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811Y1 - 안경세척기 - Google Patents

안경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811Y1
KR200398811Y1 KR20-2005-0020958U KR20050020958U KR200398811Y1 KR 200398811 Y1 KR200398811 Y1 KR 200398811Y1 KR 20050020958 U KR20050020958 U KR 20050020958U KR 200398811 Y1 KR200398811 Y1 KR 200398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ank
main body
vibrato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종
Original Assignee
송원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종 filed Critical 송원종
Priority to KR20-2005-0020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8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spectacles frame or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서 세척수가 담수되는 세척조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세척수의 교환 및 세척조의 세척 용기로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등의 사용상의 간편함과 세척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안경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전원과 회로기판 및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제어부가 일측에 마련되고 중앙에 세척조가 수용 안착 되도록 수용공간(12)이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의 수용바닥면(14) 일측에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공급단자(16)가 구성되어 있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2)에 수용 안착 되고 내부에 세척수가 담수 되는 저장공간(22)이 마련되며, 하방에 진동자(24)가 설치되고 저면 일측에는 상기 본체(10)의 공급단자(16)와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진동자(24)로 공급하는 수요단자(26)가 구성되어 있는 세척조(20)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2)에서 상기 세척조(20)가 이,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세척기{Eye-glasses washer}
본 고안은 안경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서 세척수가 담수 되는 세척조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세척수의 교환 및 세척조의 세척 용이로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등의 사용상의 간편함과 세척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안경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 또는 귀금속과 같이 신체의 일부에 착용함에 있어 장시간 또는 기타 외부의 이물질 등이 틈새 등에 침투되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안경의 경우, 각 부속 품등이 부식되거나 귀금속의 경우, 광채를 약화시켜 본래의 기능을 상실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상기 안경 또는 귀금속은 일정 시간 사용 후 정기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더불어 안경 또는 귀금속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기가 제공되는바, 상기 세척기는 세척수가 담수 되는 세척용기와 상기 세척용기를 케이싱하는 본체와 상기 세척용기의 저면에 설치된 진동자로 구성된다.
종래의 세척기 사용상태를 보면, 세척하고자 하는 물품 즉, 안경 또는 귀금속을 세척용기에 저장된 세척수로 잠수시킨다.
이 후, 세척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세척용기의 저면에 구비된 진동자에서 초음파가 발생되고, 상기 초음파에 의해 세척용기의 세척수는 물보라가 이를 정도로 강한 파장이 발생되어 세척수에 잠수된 안경 또는 귀금속에 낀 이물질등이 제거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척기에 사용되는 세척용기는 세척수가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제인 스테인리스를 사용하지만, 고가이면서 가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스테인리스의 원재료값이 고가여서, 세척기의 전체 단가가 상승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가공성의 저하로 한정된 디자인에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척용기는 본체에 케이싱으로 일체화되어 상기 세척용기에 저장된 세척수를 버리거나 세척용기의 세척을 위해서는 세척기 전체를 이동시켜 세척 작업을 수행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세척용기의 세척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물 등이 본체로 유입될 경우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각종 전자 회로기판 및 부품들이 부식 또는 쇼트 되어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서 세척수가 담수되는 세척조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세척수의 교환 및 세척조의 세척 용기로 인해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등의 사용상의 편리성과 세척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안경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재로 형성된 메인세척통과 상기 메인세척통의 저면에 진동자가 접착된 스테인레스 진동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합성수지재의 사출 성형성에 의해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변형 가능함에 따라 디자인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가치를 가일층 증폭시켜 제품의 경쟁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안경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와 세척조가 분리됨에 따라 장시간 또는 기타 환경요인에 의해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고장된 부분에 대한 교체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도록 하는 안경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안경세척기의 실시예는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는 안경세척기에 있어서, 하방에 진동자가 부착되고, 저면 일측에는 상기 진동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세척조측 전원콘넥터가 설치되어 세척수를 수용하는 세척조, 및 이 세척조를 수용하며, 상기 진동자를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세척조측 전원콘넥터에 콘넥팅 가능한 본체측 전원콘넥터를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세척조의 