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603Y1 - 약물병의 뚜껑부재 - Google Patents

약물병의 뚜껑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603Y1
KR200398603Y1 KR20-2005-0020457U KR20050020457U KR200398603Y1 KR 200398603 Y1 KR200398603 Y1 KR 200398603Y1 KR 20050020457 U KR20050020457 U KR 20050020457U KR 200398603 Y1 KR200398603 Y1 KR 200398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etachment
bottle
open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섭
Original Assignee
서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섭 filed Critical 서정섭
Priority to KR20-2005-0020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4Rigid discs or spherical members adapted to be held in sealing engagement with mouth of container, e.g. closure plates for preserving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물병의 뚜껑부재에 관한 것으로, 이탈부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이탈부와 오픈조작구 상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제조하며, 이탈부가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오픈조작구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픈조작구의 결합공 내측에 상기 이탈부의 걸림턱을 하부 지지하는 안착턱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이탈부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고, 오픈 조작구의 하면에 다수의 통기로를 형성함으로써 세척시 유입된 세척액이 쉽게 건조되거나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한 약물병의 뚜껑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약물병 특히 링거액병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약물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고, 약물의 입구부를 개방시켜 약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 약물병의 뚜껑에 있어서, 링거병의 입구부를 밀폐할 수 있게 그 하면이 개방되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입구부와 대응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밀폐부 몸체와, 그 밀폐부 몸체의 상면에 연장되어 구성된 연결목과, 상기 연결목의 상면에 연장되고 연결목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이탈부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목의 가장자리 소정부에 원형의 절개선이 형성된 박막의 알루미늄 재질인 밀폐부와; 그 밀폐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이탈부를 노출시키는 결합공이 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결합공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밀폐부를 보호하면서 약물병의 사용시 상기 이탈부를 이탈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오픈 조작구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이탈부가 안착턱을 통해 오픈조작구에 걸리고, 상기 이탈부의 높이가 상기 오픈조작구의 상면과 일치되거나 더 낮아 링거액병 적층시 이탈부가 찌그러지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이탈부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이탈부와 오픈조작구 상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제조함으로써 이탈부가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오픈조작구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이때, 오픈조작구의 내부에 별도의 안착턱을 형성함으로써 오픈조작구와 이탈부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며, 세척후 세척액의 유출 및 건조를 위해 오픈조작구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통기홈을 형성함으로써 신규 세균발생을 방지토록 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약물병의 뚜껑부재{CAP MEANS OF A MEDICINES BOTTLE}
본 고안은 약물병의 뚜껑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이탈부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이탈부와 오픈조작구 상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제조하며, 이탈부가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오픈조작구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픈조작구의 결합공 내측에 상기 이탈부의 걸림턱을 하부 지지하는 안착턱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이탈부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고, 오픈 조작구의 하면에 다수의 통기로를 형성함으로써 세척시 유입된 세척액이 쉽게 건조되거나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한 약물병의 뚜껑부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병원에서의 의료행위중 지속적인 약물투입을 위해서는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고 약물병을 일정위치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환자에게 약물이 지속적으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에게 필요약물을 제공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약물을 저장하기 위해 약물병이 제공되는 바, 그러한 약물병은 링거액병이 대표적이며, 그러한 링거액병의 경우에는 그 링거액병의 뚜껑부재를 개방하게 되면, 내부에 저장된 모든 약물을 환자에게 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다른 환자에게 동일 링거액병에 저장된 약물을 나누어서 투입하지는 않는다.
이하, 도 1a는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c, 1d는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2)는 약물병 특히 링거액병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약물의 기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약물의 입구부를 개방시켜 약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 부재로서, 그러한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2)는 약물병 특히 링거병(10)의 입구부(미도시)를 밀폐하고 그 재질이 박막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부(4)와; 그 밀폐부(4)의 상단에 형성된 이탈부(6)와 결합된 상태로 밀폐부(4)를 보호하면서 약물병의 사용시 상기 이탈부(6)를 이탈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오픈 조작구(8)로 구성된다. 상기 오픈 조작구(8)의 재질은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이다.
