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562A -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복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복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562A
KR20040000562A KR1020020035052A KR20020035052A KR20040000562A KR 20040000562 A KR20040000562 A KR 20040000562A KR 1020020035052 A KR1020020035052 A KR 1020020035052A KR 20020035052 A KR20020035052 A KR 20020035052A KR 20040000562 A KR20040000562 A KR 2004000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amino acid
acid complex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212B1 (ko
Inventor
김기호
양은경
한창성
박선희
이정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02-003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2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 복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라이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트레오닌,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발린, 메티오닌, 이소로이신, 로이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및 하프시스테인으로 구성되는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 복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Anti-aging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amino acid complex}
본 발명은 피부의 아미노산 비율과 동일한 구성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 복합체 조성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갖는 것은 모든 사람이 바라는 것이나 점차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는 노화되기 시작하여 여러 가지 기능적, 구조적 변화를 나타내게 된다. 나이에 의한 자연적 노화나 자외선, 활성산소 등 내외적인 여러 가지 스트레스에 의해 피부는 탄력과 촉촉함이 감소되며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주 원인은 피부내의 수분손실과 함께 각질층의 밀도감소, 표피세포의 분화둔화, 진피내의 섬유아세포에 의한 단백질 및 세포간 물질의 생체 합성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나타난다. 다시 말해, 생체결합수의 손실, 피부신진대사저하 및 세포수 감소, 세포간 물질 감소 및 비정상적 교차결합 등으로 인해 피부속이 함몰되어 결국 주름이 생기게 된다. 즉 주름이나 피부노화정도는 피부세포의 활성도와 세포간 물질의 합성량, 피부 내 생체결합수량 등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주름을 감소시키고 노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시키고 외부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야 함은 물론 피부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탄력섬유인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생체단백질합성 등을 촉진하여 이들로 표피 및 진피의 함몰된 부위를 채워 주어야한다.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층 가운데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탄력있고 촉촉한 피부를 유지시켜 주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표피층이다. 표피층은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나뉘어 지며, 표피의 최외각에 있는 각질층은 핵이 없는 세포로서 다각형의 편편한 각질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케라틴이 주성분이며 아미노산, 당, 지방, 인지질, 스핑고지질, 콜레스테롤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 층은 외부 물질의 생체내 침투를 막고 내부의 생체수 손실을 막는 역할을 한다. 각질층이 적당량의 수분을 유지하는 것은 피부의 탄력이나 유연성을 유지하는데 대단히 중요하며 정상적인 피부는 약 30% 정도의 수분이나 수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각질층의 수분 함량이 20% 이하로 떨어지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어지기 시작하며 10% 이하가 되면 피부가 갈라지게 된다. 피부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각질층 내에 아미노산, 당류와 같은 천연보습인자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각질층의 수분 유지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 성분 중 가장 함량이 높은 성분은 글리신이며, 그 외의 아미노산 성분의 조성은 표 1과 같고 일정비율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Baden et. al,Biochim. Biophysics. Acta, 322, p269-278, 1973). 따라서 외부에서 공급될 수 있는 아미노산 구성비율이 표 1 에서와 같은 비율로 최적화 되었을 때 각질층의 피부 함습율이 최적으로 유지되고 피부세포가 활성화 되어 탄력섬유 단백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합성이 증가되어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표 1. Amino Acid composition in Stratum Corneum
라이신 4.2 알라닌 4.4
히스티딘 1.5 발린 3.0
아르기닌 3.8 메티오닌 1.1
아스파르트산 7.9 이소로이신 2.7
트레오닌 3.0 로이신 6.9
세린 13.6 티로신 3.4
글루탐산 12.6 페닐알라닌 3.2
프롤린 3.0 하프시스테인 1.2
글리신 24.5 - -
