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829Y1 -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829Y1
KR200399829Y1 KR20-2005-0023189U KR20050023189U KR200399829Y1 KR 200399829 Y1 KR200399829 Y1 KR 200399829Y1 KR 20050023189 U KR20050023189 U KR 20050023189U KR 200399829 Y1 KR200399829 Y1 KR 200399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reverse osmosis
raw wat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교
양우석
Original Assignee
(주)비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룡 filed Critical (주)비룡
Priority to KR20-2005-0023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5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by removing fluoride or flu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of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20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6Organic halogen compounds
    • B01D2257/2066Fluor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6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1Bacteria; Microorganisms

Landscapes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맛, 냄새, 잔류농약성분은 활성탄에 의한 안전필터에서 제거하고, 역삼투막을 적용하여 질산성질소, 미생물, 병원성세균 등을 99% 이상 제거하며, 정밀여과막과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미생물, 병원성세균, 염소내성 원생동물은 완전히 제거하되,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성분은 통과시킨 물을 역삼투막에서 만들어진 물과 적절히 혼합하여 미네랄성분이 유지되면서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물을 안전하게 생산 가능한 고도정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수를 취수하여 저장하며 저장용량을 조절하는 원수조부; 상기 원수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서 고형물질, 이물질, 맛, 냄새, 잔류농약 등을 제거하는 안전필터부; 상기 안전필터부를 통과한 여과수에서 질산성질소, 불소, 유해중금속성분, 미생물, 병원미생물, 원생동물을 제거하는 역삼투여과부; 상기 안전필터부를 통과한 원수 중 일부가 통과되는 것으로서, 미생물, 병원성미생물, 염소내성 원생동물은 제거하고 미네랄성분은 통과시키는 정밀/한외여과부; 상기 역삼투여과부 및 정밀/한외여과부를 통과한 여과수들을 혼합,저장하며 저장수량을 조절하는 정수조부; 상기 정수조부로부터 공급받는 여과수를 살균하는 살균장치부; 및 상기한 각 부를 자동 또는 수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Advanced water-purifying equipment by MF, UF, RO membrane for making minerall contained drinking water}
본 고안은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질산성질소, 잔류농약, 유기물, 불소 및 유해중금속 등은 제거하고, 미네랄은 유지하는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한 고도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약 1000곳에 이르는 간이마을 상수원이나 전국의 농어촌지역학교, 군부대의 상수원 등은 하천수, 지하수, 복류수 등을 취수하여 염소소독처리한 후 음용수로 공급하거나, 모래여과기, 침전조를 이용하여 간단한 약품처리공정을 거친 후, 염소소독처리하여 음용수로 공급하고 있다.
종래에, 정수처리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급속여과와 소독공정은 20세기초 미국에서 실용화되어 탁도를 제거하고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하는 수처리기술이다.
그런데,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산업의 발달 및 도시화로 인한 수질오염이 가중되면서 단순히 탁도와 병원성 미생물의 처리만을 목적으로 하여 구성된 모래여과 및 염소소독 중심의 수처리 기술은 다음과 같은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첫째, 안전하고 고품질의 처리수 생산을 위하여 탁도와 병원성 미생물 외에도 맛, 냄새 유발물질, 미량유해물질(EU33 priority substancs 등), 소독부산물 전구물질(disinfection byproducts precursors, DBPs), 내분비계장애물질(endocrine disrupters), 염소내성 병원성 원생동물(cryptosporidium, giardia) 등에 대한 효율적인 제어가 필요하다.
둘째, 기존의 모래여과공정과 이와 연계된 처리공정은 유입되는 원수 수질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항상 균일한 처리수를 생산하기 위하여 숙련된 운전자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운전인력의 지식과 경험에 따라 수질의 차이가 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부지불식간에 수질사고가 유발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주민들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수처리 기술은 운전자의 숙련도에 의존하기 보다는 정수설비 자체로서 신뢰성이 높은 공정이 필요하다.
특히, 숙련된 운전인력의 확보가 어려운 중소도시와 농어촌지역의 정수처리장은 더욱 그 요구가 커지게 된다.
