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599A -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599A
KR20040001599A KR1020020036859A KR20020036859A KR20040001599A KR 20040001599 A KR20040001599 A KR 20040001599A KR 1020020036859 A KR1020020036859 A KR 1020020036859A KR 20020036859 A KR20020036859 A KR 20020036859A KR 20040001599 A KR20040001599 A KR 20040001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utting
roller
cylinde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훈
최계성
박민수
권오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599A/ko
Publication of KR20040001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59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제철소의 압연라인에서 압연작업중 판물림이나 꼬임등 비정상적인 압연조건으로 인하여 오작이 발생되었을 경우 이를 롤러테이블에서 취외하고 절단하여 처리하기 위한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오작재 자동처리장치는 롤러테이블상(2)의 오작재(1)를 폭방향 절단하는 절단토오치(200-22)와 취외테이블롤러(10)상의 오작재를 절단하고 처리하는 절단토오치(200-38)와 스텐드(200-1)로 조합된 오작재절단장치(200)와, 롤러테이블(2)상의 오작재를 취외,안착하는 테이블롤(10-8)과 테이블롤을 축방향 전,후진시키는 구동력을 주는 가역식모터(10-1)와 연결링크(10-4,10-12)로 이루어진 취외테이블롤러장치(10)와, 오작재를 세우는 바스텐딩장치(50)와, 가변형리프트장치(100) 및 안착이송장치(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An auto cutting apparatus of poor strip in line roll-mill system}
본 발명은 제철소의 압연라인에서 압연작업중 판물림이나 꼬임등 비정상적인 압연조건으로 인하여 오작이 발생되었을 경우 이를 롤러테이블에서 취외하고 절단하여 처리하기 위한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압연라인에서 압연작업중 판물림이나 꼬임등 비정상적인 압연조건으로 인하여 오작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작이 발생되면 작업자가 투입되어 수작업으로 냉각 및 절단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오작재의 처리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압연라인에서 오작이 발생되면 롤러테이블(2)상에 놓여진 고온의 오작재(1)를 다수의 작업자(5)가 냉각수 호스(6)를 이용하여 냉각 시킨 다음 산소절단토오치(7)를 이용하여 해당 오작부분을 절단한다.
작업자들에 의해 절단된 오작재는 롤러테이블(2)의 측면에 설치된 푸셔바(3)를 이용하여 취외테이블(4)로 취외 시킨다.
이후, 취외 된 오작재(1-1)를 작업자(5)가 냉각수호스(6)를 이용하여 완전냉각 시켜 산소절단토오치(7)로 절단하여 스크랩처리 한다.
그런데, 하나의 오작재를 완전히 처리하기도 전에 다시 오작이 발생하게 되면 작업자들은 롤러테이블(2)상에서 냉각을 시키면서 와이어로프를 오작재에 취부한 후, 크레인을 이용해 취외를 시켜야 한다.
이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설비의 가동율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되고 고온의 오작재 처리로 인해 육체적 부하가 많아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상기 한 종래의 오작재 처리공정에 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철소의 압연라인에서 압연작업중 판물림이나 꼬임등 비정상적인 압연조건으로 인하여 오작이 발생되었을 경우 이를 롤러테이블에서 취외하고 절단하여 처리하기 위한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오작재의 처리작업 사시도이다.
