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253Y1 -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253Y1
KR200398253Y1 KR20-2005-0020416U KR20050020416U KR200398253Y1 KR 200398253 Y1 KR200398253 Y1 KR 200398253Y1 KR 20050020416 U KR20050020416 U KR 20050020416U KR 200398253 Y1 KR200398253 Y1 KR 200398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electrode
hydrogen
water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찬 구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Priority to KR20-2005-0020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2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원력을 갖는 활성수소를 풍부하게 함유하는 수소환원수 또는 수소풍부수를 제조하기 위한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용 또는 업소용 정수기를 통하여 쉽게 수소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기존 정수기에 용이하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원통형 카트리지 내부로 스테인레스 재질인 하나의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을 중심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망형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과 두 개의 망형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원판형홀더를 설치하여 준다. 상기 원판형홀더를 사용함으로써 전극판을 고정하기 위한 스페이서와 별도의 체결구가 필요치 않게 하여 제조 공정의 단순화와 제조비용 감축을 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결국 카트리지 내부로 지속적으로 활성수소를 생성시키는 동시에 생성된 활성수소를 미네럴에 흡장시킴으로써 음용시 소멸되지 않고 체내에 흡수되어 체내의 활성산소와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소환원수 생성장치를 기존 정수기에 쉽게 응용이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Catridge-type device for producing hydrogen-abundant water}
본 고안은 환원력을 갖는 활성수소를 풍부하게 함유하는 수소환원수 또는 수소풍부수를 제조하기 위한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용 또는 업소용 정수기를 통하여 쉽게 수소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기존 정수기에 용이하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달과 인구증가로 인한 하천 및 상수원 오염, 정수장에서의 염소처리 등의 원인으로 수도수에는 화학물질, 유기염소용게 용제, 발암성 화합물이 다량으로 혼합되어 있고, 이에 더하여 수도관 노후 문제까지 대두되면서 현재 가정에서는 마음놓고 물을 음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수도수에 포함된 세균과 이물질, 중금속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기능성 정수기가 개발되면서 국내 정수기 시장이 활성화 되어왔다. 그러나, 기존 정수기는 단순히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에 그치거나 미네랄 풍부수만을 제공할 뿐, 직접적으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물의 기능성을 높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방식의 정수기가 개발되었다.
그 중 전해조 내에 격막에 의해 분리된 양극실과 음극실을 설치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에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양극실과 음극실에서 각각 산성수와 알칼리수를 생성하는 알칼리수 생성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분해방식은 산성수와 알칼리수가 동시에 생성되기 때문에 알칼리수만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산성수를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알칼리수의 pH가 9 내지 10정도로 높아서 알칼리수에 대한 과민증 질환이 있는 경우 사용할 수 없으며 광물질 용해도가 낮아 인체에 유용한 미네랄 성분을 음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생체의 신진대사 과정에서 발생된 활성산소는 산화력이 매우 강하여 생체를 구성하고 있는 유전자나 세포를 산화시켜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산화환원전위가 낮은 물 즉, 수소환원수 또는 수소풍부수를 음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즉, 수소환원수 또는 수소풍부수에 포함되어 있는 활성수소가 체내의 활성산소와 반응하여 순수한 물로서 환원시키므로 활성산소에 의해 세포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결국 활성산소를 수소환원수가 작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물로 바꾸어 주어 활성산소로 인한 각종 난치병과 노화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활성수소를 풍부하게 함유하는 수소환원수 또는 수소풍부수를 제조하기 위한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특히 기존의 정수기와 별도로 수소환원수 생성장치를 구입할 필요없이 기존의 정수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거나 또는 기존의 정수기 생산라인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가 요청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수소환원수 생성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2004-0023587에 개시되어 있다. 