기존에 피부의 보습을 유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어 온 보습제로서는 단분자물질인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지나친 흡수력과 합성원료로 인한 자극도를 가지고 있는 단점이 있으며 고분자 합성보습제인 폴리아크릴레이트나 폴리카보실산류등은 사용감이나 자극도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천연고분자 보습제로는 동물성 뮤코다당류인 히알루론산, 콘드로이친황산이나 해조유래의 알긴산, 식물종자나 버섯류 또는 이스트 발효로부터 얻어지는 글루칸 등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고분자량으로 인해 피부흡수가 되기 어려워 실질적인 피부보호 장벽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 동물 유래의 천연고분자 보습제들은 안전성이 문제가 되어 그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견지에서 피부의 보습력 유지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피부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 섬유아세포를 활성화 시키며 피부조직내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아미노산들을 피부 각질층내의 아미노산 성분비율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시켜 피부노화방지 복합물을 제조 하였으며 그것의 보습력을 측정 하였고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증식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능력을 측정 하였고 그것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에 대해 피부탄력도, 주름개선도를 측정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성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성분비율로 제조된 복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성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성분비율로 제조된 복합물을 이용하여 보습효과, 세포증식효과, 콜라겐 합성능 증진효과, 피부탄력 및 피부주름개선 효과 등의 피부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아미노산 복합물의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아미노산 복합물의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아미노산 복합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아미노산 복합물의 피부탄력 증진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아미노산 복합물이 함유된 제형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아미노산은 신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조직의 주요 성분이며 또한 체내의 신진대사에 관여하여 생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효소나 호르몬의 구성성분이기도하다. 아미노산은 그 구조에 따라 20 여 가지로 분리되며 체내에서 만들어지는 아미노산이 있는 반면에 체내에서 합성되어지지 않는 효소도 있다. 이러한 경우 그러한 아미노산들은 외부로부터 섭취를 해야만 한다. 신체의 조직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피부 조직 중 각질층도 일정 성분비율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으며 각질층이 보호 또는 활성화되어 피부보습 및 탄력 있는 피부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각질층이 일정량의 독립된 아미노산을 함유하여 적정량의 수분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표피층의 가장 밑에 있는 기저세포가 활성화되어 각질세포로 활발히 이동되어야 한다. 또한 진피층의 콜라겐도 섬유아세포로부터 활발히 생성되어 피부의 탄력을 유지시켜 주어야한다. 이러한 작용을 나타내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0 여 가지의 아미노산을 선택하여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비율과 유사한 특정 비율로 복합물을 제조한 후 보습효과, 세포증식효과, 콜라겐합성 증진효과 등을 시험한 결과 이 복합물이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으며 이 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피부에 직접 도포한 실험결과에서도 매우 뚜렷한 피부탄력 및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보습효과, 세포증식효과, 콜라겐합성 증진효과, 피부탄력 및 피부주름개선 효과 등을 가짐으로 인해 피부노화방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미노산 복합물은 라이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트레오닌,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발린, 메티오닌, 이소로이신, 로이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하프시스테인, 시스테인,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트립토판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아미노산을 정제수, 생리식염수, 완충수용액,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용매에 고형분으로 0.001 - 99.99% 로 용해한 아미노산 복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아미노산 복합물을 0.01 % 이상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아미노산 복합물은 피부 각질의 아미노산 조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라이신 2-6중량부, 히스티딘 0.5-2중량부, 아르기닌 2-6중량부, 아스파르트산 4-12중량부, 트레오닌 1.5-4.5중량부, 세린 7-20중량부, 글루탐산 6-19중량부, 프롤린 1.5-4.5중량부, 글리신 12-36중량부, 알라닌 2-7중량부, 발린 1.5-4.5중량부, 메티오닌 0.5-1.5중량부, 이소로이신 1-4중량부, 로이신 3-10중량부, 티로신 1.5-5중량부, 페닐알라닌 1.5-5중량부, 및 하프시스테인 0.5-2중량부로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아미노산 복합물은 피부 각질의 아미노산 조성과 완전히 동일한 라이신 4.2중량부, 히스티딘 1.5중량부, 아르기닌 3.8중량부, 아스파르트산 7.9중량부, 트레오닌 3.0중량부, 세린 13.6중량부, 글루탐산 12.6중량부, 프롤린 3.0중량부, 글리신 24.5중량부, 알라닌 4.4중량부, 발린 3.0중량부, 메티오닌 1.1중량부, 이소로이신 2.7중량부, 로이신 6.9중량부, 티로신 3.4중량부, 페닐알라닌 3.2중량부, 및 하프시스테인 1.2중량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 복합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영양에센스, 유화형화운데이션과 같은 화장료 제형에 부가된다.