도 2는 본발명 연속발생 오작재의 스텐드형 자동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발명 연속발생 오작재의 스텐드형 자동처리장치 중 취외테이블롤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발명 연속발생 오작재의 스텐드형 자동처리장치 중 바스텐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발명 연속발생 오작재의 스텐드형 자동처리장치 중 안착이송장치와 가변형 리프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발명 연속발생 오작재의 스텐드형 자동처리장치 중 오작재 절단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발명 연속발생 오작재의 스텐드형 자동처리장치를 이용한 연속오작재 처리 작업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작재 2 : 롤러테이블
3 : 푸셔바 4 : 취외테이블
10 : 취외테이블롤러장치 50 : 오작재 스텐딩장치
80 : 안착이송장치 100 : 가변형 리프팅장치
200 : 오작재 절단처리장치
10-1,50-6,80-10,100-12,100-20,200-14,200-31,200-43,200-45 : 모터
10-20,50-10,50-15,80-5,100-6,100-15,200-9 : 실린더
50-8,80-9,200-27,200-35,200-40 : 스크류
80-12,100-1,200-23,200-47 : 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롤러테이블상의 오작재를 폭방향 절단하는 절단토오치와 취외테이블롤러 상의 오작재를 절단하고 처리하는 절단토오치와 스텐드로 조합된 오작재절단장치와, 롤러테이블 상의 오작재를 취외,안착하는 테이블롤과 테이블롤을 축방향 전,후진시키는 구동력을 주는 가역식모터와 연결링크로 이루어진 취외테이블롤러장치와, 오작재를 세우는 바스텐딩장치와, 가변형리프트장치 및 안착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로서, 크게 취외테이블롤러장치(10)와 바스텐딩장치(50)와 안착이송장치(80)와 가변리프팅장치(100)와 오작재절단처리장치(200)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상기 취외테이블롤러장치(1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장치는 가역식모터(10-1)의 조립구(10-2)에 연결링크(10-4)의 외접기어 가공축부(10-3)가 조립되고 테이블롤(10-8)의 핀홈(10-7)과 상기 연결링크(10-4)의 핀홈(10-5)이 일치되게 끼워져 연결핀(10-6)으로 연결된다.
상기 테이블롤(10-8)의 베어링조립구(10-9)에는 베어링(10-10)을 사이에 둔채로 연결링크(10-12)의 링크축(10-11)이 베어링(10-10)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상기 연결링크(10-12)의 핀홈(10-13)과 길이보정링크바(10-16)의 핀홈(10-15)은 서로 일치되게 끼워져 연결핀(10-14)으로 연결되며, 업다운실린더(10-20)의 핀홈(10-18)과 길이보정링크바(10-16)의 핀홈(10-17)이 일치되게 끼워져 연결핀(10-19)으로 연결된다.
도 4는 상기 바스텐딩장치(50)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베드(50-1)의 블럭베어링조립구(50-2)에는 블럭베어링(50-3)이 조립되고 블럭베이스(50-9)의 피치가공홈(50-7)에 스크류(50-8)가 끼워져 스크류(50-8)의 일단의축(50-8-B)이 블럭베어링(50-3)에 조립되고 다른 일단의 외접기어가공축부(50-8-A)는 베어링홈(50-4)에 조립된 베어링(50-5)에 끼워져 모터(50-6)와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모터가 베드(50-1)에 고정 조립되고 안테나실린더(50-10)가 푸셔블럭베이스(50-12)와 블럭베이스(50-9)를 연결된다.
푸셔블럭베이스(50-12)와 블럭베이스(50-9)의 실린더안착홈(50-13,50-14)에는 안테나실린더(50-15A,50-15B)가 장착되어 가이드바(50-16)와 조립된다.
가이드바(50-16)의 기어가공홈(50-17)에는 바베드(50-21) 연결링크(50-19)의 링크홈(50-20)이 일치되게 끼워져 양측으로 외접되게 피치가공된 연결핀(50-18)에 삽입되는 것으로 바베드(50-21)와 가이드바(50-16)가 연결되며 바베드(50-21)의 센서취부홈(50-22)에 근접센서(50-23)가 조립된다.
도 5는 상기 안착이송장치(80)와 가변형 리프트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블럭베이스(80-7)의 피치가공홈(80-8)에는 스크류(80-9)가 끼워져 베드(80-1)의 블럭베이스안착부(80-3)에 안착되고 스크류양단은 블럭베어링(80-2)에 조립되어 블럭베어링(80-2)이 베드(80-1)에 조립된다.
상기 스크류(80-9)의 외접기어가공부(80-9-a)가 모터(80-10)와 연결되어 모터(80-10)가 베드(80-1)에 고정되며 블럭베이스(80-7)의 실린더안착홈(80-6)에 실린더(80-5)가 취부되어 그 상단에 블럭스토퍼(80-4)가 연결되고 블럭스토퍼(80-4)의 센서취부홈(80-11)에 근접센서(80-12)가 취부 조립된다.