이때, 상기 이탈부(6)는 상기 오픈 조작구(8)의 상면으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밀폐부(4)는 링거병(10)의 입구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중공의 결합공간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이탈부(6)는 상기 밀폐부 몸체(14)의 상면 중앙에 그 밀폐부 몸체(14)와 연장되는 연결목(18)의 상단에 구성되고, 밀폐부 몸체(14)와 연결목(18)의 연결 지점에는 그 연결목(18)을 포함한 이탈부(6)가 밀페부 몸체(14)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점선형상의 절개부(16)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오픈조작구(8)는 상기 밀폐부 몸체(14)의 상단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이탈부(6)를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12)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키게 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약물병의 뚜껑부재(2)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부(6)는 그 직경이 상기 연결목(18)의 직경에 비해 더 크므로 상기 이탈부(6)의 가장자리는 상기 연결목(18)의 상면으로부터 횡측으로 노출된 걸림턱(2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탈부(6)는 상기 결합공(12)을 통해 상기 오픈조작구(8)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이탈부(6)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20)이 상기 오픈조작구(8)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오픈조작구(8)를 파지한 상태로 그 오픈조작구(8)를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그 외력에 의해 점선 형태로 절개된 상기 절개부(16)가 절결되면서 상기 오픈조작구(8)가 내부에 이탈부(6)를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밀폐부 몸체(14)와 이탈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22는 패킹부재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2)는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첫째는 얇은 박막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이탈부(6)가 상기 오픈조작구(8)의 상면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다수의 링거액을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이동시킬 경우 상기 이탈부(6)가 상층에 적층된 링거액병의 중량에 의해 찌그러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이탈부(6)의 가장자리의 걸림턱(20)은 상기 연결목(18)으로부터 그 횡방향으로 매우 작게 돌출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오픈조작구(8)를 잡아당기면 이탈부(6)가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오픈조작구(8)만 밀폐부(4)로부터 이탈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해당 링거액병(10)의 입구부는 지속적으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20)을 횡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할 경우에는 이탈부(6)의 이탈은 용이하겠지만 약물병의 뚜껑부재(2)의 제작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2)는 상기 밀폐부(4)와 오픈조작구(8)의 조립후 세척 과정을 거치게 되는 바, 세척시 세척액이 상기 밀폐부(4)와 오픈조작구(8)의 사이로 유입되게 되며, 그 세척액이 쉽게 건조되거나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는 구조이므로 새로운 세균을 발생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탈부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이탈부와 오픈조작구 상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제조하며, 이탈부가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오픈조작구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픈조작구의 결합공 내측에 상기 이탈부의 걸림턱을 하부 지지하는 안착턱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이탈부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고, 오픈 조작구의 하면에 다수의 통기로를 형성함으로써 세척시 유입된 세척액이 쉽게 건조되거나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한 약물병의 뚜껑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병 특히 링거액병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약물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고, 약물의 입구부를 개방시켜 약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 약물병의 뚜껑에 있어서, 링거병의 입구부를 밀폐할 수 있게 그 하면이 개방되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입구부와 대응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밀폐부 몸체와, 그 밀폐부 몸체의 상면에 연장되어 구성된 연결목과, 상기 연결목의 상면에 연장되고 연결목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이탈부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목의 가장자리 소정부에 원형의 절개선이 형성된 박막의 알루미늄 재질인 밀폐부와; 그 밀폐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이탈부를 노출시키는 결합공이 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결합공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밀폐부를 보호하면서 약물병의 사용시 상기 이탈부를 이탈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오픈 조작구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이탈부가 안착턱을 통해 오픈조작구에 걸리고, 상기 이탈부의 높이가 상기 오픈조작구의 상면과 일치되거나 더 낮아 링거액병 적층시 이탈부가 찌그러지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병의 뚜껑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턱의 상면에는 상기 이탈부의 걸림턱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안착턱의 상면으로 돌출된 제 2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병의 뚜껑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개선은 실선의 절개선으로 이루어져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절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병의 뚜껑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픈조작구의 하면에는 뚜껑부재의 세척공정시 유입되는 세척액을 유출시키거나,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기홈이 방사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병의 뚜껑부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오픈 조작구를 뒤집어 도시한 일부 확대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102)는 약물병 특히 링거액병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약물의 기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약물의 입구부를 개방시켜 약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 부재로서, 그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102)는 약물병, 특히 링거병(10)의 입구부(미도시)를 밀폐하고 그 재질이 박막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부(104)와; 그 밀폐부(104)의 상단에 형성된 이탈부(106)와 결합된 상태로 밀폐부(104)를 보호하면서 약물병의 사용시 상기 이탈부(106)를 이탈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오픈 조작구(108)로 구성된다. 상기 오픈 조작구(108)의 재질은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이다.