이하 실시예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라이신(4.2g), 히스티딘(1.5g), 아르기닌(3.8g), 아스파르트산(7.9g), 트레오닌 (3.0g), 세린(13.6g), 글루탐산(12.6g), 프롤린(3.0g), 글리신(24.5g), 알라닌(4.4g), 발린(3.0g), 메티오닌(1.1g), 이소로이신(2.7g), 로이신(6.9g), 티로신(3.4g), 페닐알라닌(3.2g), 하프시스테인(1.2g)을 2kg 되게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0.2??m 필터로 여과하여 1.6kg의 아미노산 복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라이신(4.2g), 히스티딘(1.5g), 아르기닌(3.8g), 아스파르트산(7.9g),트레오닌(3.0g), 세린(13.6g), 글루탐산(12.6g), 프롤린(3.0g), 글리신(24.5g), 알라닌(4.4g), 발린(3.0g), 메티오닌(1.1g), 이소로이신(2.7g), 로이신(6.9g), 티로신(3.4g), 페닐알라닌(3.2g), 하프시스테인(1.2g)을 2kg 되게 0.9%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킨 후 0.2??m 필터로 여과하여 1.6kg의 아미노산 복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
라이신(4.2g), 히스티딘(1.5g), 아르기닌(3.8g), 아스파르트산(7.9g), 트레오닌(3.0g), 세린(13.6g), 글루탐산(12.6g), 프롤린(3.0g), 글리신(24.5g), 알라닌(4.4g), 발린(3.0g), 메티오닌(1.1g), 이소로이신(2.7g), 로이신(6.9g), 티로신(3.4g), 페닐알라닌(3.2g), 하프시스테인(1.2g)을 2kg 되게 pH 6.4 의 인산완충용액에 용해시킨 후 0.2??m 필터로 여과하여 1.6kg의 아미노산 복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4.
라이신(4.2g), 히스티딘(1.5g), 아르기닌(3.8g), 아스파르트산(7.9g), 트레오닌(3.0g), 세린(13.6g), 글루탐산(12.6g), 프롤린(3.0g), 글리신(24.5g), 알라닌(4.4g), 발린(3.0g), 메티오닌(1.1g), 이소로이신(2.7g), 로이신(6.9g), 티로신(3.4g), 페닐알라닌(3.2g), 하프시스테인(1.2g) 을 2kg 되게 30% 1,3-부틸렌글리콜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0.2??m 필터로 여과하여 1.5kg의 아미노산 복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
라이신(4.2g), 히스티딘(1.5g), 아르기닌(3.8g), 아스파르트산(7.9g), 트레오닌(3.0g), 세린(13.6g), 글루탐산(12.6g), 프롤린(3.0g), 글리신(24.5g), 알라닌(4.4g), 발린(3.0g), 메티오닌(1.1g), 이소로이신(2.7g), 로이신(6.9g), 티로신(3.4g), 페닐알라닌(3.2g), 하프시스테인(1.2g)을 2kg 되게 30%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0.2??m 필터로 여과하여 1.7kg의 아미노산 복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6.
라이신(4.2g), 히스티딘(1.5g), 아르기닌(3.8g), 아스파르트산(7.9g), 트레오닌(3.0g), 세린(13.6g), 글루탐산(12.6g), 프롤린(3.0g), 글리신(24.5g), 알라닌(4.4g), 발린(3.0g), 메티오닌(1.1g), 이소로이신(2.7g), 로이신(6.9g), 티로신(3.4g), 페닐알라닌(3.2g), 하프시스테인(1.2g)을 2kg 되게 30% 1,2-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0.2??m 필터로 여과하여 1.4kg의 아미노산 복합물을 얻었다.