도1과 같이 하나의 전극봉(151)과 상기 전극봉(15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전극판(152a,152b) 및 상기 전극판에 부착된 촉매용 금속판(155)으로 이루어진 전극유니트와 이를 수납하는 원통형 본체(130)와 상부캡(132) 및 하부캡(133) 구성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전극판(152a,152b)에 소정의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의 핵심인 상기 전극유니트는 소정 직경을 갖는 하나의 전극봉(151)과, 상기 전극봉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망형 전극판(152a,152b)과, 상기 전극봉과 두 개의 망형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54)와, 상기 망형 전극판에 부착된 촉매용 금속판(155)과, 상기 전극관(151)과 전극판(152a,152b)의 상부에 고정되어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캡(132)에 고정되어 전극유니트를 고정시키는 세 개의 접속볼트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에서는 상기 전극유니트를 구성하는 전극봉과 다수개의 전극판을 유니트에 지지시키기 위하여 스페이서와 다수개의 접속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필요한데, 이에 따른 제조의 어려움과 단가 상승의 문제가 생긴다. 아울러, 전극판을 구성하는 티타늄 판체 표면에 처리하는 백금 도금 공정시 비용 소요가 많다는 문제가 수반되게 된다. 또한 마그네슘과 같은 알카리성 금속이온과 물 반응에 따른 활성수소 발생시 이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촉매 또는 촉매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수소환원수 생성 카트리지 내에서 지속적으로 활성수소를 생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극유니트를 기존 정수기 내 필터부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활성수소 음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필터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정수부 후단에 미네랄 공급용 카트리지를 설치하여 활성수소의 생성과 체내로 용이하게 활성수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3은 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에 적용되는 전극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10)는 기존의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원통형 카트리지(3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원통형 카트리지(30)의 내부에 소정의 구동전압과 고주파 펄스전류가 인가되는 전극유니트(50)를 설치함으로써 기존 가정용 또는 업소용 정수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유니트(50)는 원통형 카트리지(30)의 내부에 설치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전극유니트(50)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전극유니트(50)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하나의 전극판(51)과, 이 전극판(51)을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전극판(52a,52b)과, 상기 전극판(51,52a,52b)을 소정거리 이격시켜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소정홈을 형성한 플라스틱 재질의 원판형홀더(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카트리지(30)는 상기 전극유니트(50)가 삽입되고 소정의 전원공급장치(60)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극유니트(50)가 안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상부에 수밀하게 설치되어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5)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전극유니트(50)의 접속볼트(53a,53b,53c)가 고정되는 상부캡(32)과, 상기 본체(31)의 하부에 수밀하게 설치되어 수소환원수가 유출되는 유출구(34)가 형성된 하부캡(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캡(33)은 본체(3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3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극유니트(5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극판(51)과 망 형상인 두개의 전극판(52a,52b)에는 접속볼트(53a,53b,53c)가 각각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볼트(53a,53b,53c)들은 상부캡(32)에 관통되어 있고, 그 선단에 형성된 나사산에는 각각 너트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유니트(50)는 이들 세 개의 접속볼트(53a, 53b, 53c)를 통하여 상부캡(32)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볼트(53a, 53b, 53c)의 선단은 소정의 전원공급장치(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볼트(53a,53b,53c)에는 소정의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원수나 수소환원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전극판(51,52a,52b)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판체로서 SUS(Steel Use Stainless) 316을 전해 처리한 것을 사용한다. 