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005Y1 - 빨대 - Google Patents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005Y1
KR200399005Y1 KR20-2005-0022060U KR20050022060U KR200399005Y1 KR 200399005 Y1 KR200399005 Y1 KR 200399005Y1 KR 20050022060 U KR20050022060 U KR 20050022060U KR 200399005 Y1 KR200399005 Y1 KR 200399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movable
fixing portion
container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낙수
Original Assignee
정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낙수 filed Critical 정낙수
Priority to KR20-2005-0022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9Drinking straws or the like telesc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내측에 빨대를 고정 부착하여서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음료가 유동 가능한 유동홀이 형성된 빨대 고정부와 상기 빨대 고정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유동되는 이동형 빨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빨대{Straw}
본 고안은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내측에 빨대를 고정 부착하여서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에 관한 것이다.
빨대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음용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빨대를 사용하는 어린이들의 경우에 빨대로 내용물을 빨아먹다가 숨이 차면 빨대를 입에 문 상태로 빨대를 빼내거나 용기의 측부를 가압하여 용기 내부의 용적량을 줄여서 내용물을 빼내게 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빨대 내에 남아있던 내용물이 과도하게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입 주위나 얼굴 또는 옷을 젖게 만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빨대는 용기로부터 쉽게 빼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빨대가 빠진 구멍을 통해 내용물이 쏟아져 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빨대를 사용하는 경우 빨대가 용기의 빨대홈에 꽂혀 있는 상태에서도 빨대를 통해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음용자가 들고 걷거나 뛸 경우 또는 움직이는 기구 즉, 차량내에서나 기타 놀이기구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내용물이 흘러서 옷이나 시트 등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빨대를 사용하는 경우 빨대를 통해 출수되는 양의 조절이 빨대의 단면적이나 빠는 힘의 세기로 조절을 해야 하나 아이들은 그럴 능력이 없으므로 과도한 출수로 딸꾹질이나 새알들림 현상이 발생해서 울거나 심할 경우에는 기도로 내용물이 넘어가 돌이킬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의 빨대는 용기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용기의 빨대홈에 투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빨대를 별도로 준비해야만 되었고, 빨대가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매우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의 내측에 빨대를 고정 부착하여서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빨대는, 용기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음료가 유동 가능한 유동홀이 형성된 빨대 고정부와 상기 빨대 고정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유동되는 이동형 빨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빨대 고정부는 용기 내의 음료가 상기 유동홀로 진입되도록 하는 진입홀과 상기 유동홀을 지나서 상기 이동형 빨대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빨대는 상기 빨대 고정부의 유출구와 대응되게 유입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빨대는 일측 단부가 상기 용기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개폐가 가능한 뚜껑에 의해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빨대는 하부에 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빨대 고정부는 상기 이동형 빨대의 회전방지돌기와 대응되게 요홈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빨대에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빨대 고정부에 다수의 유출구가 형성되어, 각각 다수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서로 연통되게 맞대응되는 개수에 따라 음료의 용출량이 조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빨대의 외측벽에 음료가 용출될 수 있는 양을 지시하는 용출량지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빨대 고정부의 가이드홈 내측벽에 탄성력에 의해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형 빨대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탄성력이 없어지게 되면 돌출되어 상기 이동형 빨대가 하강 이동시에 이동형 빨대가 걸려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강방지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빨대 고정부의 가이드홈 내측벽에 상기 이동형 빨대와의 상호작용력에 따라 함몰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돌출편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형 빨대의 유입구와 빨대 고정부의 유출구가 서로 연통되게 맞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였을 때 돌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빨대의 외주벽면에 상기 빨대 고정부와의 상호작용력에 의해 함몰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돌출편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형 빨대의 유입구와 빨대 고정부의 유출구가 서로 연통되게 맞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였을 때 