처방예 1.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1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아미노산 복합물 5.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 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피마자유 1.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1 : 11 번에 2, 3, 4, 8 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며 용해시킨 후, 5 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 번을 투입 교반하여 11 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 6, 7, 9 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1 : 11 번에 2, 3, 4, 8 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 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 번을 투입 교반하여 11 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 6, 7, 9 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2.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1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2 비교제형예 2
1 아미노산 복합물 10.0 -
2 밀납 1.0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10.0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0.5
8 스테아린산 1.5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1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색소 미량 미량
15 향료 미량 미량
16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2 : 10, 11, 13, 16 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 를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5 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 에서 1 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2 : 10, 11, 13,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 를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5 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4 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3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1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1 아미노산 복합물 10.0 -
2 밀납 8.0 8.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20.0 2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7 친유형 모노 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0.5
8 스테아린산 1.5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6.0 6.0
1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색소 미량 미량
14 향료 미량 미량
15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3 : 10, 12, 15 를 교반, 혼합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1 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3 번을 투입하고 35℃ 까지 냉각되면 1 번을 투입한다.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3 : 10, 12, 15 를 교반, 혼합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1 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50℃ 까지 냉각한 뒤 14 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3 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4.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1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4 비교제형예 4
1 아미노산 복합물 10.0 -
2 밀납 10.0 10.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0.8
5 유동파라핀 40.0 40.0
6 스쿠알란 5.0 5.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1.0
8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0.2
9 부틸렌글리콜 6.0 6.0
10 글리세린 6.0 6.0
1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색소 미량 미량
14 향료 미량 미량
15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4 : 8, 9, 10, 12, 16 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11 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3 번을 투입하고 35℃ 까지 냉각되면 1 번을 투입한다.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4 : 8, 9, 10, 12, 16 을 교반, 혼합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11 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4 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3 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5.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1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중 량 부 비교제형예 5
1 아미노산 복합물 5.0 -
2 시토 스테롤 13.0 13.0
3 폴리 글리세릴 2-올레이트 0.2 0.2
4 세라마이드 0.1 0.1
5 세테아레스-4 5.0 5.0
6 콜레스테롤 0.3 0.3
7 디세틸포스페이트 미량 미량
8 농글리세린 미량 미량
9 마카데미아 오일 미량 미량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잔량 잔량
11 산탄검 미량 미량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5 :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힌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5 :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힌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처방예 6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1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6 비교제형예 6
1 아미노산 복합물 10.0 -
2 밀납 2.0 2.0
3 사이크로메치콘 2.0 2.0
4 유동파라핀 5.0 5.0
5 스쿠알란 5.0 5.0
6 스테아린산 2.0 2.0
7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3.0
8 마카데미아 오일 4.0 4.0
9 글리세린 4.0 4.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11 부틸렌글리콜 3.0 3.0
12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3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0.5
14 안료 12.0 12.0
15 방부제 미량 미량
16 향료 미량 미량
17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6 : 9, 10, 11, 12, 13, 14, 15, 17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 까지 냉각한 뒤 1번을 투입한다.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6 : 9, 10, 11, 12, 13, 14, 15, 17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실험예 1. 보습실험(1)
상기 실시예 1 의 아미노산 복합물에 대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정제수, 0.5% HA(히아루론산) 수용액, 0.5% 글리세린, 0.5% 1,3-BG(부틸렌글리콜), 아미노산 복합물을 각각의 플래이트에 적정한 후, 완전 건조된 CaCl2를 흡습제로 사용하여 상대습도를 40 %, 온도 35℃ 로 조절한 데시게이터에서 124 시간 동안 방치하며 각 시료의 무게를 6 회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게시하였다.
표 2
흡습율 (%) = (Wa-Wb) / Wa ×100
여기서 Wa 는 방치 전의 시료 무게이며, Wb 는 일정 시간 방치 후의 시료 무게이다.