셋째, 기존의 정수처리공정은 비교적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도시지역에서는 확장시에 소요되는 부지면적의 확보가 큰 문제인 처리장들이 많다. 그러므로 처리효율과 신뢰성이 있고 자동운전으로 운전이 편리하고 최소면적이 소요되는 작은 정수처리공정이 필요하다.
최근의 막여과 기술은 상기한 바에서 제시된 기존 정수처리 공정의 개선 필요성을 대부분 만족시키는 공정으로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막의 기본 특성인 선택적 투과성으로 정수처리시 막여과 공정은 거의 완벽한 미생물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막여과 정수처리 기술은 기존의 모래여과공정에 비하여 염소내성 병원성 원생동물을 소독하기 위해 필요한 염소 소독제 주입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소독 부산물생성을 최소화하고 또한 처리수의 잔류염소농도 역시 최소화할 수 있는 최상의 정수처리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마을상수 취수원이나 지하수원에서의 원수는 동물성유기물 등으로 인한 오염이 갈수록 심각해져서 질산성질소가 다량 포함된 원수가 되고 있고,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 같은 염소내성 병원성 원생동물 감염도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하수에서는 간혹 불소성분이나 유해성 중금속성분도 검출되고 있다.
음용수는 존재하는 질산성질소 성분이나 잔류농약, 유기물성분이 먹는물 수질기준 이상 검출될 때 인체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상기 질산성질소의 독성은 거의 무시해도 좋으나 2차, 3차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2차적인 독성은 미생물에 의하여 질산성질소가 아질산성 질소로 환원됨으로써 초래된다. 환원된 아질산성 질소는 혈류내로 흡수되며, 헤모글로빈과 반응하여 혈액의 산소 전달계 기능을 부분적으로 상실시킨다. 이러한 작용은 특히 유아계에 치명적이며, 소위 blue baby병(청색증)을 유발시킨다.
또한, 3차적인 독성은 질산성질소가 위산과 반응하여 니트로사민(nitrosamines)을 형성함으로써 매우 광범위한 위험요소가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지역에서 불소(F)성분이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장기간(영구치 형성기간)에 불소를 많이 함유한 물을 먹으면 치아의 표층질을 찌르는 반상치가 발생한다. NaF를 6mg/day 이상 계속 섭취하면, 불소증(fluorisis)에 걸리고 체중감소, 구토, 변비, 무근무력증, 만성경련, 폐충혈, 심장실조가 일어날 수가 있다.
SiF4에서는 위연화증, 신경통, 재생불량성빈혈 등의 급성독성이 일어날 수가 있고, 신장의 지방산 산화 효소 활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며 간장의 질소 및 지방함량이 감소하는 만성독성이 나타날 수가 있다.
그리고, 잔류농약성분의 오염으로 인하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병명 조차도 모르고 고통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염소내성 원생동물인 크립토스포리디움은 3내지 5μm정도의 크기를 가진 원충의 일종으로 사람이외에 소, 고양이 등에 기생하여 분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환경중에서는 오시스타라고 불리는 껍질에 포함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염소처리로는 불활성화가 불가능하여 감염되면 설사와 복통이 동반된다. 일본의 경우 1966년 6월 도쿄북부 사이타마현 오고세 정수장에서 수돗물을 통한 크리토스포리디움에 의한 감염증이 처음 발생하여 액 8,800명이 증세를 나타낸 일이 있다.
또한, 1993년 미국 밀워키시에서는 약 40만명 이상이 감염된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우리나라에도 현재 하천수를 원수로 사용하여 재래식처리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는 마을상수도나 정수설비로는 언제든지 이런 원생동물들의 집단감염될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상기한 질산성질소 제거나 불소제거에 있어 이온교환법이나 역삼투법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온교환법으로는 질산성질소의 제거는 가능하지만 미생물이나 병원성세균 등의 제거에는 적합하지 않고, 역삼투방법 단독으로 사용하면 질산성질소, 중금속, 미생물 병원성세균 등은 제거되지만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성분도 함께 제거되므로 증류수와 유사하게 미네랄성분이 없기 때문에 먹는 물로서는 적합하다고 할 수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에 해로운 질산성질소, 불소, 유해중금속을 제거하는 역삼투막과 미생물, 원생동물, 병원성미생물 등을 제거한 정밀여과(MF), 한외여과(UF) 정수설비 및 이온교환설비의 특징 및 장,단점을 비교하면 아래의 표1과 같다.