즉, 전해액 속에 재료금속을 넣고 전류를 흘려주는데, 결국 스테인레스 표면 이온인 철과 니켈 성분은 선별적으로 추출시키며 양극 표면에는 내부식성이 뛰어난 산화크롬층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산화크롬층에 의하여 상기 망 형상인 전극판은 내부식성이 강화되고 표면 평면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전극판중 망 형상인 전극판(52a,52b)은 상기 전극유니트(50) 중앙으로 설치되는 전극판(5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망 형상인 전극판(52a,52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를 전해처리한 표면에 다수 개방부를 형성한 망체로서, 상기 다수의 개방부는 원수 또는 수소환원수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전극판(51,52a,52b)은 일자형인 소정홈을 형성하고 있는 원판형홀더(5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원판형홀더(54)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며 직경은 상기 원통형 카트리지(30)의 내부로 온전히 수납되도록 그 크기를 정하여 상기 카트리지 내부로 수용되는 상기 전극유니트(50)의 체결력을 강화하여 준다, 중앙으로는 전극판(51)이 끼워질 수 있는 소정 모양의 일자형 홈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전극판(52a,52b)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일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원판형홀더(54)의 중앙으로 소정 직경의 구멍을 형성하면 기존의 전극봉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다수개의 전극판(51,52a,52b)을 상기 원판형홀더(54)에 형성된 일자형 또는 원형홈에 끼워주면 고정되므로 상기 전극유니트(50) 내부로 상기 전극판(51,52a,52b)을 고정하고 설치하기 위한 볼트와 같은 체결구와 설치 어려움이 수반되는 스페이서와 같은 구성 요소가 필요치 않아 상기 전극유니트(50) 제조 공정이 단순해진다. 또한 상기 원판형홀더(5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전극(51, 52a,52b)판을 끼워지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전기적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하여 더 많은 전극판이 끼워지도록 일자형인 전극판홈을 더 형성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미네랄 공급용 카트리지가 구비되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미네랄 공급과 알카리 이온 공급을 위하여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10) 전단에 미네랄 공급용 카트리지(20)를 더 설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10)는 상기 카트리지 내부로 생성된 활성수소를 수중의 미네럴에 보다 많이 흡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공급되는 수도수 중에는 각종 미네럴이 풍부하게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존의 정수기는 각종 여과필터(21)를 통해 수도수 중에 포함된 미네럴을 제거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10)로 유입되는 수도수(정화수)에는 미네럴이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10)의 전단에는 각종 미네럴을 공급하기 위한 미네럴 공급용 카트리지(20)를 더 설치한다. 이때 상기 미네럴 공급용 카트리지(20)는 원통형 카트리지 내부에 맥반석, 천연 세라믹 등 다양한 광물질이 충진된 것이다. 이러한 알카리이온을 다량 함유한 미네랄 공급을 통하여 본 고안인 수소환원수 생성용 카트리지 내부로 정화수를 공급하여주면, 상기 전극유니트에 의하여 생성된 활성수소를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도록 하여 음용할수 있는 활성수소의 양을 늘려줄 수 있다. 또한 알카리이온이 본 고안인 카트리지 내부에서 물과 화학반응을 통하여 수소나 전자의 방출을 촉진시킬 수 있는 촉매 반응도 하게 한다.
이어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극유니트에 소정의 펄스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60)의 구동회로부(61)를 나타내는 회로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회로부(61)는 전극판 구동부(62)와, 전극 선택부(6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판 구동부(61)는 A/D변환과 D/A변환 및 주파수출력을 통하여 상기 전극판(51,52a,52b)에 소정의 직류와 펄스신호를 인가하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기능 선택을 위한 키입력부와 센서입력부, 공급수 통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 표시부로 구성된다.
상기 전극 선택부(63)는 전극판 구동부(6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극판(51)과 망 형상인 두 개의 전극판(52a,52b)에 대해 구동전압(Vcc)과 그라운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전압에 의한 직류를 상기 전극판(51)에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부와 과전류감지부(U3) 및 전류제어부(U2)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두 개의 전극판(52a,52b)에 그라운드 전압을 인가하고 펄스신호을 공급하기 위하여 수정발진기와 주파수변환기(U4)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 상기 전극판구동부(62)에 의해 제어되는 전극선택부(63) 회로의 작동 모습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CPU(U1)에 의해 제어되는 수정발진기에 의하여 상기 전극판(52a,52b)을 구동하기 위한 발진 주파수가 출력된다. 출력된 주파수는 주파수변환기(U4)에 의하여 펄스 신호의 크기가 결정되며 Q2, Q3 (FET:전계효과트랜지스터) 작동에 따라 상기 전극판(52a,52b)에 진동전류를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Q2, Q3는 선택적으로 펄스 신호를 단속하고 인가해주어 수중의 극성이 교대로 빠르게 변하게 함으로써 전기적인 와류현상을 일으켜 물의 성분을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 전극판(52a,52b)으로 인가된 진동 전류에 의한 저항값은 전류제어부(U2)와 과전류검지부(U3)로 입력되는데, 상기 과전류검지부(U3)에서는 측정된 저항값을 CPU로 입력하고 상기 CPU는 입력된 신호를 A/D 변환하여 받아들이게 된다. 한편 적정 ORP(산화환원전위,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를 유지하기 위하여 키입력부에 의하여 선택된 적정 저항치는 D/A 변환되어 전류제어부(U2)로 입력된다.