또한 상기 가변형 리프팅장치(100)는 근접센서(100-1)가 블럭리프트스토퍼(100-2)에 조립되고 링크블럭(100-3)의 내접돌출핀가공홈(100-4)과 연결블럭(100-5)의 양면에 각각 가공된 베어링조립구(100-9)와 실린더블럭(100-13)의 연결홈(100-7)이 일치되게 끼워져 외접기어가공축(100-10)에 의해서 연결 조립된다.
상기 외접기어가공축(100-10)의 일단에 가역모터(100-12)가 조립되며 실린더내장블럭(100-16)의 내부아래에 실린더(100-15)가 안착된 상태로 피스톤블럭(100-14)과 연결조립되어 이것에 의해 피스톤블럭(100-14)과 실린더블럭(100-13)이 연결 조립된다.
실린더블럭(100-16)의 기어박스(100-17)에는 베어링(100-22)과 휠기어(100-21)가 조립되어 내장되며 휠기어(100-21)가 모터(100-20)와 연결 조립된다.
스텐드블럭(100-24)의 상부연결구(100-26)에 노즐홈이 다수가 가공된 냉각수파이프(100-25)가 연결되고 파이프전면에 냉각수노즐(100-27)이 조립되며 스텐드블럭(100-24)의 가이드홈(100-29)에 실린더내장블럭(100-16)의 가이드스토퍼(100-28)가 끼워지고 휠기어(100-21)와 이송레일기어(100-23)가 피치 일치되게 안착 연결된다.
실린더블럭(100-13)상부에는 확인용 카메라(100-30)를 조립 설치하여 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오작재 자동 처리과정이 화상이 운전실의 제어컴퓨터(도시생략)로 전송되어 이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해당 조업과정이 표시되게 한다.
도 6은 오작재절단처리장치(200)의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다수의 롤안착부(200-2)와 토치절단홈(200-6)이 가공되고 센서(200-5)가 내장된 스텐드(200-1)의 롤안착부(200-2)에 블럭베어링(200-3)과 롤(200-4)이 연결 조립 장착된다.
스텐드(200-1)의 양측으로 지지블럭(200-7-a)과 지지블럭(200-7-b)이 조립되어 지지블럭(200-7-a)에 가공 된 베어링조립구(200-10-a,200-10-b)에 내,외접 피치가공 이송휠(200-13)과 외접피치가공축(200-12),베어링(200-11)이 각각 연결조립 된다.
전면 베어링조립구(200-10-a)에 조립된 외접피치가공축(200-12)의 일단에 모터(200-14)와 연결 조립 장착되고, 반대측 지지블럭(200-7-b)에 가공된 베어링홈(200-19-a,200-19-b)에 베어링(200-16), 보조휠(200-18), 축(200-17)이 연결되어 조립된다.
각각의 지지블럭(200-7-a,200-7-b)상면에 가공된 다수의 실린더홈(200-8)에 실린더(200-9)가 각각 내장되어 상판블럭(200-20)과 연결되며 상판블럭(200-20)에 관통되게 가공된 스크류조립구(200-29)에 점화기(200-21)와 절단토오치(200-22), 센서(200-23)가 조립된 토오치블럭(200-24)이 이송아암(200-25)과 조립된다.
상기 이송아암(200-25)의 피치가공된 스크류조립홈(200-26)에는 스크류(200-27)가 끼워져 조립되어 내장되고 스크류(200-27)의 양단에 블럭베어링(200-28)이 연결 조립되며 스크류축일단의 외접피치가공부(200-27-a)가 모터(200-31)와 연결되어 상판블럭(200-20)에 장착된다.
한편, 상판블럭(200-20)에 가공된 가이드(200-46)홈 양쪽상부에는 블럭베어링(200-32)과 베어링홈이 가공된 블럭(200-33)이 취부되어 점화기(200-39), 토오치(200-38), 센서(200-47)가 스크류(200-40)와 연결되어 스크류(200-40)에 기어(200-41)가 조립된다.