이때, 상기 이탈부(106)는 상기 오픈 조작구(108)의 상면으로 노출된 상태가 아니고, 이탈부(106)의 상면 높이가 오픈조작구(108)의 상면과 동일높이이거나 더 낮게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외부 외력에 의해 상기 이탈부(106)가 찌그러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밀폐부(104)는 링거병(10)의 입구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어져 있으며, 내부에 중공의 결합공간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이탈부(106)는 상기 밀폐부 몸체(114)의 상면 중앙에 그 밀폐부 몸체(114)와 연장되는 연결목(118)의 상단에 구성되고, 밀폐부 몸체(114)와 연결목(118)의 연결 지점 주위의 소정부에는 그 연결목(118)을 포함한 이탈부(106)가 밀폐부 몸체(114)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실선형상의 절개선(116)이 형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절개선(116)의 경우에는 실선의 절개선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점선의 절개부(16)보다 작은 외력으로 이탈부(106)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오픈조작구(108)는 상기 밀폐부 몸체(114)의 상단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이탈부(106)를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키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약물병의 뚜껑부재(10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부(106)는 그 직경이 상기 연결목의 직경에 비해 더 크므로 상기 이탈부(106)의 가장자리는 상기 연결목(118)의 상면으로부터 횡측으로 노출된 걸림턱(1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은 상기 오픈조작구(108)의 결합공(112) 내주연에 상기 이탈부(106)의 걸림턱(120)이 안착되는 안착턱(130)이 결합공(112)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져 있는 바, 이를 통해 상기 이탈부(106)의 걸림턱(120)은 상기 오픈조작구(108)의 상면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오픈조작구(108)의 이탈력을 안착턱(130)을 통해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탈부(106)는 상기 결합공(112)을 통해 상기 오픈조작구(108)의 상면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오픈조작구(108)의 결합공(112) 내주연에 형성된 안착턱(130)에 의해 상기 오픈조작구(108)와 견실하게 결합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오픈조작구(108)를 파지한 상태로 그 오픈조작구(108)를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그 외력에 의해 실선 형태로 절개된 상기 절개선(116)이 절결되면서 상기 오픈조작구(108)가 내부에 이탈부(106)를 결합시킨 상태로 상기 밀폐부 몸체(114)와 이탈되게 된다.
한편, 상기 오픈조작구(108)의 하면에는 다수의 통기홈(140)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오픈조작구(108)와 이탈부(106)의 결합 제조공정후 세척공정시 상기 오픈조작구(108)와 이탈부(106)의 사이로 유입된 세척액이 상기 통기홈(140)을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그 통기홈(140)을 통해 내부에 잔존하는 세척액을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102)는 상기 오픈조작구(108)의 결합공(112) 내주연에 상기 이탈부(106)의 걸림턱(120)이 안착되는 안착턱(130)이 결합공(112)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져 있는 바, 이를 통해 상기 이탈부(106)의 걸림턱(120)은 상기 오픈조작구(108)의 상면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오픈조작구(108)의 이탈력을 안착턱(130)을 통해 전달받게 된다.
