coil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