상기 기어(200-41)에는 그 기어의 피치와 일치되게 기어(200-42)가 연결되어 내부에 안착되고 기어(200-42)의 축이 외측모터(200-43)와 조립된 토오치블럭(200-37)의 내접피치가공홈(200-36)에 스크류(200-35)가 끼워져 스크류(200-35)의 일단이 블럭베어링(200-32)의 베어링부와 연결된다.
블럭(200-33)측의 스크류(200-35) 일단은 베어링조립홈(200-34)을 통해 베어링(200-44)과 모터(200-45)가 연결 조립되어 모터(200-45)가 블럭(200-33)에 고정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작업 예시상태도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철소 압연공정에서 압연작업 도중 오작이 발생하여 오작재(1)가 롤러테이블(2)상에 정지상태로 있게 되면 오작재절단처리장치(200)의 모터(제6도:200-14)가 구동하여 오작재절단처리장치(200)를 전진시킨다.
이에 의해 토오치블럭(200-24)의 위치가 롤러테이블(2)의 롤과 롤사이의 A에 위치하게 되고, 모터(200-31)에 의해 토오치블럭(200-24)이 전진하여 오작재(1)의 모서리 시작점을 센서(200-23)가 감지하는 것을 기화로 실린더(200-9)가상판블럭(200-20)을 하강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오작재(1)에 토오치(200-22)가 적당거리로 근접되고 토오치(200-22)에 연소재가 공급되어 점화기(200-21)에 의해 토오치(200-22)에 점화가 되면 모터(200-31)가 구동하여 토오치블럭(200-24)를 전진시켜 오작재(1)를 폭방향으로 절단한다.
이러한 절단작업의 진행되어 상기 센서(200-23)가 반대측 오작재 모서리바깥부를 감지하면 토오치(200-22)에 연소재가 차단되고 실린더(200-9)에 의해 토오치블럭(200-24)이 원위치 된 다음 오작재절단처리장치(200)가 후진된다.
이어서, 푸셔바(3)가 작동하여 이 푸셔바에 의해 오작재(1)가 취외테이블롤러(10)상에 셋팅되게 되며, 오작재절단처리장치(200)가 전진하여 스텐드(200-1)의 전면부가 취외테이블롤러장치(10)의 롤에 근접된다.
스텐드의 전면부가 취외테이블롤러장치의 롤에 접근되면 가역모터(10-1)가 구동하여 롤러상의 오작재(1-1)를 전진시켜 오작재의 톱부를 스텐드(200-1)의 센서(제6도200-5)가 감지하고, 설정된 길이만큼의 오작재(1-1)가 인입되면 가역모터(10-1)가 정지하여 오작재(1-1)의 절단부가 스텐드(200-1)의 토치절단홈(200-6)과 상판블럭(200-20)의 토오치블럭(200-37)에 셋팅되어 있는 토오치(200-38)와 일치되게 한다.
이때, 모터(200-43)가 구동하여 절단토오치(200-38)를 하강시키고 센서(200-47)가 토오치(200-38)와 절단부의 적정거리를 감지하면 상기 모터(200-43)를 정지시킨 후, 점화기(200-39)를 이용하여 연소재가 공급되는 토오치(200-38)를 점화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점화가 완료되면 모터(200-45)가 구동하여 토오치블럭(200-37)을 이송시키며 오작재(1-1)를 절단하게 되면 그 절단된 오작재(9)는 스크렙박스(8)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도중 롤러테이블(2)상에 또다른 오작재(1)가 발생하게 되면 오작재절단처리장치(200)가 후진하고 바스텐딩장치(50)의 실린더(50-15a,50-15b)가 구동하여 오작재(1-1) 하부에 셋팅되어 있던 바베드(50-21)를 상승시켜 이전의 오작재(1-1)를 취외테이블롤러(10)와 분리시킨다.
그리고 모터(50-6)가 구동하여 바스텐딩장치(50)를 가변형리프트장치(100)측으로 이송시켜 앞의 오작재(1-1)가 취외테이블롤러(10)상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롤러테이블(2)상의 나중의 오작재(1)의 취외작업을 전과 같이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바스텐딩장치(50)의 블럭베이스(50-9)실린더(50-15a)가 하강하면서 블럭베이스(50-9)와 푸셔블럭베이스(50-12)를 연결하고 있는 안테나실린더(50-10)가 인입 되면서 푸셔블럭베이스(50-12)를 당겨 바베드(50-21)를 45도로 세운다.
