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895Y1 - 암반 굴착 장치 - Google Patents

암반 굴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895Y1
KR200399895Y1 KR20-2005-0022276U KR20050022276U KR200399895Y1 KR 200399895 Y1 KR200399895 Y1 KR 200399895Y1 KR 20050022276 U KR20050022276 U KR 20050022276U KR 200399895 Y1 KR200399895 Y1 KR 200399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rock
frame bar
side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철영
Original Assignee
진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철영 filed Critical 진철영
Priority to KR20-2005-0022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8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16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 E02F5/20Machines for digging other holes in the soil for vertical ho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10Wear protectors; Centralising devices, e.g. stabilisers
    • E21B17/1035Wear protectors; Centralising devices, e.g. stabilisers for plural rods, pipes or lines, e.g. for control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10Wear protectors; Centralising devices, e.g. stabilisers
    • E21B17/1085Wear protectors; Blast joints; Hard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이드봉 및 슬라이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암반 굴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바, 상기 상부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굴착기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양측 프레임바 내측의 상부판과 하부판 양측면에 고정된 가이드봉, 양측의 가이드 공에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 하측에 연결되는 굴착부재를 포함하는 암반 굴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가 암반 굴착 장치의 측면과 배면에서 상기 가이드봉을 감싸도록 굴절된 형태인 암반 굴착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양측의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슬라이드 부재가 프레임바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한 가이드봉 및 슬라이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암반 굴착 장치{Apparatus for Excavating a Rock}
본 고안은 암반 굴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기 등에 연결하여 암반을 천공하거나 암반을 파손하는 암반 굴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요부절결 측단면도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는 평판형상의 상부판(111)과 하부판(112)을 구비하여, 상부판(111)과 하부판(112) 사이의 양측으로는 종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프레임바(110)를 형성하고, 양측 프레임바(110)의 상측의 배면측으로 고정되어 굴착기에 연결되는 연결봉(114)을 구비하는 연결프레임(11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바(110)의 전방으로는 상부판(111)과 하부판(112)에 나사고정된 가이드봉(115)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13)의 하측으로는 양측 프레임바(110)에 고정된 조작레버(121)를 갖는 조작부(1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조작부(120)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작동하며 상부판(112)에 고정된 실린더로드(131)를 갖는 실린더(130)와, 실린더(130)의 실린더로드(131) 끝단에는 플랜지부(132)를 연결 고정하고, 플랜지부(132)의 상측으로는 양측으로 가이드공(141)과 중앙으로는 샤프트공(142)을 형성한 슬라이드부재(140)를 구성한다.
상기 조작레버는 암반 굴착 장치의 내측으로 조작레버(121)를 구비하고, 굴착기의 운전석 내부로 연결된 조작레버를 형성하여,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140)의 상부에는 유압모터(M)를 구비하고, 유압모터(M)에 의하여 회전하고 슬라이드부재(140)에 삽입되는 샤프트(144)와, 샤프트(144)에 연결되어 암반을 굴착하는 비트(150)와, 비트(150)가 안정된 상하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상부판(111)과 하부판(112)에 고정되어있고 슬라이드부재(140)의 가이드공(141)에 삽입된 가이드봉(115)을 형성한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의 슬라이드 부재(140)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슬라이드부재(140)에는 상기 샤프트(144)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드부재(140)의 상, 하부에 베어링(145)을 구비하고 가이드봉(115)이 삽입되는 가이드공(141)에 상하작동이 용이하도록 오일 누출을 방지하는 씰링(146)을 형성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140)에는 샤프트(144)로 냉각수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물 공급구(147)와, 샤프트(144)의 마찰열을 냉각시키는 공간부(143)를 형성하고, 샤프트(144)로는 횡방향으로 물흐름구(148)와 물흐름구의 중앙 종측으로 관통된 배출구(149)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굴착기에 연결프레임(113)에 구비된 연결봉(114)을 삽입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암반 굴착 장치(100)를 구멍을 뚫고자 하는 암반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레버(121)를 작동시키면 유압이 슬라이드부재(140)의 상측에 구성된 유압모터(M)로 이송된다.
그리고 유압모터(M)에서 이송되는 유압이 실린더(130)로 보내진다.
이어서 실린더(130)에 이송된 유압이 실린더(130)의 실린더 로드(131)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실린더 로드(131)와 플랜지(132)로 연결된 슬라이드부재(140)는 슬라이드부재(140)에 삽입된 가이드봉(115)을 따라 안정되게 하강하여 뚫고자하는 위치의 암반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또한 슬라이드부재(140)의 상부에 위치한 유압모터(M)가 회전하면서 유압모터에 연결된 샤프트(144)가 회전하고, 샤프트(144)에 연결된 비트(150)가 회전하여 암반을 굴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냉각수가 슬라이드부재(140)에 형성된 물공급구(147)로 삽입되고 슬라이드 부재(140)의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부(143)로 이동되어 샤프트(144)를 냉각시킨다.