상기 전류제어부(U2)에서는 상기 전류제어부(U2)로 입력된 키입력부에 의한 저항값과 상기 진동 전류에 의한 측정 저항값을 비교하고 그 저항값 차이를 감지하며 감지된 저항값 차이가 해소될때까지 피드백된다. 이렇게 하여 설정된 적정 저항값을 Q1(트랜지스터)으로 흘려주게 되면 상기 전원부(U5)에 의해 발생한 구동전압(Vcc)에 의하여 직류전원이 상기 전극판(51)으로 인가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원하는 만큼의 ORP(-200 이하)가 유지되는 수소환원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Q2, Q3를 사용하여 전압의 on/off 한계점을 최대한 줄여 전압 손실을 최소화하고여 열발생을 없애주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구동회로부(61)는 위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종류의 회로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7은 촉매용 금속판(55)을 부가 설치한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망 형상인 전극판(52a,52b)에 소정 크기의 촉매용 금속판(55)을 설치하여 활성수소의 생성량을 늘리고 그 화학 반응을 촉진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촉매용 금속판(55)은 전극판(51,52a,52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이때 상기 촉매용 금속판(55)은 아연, 마그네슘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마그네슘은 환원작용이 활발하여 활성수소 발생은 많으나 수화물이 생성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수화물의 생성이 적은 아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촉매용 금속판(55)의 가운데로는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원수 또는 수소환원수의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촉매용 금속판(55)은 물속에서 마그네슘이나 아연이온과 같은 알카리성 금속이온(M)을 다량 방출하게 되고 이 알칼리성 금속이온은 물과 반응하여 활성수소를 생성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수소환원수 생성장치는 종래의 여과용 필터 카트리지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이므로 기존의 정수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정수기의 생산라인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수도수의 공급 및 수소환원수의 배출은 기존 정수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부품이 거의 요구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동작과 화학반응 원리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먼저 다수개의 필터를 거친 정수는 상기 정수부(20) 최후단에 설치된 미네랄 공급용 카트리지(21)를 통과하면서 다량의 미네랄을 함유하게 되어 저수조(30)로 유입되며, 상기 미네랄 공급용 카트리지(21)를 거친 정수는 Ca, K, Na, Mg, Al등의 알카리성 양이온을 함유하게 된다. 이러한 양이온과 물의 화학 반응을 통하여 수소 또는 전자가 발생하게 된다. 그 반응식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g2+ + 2(H20) → 2Mg(OH) + H2 또는 2(H++e-)
K+ + H20 → KOH + H2 또는 2(H++e-)
이렇게 생성된 활성수소는 상기 저수조(30) 내부로 다량 용존하게 되면서 상기 미네랄 공급용 카트리지(21)를 통과하면서 다량 함유하게 된 물 속 미네랄과 활성수소가 흡착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 전원공급장치(50)에 의하여 소정 펄스전원이 두 개의 전극판(42a,42b)에 인가시 수중에 형성되는 전기적 와류가 기용존된 활성수소와 미네랄 충돌을 촉진시켜 흡장을 용이하게 한다.