보습실험(2)
상기 실시예 1 의 아미노산 복합물에 대하여 보습효과를 Courage+Khazaka 사의 Corneometer CM 825 를 사용하여 보습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20 대 여성 20 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2 ×2 ㎠ , 8 구획을 물로 여러 차례 세정한 후 자극 없이 수분을 제거한다. 5 분경과 후 정제수, 0.5% HA 수용액, 0.5% 글리세린, 0.5% 1,3-BG, 아미노산 복합물을 각각 2 구획에 대하여 10 ㎕ 씩 점적하여 고르게 도포한다. 10 분 후,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획 당 5 회 측정한다. 1 구획에 대하여 5 분 간격으로 6 회 측정한다. 실내온도는 20℃, 상대습도 20% 였다.
흡습율 (%) = 시료 도포후 Corneometer 측정치 - 시료 도포전 Corneometer 측정치이며, 데이타 값은 20 명에 대한 평균치로 나타냈다.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3
시료 시간(분) 정제수 0.5% HA 수용액 0.5% 글리세린 0.5% 1,3-BG 아미노산 복합물
10 3.5 32.4 28.3 23.5 30.1
15 1.5 25.1 21.9 18.7 22.8
20 0.9 18.9 16.0 16.1 17.5
25 0.4 15.4 12.2 11.7 15.1
30 0.1 11.2 8.2 8.1 11.2
35 0.0 9.7 6.4 6.0 9.1
40 0.0 5.4 3.9 3.0 5.0
실험예 2. 세포증식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 의 아미노산 복합물에 대하여 세포증식효과를 측정 하였다.
실험 방법
96 마이크로웰 플래이트에 5 % 어린 숫송아지 혈청(FBS) 용액 100 ul 씩 넣은 다음, 2 % FBS 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아미노산 복합물을 일정농도 분산시켜 묽혀 100 ul 씩 다시 첨가하였다. 혈구계(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신생아의 포피(foreskin)조직에서 얻은 섬유아세포를 웰 당 4000 개씩 100 ul 배지에 분산시켜 가한 후 7 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 하고 다시 5 %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200 ul 씩을 가하여 세척하고 DMSO를 웰 당 150 ul 씩 가한 후 10 분간 흔들어 녹인 후 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및 도 3에 게시하였다.
농도(㎍/ml) Cells viability(%)
0.00 100
0.01 101
0.10 107
1.00 112
100 118
1,000 126
10,000 129
실험예 3. 콜라겐합성 증진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 의 아미노산 복합물에 대하여 콜라겐합성 증진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콜라겐은 섬유내에 프로콜라겐으로서 합성된 후, 세포 밖으로 분비하고, 그 후에 프로콜라겐 N-프로테아제 및 프로콜라겐 C-프로테아제에 의한 가공을 받아 콜라겐분자로 된다. 이 경우에 생성하는 C-말단의 끝에 있는 프로콜라겐 I 형 C 말단 펩티드(PIP)를 ELISA 로 정량함으로서 세포의 콜라겐 생성을 평가할 수 있다. 세포는 아미노산 복합물과 0.5% FBS 를 함유하는 DMEM 으로 5 일간 배양했다. 배양 상층액의 PIP 를 ELISA 로 정량하고, 콜라겐 양으로서 평가하였다. 값은 피시험 시료를 함유하지 않은 배지로 배양한 세포의 배양 상층액의 PIP 양을 100 으로 하여 계산하였다.
증진 지수(%) = 콜라겐(시료) / 콜라겐(control) ×100
결과를 하기 표 5및 도 4에 게시하였다.
표 5
농도(%) Accelerration Index(%)
control 100
0.1 142
0.2 189
0.4 256
0.6 291
0.8 265
실험예 4. 피부탄력 증진효과
상기 실시예 1 의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제형에 대하여 피부탄력증진효과를 측정 하였다.
