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050Y1 -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050Y1
KR200368050Y1 KR20-2004-0023047U KR20040023047U KR200368050Y1 KR 200368050 Y1 KR200368050 Y1 KR 200368050Y1 KR 20040023047 U KR20040023047 U KR 20040023047U KR 200368050 Y1 KR200368050 Y1 KR 200368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laying
guide member
contain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문병옥
Original Assignee
문병옥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옥, 김용기 filed Critical 문병옥
Priority to KR20-2004-0023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0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연약 지반의 매립공사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매립 작업시 박층 포설과 같은 전처리 작업을 간단한 공정 및 구조로 행할 수 있으므로 매립 작업에 소요되는 기간 및 비용 등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더욱 향상된 작업능률 및 설비의 효율성 등을 얻을 수 있는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포설장치는, 포설을 위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동대차들과, 이 이동대차들 사이에서 포설층 형성이 가능하도록 포설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여 이 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포설영역의 표층에 포설층 형성을 위한 포설재를 공급하는 포설용기와, 이 포설용기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포설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설장치{moving hopper system for thin layer sand distribution in reclaiming work}
본 고안은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 지반의 매립공사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매립 작업시 박층 포설과 같은 전처리 작업을 간단한 공정 및 구조로 행할 수 있으므로 매립 작업에 소요되는 기간 및 비용 등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더욱 향상된 작업능률 및 설비의 효율성 등을 얻을 수 있는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海上)을 매립하여 각종 부지를 조성하기 위한 매립 공사는 예를들면, 매립지 즉, 연약 지반에 모래 등을 포설한 후 이와 같은 기초 포설층 위에 흙이나 돌 등과 같이 이미 잘 알려진 매립재를 메우면서 매립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매립지의 매립 전에 모래 등으로 포설층을 미리 형성하는 이유는, 원활한 매립작업이 가능하도록 기초 지지층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매립후 원활한 지반층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포설작업은 매립공사시에 행하여지는 중요한 전처리 공정중에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포설층 형성을 위한 일반적인 포설방법은 벨트콘베이어 공법이나 강압건식 공법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법들은 대부분 비산(飛散) 작용에 의해 모래가 뿌려지는 형태로 공급되면서 매립지에 포설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벨트컨베이어 공법은 매립지에서 이미 잘 알려진 벨트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제한된 이송 구간범위내로 모래를 운반한 후 예를들면, 콤프레셔와 같은블로워장치의 압력 공기의 분사 흐름에 의해 모래를 상기 매립지측에 뿌리면서 포설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벨트컨베이어와 블로워장치는 이송 및 비산 작용이 제한된 구간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이와 같은 장치들을 이용한 포설 작업은 예를들면, 매립지 영역내에서 상기 장치들을 매번 다른 위치에 셋팅하여 부분적으로 포설 작업을 행하면서 포설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강압건식 공법은, 크레인과 같은 장치에 고압호스 등을 연결한 후 이 호스와 연결된 콤프레셔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고압호스를 통하여 상기 콘베어어 공법보다 비교적 비산 거리의 구간이 확장된 상태로 모래가 뿌려지면서 포설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벨트컨베이어 공법은, 상기 블로워장치의 비산 거리는 물론이거니와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이송 구간이 극히 제한된 범위내로 형성되어 전체 매립지 영역에서 부분적인 포설작업으로 포설층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만족할 만한 작업 능률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매립지 영역내에서 상기 벨트컨베이어와 블로워장치의 위치를 옮긴 후 매번 재셋팅하려면 과다한 시간 및 인원, 비용 등이 소요되므로 만족할 만한 공정 및 설비의 효율성 등을 기대하기 어렵다.
게다가, 상기 블로워장치나 벨트컨베이어의 운반 및 셋팅시에 연약 지반의 특성상 진입에 한계가 있으므로 작업 능률을 더욱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된다.