돌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빨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빨대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동형 빨대와 이 이동형 빨대와 상호 작용하는 빨대 고정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의 결합 사시도로서, 이동형 빨대와 이 이동형 빨대와 상호 작용하는 빨대 고정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의 (a)와 (b)는 각각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빨대 고정부의 A-A'선과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중 빨대 고정부의 다른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빨대는,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유동되는 이동형 빨대(10)와 상기 용기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동형 빨대(1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1)이 형성된 빨대 고정부(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동형 빨대(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용기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거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과 더불어 개폐가 가능한 뚜껑(11)에 의해 밀봉되어 이루어지고, 측벽에 음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14, 1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뚜껑(11)은 이동형 빨대(10)의 입구를 밀봉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1a)가 형성되고, 타측에 탄성을 갖는 힌지부(11b)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이동형 빨대(10)의 내벽과 대응되게 연장부(11c)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1a)는 이동형 빨대(10)의 입구를 개방시킬 때 사용되어지고, 상기 힌지부(11b)는 이동형 빨대(10)에 접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빨대 고정부(20)에 수용되어 있는 이동형 빨대(10)를 인출할 때 사용되며, 상기 연장부(11c)는 이동형 빨대(10)의 내벽과 접착 고정되게 된다. 상기 힌지부(11b)와 이동형 빨대(10)는 약한 접착력을 가지므로 음용자에 의해 손쉽게 제거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빨대 고정부(20)는 상기 이동형 빨대(10)의 외주벽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의 기밀이 유지되게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음료가 유동 가능한 유동홀(30)이 형성되며, 하부의 양측 단부에 용기의 내용물이 음료유동홀(30)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홀(28, 29)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형 빨대(10)의 유입구(14, 15)와 대응되게 하나 이상의 유출구(22, 2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이동형 빨대(10)에는 그 하부 측벽에 회전방지돌기(1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한 빨대 고정부(20)의 가이드홈(21) 내주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이동형 빨대(10)의 회전방지돌기(16)와 대응되게 요홈(24)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회전방지돌기(16)와 요홈(24)은 이동형 빨대(10)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호 대응하여 작용하게 되는데, 회전방지돌기(16)는 이동형 빨대(10)가 상하 이동할 때 요홈(2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동형 빨대(10)가 가이드홈(21)을 벗어나 빨대 고정부(20)의 내주벽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동형 빨대(10)를 과도한 힘으로 뽑을 때 빨대 고정부(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쇠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이동형 빨대(10)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유입구(14, 15)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의 유입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한 빨대 고정부(20)에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유출구(22, 23)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의 유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이동형 빨대(10)의 유입구(14, 15)와 빨대 고정부(20)의 유출구(22, 23)는 서로 대응할 수 있도록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동형 빨대(10)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유입구(14, 15)와 유출구(22, 23)가 서로 대응되어 연통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용기의 내용물은 음료유동홀(30)을 지나서 유출구(22, 23) 및 유입구(14, 15)를 통해서 이동형 빨대(10)의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상기한 이동형 빨대(10)의 유입구(14, 15)와 빨대 고정부(20)의 유출구(22, 23)가 서로 대응하여 연통되는 개수에 따라 음료의 용출량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즉, 유입구(14)와 유출구(23)만이 서로 연통되게 대응되게 되면 소량의 음료가 용출되게 되고, 유입구(14)와 유출구(22)가 서로 연통되게 대응됨과 동시에 유입구(15)와 유출구(23)가 서로 연통되게 대응되게 되면 대량의 음료가 용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형 빨대(10)와 빨대 고정부(20)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구(14, 15)와 유출구(22, 23)는 음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므로 유입구(14, 15)와 유출구(22, 23)가 서로 연통되는 지점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별도의 기구, 즉 용출량 지시부(12, 13)가 이동형 빨대(1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음료의 용출량이 소량 또는 대량의 경우에 이동형 빨대(10)의 위치가 서로 달라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용출량 지시부(12, 13)는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빨대 고정부(20)는 가이드홈 내측면에 돌출 가능하도록 된 돌출편(25, 2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돌출편(25, 26)은 이동형 빨대(10)의 외측면의 가압력에 의해 함몰되어 있다가 이동형 빨대(10)가 상승 이동하여 이동형 빨대(10)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게 되면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진다. 