하지만, 상기 걸림턱(120)과 안착턱(130)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안착턱(130)의 상면중 상기 결합공(112) 형성방향측 소정부에는 별도의 제 2걸림턱(131)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이탈부(106)의 걸림턱(120)은 상기 안착턱(130)에 가압되는 공정을 통해 안착턱(130)의 상면중 상기 제 2 걸림턱(131)의 내측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102)는 궁극적으로 상기 이탈부(106)와 오픈조작구(108)와의 결합력을 높이게 되므로 상기 오픈조작구(108)의 상향 조작에 따라 상기 이탈부(106)가 용이하게 밀폐부 몸체(114)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는 이탈부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이탈부와 오픈조작구 상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제조함으로써 이탈부가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오픈조작구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이때, 오픈조작구의 내부에 별도의 안착턱을 형성함으로써 오픈조작구와 이탈부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며, 세척후 세척액의 유출 및 건조를 위해 오픈조작구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통기홈을 형성함으로써 신규 세균발생을 방지토록 한 잇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c, 1d는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오픈 조작구를 뒤집어 도시한 일부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병의 뚜껑부재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뚜껑부재, 104:밀폐부재,
106:이탈부, 108:오픈조작구,
112:결합공, 116:절개선,
120:걸림턱, 130:안착턱,
131:제 2걸림턱, 140:통기홈.

Claims (4)

  1. 약물병 특히 링거액병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약물의 사용여부를 판단하고, 약물의 입구부를 개방시켜 약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 약물병의 뚜껑에 있어서,
    링거병의 입구부를 밀폐할 수 있게 그 하면이 개방되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입구부와 대응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밀폐부 몸체와, 그 밀폐부 몸체의 상면에 연장되어 구성된 연결목과, 상기 연결목의 상면에 연장되고 연결목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이탈부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목의 가장자리 소정부에 원형의 절개선이 형성된 박막의 알루미늄 재질인 밀폐부와;
    그 밀폐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이탈부를 노출시키는 결합공이 그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결합공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밀폐부를 보호하면서 약물병의 사용시 상기 이탈부를 이탈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오픈 조작구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이탈부가 안착턱을 통해 오픈조작구에 걸리고, 상기 이탈부의 높이가 상기 오픈조작구의 상면과 일치되거나 더 낮아 링거액병 적층시 이탈부가 찌그러지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병의 뚜껑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턱의 상면에는 상기 이탈부의 걸림턱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안착턱의 상면으로 돌출된 제 2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병의 뚜껑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실선의 절개선으로 이루어져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절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병의 뚜껑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조작구의 하면에는 뚜껑부재의 세척공정시 유입되는 세척액을 유출시키거나,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기홈이 방사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병의 뚜껑부재.
KR20-2005-0020457U 2005-07-14 2005-07-14 약물병의 뚜껑부재 KR200398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57U KR200398603Y1 (ko) 2005-07-14 2005-07-14 약물병의 뚜껑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57U KR200398603Y1 (ko) 2005-07-14 2005-07-14 약물병의 뚜껑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603Y1 true KR200398603Y1 (ko) 2005-10-13

Family

ID=4369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457U KR200398603Y1 (ko) 2005-07-14 2005-07-14 약물병의 뚜껑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6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6035B2 (ja) 膜及びプッシャを持つ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を備えた再シール可能なバイアル
US20170348714A1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ability
US5036992A (en) Medicine vial cap for needleless syringe
KR102197420B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CA2177800A1 (en) Sterile resealable vial connector assembly
JPH1099410A (ja) コネクタ組立体
KR20140045536A (ko) 투석을 위한 용기
JP2004244110A (ja) 異種物質を混合可能な容器の蓋および容器
JP2017520489A (ja) 万能ボトルキャップ
CA2081759A1 (en) Drug vessel
JP2671976B2 (ja) 再密封可能な容器組立体
KR200398603Y1 (ko) 약물병의 뚜껑부재
US9814650B1 (en) Self-disinfecting medication vial cap assembly
JP2016159937A (ja) 積層剥離容器
JP6435242B2 (ja) 二重容器
US11819600B2 (en) Waste liquid receptacle, waste liquid reservoir and waste liquid suction system
JP6391487B2 (ja) スクイズ吐出容器
JP2000037441A (ja) 輸液容器
WO2002005877A1 (fr) Dispositif de remplissage de liquide
JP6929598B2 (ja) 二重容器
KR20090007179U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JPH10151175A (ja) 点滴注射用輸液容器
JP4775795B2 (ja) 櫛付き二重容器
JP2005082234A (ja) 汚染防止キャップ
JP7447734B2 (ja) トランスファーニー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