상단에는 저장공간을 커버하는 뚜껑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 뚜껑의 일측에는 본체와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부재가 구성되어,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본체에서 상기 뚜껑이 회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세척조에는 상기 세척조의 저장공간 바닥면에 안착되고, 걸림망이 형성된 바스켓, 및 이 바스켓의 일측에 세워지고, 끝단부에 안경등을 걸수 있도록 걸림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바스켓바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세척조는 단턱과 이 단턱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 및 이 측벽의 하단을 폐쇄하는 바닥면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 중앙에는 초음파발생공간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 저면 일측에는 패킹이 삽입 고정되도록 삽입홈이 구성되어 있는 메인세척통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세척조는 메인세척통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패킹과, 이 패킹에 밀착되고 진동자가 저면에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자는 메인세척통의 초음파발생공간을 통해 초음파가 제공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판, 및 이 진동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세척통의 저면에 진동판이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세척통의 저면에 체결 고정되며, 본체측 전원콘넥터와 콘넥팅되는 세척조측 전원콘넥터가 저면에 구성되는 있는 방수커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메인세척통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진동판은 금속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본체의 수용바닥면 일측 상면에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세척조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결정삽입홈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뚜껑의 중앙부에는 살균램프가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고 바닥면에 조사창이 관통된 램프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램프공간부의 상단이 커버되도록 하는 보조커버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안경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안경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안경세척기의 측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안경세척기(1)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분리되는 세척조(20), 및 상기 세척조(20)의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30)으로 구성되어, 상기 세척조(20)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교체 및 세척조의 청소 작업이 용이하고, 이로 인한 세척수의 청결유지로 세척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전원과 회로기판 및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제어부가 일측에 마련되고 중앙에 세척조(20)가 수용 안착되도록 수용공간(12)이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의 수용바닥면(14) 일측에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측 전원콘넥터(16)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용바닥면(14) 일측에는 위치결정돌기(18)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위치결정돌기(18)는 수용공간(12)에 세척조(20)가 수용 안착 될 때, 상기 세척조(2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이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뚜껑(30)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부재가 구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뚜껑(30)이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본체(10)에서 회동 됨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2)에 수용 안착된 세척조(20)의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됨을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세척조(20)는 저장공간(22)이 형성되는 메인세척통(210)과,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저면에 마련되는 패킹(220)과, 상기 패킹(220)의 저면에 마련되고 저면에 진동자(24)가 구비된 진동판(230), 및 상기 진동판(230)의 저면에 마련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진동판(230)과 패킹(220)을 압박하면서, 상기 메인세척통(210) 저면에 고정되는 방수커버(2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메인세척통(210)은 단턱(212)과, 상기 단턱(212)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214), 및 상기 측벽(214)의 하단을 폐쇄하는 바닥면(216)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2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216) 중앙에는 초음파발생공간(218)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216) 저면 일측에는 패킹(220)이 삽입 고정되도록 삽입홈(219)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패킹(220)은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삽입홈(219)에 삽입되는 돌기(2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패킹(220)은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저면에 마련되는 진동판(230) 사이에서 세척수가 외부로 누수 됨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판(230)은 저면에 진동자(24)가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 진동자(24)의 진동으로 울림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진동판(230)은 상기 패킹(220)의 밀폐력을 받으며, 메인세척통(210)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세척통(2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저장공간(22)의 바닥면(216)에 형성된 초음파발생공간(218)을 통해 상기 진동판(230)의 상면에 미치게되고, 이때 상기 진동판(230)의 