상기 돌출편(25, 26)은 상기 용출량 지시부(12, 13)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이동형 빨대의 하강시 부하를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한 이동형 빨대(10)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이동형 빨대(10)의 측면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게 되면 돌출편(25, 26)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게 되고, 하나의 돌출편(26)이 돌출되었을 때 이동형 빨대(10)의 위치는 유입구(14)와 유출구(23)가 서로 연통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다른 하나의 돌출편(25)이 돌출되었을 때 이동형 빨대(10)의 위치는 유입구(14)와 유출구(22)가 서로 연통됨과 동시에 유입구(15)와 유출구(23)가 서로 연통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돌출편(25, 26)은 이동형 빨대(10)의 외주벽면에 상기 빨대 고정부(20)와의 상호작용력에 의해 함몰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이동형 빨대(10)의 유입구(14, 15)와 빨대 고정부(20)의 유출구(22, 23)가 서로 대응될 때 돌출편(25, 26)이 돌출되게 되므로 돌출편(25, 26)의 돌출작용으로 인한 진동이 이동형 빨대(10)를 통해 곧바로 음용자에게 전달되어 음용자가 용출량 지시부(12, 13)를 보지 않더라도 용출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이동형 빨대의 유입구와 빨대 고정부의 유출구가 서로 연통되게 맞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였을 때 돌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그리고, 상기한 빨대 고정부(20)의 가이드홈(21) 내측벽에 탄성력에 의해 함몰 및 돌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형 빨대(10)의 측면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함몰되어 있다가 이동형 빨대(10)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작용력이 해제되게 되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이동형 빨대(10)가 외력에 의해 강제로 하강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하강방지핀(27)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하강방지핀(27)은 이동형 빨대(10)의 뚜껑(11)을 개방하여 이동형 빨대(10)가 하강방지핀(27)이 위치한 지점을 초과하여 상승 이동하면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어 이후에 이동형 빨대(10)가 용기 내부에 완전 투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빨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음료가 음료유동홀(30)로 진입하기 위한 진입홀(31, 32)을 빨대 고정부(20)에서 용기의 내부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빨대가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음료의 용출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빨대는 용기 제작시 용기의 내측면에 고정 부착된다.
이어서, 음용자가 용기의 상부면에 부착된 뚜껑(11)을 해제하기 하기 위해 뚜껑(11)의 일측부를 잡고 들어올리게 되면 뚜껑(11)은 용기의 표면으로부터 서서히 떨어져 나가게 된다. 뚜껑(11)이 용기의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지게 되면 뚜껑(11)의 타측부에 단부의 일부가 연결되어 있는 이동형 빨대(10)가 상승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형 빨대(10)의 회전방지돌기(16)와 빨대 고정부(20)의 요홈(24)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동형 빨대(10)가 요홈(24)을 벗어나 빨대 고정부(20)의 가이드홈(21)의 벽면을 따라 회전되거나 빨대 고정부(20)에서 상부로 상승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이동형 빨대(10)를 더 상승 이동시켜 하강방지핀(27)이 형성된 위치를 지나게 되면 하강방지핀(27)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이동형 빨대(10)를 더 상승 이동시켜 돌출편(26)이 형성된 위치를 지나게 되면 돌출편(26)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게 된다. 이때 이동형 빨대(10)의 유입구(14)와 빨대 고정부(20)의 유출구(23)가 서로 연통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음료의 용출량은 소량이 되게 된다. 또한, 이동형 빨대(10)의 용출량 지시부(12)가 용기에 표면과 맞닿아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이동형 빨대(10)를 더 상승 이동시켜 돌출편(25)이 형성된 위치를 지나게 되면 돌출편(25)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게 된다. 이때 이동형 빨대(10)의 유입구(14)와 빨대 고정부(20)의 유출구(22)가 서로 연통되는 지점에 위치됨은 물론 이동형 빨대(10)의 유입구(15)와 빨대 고정부(20)의 유출구(23)가 서로 연통되는 지점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이동형 빨대(10)의 용출량 지시부(13)가 용기에 표면과 맞닿아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빨대는 용기의 내부에 고정 부착됨으로써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의 내부에 빨대를 고정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빨대를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빨대에 의하면, 빨대가 용기의 내부에 보관되어지므로 매우 위생적인 상태에서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빨대에 의하면, 이동형 빨대와 빨대 고정부의 음료유동홀이 맞대응될 때만 음료가 용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음용중에 용기를 떨어뜨렸을 때에도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빨대에서 이동형 빨대와 빨대 고정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에서 이동형 빨대와 빨대 고정부에 대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의 A-A'선 및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 중 빨대 고정부의 다른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빨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이동형 빨대 11..뚜껑