피부탄력성에 대한 아미노산 복합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20 명의 왼쪽눈 가장자리에 하루에 두 번 제형예 5 를 적용하였다. 오른쪽 눈 가장자리는 비교 제형예 5 를 적용하였다. 각각 처리하고 난 14 일 후 피부 표면의 피부 탄력성을 Cutometer SEM 474 에 의해 측정하였다. Cutometer SEM 474 에 의한 피부탄력도 측정은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값이 적을수록 탄력성이 좋은 것이다. 탄력도 값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값을 % 로 나타내었으며, 피검자 20 명의 평균값을 결과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기 전의 측정값이다. 결과를 하기 표 6및 도 5에 게시하였다.
표 6
시 료 피부 탄력도(주름깊이 감소) 효과(%)
30 일 45 일
제형예 5 10.8 17.3
비교 제형예 5 5.9 9.7
실험예 5. Silicon replicas 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의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제형에 대하여 주름개선효과를 측정 하였다.
피부 노화 개선효과에 대한 아미노산 복합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20명의 왼손 등 부위에 하루에 두 번 제형예 2 를 적용하였다. 오른손 등 부위는 비교제형예 2 를 적용하였다. 각각 처리하고 난 8주 후 미세한 선과 주름의 측정을 위하여 silicon replicas를 디지털 이미지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6에 게시하였다.
실험결과
비교제형 2 적용 후 ; 비교 제형 2 적용후에는 피부결 세선의 끊어짐이 있고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돌출과 함몰부분이 있으며, 각질의 뭉침이 심하다.
제형 2 적용 후 ; 제형 2 적용 후에는 피부결 세선이 선명하고 그물눈 모양이 일정하고 돌출 혹은 함몰부분이 거의 없으며 각질층이 얇고 분포가 아주 균일해졌다.
상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효과, 세포 증식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 효과 등이 있어 피부 노화 방지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Claims (6)

  1. 라이신, 히스티딘,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트레오닌,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발린, 메티오닌, 이소로이신, 로이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및 하프시스테인으로 구성되는 아미노산 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복합물은라이신 2-6중량부, 히스티딘 0.5-2중량부, 아르기닌 2-6중량부, 아스파르트산 4-12중량부, 트레오닌 1.5-4.5중량부, 세린 7-20중량부, 글루탐산 6-19중량부, 프롤린 1.5-4.5중량부, 글리신 12-36중량부, 알라닌 2-7중량부, 발린 1.5-4.5중량부, 메티오닌 0.5-1.5중량부, 이소로이신 1-4중량부, 로이신 3-10중량부, 티로신 1.5-5중량부, 페닐알라닌 1.5-5중량부, 및 하프시스테인 0.5-2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3. 제 2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복합물은라이신 4.2중량부, 히스티딘 1.5중량부, 아르기닌 3.8중량부, 아스파르트산 7.9중량부, 트레오닌 3.0중량부, 세린 13.6중량부, 글루탐산 12.6중량부, 프롤린 3.0중량부, 글리신 24.5중량부, 알라닌 4.4중량부, 발린 3.0중량부, 메티오닌 1.1중량부, 이소로이신 2.7중량부, 로이신 6.9중량부, 티로신 3.4중량부, 페닐알라닌 3.2중량부, 및 하프시스테인 1.2중량부로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복합물은증류수, 생리식염수, 완충용액,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용매에 용해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복합물을 그 건조 중량으로서 0.01 ~ 10 % (w/v)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또는 영양에센스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35052A 2002-06-21 2002-06-21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복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KR10049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052A KR100490212B1 (ko) 2002-06-21 2002-06-21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복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052A KR100490212B1 (ko) 2002-06-21 2002-06-21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복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562A true KR20040000562A (ko) 2004-01-07
KR100490212B1 KR100490212B1 (ko) 2005-05-17

Family

ID=3731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052A KR100490212B1 (ko) 2002-06-21 2002-06-21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복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2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72B1 (ko) * 2009-12-31 2010-08-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생체 모방 영양 복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05563A1 (ko) * 2013-07-09 2015-01-15 휴먼바이오텍 주식회사 성장인자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85113B1 (ko) * 2013-04-09 2015-01-21 롯데푸드 주식회사 피부 광노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프롤린 베이스 혼합 아미노산 조성물