이어서 냉각수는 샤프트(144)내에 형성된 물삽입구(148)로 이동되어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149)로 배출되어 샤프트(144)의 과열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는 양측의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슬라이드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보관, 이동 및 작업과정에서 가이드봉 및 슬라이드 부재가 손상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슬라이드 부재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이드봉 및 슬라이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암반 굴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는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바, 상기 상부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굴착기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양측 프레임바 내측의 상부판과 하부판 양측면에 고정된 가이드봉, 양측의 가이드 공에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 하측에 연결되는 굴착부재를 포함하는 암반 굴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가 암반 굴착 장치의 측면과 배면에서 상기 가이드봉을 감싸도록 굴절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양측의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슬라이드 부재가 프레임바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한 가이드봉 및 슬라이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200)는 상부판(211)과, 하부판(21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판(211)과 하부판(212) 사이의 양측으로는 프레임바(210)가 설치되어, 상부판(211)과 하부판(212) 사이의 공간을 지지한다.
이어서 하부에 회전축(260)이 연결되며 상부에 상기 회전축(260)과는 수직방향으로 굴착기에 연결되는 연결봉(214)을 구비한 연결프레임(213)이 상기 상부판(211)의 상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암반 굴착 장치(200)의 배면측 양측 프레임바(210)에 조작부(220)가 설치된다.
이때 조작부(220)에는 제 1 실린더(230), 제 2 실린더(270), 그리고 모터(M)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들이 구비된다.
이어서 조작부(220)에 구비된 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유압을 공급받아 상하 작동하는 제 1 실린더(230)의 제 1 실린더 로드(231)가 상부판(211)의 하측 및 양측 프레임바(210)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조작부(220)에 구비된 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유압을 공급받아 상하 작동하는 제 2 실린더(270)가 상기 연결프레임(213) 일측에 구비된 힌지(Hinge)구조와 프레임바(210) 일측에 구비된 힌지구조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양측 프레임바(210) 내측에 가이드봉(215)이 상부판(211)과 하부판(212)의 측면에 나사고정된다.
그리고 중앙에 샤프트 공이 형성되고, 양측에 가이드 공이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240)를 형성하고, 슬라이드 부재(240)의 가이드 공에 상기 가이드봉(215)을 삽입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이어서 슬라이드 부재(240)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실린더(230)의 제 2 실린더 로드(232)를 고정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40)의 상부에는 모터(M)를 구비하고, 슬라이드부재(240)의 샤프트 공에 상기 모터(M)에 의하여 회전하는 샤프트(241)를 삽입하며, 샤프트(241)에 암반을 굴착하는 굴착부재(250)를 장착한다.
이때 굴착부재(250)는 중석을 이용한 비트를 사용하였으며, 코아드릴, 스크류, 다이아몬드형 비트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모터 및 굴착부재 등에 전기, 유압 및 냉각수 등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라인이 연결되어 있지만, 각 구성들의 명확한 연결배치 및 형상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를 생략하였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의 프레임바 및 가이드봉의 배치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바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바(210)는 수직으로 두 번 굴절된 형태이다. 즉, 암반 굴착 장치의 측면과 배면에서 가이드봉(215)을 감싸도록 1차 굴절된 형태로서 외부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가이드봉(215)을 보호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다시 측면방향으로 2차 굴절되어 제 1 실린더(230)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하여 제 1 실린더(230)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가이드봉(215)을 기존과 달리(기존에는 슬라이드 부재의 샤프트 공과 가이드공이 동일선상에 배치됨) 슬라이드 부재(240)의 샤프트(241) 축과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치하였다. 물론 슬라이드 부재(240)의 형상도 삼각형태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가이드봉(215)을 측면과 배면에서 감싸는 구조가 더욱 용이해졌고, 암반 굴착 장치의 폭을 줄일 수 있으며, 프레임바(210)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금속재료의 양도 줄일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굴착기에 연결프레임(213)의 연결봉(214)을 삽입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암반 굴착 장치(200)를 구멍을 뚫고자 하는 암반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부(220)의 조작레버를 작동시키면 유압이 제 1 실린더(230)로 보내진다.
이어서 제 1 실린더(230)에 이송된 유압에 의해 제 1 실린더 로드(231)가 제 1 실린더(230) 외부로 연장된다.
그에 따라 제 1 실린더(230) 자체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드 부재(240) 또한 가이드봉(215)을 따라 상기 제 1 실린더 로드(231)의 연장 길이만큼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2 실린더 로드(232)가 제 1 실린더(230) 외부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240)가 가이드봉(215)을 따라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32)의 연장 길이 만큼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240)에 삽입된 샤프트(241)에 연결된 굴착부재(250)가 뚫고자하는 위치의 암반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또한 슬라이드부재(240)의 상부에 위치한 모터(M)가 회전하면서 샤프트(241)가 회전하고, 샤프트(241)에 연결된 굴착부재(250)가 회전하여 암반을 굴착한다.
그리고 작업 종료후 조작부(220)의 조작레버를 작동시키면 제 2 실린더 로드(232)가 제 1 실린더(230) 내부로 원위치 되고 그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240)가 가이드봉(215)을 따라 상기 제 2 실린더 로드(232)의 이동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제 1 실린더 로드(231)가 제 1 실린더(230) 내부로 원위치 됨에 따라 제 1 실린더(230)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결국, 슬라이드 부재(240) 또한 가이드봉(215)을 따라 상기 제 1 실린더(230) 이동 거리만큼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는 양측의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슬라이드 부재가 프레임바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한 가이드봉 및 슬라이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요부절결 측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의 슬라이드 부재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암반 굴착 장치의 프레임 바 및 가이드 봉의 배치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프레임 바 211: 상부판
212: 하부판 213: 연결 프레임
214: 연결 봉 215: 가이드 봉
220: 조작부 230: 제 1 실린더(cylinder)
231: 제 1 실린더 로드(cylinder rod) 232: 제 2 실린더 로드
240: 슬라이드 부재 250: 굴착 부재
260: 회전축 270: 제 2 실린더