그리고, 상기 강압건식 공법은, 크레인을 포설영역에 인접한 호안이나 가토제 등에 설치하여 포설작업을 행함으로서 포설영역의 표층 교란 현상 등은 줄일 수 있지만, 상기 크레인 자체의 확장 구간에 한계가 있으므로 매립지 전체 영역에 대응하여 균일한 포설층의 형성이 어렵고, 장비들의 크기가 대형일 뿐만 아니라 고가이므로 포설작업에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벨트컨베이어 공법이나 강압건식 공법들과 같이 블로워장치의 구동에 의한 비산 작용으로 포설층을 형성하는 구조로는 모래의 비산 거리 등에 많은 제한이 따르게 되므로 더욱 향상된 작업 능률 및 작업 호환성 등을 기대하기 어렵고, 작업 특성상 비산 모래의 손실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만족할 만한 작업 효율성과 포설 품질 등을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매립 작업시 포설층 형성과 같은 전처리 공정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포설영역에 대응하여 위치 변화가 가능한 포설구간을 통하여 간단하게 포설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공정 등을 대폭 단축시켜서 더욱 향상된 작업능률 및 설비의 효율성 등을 얻을 수 있는 포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포설을 위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동대차들과, 이 이동대차들 사이에서 포설층 형성이 가능하도록 포설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여 이 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포설영역의 표층에 포설층 형성을 위한 포설재를 공급하는 포설용기와, 이 포설용기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이동하면서 포설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포설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설장치의 바람직한 설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설장치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포설장치의 이동대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설장치의 포설용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5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포설장치의 가이드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포설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포설장치를 이용한 포설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포설장치는, 포설을 위한 영역(A)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동대차(2)들과, 이 이동대차(2)들 사이에서 포설층(A1) 형성이 가능하도록 포설영역(A)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와, 이 가이드부재(4)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여 이 부재(4)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포설영역(A)의 표층에 포설층(A1) 형성을 위한 포설재(S)를 공급하는 포설용기(6)와, 이 포설용기(6)가 상기 가이드부재(4)를 따라 이동하면서 포설층(A1)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대차(2)가 도 1에서와 같이 포설영역(A)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가토제(L)를 따라 이동하면서 포설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상기 이동대차(2)는 후술하는 가이드부재(4)와 포설용기(6)를 상기 포설영역(A)측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내부에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구비되고, 이 동력장치의 동력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은 무한궤도로 전달되어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2)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4)가고정 및 지지되기 위한 지지면(10)이 제공되며, 전방측에는 주행 조작 등을 위한 조작실(12)이 구비된다.
상기에서는 이동대차(2)가 케터필러와 같이 무한궤도 형태의 휠에 의해 이동하는 구조를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이미 잘 알려진 평면의 적재함이 구비된 트럭이나 이와 유사한 중장비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이동 구조를 갖는 장치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이동대차(2)는 상기 포설영역(A)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가토제(L)측에서 상기 포설영역(A)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부재(4)와 이 부재(4)에 가이드되는 포설용기(6)를 통하여 포설층(A1)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도 1에서와 같은 자세로 셋팅된다.
이때, 상기 2개의 이동대차(2)는 상기 가이드부재(4)와 상기 포설용기(6)에 의해 포설영역(A)의 일측 지점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포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예를들면, 주행방향이나 속도 등이 동일한 범위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조작된다.
상기 가이드부재(4)는 상기 2개의 이동대차(2) 사이에서 상기 포설용기(6)에 의해 포설층(A1)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포설구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이미 잘 알려진 와이어들이 가이드구(G)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대차(2)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포설구간을 갖도록 상기 이동대차(2)의 지지면(10)측에 설치된 고정지주(14)들에 수평한 자세로 견고하게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구(G) 즉, 와이어의 강도 및 내구성, 내마모성 등은 후술하는 포설용기(6)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원활한 가이드 작용이 가능한 범위의 것들을 선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가이드부재(4)는 상기 가이드구(G)들이 상기 포설영역(A)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2개의 이동대차(2) 사이에 연결되어 이와 같이 연결된 포설구간을 통하여 후술하는 포설용기(6)를 포설작업이 가능한 자세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재(4)의 구조는 와이어 형태의 가이드구(G)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대차(2)의 고정지주(14)측에 고정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포설을 위한 구간을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으며, 분리 작업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소면적은 물론이거니와 대면적의 포설영역(A)에서도 만족할 만한 설치 호환성 및 기능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이동대차(2)측에 