11a..손잡이부 11b..힌지부
11c..연장부 12, 13..용출량 지시부
14, 15..유입구 16..회전방지돌기
20..빨대 고정부 21..가이드홈
22, 23..유출구 24..요홈
25, 26..돌출편 27..하강방지핀
28, 29, 31, 32..진입홀 30..음료유동홀

Claims (10)

  1. 용기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음료가 유동 가능한 유동홀이 형성된 빨대 고정부와,
    상기 빨대 고정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유동되는 이동형 빨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부는 용기 내의 음료가 상기 유동홀로 진입되도록 하는 진입홀과 상기 유동홀을 지나서 상기 이동형 빨대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빨대는 상기 빨대 고정부의 유출구와 대응되게 유입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빨대는 일측 단부가 상기 용기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됨과 더불어 개폐가 가능한 뚜껑에 의해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빨대는 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빨대 고정부는 상기 이동형 빨대의 회전방지돌기와 대응되게 요홈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빨대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빨대 고정부는 상기 유입구에 대응되게 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서로 연통되게 맞대응되는 개수에 따라 음료의 용출량이 조절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빨대의 외벽에 음료가 용출될 수 있는 양을 지시하는 용출량지시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부의 가이드홈 내벽에 탄성력에 의해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형 빨대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탄성력이 없어지게 되면 돌출되어 상기 이동형 빨대가 하강 이동시에 이동형 빨대가 걸려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강방지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 고정부의 가이드홈 내주벽면에 상기 이동형 빨대와의 상호작용력에 따라 함몰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돌출편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이동형 빨대의 유입구와 빨대 고정부의 유출구가 서로 연통되게 맞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였을 때 돌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빨대의 외주벽면에 상기 빨대 고정부와의 상호작용력에 의해 함몰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돌출편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이동형 빨대의 유입구와 빨대 고정부의 유출구가 서로 연통되게 맞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였을 때 돌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KR20-2005-0022060U 2005-03-28 2005-07-29 빨대 KR200399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060U KR200399005Y1 (ko) 2005-03-28 2005-07-29 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651 2005-03-28
KR20-2005-0022060U KR200399005Y1 (ko) 2005-03-28 2005-07-29 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005Y1 true KR200399005Y1 (ko) 2005-10-18

Family

ID=4370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060U KR200399005Y1 (ko) 2005-03-28 2005-07-29 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0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498B1 (ko) * 2016-08-25 2018-02-01 김영복 휴대형 비데
KR102124172B1 (ko) * 2019-02-28 2020-06-17 김한주 스트로
KR102682577B1 (ko) 2022-07-19 2024-07-09 신강 주식회사 파이프 길이조절을 위한 분사용 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498B1 (ko) * 2016-08-25 2018-02-01 김영복 휴대형 비데
KR102124172B1 (ko) * 2019-02-28 2020-06-17 김한주 스트로
KR102682577B1 (ko) 2022-07-19 2024-07-09 신강 주식회사 파이프 길이조절을 위한 분사용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724B2 (en) Beverage container
JP6110041B2 (ja) 折り畳み可能なストローを有する、ボトルのための蓋
EP3009053B1 (en) Lid assembly and drin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US5535455A (en) Sink strainer for garbage disposal unit
JP5224364B2 (ja) 計量振出キャップ
US9936830B2 (en) Sealing pitcher assembly
CA3009405A1 (en) Drink bottle and lid with cover for drink spout
KR200399005Y1 (ko) 빨대
US20120111821A1 (en) Container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CN216316921U (zh) 一种双饮杯
KR101565236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0391215Y1 (ko) 빨대가 형성된 음료 용기 뚜껑
JP5046105B2 (ja) 二剤混合容器
JP3929602B2 (ja) 振り混ぜ容器の蓋付き注出栓
JPS6160457A (ja) トグルタイプの圧搾式デイスペンサ−
JP4276726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KR101022056B1 (ko) 개폐 조절이 용이한 펌프식 유체 용기
KR20110000821U (ko) 빨대가 구비된 용기
JP2000238821A (ja) 飲料容器の蓋体
CN214179992U (zh) 一种饮水容器的出水阀
KR200186776Y1 (ko) 용기 마개
JP7440282B2 (ja) 計量カップ付き容器
KR200463129Y1 (ko) 용기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0259327Y1 (ko) 용기내에 담수된 내용물 안내관의 유입구 이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