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546Y1 - 모래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모래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546Y1
KR200398546Y1 KR20-2005-0022683U KR20050022683U KR200398546Y1 KR 200398546 Y1 KR200398546 Y1 KR 200398546Y1 KR 20050022683 U KR20050022683 U KR 20050022683U KR 200398546 Y1 KR200398546 Y1 KR 200398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laying
rail
dredged soil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20-2005-0022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5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해안이나 항만의 매립 작업에 사용되며, 특히 매립 구역에 투기된 준설토의 조기 건조 작업을 위한 각종 배수용 장비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모래 포설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모래 포설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모래 포설장치는, 매립지의 준설토 투기 구역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이격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위에 설치되어 준설토 투기 지역으로 이송 구간을 제공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이송 구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일정량의 포설용 모래가 담겨지는 포설용 대차 및 상기 레일부의 양끝단에 배치되며 와이어부재를 감거나 푸는 동작에 의해 상기 포설용 대차를 상기 레일부의 이송 구간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2개의 윈치 그리고, 상기 준설토 투기 구역내에서 상기 포설용 대차를 따라 이동하면서 포설용 모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래 포설장치{equipment for sand distribution works}
본 고안은 모래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안이나 항만의 매립 공사에 사용되며, 특히 매립 구역에 투기된 준설토의 조기 건조 작업에 사용하기 위한 각종 배수용 장비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모래 포설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모래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이나 항만 등의 매립 부지는 매립 대상지에 준설토를 투기하는 공정과 투기된 준설토를 건조시키는 공정 등을 거쳐서 각종 공업 및 농업용 부지로 전용이 가능하도록 조성된다.
상기 준설토를 건조시키는 작업은 매립 대상지에 투기된 준설토를 일반 대기 환경에 그대로 방치하여 자연 건조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수분 건조를 위한 기간이 대략 5년 이상 소요되므로 근래에는 이러한 자연 건조 공법의 단점을 보완한 압밀 침하 공법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압밀 침하 공법은 준설토 및 원지반층에 다수개의 페이퍼 드레인 보드(paper drain board)를 박아서 이 드레인 보드에 의해 준설토층의 수분을 강제 배수시키면서 건조하는 것이다.
상기 압밀침하 작업은 각종 중장비들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건조 작업 전에 연약한 준설토층 위에 중장비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모래를 포설하여 매트(mat) 기능을 갖는 모래 포설층을 형성한 후 이 모래 포설층 위에서 건조 작업이 진행된다.
상기 모래 포설 작업은 준설토 구역을 벗어난 지점에서 대형 블로워 장치에 의한 압력 공기를 이용하여 준설토 구역에 포설용 모래를 분사하면서 모래 포설층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준설토 건조를 위한 모래 포설 작업은, 준설토가 투기된 구역을 벗어난 지점에서 준설토 투기 구역을 향하여 공기 압력에 의해 포설용 모래를 투기하는 방식이므로 준설토가 투기된 매립 대상지 전체에 균일하게 모래 포설층을 형성하기 어렵다.
특히, 대면적의 준설토 투기 구역 밖에서 블로워 장치에 의해 한정된 분사 길이로만 포설되므로 매립지의 중앙부를 제외한 테두리 구역에만 집중적으로 모래 포설층이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준설토 투기 구역에서 모래 포설층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면 배수용 중장비의 진입시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장비의 이동성에 제약이 따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조 작업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거니와 원활한 배수 작업의 진행이 어렵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매립 지역에 투기된 준설토 구역의 건조 작업을 위한 모래 포설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준설토 투기 구역에 진입한 상태로 포설용 모래의 포설이 가능하여 한층 향상된 작업 능률과 포설 품질을 얻을 수 있는 모래 포설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매립지의 준설토 투기 구역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이격 설치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 위에 설치되어 준설토 투기 지역으로 이송 구간을 제공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이송 구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일정량의 포설용 모래가 담겨지는 포설용 대차;
상기 레일부의 양끝단에 배치되며 와이어부재를 감거나 푸는 동작에 의해 상기 포설용 대차를 상기 레일부의 이송 구간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2개의 윈치;
상기 준설토 투기 구역내에서 상기 포설용 대차를 따라 이동하면서 포설용 모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를 포함하는 모래 포설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하는 모래 포설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지지체(2)를 지칭한다.