설치되는 고정지주(14)는 상기 가이드부재(4) 즉, 가이드구(G)가 연결되어 포설구간을 형성할 때에 이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포설용기(6)의 주행환경에 따라 예를들면, 장력 등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대차(2)의 지지면(10)측에서 상기 고정지주(14)의 하부측이 힌지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지주(14)가 상기 지지면(10)측에서 자세 변화가 가능하도록 직선 동력을 발생하는 이미 잘 알려진 실린더(C)가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상기 실린더(C)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대차(2)의 지지면(10)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자세로 위치하는 2개의 고정지주(14)가 상기 지지면(10)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자세 변화가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각각의 포설구간을 형성하는 가이드구(G)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차(2)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4)를 셋팅 한 후, 이 부재(4)를 따라 후술하는 포설용기(6)가 왕복 이동을 할 때에 예를들면, 상기 포설용기 (6) 및 이 용기(6)에 담겨지는 포설재(S) 등의 중량에 의해 상기 가이드구(G) 즉, 와이어의 처짐 현상이 발생되거나 이로 인하여 상기 이동대차(2)의 주행 안정성 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대차(2)의 고정지주(14)측에 일정한 중량을 갖는 블록(B)들이 설치된 케이지(16)가 도면에서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블록(B)들의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2개의 고정지주(14)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4) 즉, 가이드구(G)의 양측단에서 서로 당기는 형태로 인장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므로 포설용기(6) 및 이동대차(2)의 주행 환경 등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설용기(6)는 포설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포설재(S) 즉, 모래를 포설영역(A)측에 공급하여 포설층(A1)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은 상부측이 개구된 형태의 공간부(18)가 형성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포설구간 즉, 2개의 가이드구(G) 사이에서 이들 가이드구(G)에 대응하도록도면에서와 같은 가이드로울러(R)들이 설치되어 이 로울러(R)들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구(G)에 걸려진 상태로 지지 및 이동이 가능하게 셋팅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포설용기(6)의 공간부(18) 용량은 포설 환경 즉, 포설영역(A)의 면적이나 상기 가이드부재(4)의 포설구간측에 전달되는 수직방향의 하중 등을 감안하여 원할한 포설작업이 가능한 범위내로 선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설용기(6)에는 회전력에 의해 포설재(S)의 균일한 배출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포설용기(6)의 하부측에 형성된 배출구(20)측에 대응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출판(22)들이 형성된 회전축(24)이 설치된 구조를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24)의 회전을 위한 동력은 별도의 구동원을 설치하거나 상기한 도면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구동장치(8)에 의해 상기 포설용기(6)가 상기 가이드부재(4)의 포설구간을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가이드구(G)와 접촉하면서 회전력이 발생되는 가이드로울러(R)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포설용기(6)의 일측 가이드로울러(R)와 상기 회전축(24) 사이에 도 5에서와 같이 이미 잘 알려진 축간 동력전달 요소(V) 즉, 벨트와 풀리 또는 체인과 스프라켓 등을 설치하여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설용기(6)의 배출측에 상기 회전축(24)이 설치되면, 상기 포설용기(6)의 상기 가이드부재(4)를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회전축(2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 축(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배출판(22)들에 의해 상기 공간부(18)측에 담겨진 포설재(S)들이 포설영역(A)측에 더욱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작용에 더욱 향상된 포설 효율 및 품질 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설용기(6)의 공간부(18)측에 담겨지는 포설재(S)의 공급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대차(2)측에서 호퍼가 구비된 콘베어어장치를 이용하여 이미 잘 알려진 방법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8)는 회전력에 의한 외인딩 작용으로 상기 가이드부재(4)의 포설구간상에서 이 구간을 따라 상기 포설용기(6)가 포설 작용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원(M)과, 이 구동원(M)의 회전력을 직선 동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포설용기(6)측에 전달하는 와이어부재(W)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원(M)은 회전력을 발생하는 이미 잘 알려진 전동 또는 유압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원(M)이 상기 가이드부재(4)측에 설치되는 1개의 포설용기(6)에 대응하여 이 용기(6)를 사이에 두고 후술하는 와이어부재(W)의 와인딩 작용에 의해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대차(2)의 지지면측에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각각 셋팅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와이어부재(W)는 상기 구동원(M)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가이드부재(4)의 포설구간에서 상기 포설용기(6)의 이동을 위한 동력 전달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4)의 포설구간에서 1개의 포설용기(6)를 사이에 두고 도 2에서와 같이 2개가 1조로 이루어져서 이들의 일측단은 상기 포설용기(6)측에 각각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2개의 구동원(M)의 회전축상에 와인딩 작용이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부재(W)는 상기 구동원(M)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서 와인딩 작용에 의해 상기 포설용기(6)의 이동을 위한 직선동력 즉, 인장력이 작용할 때에 일부 와이어 구간이 끊기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내구성 및 강도, 내마모성 등이 구비된 것들을 선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동장치(8)는 상기 포설용기(6)를 사이에 두고 양측단에 연결된 2개의 와이어부재(W)가 상기 2개의 