Claims (2)

  1.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바, 상기 상부판의 상측에 설치되며 굴착기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양측 프레임바 내측의 상부판과 하부판 양측면에 고정된 가이드봉, 양측의 가이드 공에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 하측에 연결되는 굴착부재를 포함하는 암반 굴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가 암반 굴착 장치의 측면과 배면에서 상기 가이드봉을 감싸도록 굴절된 형태인 암반 굴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는 암반 굴착 장치 측면과 배면에서 상기 가이드봉을 감싸도록 1차 굴절되고, 다시 측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2차 굴절된 형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굴착 장치.
KR20-2005-0022276U 2005-08-01 2005-08-01 암반 굴착 장치 KR200399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76U KR200399895Y1 (ko) 2005-08-01 2005-08-01 암반 굴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76U KR200399895Y1 (ko) 2005-08-01 2005-08-01 암반 굴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895Y1 true KR200399895Y1 (ko) 2005-11-01

Family

ID=4370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276U KR200399895Y1 (ko) 2005-08-01 2005-08-01 암반 굴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8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806Y1 (ko) 암반 굴착 장치
KR101959829B1 (ko) 연속 이수 순환시스템
CN208267757U (zh) 一种道路施工用高效打桩设备
KR200399896Y1 (ko) 암반 굴착 장치
KR102115513B1 (ko) 개량형 연속 이수 순환시스템
RU2333344C1 (ru) Телескопическая подающая балка для бурильной машины
CN108442884B (zh) 地质扩孔器
BRPI0919066B1 (pt) Aparelho de perfuração.
CN100575656C (zh) 全液压瓦斯抽排放多功能钻机
CN110067514A (zh) 一种新型扩孔设备
JP2001241030A (ja) ボーリング機能を備えた孔内静的貫入試験装置
KR200399895Y1 (ko) 암반 굴착 장치
CN101586470A (zh) 高压富水充填溶腔超前钻孔方法
CN110067509B (zh) 可以钻进定向先导孔的反井钻机及定向先导孔的施工工艺
CN109025821B (zh) 一种混合型高造斜率旋转导向钻井工具
CN219840587U (zh) 水泥混凝土搅拌桩路基引孔扩孔钻头
CN107558928A (zh) 一种臂架装置及凿岩台车
CN217632337U (zh) 一种煤矿地质防治水用钻探防护装置
KR200423512Y1 (ko) 이중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굴삭기용 암반 천공 장치
JP5831907B2 (ja) 拡径ビット
KR101165757B1 (ko) 시추기의 클램프장치.
CN210264506U (zh) 一种岩土工程勘察用钻探装置
CN214062963U (zh) 一种盾构机用鱼鳍式稳定器
KR20100056074A (ko) 이동 가능한 멀티드릴을 구비한 굴착기
CA2827458C (en) Bor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