(표 1)
종 류 특 징 단 점
정밀여과(MF)정수막 ㅇ0.1μm에서 공경구조ㅇ탁질 및 미생물, 세균 등을 제거(미네랄 성분 풍부)ㅇ운전압력이 1 내지 3kg/cm2로 운전관리비가 저렴ㅇ팩키지화로 소형화 가능, 무인 운전가능 ㅇ유입수내 용존성 물질 제거 불가능
한외여과(UF)정수막 ㅇ0.1μm에서 공경구조ㅇ탁질 및 미생물, 세균 등을 제거(미네랄 성분 풍부)ㅇ운전압력이 1 내지 3kg/cm2로 운전관리비가 저렴ㅇ팩키지화로 소형화 가능, 무인 운전가능 ㅇ유입수내 용존성 제거 불가능
역삼투막 NF ㅇ0.001μm의 초미세공경 구조ㅇ1가 이온 45% 내지 65%제거, 2가 이온 95% 제거 ㅇ과농축운전시 스케일현상 발생 가능
RO ㅇ0.1 옹스트롱의 초미세공경 구조ㅇ1가 이온 99.5%제거, 탈염공정에 적합ㅇ미생물, 세균, 농략, THM, 중금속이온 제거ㅇ팩키지화로 소형화가능, 무인 운전가능 ㅇ과농축운전시 스케일현상 발생 가능ㅇ운전압이 높음(8 내지 12kg/cm2)→운전관리비가 다소 소요됨ㅇ생산수에 미네랄 성분이 제거
이온교환설비 ㅇ유입수의 양이온 또는 음이온 선택적 제거ㅇ주기적인 재생공정을 필요 ㅇ수지층에 의한 미생물 번식가능ㅇ잦은 재생공정→운전관리 난이ㅇ운전관리면 전문적 지식을 필요ㅇ과농도의 재생폐액의 처리 곤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처리 방법에 따른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맛, 냄새, 잔류농약성분은 활성탄에 의한 안전필터에서 제거하고, 역삼투막을 적용하여 질산성질소, 미생물, 병원성세균 등을 99% 이상 제거하며, 정밀여과막과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미생물, 병원성세균, 염소내성 원생동물은 완전히 제거하되,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성분은 통과시킨 물을 역삼투막에서 만들어진 물과 적절히 혼합하여 미네랄성분이 유지되면서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물을 안전하게 생산 가능한 고도정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운전이 간단하고 자동화한 최첨단의 정수장치를 지방자치단체의 마을정수장이나 광역상수도는 물론 혜택을 받지 못하는 학교, 군부대, 도서지방, 사회복지시설 등에 공급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마을상수 취수원이나 지하수원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정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원수를 취수하여 저장하며 저장용량을 조절하는 원수조부; 상기 원수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서 고형물질, 이물질, 맛, 냄새, 잔류농약 등을 제거하는 안전필터부; 상기 안전필터부를 통과한 여과수에서 질산성질소, 불소, 유해중금속성분, 미생물, 병원미생물, 원생동물을 제거하는 역삼투여과부; 상기 안전필터부를 통과한 원수 중 일부가 통과되는 것으로서, 미생물, 병원성미생물, 염소내성 원생동물은 제거하고 미네랄성분은 통과시키는 정밀/한외여과부; 상기 역삼투여과부 및 정밀/한외여과부를 통과한 여과수들을 혼합,저장하며 저장수량을 조절하는 정수조부; 상기 정수조부로부터 공급받는 여과수를 살균하는 살균장치부; 및 상기한 각 부를 자동 또는 수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역삼투여과부를 통과하여 걸러진 질산성질소, 불소, 유해중금속성분, 미생물, 병원미생물, 원생동물들은 원수 일부와 함께 방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역삼투여과부로 안전필터부를 통과한 여과수가 공급될 때, 질산성질소나 원생동물이 제거되지 않은 원수 중 일부는 방류되되, 나머지 일부는 다시 역삼투여과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원수에 대한 생산수의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순환계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처리장치의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처리장치는, 원수조부(10), 안전필터부(20), 역삼투여과부(30), 정밀/한외여과부(40), 정수조부(50) 그리고 살균장치부(60), 자동제어부(100)로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순환계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수조부(10)는 원수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원수는 마을상수 취수원이나 지하수 취수원의 취수펌프(11)를 통하여 공급된다.