KR102021056B1 (ko) * 2018-11-22 2019-09-11 주식회사 비에스글로벌홀딩스 전기분해 해수 및 아미노산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3770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4036A (ko) 2022-03-11 2023-09-20 주식회사 아미뉴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9016A (ja) * 1985-06-17 1986-12-19 Pola Chem Ind Inc 皮膚外用剤
US4707354A (en) * 1985-06-17 1987-11-17 Alpen Tau, Inc. Mature skin treatment and protect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FR2779059B1 (fr) * 1998-05-29 2004-09-10 Guerlain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pour lutter contre les effets du vieillissement cutane;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sa mise en oeuvre
FR2792202B1 (fr) * 1999-04-19 2003-06-13 Pharmascience Lab Extrait peptidique de lupin et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ou nutraceutique comprenant un tel extrai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72B1 (ko) * 2009-12-31 2010-08-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생체 모방 영양 복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5113B1 (ko) * 2013-04-09 2015-01-21 롯데푸드 주식회사 피부 광노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프롤린 베이스 혼합 아미노산 조성물
WO2015005563A1 (ko) * 2013-07-09 2015-01-15 휴먼바이오텍 주식회사 성장인자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5228590A (zh) * 2013-07-09 2016-01-06 秀漫百偶科技有限公司 以包含生长因子及氨基酸为特征的功能性化妆品组合物
KR102021056B1 (ko) * 2018-11-22 2019-09-11 주식회사 비에스글로벌홀딩스 전기분해 해수 및 아미노산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3770A (ko)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5949A (ko) * 2019-08-21 2021-06-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4036A (ko) 2022-03-11 2023-09-20 주식회사 아미뉴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0212B1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0419B1 (en) Cosmetic or dermopharmaceutical use of peptides for healing, hydrating and improving skin appearance during natural or induced ageing (heliodermia, pollution)
US6936280B1 (en)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by extraction of mother-of-pearl, composition obtained by said method and use thereof in cosmetics and dermatology
CA2503105A1 (fr) Utilisation du lif en cosmetique et en dermatologie
CN109350595A (zh) 一种含有燕窝活性提取液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188332A (zh) 一种含有海洋贝类活性肽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21144B1 (ko) 펩타이드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152724B (zh) 掌状红皮藻和茉莉的协同提取物、包含该协同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CN106309154A (zh) 一种具有长效保湿和美白功效护肤基质及其制备与应用
EP0120722A1 (fr) Procédé pour stimuler la multiplication des cellules, composition cosmétique, pharmaceutique et composition complémentaire pour milieu de culture cellulaire appliquant ce procédé
WO2023109289A1 (zh) 包含植物果油和植物籽油的组合物及其应用
KR20120099550A (ko) 줄기세포 증식 촉진 기능을 갖는 피부 미백용 펩타이드 조성물
KR100849020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20426A (ko) 갈조류 추출물, 효모 추출물 및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5330281A (ja) 皮膚弾力増進用化粧料組成物
JP5025254B2 (ja) 皮溝密度を改良する化粧品用配合剤及び化粧品
KR20090127240A (ko) 서바이빈 발현의 자극에 의한 항-노화 미용 관리 방법
KR100490212B1 (ko) 피부 각질층의 아미노산 구성비율을 가지는 아미노산복합물과 그것을 함유한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KR20050103903A (ko) 노화되거나 환경에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국소적조성물 및 치료 방법
KR20170021958A (ko) 세네데스무스 속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0060171A1 (en) Moisturizing mixture,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moisturizing mixture, use of the moisturizing mixture, and cosmetic method
CN113730289A (zh) 一种具有多重修护功效的眼唇护理组合物及其应用
EP1863505A2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bacterie filamenteuse non fructifiante non photosynthetique comme agent protecteur et/ou activateur des lymphocytes t gamma delta
CA2278226C (fr) Produit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respectant l&#39;ecologie cutanee
KR102580067B1 (ko) 피부 수분 밀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0371966B1 (ko) 피지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