이것에 의해 오작재(1-1)의 스텐딩작업이 이루어 지게 되면 가변형리프트장치(100)의 실린더블럭(100-13)의 링크실린더가(100-6) 전진하여 블럭리프트스토퍼(100-2)가 45도로 세워진 처음의 오작재(1-1)의 상부 모서리부에 위치하게 되고 안착이송장치(80)의 블럭스토퍼(80-4)가 처음 오작재(1-1)의 하부모서리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가변형리프팅장치(100)의 실린더(100-15)가 하강하면서 모터(100-12)가 구동하여 연결블럭(100-3)이 회전되어 블럭리프트스토퍼(100-2)의 내면으로 제1오작재(1-1)의 상부모서리가 인입된다.
이때, 블럭리프트스토퍼(100-2)의 내면에 장착된 센서(100-1)가 처음 오작재(1-1)의 상부면을 감지하고 안착이송장치(80)의 블럭스토퍼(80-4)가 상승하면서 처음 오작재(1-1)의 하부모서리가 블럭스토퍼(80-4)의 내면으로 인입된다.
이것은 센서(80-12)에 의해 감지되는데 이 센서의 감지출력에 의해 실린더(100-16)는 상승되고, 링크실린더(100-6)는 후진되어 바스텐딩장치(50)의 안테나실린더(50-10)가 여기에 인입된다.
이렇게 되면 푸셔블럭베이스(50-12)가 당겨지고 안착이송장치(80)의 실린더(80-5)가 상승하여 처음오작재(1-1)가 수직으로 스탠딩되면 링크실린더(100-6)와 안착이송장치(80)가 후진되어 처음 오작재(1-1)는 스텐드블럭(100-24)으로 이송된다.
스탠드블럭(100-24)에 처음 오작재가 접근되면 냉각수노즐(100-27)에서 냉각수가 비산되어 처음 오작재(1-1)를 냉각시키고 바스텐딩장치(50)는 취외테이블롤러(10)에 취외되어 오작재절단장치(200)에 의해 절단되고 있는 다음 오작재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번째 오작재 발생에 대비한다.
이때 제3의 오작재가 발생되면 직전의 두번째 오작재를 취외테이블롤러(10)에서 분리하여 취외테이블롤러상에서 취외시키고 제3의 오작재를 롤러테이블(2)에서 취외시켜 오작재절단처리작업을 수행한다.
제3의 오작재의 처리가 완료되면 두번째 오작재를 바스텐딩장치(50)가 취외테이블롤러(10)에 안착시켜 절단작업을 수행하여 처리작업을 완료하고 처음 제1의 오작재를 가변형리프팅장치(100)와 안착이송장치(80)와 바스텐딩장치(50)에 의한 스텐딩작업의 역순에 의해 취외테이블롤러(10)상에 안착시켜 오작재 절단 처리작업을 완료한다.