진동으로 인한 초음파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세척수에 잠수된 안경 또는 액세서리 등의 세척물품이 세척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진동자(24)는 메인세척통(210)의 초음파발생공간(218)의 정 중앙 위치되는 진동판(230) 저면에 구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상기 진동판(230)의 울림에 의한 초음파 발생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진동판(230)의 외주연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환턱(232)이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패킹(220)의 저면에 밀착시 상기 지지환턱(232)이 상기 패킹(220)의 저면을 압박하면서, 일정 부분 침투되어 상기 패킹(220)과 진동판(230) 사이의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방수커버(240)는 외주연에 지지부재(242)가 일정높이 절곡 형성되고, 일측에 본체(10)의 본체측 전원콘넥터(16)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세척조측 전원콘넥터(26)와, 본체(10)의 위치결정돌기(18)가 삽입되는 위치결정삽입홈(28)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방수커버(240)는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저면에 마련되는 패킹(220)과 진동판(230)을 압박하면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저면에 체결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방수커버(240)의 지지부재(242)의 끝단이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저면과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재(242)의 내측에 패킹(220)과 진동판(230)이 수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방수커버(240)의 지지부재(242)에 패킹(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상기 패킹(미도시)에 의해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저면과 지지부재(242) 사이가 밀폐되도록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수커버(240)의 일측에 마련된 세척조측 전원콘넥터(26)는 상기 진동판(230)에 구성된 진동자(24)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수커버(240)는 메인세척통(210)의 저면에 마련되는 패킹(220)과 진동판(230)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커버하는 것으로, 이는 세척조(20)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물 등에 의해 세척작업시 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패킹(220)과 진동판(230)으로 침투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척조(20) 중에서 상기 메인세척통(21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합성수지재의 성형성 및 제조성에 의해 메인세척통(210)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에 따른 미려한 제품 생산과 더불어 제작의 용이에 따른 제조단가를 하락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메인세척통(210)은 투명체인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세척수에 잠수된 안경 또는 액세서리의 세척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230)은 금속제 특히, 세척수에 부식이 되지않는 스테인리스 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상기 진동자(24)의 진동을 증폭시켜, 세척수에 효과적으로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진동자(24)의 진동을 세척수로 증폭시켜 전달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한 것이다.
물론, 상기 패킹(220)은 고무재 또는 실리콘 재로 형성되고, 방수커버(24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척조(20)는 종래의 안경세척기 또는 액세서리 세척기에 사용되는 세척조가 금속제로 구성되어, 제조단가의 상승과, 고중량으로 가정용 등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세척조(20)에는 저장공간(22)에 저장된 세척수로 안경 또는 액세서리 등의 세척물품을 잠수시, 상기 세척물품의 잠수 및 수거가 용이하도록 상기 세척물품이 안착되는 바스켓(250)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바스켓(250)은 걸림망(252)이 형성된 안착판(254)과, 상기 안착판(254)의 저면에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바닥면(216)에 안착 지지가 되는 다리(256)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바스켓(250)의 걸림망(252)은 세척물품을 받침하고, 진동자(24)의 진동으로 발생되는 초음파가 원활하게 세척물품에 전달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망(252)은 일측에 비교적 부피가 큰 시계 등의 받침이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망(252)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고, 타측의 걸림망(252)은 비교적 작게 형성시켜, 세척물품의 부피가 작은 가령, 반지 또는 귀고리 등의 받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바스켓(250)의 일측에는 일정 높이 세워지는 바스켓바(160)가 더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스켓바(26)는 끝단부에 걸림고리(162)를 더 형성하여, 상기 걸림고리(262)를 통해 안경 등이 받침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바스켓바(260)는 바스켓(25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스켓바(260)만 독립적으로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뚜껑(30)은 중앙부에 살균램프(310)가 설치되는 공간을 가진 램프공간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램프공간부(34)의 상단이 커버되도록 하는 보조커버(3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램프공간부(34)를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상기 램프공간부(34)에 설치된 살균램프(31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는 조사창(36)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사창(36)을 통해 상기 살균램프(31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저장공간(22)에 잠수된 세척물품들을 살균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뚜껑(30)은 본체(10)에 힌지부재(32)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세척조(20)로 이물질 등이 침투됨을 방지하고, 더불어 상기 뚜껑(30)에 설치된 살균램프(310)에 의해 안경 또는 액세서리 등의 세척물품을 살균시켜주는 것이다.