상기 지지체(2)는 도 2에서와 같이 준설토 투기 구역(A) 위에서 지지력의 확보가 가능한 크기를 갖는 박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재질은 가볍고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류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된다.
상기 지지체(2)는 준설토 투기 구역(A)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준설토 투기 구역(A) 위에 배치된 다수개의 지지체(2) 위에는 레일부(4)가 설치된다.
상기 레일부(4)는 다수개의 가이드레일(R)에 의해 형성되며, 이 가이드레일(R)들은 레일 형성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I"자 또는 "U"자 형태의 형강(形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R) 양단부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또는 돌기와 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각각의 지지체(2) 위에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며, 도 1에서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의 레일 구간이 1조로 설치된다.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레일(R)은 설치 및 운반, 보관 등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상기 이격 배치된 지지체(2)들 사이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 범위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지체(2)는 상기 가이드레일(R)을 수평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각각의 지지체(2) 위에서 상기 가이드레일(R)들이 얹혀지는 2군데 지점에 2개 이상의 지지판(6)을 설치하여 이 지지판(6)들이 실린더(C)에 의해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판(6)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체(2)들이 준설토 투기 구역(A)에 설치된 후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각종 하중에 의해 어느 한 부분이 도면에서와 같이 아래쪽으로 가라앉아서 자세가 변화되어 상기 가이드레일(R)이 아래쪽으로 처지거나 상기 가이드레일(R)과 지지체(2)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면 상기 실린더(C)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체(2)에서 상기 가이드레일(R)이 수평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지지체(2)가 합성수지재류의 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4에서와 같이 대형의 폐타이어가 지지체(2)로 사용될 수 있다. 이 폐타이어를 사용할 때는 타이어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판재를 덧대어서 중앙의 관통부가 차단된 상태로 사용된다.
상기 레일부(4)에는 준설토 투기 구역(A)내에서 상기 레일부(4)의 이송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포설용 대차(8)가 설치된다.
상기 포설용 대차(8)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R)에 대응하는 로울러(10)가 2개 이상 설치되어 레일 구간을 따라 구름 접촉에 의해 이동하는 구조이거나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U"자 형태의 가이드레일(R)에 대응하도록 타이어로 감싸여진 휠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설용 대차(8)는 내부에 포설용 모래(S)가 담겨지기 위한 저장 공간(12)이 형성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서 포설용 모래(S)가 일정량 담겨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R)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포설용 대차(8)의 일측에는 이 대차(8) 내부에 저장된 포설용 모래(S)를 압력 공기를 이용하여 포설하기 위한 분사부가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포설용 대차(8)의 양측에 2개의 분사용 노즐(N)을 배치하고, 이 2개의 분사용 노즐(N)을 통하여 상기 저장 공간(12)에 담겨진 포설용 모래(S)가 준설토 투기 구역(A) 위에 포설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2개의 분사용 노즐(N)은 상기 포설용 대차(8) 일측에 설치된 콤프레서(N1)로부터 압력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콤프레서(N1)는 제네레이터(N2)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구동되거나 내연 기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분사용 노즐(N)은 상기 콤프레서(N1)로부터 공급되는 압력 공기에 의한 블로윙 작용으로 상기 가이드레일(R)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 구간을 사이에 두고 도 5에서와 같이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포설용 모래(S)를 분사한다.