구동원(M)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 구동원(M)들에 의한 감김작용 및 풀림작용 즉, 일측 구동원(M)이 구동하여 일측 와이어부재(W)가 감겨지면 이에 대응하여 타측 구동원(M)측에 감겨진 와이어부재(W)가 풀려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포설용기(6)를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4)의 일부 구간상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거나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포설 환경 등에 따라 상기 포설용기(6)들이 상기 가이드부재(4)의 전체 포설구간에 대응하여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셋팅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가이드부재(4)에 의해 제공되는 1개의 포설구간에 대응하여 2개의 와이어부재(W)가 상기 포설용기(6)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1개의 와이어부재(W)가 다수개의 포설구간에 대응하여 이 구간들의 단부측에서 인접한 구간으로 유도가 가능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가이드되면서 다수개의 포설구간에 대응하여 인장력으로 상기 포설용기(6)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셋팅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가이드부재(4) 즉, 포설구간의 개수에 관계없이 상기 단일의 와이어부재(W)의 양측 단부측과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 작용이 가능하도록 2개의 구동원(M)과 연결하면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1개의 포설구간에 1개의 포설용기(6)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 또한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1개의 포설구간 전체 길이를 등분하여 상기 포설용기(6) 2개가 1조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포설용기(6)는 상기 구동장치(8)의 구동에 의해 예를들면, 일측 포설용기(6)가 상기 포설구간의 중심 지점에 위치하면 타측 포설용기(6)는 이동대차(2)측에서 포설재(S)가 담겨질 수 있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대차(2)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에 의해 도 8에서와 같이 포설영역(A)에 대응하여 2개의 포설구간이 1조로 설치된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외에도 포설 환경 등을 감안하여 상기 2개의 이동대차(2) 사이에 1개 또는 다수개의 포설구간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공되도록 셋팅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포설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포설영역(A)의 양측단에 형성된 가토제(L)의 노면측에 이동대차(2)를 각각 배치하고,이 이동대차(2)들 사이에 가이드부재(4)를 연결하여 포설구간을 형성한 다음, 이 포설구간상에 도면에서와 같이 포설용기(6)가 설치되어 상기 구동장치(8)에 의해 상기 포설용기(6)가 다음과 같이 작동하면서 포설 작업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이동대차(2)측에 위치하는 포설용기(6)의 공간부(18)에 일정량의 포설재(S)가 담겨지면, 상기 가이드부재(4)의 포설구간상에서 상기 포설용기(6)의 양측단에 연결된 와이어부재(W)가 상기 구동장치(8) 즉, 구동원(M)의 회전력에 일측 와이어부재(W)가 감겨질 때에 타측 와이어부재(W)는 풀려지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포설용기(6)가 포설구간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일부 구간에 대응하여 왕복 이동하면서 포설층(A)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이동함과 아울러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포설용기(6)의 내측에 담겨진 포설재(S)가 배출구(20)를 통하여 자연 낙하하는 형태로 상기 포설영역(A)을 향하여 포설층(A1)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포설용기(6)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0)측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포설재(S)의 균일한 배출을 위한 배출판(22)들이 결합된 회전축(24)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24)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포설용기(6)의 이동시에 상기 가이드부재(4)의 가이드구(G)와 접촉하면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가이드로울러(R)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회전축(24)의 회전시 상기 배출판(22)들에 의해 포설재(S)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가이드되면서 양질의 포설층(A1)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포설용기(6)가 상기 가이드부재(4)을 따라 구동장치(8)에 의해 왕복이동하면서 도 9에서와 같이 포설영역(A)의 일측 지점부터 포설층(A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대차(2)가 도 9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체 포설영역(A)에 대응하여 상기와 같은 포설용기(6)의 작용에 의해 포설층(A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포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설영역의 상부측에서 포설용기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포설구간을 따라 이동함과 아울러 포설재를 자연 낙하시키면서 포설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매립 작업시에 행하여지는 전처리 공정의 작업 능률 및 공정의 효율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매립 공사에 소요되는 전체 공사 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설용기의 포설재 배출측에는 내부에 담겨지는 포설재의 배출을 회전 작용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축이 설치되어 포설영역측에 포설재의 균일한 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부재와 포설용기가 포설영역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동대차의 이동에 의해 포설 위치가 용이하게 변화되는 구조이므로 포설재의 공급 효율은 물론이거니와 만족할 만한 작업 호환성 및 포설 품질 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한 가이드부재와 포설용기는 포설영역의 표면측에 접촉하지 않고 상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포설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포설을 위한 각종 장치들의 하중에 의해 포설영역의 표층이 유동하거나 변형되어 포설품질 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와이어와 같은 가이드구가 상기 이동대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포설용기의 이동을 위한 구간을 제공하는 구조이므로 소면적은 물론이거니와 대면적의 포설영역에서도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여 