물론, 상기 뚜껑(30)은 합성수지 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명체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30)에 설치되는 살균램프(310)는 본체(10)에 구성된 제어부에서 전원 및 컨트롤 제어되며, 일반적으로 자외선(UV)램프가 주로 사용된다.
한편, 본체(10) 또는 세척조(20)의 일측에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있어, 상기 본체(10)에서 분리된 세척조(20)를 상기 본체(10)에 결합시 정확한 결합이 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결합이 되었을 경우에는 본체(10)의 제어부에서 세척조(20)로 전원등이 인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2) 바닥면(18) 일측에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가 감지 센싱되도록 세척조(20)의 저면에 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세척조(20)의 돌기가 상기 본체(10)의 위치감지센서를 센싱함에 따라 결합의 유무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제어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세척조(20)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체(10)와 세척조(20) 각각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18)와 위치결정삽입홈(28) 중 어느 하나에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이를 동작시키기 위한 돌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경세척기의 사용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수가 저장공간(22)에 저장된 세척조(20)를 본체(10)의 수용공간(12)에 수용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수용바닥면(14) 일측에 돌출된 위치결정돌기(18)가 상기 세척조(2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위치결정삽입홈(28)에 삽입되지않으면, 상기 본체(10)에서 세척조(20)가 들뜸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는 세척조(20)의 위치를 재차 확인하여, 상기 위치결정돌기(18)가 위치결정삽입홈(28)에 삽입되도록 세척조(20)의 위치를 재설정한다.
아울러, 본체(10)의 수용공간(12)에 세척조(20)가 정위치 안착되면, 상기 본체(10)의 본체측 전원콘넥터(16)와 세척조(20)의 세척조측 전원콘넥터(26)가 상호 콘넥팅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이룬다.
또한, 세척조(20)의 저장공간(22)에 세척물품을 잠수시키게 되는 바, 이 경우 세척물품의 종류에 따라 바스켓(250) 또는 바스켓바(260)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물품의 잠수 및 수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가령, 안경을 일례로 설명하면, 상기 바스켓(250)의 일측에 마련된 바스켓바(260)의 끝단 걸림고리(262)에 안경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250)을 세척조(20)의 저장공간(22)에 저장된 세척수로 잠수시킨다.
더불어, 상기 안경이 세척수에 잠수되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힌지부재(32)를 통해 힌지 고정된 뚜껑(30)을 회동시켜, 상기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20)의 상단이 폐쇄되도록 덮는다.
이후, 상기 안경세척기(1)에 마련된 전원코드(미도시)를 통해 상기 안경세척기(1)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된 제어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스위치를 온(on)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가령, 제어패널에 구성된 스위치, 즉 제 1 스위치(S1)는 온(on) 스위치로 초음파 세척 및 자외선 살균램프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하고, 3분간 동작 후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되는 것이고, 제 2 스위치(S2)는 오프(off) 스위치로 동작 중에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여 이후 안경세척기(1)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스위치(S1)를 온하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진동자(24)가 진동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상기 진동자(24)가 구성된 진동판(230)이 진동에 의한 울림으로 메인세척통(210)의 저장공간(22)에 저장된 세척수에 초음파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발생된 초음파에 의해 상기 세척수에 잠수된 세척물품 즉, 안경에 끼여있는 이물질 등이 제거로 세척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스위치(S1)를 다시 한번 누르면 초음파 발생과 함께 뚜껑(30)에 구성된 살균램프(310)에서 자외선이 조사되고, 상기 조사되는 자외선은 램프공간부(34)의 바닥면에 형성된 조사창(36)을 통해 상기 세척수의 초음파로 세척되는 세척물품 즉, 안경을 살균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스위치(S1)를 다시 한번 누르면 초음파 진동은 정지되고 살균램프(310)만 온 상태가 유지되어, 자외선에 의한 살균작용만 이루어져 세척보다는 살균작용만을 필요로 할 경우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가령 귀금속류와 같이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액세서리등의 살균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스위치 작동에 의해 안경세척기(1)를 통해 세척 및 살균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조(20)에서 세척물품을 수거한다.