상기 각각의 지지체(2) 위에는 상기 포설용 대차(8) 내부에 포설용 모래(S)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부(4)의 2개 레일 구간 사이의 이송 구간에 대응하도록 벨트식 컨베이어(B1)를 설치하고 상기 포설용 대차(8)에는 도 7에서와 같이 계단식 컨베이어(B2)를 설치하여 상기 2개의 컨베이어(B1, B2)를 통하여 상기 포설용 대차(8) 내부에 포설용 모래(S)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레일부(4)의 양끝단 지점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와이어부재(W1)로 연결된 2개의 윈치(W)가 준설토 투기 구역(A)을 벗어난 지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부재(W1)의 어느 한 지점은 상기 포설용 대차(8)와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부재(W1) 상기 2개의 윈치(W)가 어느 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거나 그 반대로 회전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윈치(W)에 감기면서 상기 레일부(4)에서 상기 포설용 대차(8)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동력 전달 구조는 준설토 투기 구역(A)을 벗어난 지점에 설치된 윈치(W)들의 와인딩 동작에 의해 준설토 투기 구역(A)내에 포설용 대차(8)가 진입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윈치(W)는 준설토 투기 구역(A)에 상기 다수개의 지지체(2) 또는 가이드레일(R)들을 설치할 때 이들을 상기 와이어부재(W1)에 고정시켜서 각각의 설치 지점으로 운반하는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모래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매립지의 준설토 투기 구역(A)에 포설용 모래(S)를 포설하기 위한 바람직한 작업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모래 포설방법의 바람직한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준설토 투기 구역을 사이에 두고 와이어 부재로 연결된 2개의 윈치를 설치하는 단계(P1)와, 와이어부재의 연결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지지체를 준설토 투기 구역에 이격 설치하는 단계(P2)와, 상기 준설토 투기 구역에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체 위에 레일부를 설치하는 단계(P3)와, 상기 레일부의 이송 구간을 따라 포설용 모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설치하는 단계(P4) 및 포설용 대차를 설치하는 단계(P5) 그리고, 포설용 대차를 따라 이동하면서 준설토 투기 구역에 포설용 모래를 포설하는 단계(P6)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윈치를 설치하는 단계(P1)는, 매립지의 준설토 투기 구역(A)을 사이에 두고 이 준설토 투기 구역(A)을 벗어난 지점에 도 1에서와 같이 2개의 윈치(W)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2개의 윈치(W) 사이에는 준설토 투기 구역(A)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와이어부재(W1)를 연결한다. 이 와이어부재(W1)는 상기 2개의 윈치(W)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어느 하나의 윈치(W)에 감겨질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윈치(W)의 설치 작업이 완료되면, 준설토 투기 구역(A)에서 상기 와이어부재(W1)의 연결 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체(2)를 설치하는 단계(P2)를 진행한다.
이 작업은, 준설토 투기 구역(A)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윈치(W)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부재(W1)에 상기 지제체(2)의 어느 한 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한 상태로 상기 와이어부재(W1)를 이동시키면서 도 1에서와 같이 준설토 투기 구역(A)에서 상기 와이어부재(W1)의 연결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체(2)를 설치한다.
상기 레일부를 설치하는 단계(P3)는 준설토 투기 구역(A)에 다수개의 지지체(2)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 각각의 지지체(2) 위에 포설 작업을 위한 이송 구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이드레일(R)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상기 지지체(2)들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다수개의 가이드레일(R)을 배치하고, 이 레일(R)들의 이음부를 볼트로 고정하거나 돌기와 홈의 끼움 결합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이송 구간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레일(R)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각각의 지지체(2) 위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으며 2개의 레일 구간을 갖도록 평행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레일부(4)가 설치되면 이 레일부(4)의 이송 구간을 따라 포설용 모래(S)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설치하는 단계(P4)와 포설용 대차를 설치하는 단계(P5)를 행한다.
상기 모래 공급부를 설치하는 작업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레일부(4) 2개의 레일 구간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지지체(2)에 걸쳐진 상태로 벨트식 컨베이어(B1)를 수평하게 설치한다.
상기 벨트식 컨베이어(B1)는 벨트 위에 포설용 모래(S)가 얹혀진 상태로 상기 레일부(4)의 이송 구간을 따라 포설용 모래(S)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포설용 대차(8)를 설치하는 작업은, 상기 레일부(4)의 일측 끝단 지점에서 상기 포설용 대차(8)의 저면에 부착된 로울러(10)를 2개의 레일 구간 위에 도 2에서와 같이 설치한다.