만족할 만한 설치 호환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의 회전동력에 의해 와이어부재가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 즉, 와인딩 작용시 발생되는 인장력으로 상기 포설용기를 포설구간상에서 포설이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구조이므로 동력 전달을 위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과다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도 회전동력을 직선동력을 간단하게 변환하여 동력을 전달하므로서 상기 포설용기의 작동성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만족할 만한 구동 효율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포설을 위한 영역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이동대차들과, 이 이동대차들 사이에서 포설층 형성이 가능하도록 포설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여 이 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포설영역의 표층에 포설층 형성을 위한 포설재를 공급하는 포설용기와, 이 포설용기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포설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포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와이어 형태의 가이드구가 와이어링으로 상기 이격된 이동대차 사이에 연결되어 포설영역의 상부측에서 포설구간을 제공하는 포설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설용기는 내부에 포설재가 담겨지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에 담겨진 포설재를 자연 낙하시키면서 포설층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배출하는 간상에서 걸림 작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포설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설용기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포설구간상에서 걸림 작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셋팅되는 포설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설용기의 포설재 배출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판들이 돌출 형성된 회전축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판들이 회전하면서 포설재가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셋팅되는 포설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포설구간 단부측과 마주하는 자세를 가지며 일정한 무게를 갖는 블록이 설치되고, 이 블록의 자중에 의해 상기 포설구간측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대차의 지지 및 주행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포설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원과, 이 구동원의 회전력을 직선 동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포설용기측에 전달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재는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와인딩 작용시에 발생되는 인장력을 상기 포설용기측에 전달하여 이 용기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포설구간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포설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포설용기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포설구간상에서 일부 구간 또는 전체 구간에 대응하여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동력의 발생 및 전달이 가능하게 셋팅되는 포설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이동대차 사이에서 1개 또는 다수개의 포설구간이 형성되도록 셋팅되는 포설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설용기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1개의 포설구간에 대응하여 1개 또는 2개 이상이 1조로 설치되는 포설장치.
KR20-2004-0023047U 2004-08-12 2004-08-12 포설장치 KR200368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047U KR200368050Y1 (ko) 2004-08-12 2004-08-12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047U KR200368050Y1 (ko) 2004-08-12 2004-08-12 포설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407A Division KR20050090944A (ko) 2004-08-12 2004-08-12 포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050Y1 true KR200368050Y1 (ko) 2004-11-17

Family

ID=4944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047U KR200368050Y1 (ko) 2004-08-12 2004-08-12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0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115B1 (ko) * 2005-08-04 2007-03-28 김경태 모래 포설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115B1 (ko) * 2005-08-04 2007-03-28 김경태 모래 포설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516A (en) Self propelled pipe blast cleaner capable of travel along a pipeline supported over the ditch
KR102149524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풀링시스템
CN206969469U (zh) 穿梭车物料箱复合式提升机以及穿梭车库
CN109958464B (zh) 门架式管片拼装设备及方法
CN103738748B (zh) 一种流动式高效螺旋平料机
CN104960082A (zh) 一种牵引小车驱动的运输料斗
CN209367081U (zh) 一种便捷式悬挂输送系统及喷涂用悬挂输送机
CN108312159A (zh) 多功能机器人系统及其应用
CN107098098A (zh) 穿梭车物料箱复合式提升机以及穿梭车库
CN108840031A (zh) 一种便捷式悬挂输送系统及喷涂用悬挂输送机
JP5339895B2 (ja) コンクリートの運搬設備
CN111646248A (zh) 一种可移动式堆料输送机
KR200368050Y1 (ko) 포설장치
CN107776596A (zh) 一种具有门式结构的物流运输车
CN107697087A (zh) 一种转向架及物流运输车
KR20050090944A (ko) 포설장치
CN210064648U (zh) 一种橡胶运输带生产用收卷装置
KR20110114142A (ko) 러그 및 피스 절단 장치
CN210499826U (zh) 一种抛丸清理机
KR200398546Y1 (ko) 모래 포설장치
CN208964065U (zh) 一种agv充电提升机框架机构
CN113200309A (zh) 智能取料输送设备
CN113120765A (zh) 程控智能搬运起重机
CN207497533U (zh) 一种托辊式输送机
CN110668101A (zh) 物料提升装置和具有其的上料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