이후, 상기 세척물품의 세척으로 인해 오염된 세척수를 버리기 위해 상기 세척조(20)를 본체(10)에서 이탈시켜, 상기 세척조(20)에 오염된 세척수를 버린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20)를 세척수 또는 물 등으로 세척하면, 세척물품의 세척으로 인해 발생된 오염물질 등이 제거되어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체에서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조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세척수의 교체와 세척조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세척효율이 향상되고, 특히, 상기 세척조가 성형성 및 제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로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안경세척기 제조가 가능함에 따른 제품 경쟁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경세척기에 의하면, 본체에서 세척수가 담수 되는 세척조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세척수의 교환 및 세척조의 세척 용이로 인해 청결상태를 유지하는 등의 사용상의 편리성과 세척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합성수지 재로 형성된 메인세척통과 상기 메인세척통의 저면에 진동자가 구성된 진동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합성수지재의 사출 성형성에 의해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변형 가능함에 따라 디자인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가치를 가일층 증폭시켜 제품의 경쟁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와 세척조가 분리됨에 따라 장시간 또는 기타 환경요인에 의해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고장된 부분에 대한 교체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이 저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 세척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세척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세척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세척기의 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경세척기 10 : 본체
12 : 수용공간 16 : 본체측 전원 콘넥터
20 : 세척조 22 : 저장공간
24 : 진동자 26 : 세척조측 전원 콘넥터
210 : 메인세척통 220 : 패킹
230 : 진동판 240 : 방수커버
250 : 바스켓 260 : 바스켓바
30 : 뚜껑 32 : 힌지부재
310 : 살균램프 320 : 보조커버

Claims (8)

  1.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는 안경세척기에 있어서,
    하방에 진동자(24)가 부착되고, 저면 일측에는 상기 진동자(24)에 전원을 공급하는 세척조측 전원콘넥터(26)가 설치되어 세척수를 수용하는 세척조(20); 및
    상기 세척조(20)를 수용하며, 상기 진동자(24)를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세척조측 전원콘넥터(26)에 콘넥팅 가능한 본체측 전원콘넥터(16)를 포함하는 본체(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20)의 상단에는 저장공간(22)을 커버하는 뚜껑(30)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30)의 일측에는 본체(10)와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부재(32)가 구성되어, 상기 힌지부재(32)에 의해 본체(10)에서 상기 뚜껑(30)이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세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20)에는
    상기 세척조(20)의 저장공간(22) 바닥면에 안착되고, 걸림망(252)이 형성된 바스켓(250); 및
    상기 바스켓(250)의 일측에 세워지고, 끝단부에 안경등을 걸수 있도록 걸림 고리(262)가 형성되어 있는 바스켓바(2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세척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20)는
    단턱(212)과 상기 단턱(212)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214) 및 상기 측벽(214)의 하단을 폐쇄하는 바닥면(216)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22)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216) 중앙에는 초음파발생공간(218)이 관통되어 있고, 진동자(24)가 부착된 진동판(230)이 상기 바닥면(216)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216) 저면 일측에는 패킹이 삽입 고정되도록 삽입홈(219)이 구성되어 있는 메인세척통(21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20)는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삽입홈(219)에 삽입되는 돌기(2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패킹(220)과;
    상기 패킹(220)에 밀착되고 진동자(24)가 저면에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자(24)는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초음파발생공간(218)을 통해 초음파가 제공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판(230); 및
    상기 진동판(23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저면에 진동판(230)이 밀착되도록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세척통(210)의 저면에 체결 고정되며, 본체측 전원콘넥터(16)와 콘넥팅되는 세척조측 전원콘넥터(26)가 저면에 구성되는 있는 방수커버(2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세척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세척통(21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230)은 금속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수용바닥면(14) 일측 상면에는 위치결정돌기(18)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조(20)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본체(10)의 위치결정돌기(18)가 삽입되는 위치결정삽입홈(2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세척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의 중앙부에는 살균램프(310)가 설치되는 공간을 가지고 바닥면에 조사창(36)이 관통된 램프공간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램프공간부(34)의 상단이 커버되도록 하는 보조커버(3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세척기.