상기 포설용 대차(8)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벨트식 컨베이어(B1)와 연계되어 포설용 모래(S)를 저장 공간(12) 내부에 담기 위한 계단식 컨베이어(B2)가 도 면에서와 같이 설치되어 있으며, 포설용 모래(S)를 포설하기 위한 분사부 즉, 노즐(N) 및 콤프레서(N1), 제네레이터(N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설용 대차(8)는 상기 레일부(4)의 이송 구간 양단부 지점에 위치한 2개의 윈치(W)의 구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부재(W1)와 연결된다.
상기한 작업들이 완료되면, 상기 레일부(4)를 따라 이동하면서 포설용 모래를 포설하는 단계(P6)를 진행한다.
이 포설 작업은, 상기 포설용 대차(8)가 상기 레일부(4)의 이송 구간을 따라 준설토 투기 구역(A)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이동하면서 포설용 모래(S)를 포설한다.
상기 포설용 대차(8)는 상기 2개의 윈치(W)를 구동하여 이들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부재(W1)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 와이어부재(W1)에 의해 상기 포설용 대차(8)가 이송 구간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포설용 대차(8)가 준설토 투기 구역(A)내에 진입한 상태로 투기 구역(A)을 가로지르면서 이동될 때 이 대차(8)의 이동 중에 상기 노즐(N)을 통하여 이송 구간의 양측 방향으로 도 5에서와 같이 포설용 모래(S)를 분사함으로서 준설토 투기 구역(A)에 일정한 두께로 모래 포설층(S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포설용 대차(8)는 모래 포설층(S1)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레일부(4)의 이송 구간을 따라 적어도 1번 이상 왕복 이동하면서 포설용 모래(S)를 포설한다.
상기 노즐(N)에 의해 분사되는 포설용 모래(S)는 상기 벨트식 컨베이어(B1)를 통하여 이송 구간을 따라 공급되며, 상기 포설용 대차(8)에 설치된 계단식 컨베이어(B2)에 의해 저장 공간(12)에 담겨진 상태로 분사된다.
이와 같은 포설 과정에 의해 준설토 투기 구역(A)을 가로지르는 상태로 셋팅된 이송 구간을 따라 모래 포설층(S1)이 형성되면, 상기 지지체(2)와 레일부(4) 그리고, 벨트식 컨베이어(B1)와 포설용 대차(8)를 철거한 후 도 9에서와 같이 모래 포설층(S1)이 형성된 인접 지점에 도면에서와 같이 포설용 모래(S)를 포설하기 위한 또 다른 이송 구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포설용 모래(S)의 포설을 위한 또 다른 이송 구간을 따라 상기와 같이 준설토 투기 구역(A)내에 진입한 상태로 포설용 모래(S)를 포설하여 모래 포설층(S1)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도 10에서와 같이 준설토 투기 구역(A) 전체에 균일하게 모래 포설층(S1)을 형성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준설토 투기 구역(A)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여 포설용 모래(S)를 포설하기 위한 이송 구간을 형성하고 이 전체 이송 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포설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준설토 투기 구역(A)을 가로지르는 이송 구간 전체 길이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여 분할된 길이범위로 이송 구간을 형성하여 이 분할 구간 내에서 부분 포설을 행한 후 점차 전방으로 옮겨가면서 포설을 행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매립지에 투기된 준설토층 위에 건조를 위한 배수용 중장비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모래 포설층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으며, 특히 준설토 투기 구역에 진입한 상태로 포설용 모래를 직접 포설하므로 준설토 투기 구역 전체에 균일하게 모래 포설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모래 포설 작업시 이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한층 향상된 작업 능률과 포설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래 포설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래 포설장치의 지지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판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래 포설장치의 지지체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래 포설장치의 포설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래 포설장치의 포설용 대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래 포설장치의 모래 공급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모래 포설장치를 이용한 모래 포설방법의 바람직한 전체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공정에서 포설용 모래를 포설하는 작업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8)

  1. 매립지의 준설토 투기 구역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이격 설치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 위에 설치되어 준설토 투기 지역으로 이송 구간을 제공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이송 구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일정량의 포설용 모래가 담겨지는 포설용 대차;
    상기 레일부의 양끝단에 배치되며 와이어부재를 감거나 푸는 동작에 의해 상기 포설용 대차를 상기 레일부의 이송 구간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2개의 윈치;