본 고안은 지하수나 마을상수 취수원의 수질이 질산성질소, 불소, 잔류농약, 세균, 염소내성 원생동물 등으로 오염되어 기존의 정수설비로는 음용수 수질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 이러한 원수의 오염물질은 제거하고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 성분은 유지하여 안전하고 맛있는 음용수를 생산/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음용수설비를 설치가능한 지역은 상수도설비가 없는 도서지방, 군부대, 장단기 야영지역, 하수오염지역, 상수설비의 보수가 필요한 지역, 연수원, 사회복지시설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원수조부(10)에서 취수량에 따라 물탱크 용량을 결정하며 저장용량의 조절방식은 수위조절감지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절, 운전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 원수조부(10)를 통하여 공급받는 원수에서 고형물, 이물질, 맛, 냄새, 잔류농약성분의 대부분을 제거하는 안전필터부(20)를 갖는데, 원수조부(10)에서 나온 원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안전필터부(20)로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펌프(21)를 이용한다.
이러한 원수공급펌프(21)는 안전필터부(20)에 제공하는 원수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안전필터부(20)의 상세한 규격은 처리하고자 하는 원수 수질 및 수량에 의하여 결정되며 본 고안에서는 적정 여과속도를 가지는 카트리지 형식을 사용하며, 내부에는 2mm 내지 5mm의 입도 크기의 활성탄에 은으로 코팅된 활성탄과 일반활성탄의 비율을 경제적인 2:8의 비율(이 비율은 수질, 경제성과 처리효과에 따라 조정할 수 있음)을 충진하는 것으로 한다.
안전필터부(20)에서는 원수 중에 있는 맛, 냄새 성분과 잔류농약성분 등의 유기물을 흡착하고 탁도유발 물질이 여기에서 제거된다.
원수 중에서 감염된 세균은 코팅된 은의 기능에 의하여 번식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필터부(20)를 통과한 원수는 원수가 가지고 있던 맛, 냄새, 잔류농약성분, 유기물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안전필터부(20)를 거친 후, 역삼투여과부(30)로 이송되는데, 역삼투여과부(30)는 역삼투막을 적용한 모듈형식으로 구조는 와권형(Spiral Wounded Type)이며 재질은 폴리아마이드(Poly Amide)를 사용하되,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가진다면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역삼투여과부(30)로 원수가 유입되기 전, 원수의 수압을 높이기 위하여 순환펌프(31)를 구비한다.
운전압력은 수질, 온도 생산용량에 따라서 다르지만 약 8kg/cm2 내지 12kg/cm2 정도에서 운전이 가능하고 적용 pH는 3 내지 10의 조건이 바람직하며 사용온도는 최저 5도에서 최고 40도까지 사용할 수가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역삼투여과부(30)에 사용되는 역삼투막은 염제거율이 99% 이상으로서 질산성질소, 유기물, 불소, 중금속성분 등은 90% 이상 제거된다.
여기서는 세균이나 3-6μm 크기인 크립토스프리디움, 지아디아 등의 원생동물이 100% 제거된다.
역삼투여과부(30)에서 걸러진 질산성질소성분, 유기물, 원생동물 등을 포함한 농축수는 정수조부(50)로 공급되지 않고 방류(80)된다.
정밀여과, 한외여과부(40)는 정밀여과막과 한외여과막을 적용하며 구조는 중공사형(Hollow Fiber Type)과, 권형(Spiral Wounded Type)이며, 재질은 PS(Poly Sulfone), PVDF(Poly Vinylidene Floride), PE(Poly Ethylene), PAN(Poly Acyrilro Nitril) 등을 사용하되,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다면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정밀여과, 한외여과부(40)로 공급되는 원수는 공급펌프(21)에서 공급되며, 유량은 안전필터부(20)를 거친 후 밸브를 조절하여 공급된다.