이러한 작업진행 상황은 카메라(100-30)를 통해 촬영하여 운전실의 제어컴퓨터로 전송시켜 운전실의 모니터를 통해 오작재 처리 조업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압연 중 발생되는 고온의 오작재를 절단하고 취외한 후 자동으로 스크랩처리를 하고 연속으로 발생되는 제2,제3의 오작재를 처리하기 위해 앞서 발생된 오작재를 세워서 안착 이송 후 냉각시키면서 동시에 압연라인의 롤러테이블상의 연속하는 제2,제3의 오작재를 취외시킬 수 있어, 오작재 발생시 작업자가 투입되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냉각작업과 절단작업 및 크레인 작업 등의 안전사고 위험요소 없이, 고온의 오작재를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설비의 휴지시간을 단축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2)

  1. 롤러테이블상(2)의 오작재(1)를 폭방향 절단하는 절단토오치(200-22)와 취외테이블롤러(10)상의 오작재를 절단하고 처리하는 절단토오치(200-38)와 스텐드(200-1)로 조합된 오작재절단장치(200)와, 롤러테이블(2)상의 오작재를 취외,안착하는 테이블롤(10-8)과 테이블롤을 축방향 전, 후진시키는 구동력을 주는 가역식모터(10-1)와 연결링크(10-4,10-12)로 이루어진 취외테이블롤러장치(10)와, 오작재를 세우는 바스텐딩장치(50)와, 가변형리프트장치(100) 및 안착이송장치(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리프트장치(100)는 센서가 조립된 블럭리프트스토퍼(100-2)와 링크블럭(100-3)과 연결블럭(100-5)과 실린더를 내장한 실린더블럭(100-13,100-16)과 휠기어(100-21)와 모터(100-20)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블럭(100-13)상부에는 오작재 자동처리과정을 촬영하여 운전실로 전송하기 위한 조업 모니터용 카메라(100-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
KR1020020036859A 2002-06-28 2002-06-28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 KR20040001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859A KR20040001599A (ko) 2002-06-28 2002-06-28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859A KR20040001599A (ko) 2002-06-28 2002-06-28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599A true KR20040001599A (ko) 2004-01-07

Family

ID=3731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859A KR20040001599A (ko) 2002-06-28 2002-06-28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59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1905A (ja) * 1990-08-29 1992-04-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連続式圧延装置
JPH09323115A (ja) * 1996-06-03 1997-12-16 Ryosen Engineers:Kk 熱間圧延設備のコブル持上げ装置
KR20000004460U (ko) * 1998-08-07 2000-03-06 이구택 불량스트립 제거장치
KR200242529Y1 (ko) * 1997-12-27 2001-11-16 이구택 스트립바의 오작재 처리장치
KR20020001004A (ko) * 2000-06-23 2002-01-09 이구택 압연중 발생하는 오작 잔편의 제거와 연마를 위한 장치
KR20030023110A (ko) * 2001-09-12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 오작재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1905A (ja) * 1990-08-29 1992-04-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連続式圧延装置
JPH09323115A (ja) * 1996-06-03 1997-12-16 Ryosen Engineers:Kk 熱間圧延設備のコブル持上げ装置
KR200242529Y1 (ko) * 1997-12-27 2001-11-16 이구택 스트립바의 오작재 처리장치
KR20000004460U (ko) * 1998-08-07 2000-03-06 이구택 불량스트립 제거장치
KR20020001004A (ko) * 2000-06-23 2002-01-09 이구택 압연중 발생하는 오작 잔편의 제거와 연마를 위한 장치
KR20030023110A (ko) * 2001-09-12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 오작재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2310B2 (en) Crimp press for the production of a crimping connection
US5450740A (en) Roll forming machine
KR20040001599A (ko) 연속발생 오작재의 자동처리장치
CN105947751A (zh) 一种料带传输导正机构
CN110142351A (zh) 一种电子元件的插脚自动折弯机构
CN215698327U (zh) 一种耐磨损的钢结构加工用剪板机
CN100482364C (zh) 轧钢机精轧段
US4406145A (en) Roll changing apparatus for rolling mills
EP0407369B1 (en) Rollstand having easily replaceable roll dies
US3552171A (en) Roll changing device for rolling mills
KR20040019203A (ko) 냉연코일 외권부 결속상태 검사장치
CN111805243A (zh) 一种金属板材卷圆压平成型装置
CN220547548U (zh) 一种压力机滑块导向装置
CN212733631U (zh) 一种惰轮压力机校型装置
CN116851470B (zh) 一种对作为原材料的钢筋进行加工的钢筋拉伸装置及其方法
JP3060687B2 (ja) 熱間鋼材の接合方法
CN117619910A (zh) 一种推床翻钢装置
CN107350389A (zh) 金属围框加工装置
CN110355212B (zh) 一种轧机自动停机装置、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19747196U (zh) 一种钢板辅助下料机构
CN215467264U (zh) 加工汽轮机油封弧形铜齿用弯板机
CN218191745U (zh) 一种异形带材型轧生产线
CN217393375U (zh) 一种光伏支架原料矫平设备
RU2088353C1 (ru) Рабочая клеть стана холодной прокатки труб
CN100377810C (zh) 大梁冲制压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