    상기 준설토 투기 구역내에서 상기 포설용 대차를 따라 이동하면서 포설용 모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를 포함하는 모래 포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속이 비어 있는 다각형이나 원통형의 박스체 또는 폐타이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모래 포설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금속재 형강의 가이드레일이 사용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이 레일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지지체 위에서 준설토 투기 구역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모래 포설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설용 대차는, 내부에 포설용 모래 저장을 위한 공간을 갖으며 상기 레일부에서 로울러의 구름 운동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래 포설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분사용 노즐로 구성되고, 이 각각의 노즐들은 압력 공기에 의해 포설용 모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포설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래 포설장치는, 포설용 모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이 공급부는, 상기 레일부의 이송 구간을 따라 설치되는 벨트식 컨베이어와, 이 벨트식 컨베이어에 적재된 포설용 모래를 상기 포설용 대차 내부 공간에 담겨지도록 이동시키는 계단식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모래 포설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윈치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어느 하나의 윈치에 감겨진 상태 또는 풀린 상태가 되면서 상기 포설용 대차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래 포설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래 포설장치는, 상기 레일부를 수평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각각의 지지체 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판과, 이 각각의 지지판을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모래 포설장치.
KR20-2005-0022683U 2005-08-04 2005-08-04 모래 포설장치 KR200398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683U KR200398546Y1 (ko) 2005-08-04 2005-08-04 모래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683U KR200398546Y1 (ko) 2005-08-04 2005-08-04 모래 포설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293A Division KR100700115B1 (ko) 2005-08-04 2005-08-04 모래 포설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546Y1 true KR200398546Y1 (ko) 2005-10-12

Family

ID=4369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683U KR200398546Y1 (ko) 2005-08-04 2005-08-04 모래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5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815B1 (ko) 2005-10-24 2007-01-22 김용기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KR100719604B1 (ko) 2005-12-30 2007-05-17 김경태 모래 포설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815B1 (ko) 2005-10-24 2007-01-22 김용기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KR100719604B1 (ko) 2005-12-30 2007-05-17 김경태 모래 포설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6609B2 (en) Rail-bound transportation system for a track building machine
KR200398546Y1 (ko) 모래 포설장치
RU2532311C1 (ru) Комплекс строительный путевой
KR100700115B1 (ko) 모래 포설장치 및 그 방법
US20090133723A1 (en) Tire washing station
JP2009279504A (ja) 廃棄物埋立設備、およびこの設備を用いた廃棄物埋立方法
KR200410817Y1 (ko) 모래 포설장치
CN101187309B (zh) 门架式隧洞防渗土工布铺布机
US5035592A (en) Apparatus for concrete supply and form vibration
KR100467174B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KR100719604B1 (ko) 모래 포설장치 및 그 방법
KR100898806B1 (ko) 연약지반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및 시공방법
RU2521171C2 (ru) Машина для укладки объемной георешетки
JP3569688B2 (ja) 育苗システム及びその構築方法
RU2477349C2 (ru) Машина для укладки геосинтет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в подбалластный слой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лотна без снятия рельсошпальной решетки
KR100280694B1 (ko) 습지주행용 모래포설기
CN212505739U (zh) 一种水平潜流人工湿地填料的机械摊铺装置
KR200296438Y1 (ko) 연약지반에의 장비 진입을 위한 지반보강재 포설장치
KR200368050Y1 (ko) 포설장치
KR101059128B1 (ko) 해안도로의 토사하역용 벨트컨베이어 시스템
KR100550674B1 (ko) 이동분사식 벨트컨베이어 장비 및 왕복이동식 분사 및전달장치가 장착된 벨트컨베이어에 의한 연약지반의복토공법
JP3150811B2 (ja) 軟弱地盤上への砂散布方法
KR100868822B1 (ko) 워터젯을 이용한 지하철 천장의 석면 제거장비
JP5718770B2 (ja) 重量物の移送装置および移送方法
CN217012101U (zh) 一种边坡土壤简易铺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