운전압력은 수질, 온도 생산유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에너지가 절약되는 저압용막으로 약 1kg/cm2 내지 5kg/cm2에서 운전이 가능하고, 적용 pH는 3 내지 10 조건이 바람직하며, 사용온도는 5도에서 최고 40도까지 사용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정밀여과, 한외여과막부(40)에서는 원수가 가지고 있는 미네랄성분은 통과되고 미생물, 변원성세균, 3~6μ 크기인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 등의 원생동물은 99.9% 제거된다.
걸러진 미생물, 병원성세균, 원생동물 등은 정수조부(50)로 공급되지 않고 계외로 방류(80)된다.
정밀여과, 한외여과부(40)를 통과한 여과수는 역삼투여과부(30)에 통과한 여과수와 먹는 물 수질조건에 적합한 수질로 적절한 량으로 혼합되어 정수조부(50)로 모아진다.
본 고안에 의한 정수조부(50)는 여과수를 필요한 만큼 저장하고 저장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방식은 수위조절계를 통한 원수조부(10)와 같은 방법으로 할 수가 있다.
정수조부(50)에서 모아진 여과수는 송수펌프(51)에 의하여 살균장치부(60)에 공급되며, 살균장치부(50)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염소를 투입하여 살균할 수 있다.
여과수는 역삼투여과부(30)나 정밀여과, 한외여과부(40)를 통과함으로써 음용수 수질기준을 만족하여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조건이 되나 최종 소비자에게 장시간 송수되는 과정에서 배관내부나 정수조부(50)의 대기중 세균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고 우리나라 수도법에서 정한 잔류염소 0.2mg/ℓ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차아염소산소다를 투입한다.
본 고안의 장치는 운전조건과 수질조건을 장치가 설치되는 현장에서도 제어가 가능하지만 필요한 통신설비를 갖추면 원격감시와 제어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를 다시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취수펌프(11)를 통하여 원수조부(10)에 원수가 공급되면 원수조부(10)에서는 취수를 저장하고 저장용량을 조절한다. 이렇게 저장된 원수는 공급펌프(21)에 의해 안전필터부(20)를 통과하면서 고형물, 맛, 냄새, 잔류농약이 제거된다. 그 후 순환펌프(31)를 통하여 역삼투여과부(30)로 공급되어 질산성질소, 불소, 중금속성분이 완전히 제거되고 정수조부(50)로 보내진다.
한편, 안전필터부(20)를 통과한 원수의 일부는 정밀여과, 한외여과부(40)로 보내져 미생물, 병원성세균, 원생동물은 제거되고 미네랄성분은 통과되어 원수조부(50)에서 역삼투여과부(30)를 통과한 여과수와 혼합되어 먹는물 수질조건을 만족하는 조건으로 조정된다.
정수조부(50)에서는 원하는 용량만큼 저장하고 이를 다시 송수펌프(51)를 통하여 살균장치부(60)를 통과시키면서 살균하고, 이를 최종적으로 음용수로 공급(90)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역삼투여과부(30)에서 제거되는 질산성질소, 불소, 세균, 원생동물은 원수 일부와 함께 방류(80)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질산성질소나 원생동물을 제거하지 않은 원수가 순환계부(70)를 통하여 일부는 방류되지만 나머지 일부는 다시 역삼투여과부(30)에 공급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처리를 함에 있어서는 원수에 대한 생산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모든 장치의 운전조건과 수질조건은 현장 자동제어부(100)를 통하여 자동, 수동감시 제어가 가능하고 통신시설을 갖추면 원격제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운전이 간단하고 자동화한 최첨단의 정수처리장치 즉, 원수에 포함된 맛, 냄새, 불소, 잔류농약성분, 세균은 물론 크립토스로리디움, 지아디아 등의 원생동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원수 중에 포함된 미네랄성분은 적정량 통과시키는 막모듈을 가지는 여과부를 적용함으로써, 음용수 수질 기준으로 부적합한 물질은 제거하고 미네랄 성분은 다량 함유하는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정수처리장치를 지방자치단체의 마을정수장이나 광역상수도는 물론 혜택을 받지 못하는 학교, 군부대, 도서지방, 사회복지시설 등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음용수의 공급으로 모든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처리장치의 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수조부 20 : 안전필터부
30 : 역삼투여과부 40 : 정밀/한외여과부
50 : 정수조부 60 : 살균장치부
70 : 순환계부 100 : 제어부

Claims (3)

  1. 마을상수 취수원이나 지하수원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정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원수를 취수하여 저장하며 저장용량을 조절하는 원수조부;
    상기 원수조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서 고형물질, 이물질, 맛, 냄새, 잔류농약 등을 제거하는 안전필터부;
    상기 안전필터부를 통과한 여과수에서 질산성질소, 불소, 유해중금속성분, 미생물, 병원미생물, 원생동물을 제거하는 역삼투여과부;