KR20-2005-0020958U 2005-07-19 2005-07-19 안경세척기 KR200398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958U KR200398811Y1 (ko) 2005-07-19 2005-07-19 안경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958U KR200398811Y1 (ko) 2005-07-19 2005-07-19 안경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811Y1 true KR200398811Y1 (ko) 2005-10-18

Family

ID=4369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958U KR200398811Y1 (ko) 2005-07-19 2005-07-19 안경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81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43B1 (ko) * 2010-08-17 2013-02-12 (주)하이레벤 3차원 입체영상용 공용 안경 자동 세정장치
CN107706125A (zh) * 2017-11-28 2018-02-16 威士达半导体科技(张家港)有限公司 胶丝检测装置
KR20220161885A (ko) 2021-05-31 2022-12-07 박진현 초음파 살균 및 세척장치
CN107706125B (zh) * 2017-11-28 2024-05-31 威士达半导体科技(张家港)有限公司 胶丝检测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43B1 (ko) * 2010-08-17 2013-02-12 (주)하이레벤 3차원 입체영상용 공용 안경 자동 세정장치
CN107706125A (zh) * 2017-11-28 2018-02-16 威士达半导体科技(张家港)有限公司 胶丝检测装置
CN107706125B (zh) * 2017-11-28 2024-05-31 威士达半导体科技(张家港)有限公司 胶丝检测装置
KR20220161885A (ko) 2021-05-31 2022-12-07 박진현 초음파 살균 및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15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세탁볼
KR200398811Y1 (ko) 안경세척기
KR20110067592A (ko) 휴대 가능한 의치용 세척 살균장치
KR100527841B1 (ko) 우유병 세척기
JP4126433B2 (ja) 眼鏡の洗浄方法及び眼鏡洗浄器
ES2753233A1 (es) Lavazapatillas
KR200265198Y1 (ko) 틀니 등의 자동 초음파 세척 및 자외선 소독 보관장치
CN210936217U (zh) 一种紫外线杀菌超声清洗机
KR200348537Y1 (ko) 콘택트 렌즈 세척 및 살균기
CN210186083U (zh) 家用食品加工电器用的uvc杀菌灯
KR20010092892A (ko) 휴대용 콘택트 렌즈 세척장치
KR200208586Y1 (ko)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KR200386224Y1 (ko) 살균기능을 갖는 초음파세척기
CN220825236U (zh) 一种清洗机
KR102462436B1 (ko) 세척 및 살균장치
CN219936232U (zh) 清洗机
CN2248536Y (zh) 多功能洗菜机
CN215997835U (zh) 一种具有紫外线消毒功能的超声波清洗消毒盒
KR20000060553A (ko) 분할된 세정용기를 갖는 초음파 세정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292077Y1 (ko) 초음파 및 오존을 이용한 살균 세척기
KR20010107370A (ko) 콘택트렌즈 세척/소독기
KR102404518B1 (ko) 휴대용 렌즈세척장치
KR20110058216A (ko) 이동식 살균 세척장치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2401943B1 (ko) 스마트폰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