    상기 안전필터부를 통과한 원수 중 일부가 통과되는 것으로서, 미생물, 병원성미생물, 염소내성 원생동물은 제거하고 미네랄성분은 통과시키는 정밀/한외여과부;
    상기 역삼투여과부 및 정밀/한외여과부를 통과한 여과수들을 혼합,저장하며 저장수량을 조절하는 정수조부;
    상기 정수조부로부터 공급받는 여과수를 살균하는 살균장치부; 및 상기한 각 부를 자동 또는 수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여과부를 통과하여 걸러진 질산성질소, 불소, 유해중금속성분, 미생물, 병원미생물, 원생동물들은 원수 일부와 함께 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여과부로 안전필터부를 통과한 여과수가 공급될 때, 질산성질소나 원생동물이 제거되지 않은 원수 중 일부는 방류되되, 나머지 일부는 다시 역삼투여과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원수에 대한 생산수의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순환계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KR20-2005-0023189U 2005-08-10 2005-08-10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KR200399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189U KR200399829Y1 (ko) 2005-08-10 2005-08-10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189U KR200399829Y1 (ko) 2005-08-10 2005-08-10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374A Division KR100758663B1 (ko) 2005-08-10 2005-08-10 정밀여과 및 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829Y1 true KR200399829Y1 (ko) 2005-10-28

Family

ID=4370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189U KR200399829Y1 (ko) 2005-08-10 2005-08-10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8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96B1 (ko) * 2006-05-22 2011-12-26 한일월드(주)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96B1 (ko) * 2006-05-22 2011-12-26 한일월드(주) 역삼투압 수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663B1 (ko) 정밀여과 및 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Laîné et al. Status after 10 years of operation—overview of UF technology today
AU2016232986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CN101219846B (zh) 超滤膜混凝/吸附/生物反应器一体化水深度处理方法及其装置
EP1900417B1 (en) Method of bacteriostasis or disinfection for permselective membrane
KR101579067B1 (ko) 산업적 목적에 이용되는 수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2303939A (zh) 前、中、后臭氧与中置曝气生物活性炭给水处理方法
CN101580328A (zh) 一种处理微污染地表水的方法及装置
CN102718357A (zh) O3-bac水处理工艺及其配套饮用水处理设备
CN104773868A (zh) 一种载银活性炭/二氧化钛耦合与超滤组合装置及控制水中有机物与病原微生物的方法
CN102138568A (zh) 等渗消毒清洗液的制备方法及设备
CN1138709C (zh) 微污染水源水净化工艺
WO2023040018A1 (zh) 一种新型低压高回收率纳滤系统及方法
CN101891337B (zh) 将劣v类地表水处理为生活饮用水的处理系统及方法
US20080128356A1 (en) Three in One Method and Equipment for Treating Drinking Water
JP2004025018A (ja) 逆浸透による海水淡水化装置
Sarma Filtration and chemical treatment of waterborne pathogens
Jiménez et al. Low cost technology for reliable use of Mexico City’s wastewater for agricultural irrigation
KR200399829Y1 (ko) 정밀/한외여과막과 역삼투막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음용수 고도정수처리장치
KR20190142031A (ko) 미네랄 음용수 정밀여과시스템
JP5055746B2 (ja) 膜利用による水循環使用システム
CN101811798A (zh) 利用微生物-膜复合工艺提高水质安全性的方法
Huang et al. Water reclamation and reuse
JPH11239789A (ja) 高度水処理方法
Lozier et al. The Oxnard advanced water purification facility: combining indirect potable reuse with reverse osmosis concentrate beneficial use to ensure a California community's water sustainability and provide coastal wetlands rest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