미네럴에 흡장되어 체내에 흡수된 활성수소는 서서히 방출되어 체내의 활성산소와 반응하여 활성산소를 무해하게 만든다. 이를 반응식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O2 + 2H + e- → H2 O2
H2 O2 + e- → HO· + HO·
HO· + H + e- → H2O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저수조 내의 정화수는 점차 산화환원전위가 낮아지게 되어 수소환원수를 생성하고, 설정된 목표값의 산화환원전위(-200mV)에 도달하여 그 이하값을 유지하도록 CPU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온화경향이 상위그룹에 다량의 미네럴이 포함되어 있는 수도수로부터 활성수소를 카트리지 내에서 생성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은 또한 전극유니트를 기존 정수기 내 필터부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이 활성산소로부터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필터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정수부 후단에 미네랄 공급용 카트리지를 설치하여 수소환원수로의 미네랄 첨가와 활성수소의 생성과 그 흡장을 도와 활성수소가 음용시 소멸되지 않고 체내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기존의 수소환원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소환원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소환원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극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미네랄 공급용 카트리지가 구비되는 구성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동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20: 미네랄 공급용 카트리지
30: 원통형 카트리지 32: 상부캡
33: 하부캡 50: 전극유니트
51, 52a, 52b: 전극판 51', 52a', 52b': 회로연결부
53a, 53b, 53c: 접속볼트 54: 원판형홀더
55: 촉매용 금속판 60: 전원공급장치

Claims (5)

  1. 기존의 정수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원통형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 설치하여 수소환원수를 생성하는 전극유니트와, 상기 카트리지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유니트에 소정의 구동전압과 펄스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니트는 구동전극을 형성하는 하나의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을 중심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어 접지전극을 형성하는 두 개의 망형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과 두 개의 망형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이를 고정시키고 상기 카트리지 내부로 온전히 수납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원판형홀더와, 상기 전극판과 두 개의 망형 전극판 상부에 고정되어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캡에 고정되어 전극유니트를 고정시키는 세 개의 접속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전극판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판체로서 SUS(Steel Use Stainless) 316을 전해 처리한 것으로 그 표면에 산화크롬층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홀더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며 직경은 상기 원통형 카트리지의 내부로 온전히 수납되도록 그 크기를 정하고, 중앙으로는 전극판이 끼워질 수 있는 소정 모양의 일자형 홈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전극판이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일자형 홈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형 전극판 일측면으로 촉매용 금속판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홀더의 중앙으로 소정 직경의 구멍을 형성하여 기존의 전극봉 삽입이 가능하도록 원판형홀더의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KR20-2005-0020416U 2005-07-13 2005-07-13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KR200398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16U KR200398253Y1 (ko) 2005-07-13 2005-07-13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16U KR200398253Y1 (ko) 2005-07-13 2005-07-13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253Y1 true KR200398253Y1 (ko) 2005-10-12

Family

ID=4369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416U KR200398253Y1 (ko) 2005-07-13 2005-07-13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25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70B1 (ko) 2012-08-10 2013-04-08 장현덕 용존 수소수 제조장치
KR101331894B1 (ko) 2013-02-19 2013-11-21 박병기 알칼리 환원수를 제조하기 위한 항아리
WO2014157871A1 (ko) * 2013-03-27 2014-10-02 Kim Sang Sun 전극을 이용한 수소수 생성 장치
KR101746077B1 (ko) 2014-07-31 2017-06-14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소수 제조용 수소 발생 유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70B1 (ko) 2012-08-10 2013-04-08 장현덕 용존 수소수 제조장치
KR101331894B1 (ko) 2013-02-19 2013-11-21 박병기 알칼리 환원수를 제조하기 위한 항아리
WO2014157871A1 (ko) * 2013-03-27 2014-10-02 Kim Sang Sun 전극을 이용한 수소수 생성 장치
KR101746077B1 (ko) 2014-07-31 2017-06-14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소수 제조용 수소 발생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2354B2 (ja) 高電界電解セル
JP3853372B2 (ja) スケールを低減あるいは防止する方法
JP3820248B2 (ja) 電気分解整水器
Yang et al. Degradation of metoprolol from wastewater in a bio-electro-Fenton system
CN104159852A (zh) 水净化系统
KR200398253Y1 (ko)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JP2005105289A (ja) 水素水給水装置
EA027099B1 (ru) Мембранная электрокатали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опливного газа из воды
JP3753987B2 (ja) 還元水生成装置
JP3616079B2 (ja) 電解式オゾン水製造装置
KR200403363Y1 (ko) 수소풍부수 발생장치
JP2005177724A (ja) 水素水を製造する装置
KR200371538Y1 (ko)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JP3973508B2 (ja) 水処理装置
KR200445058Y1 (ko) 정수기용 이온수 생성 카트리지
CN107935130B (zh) 一种用于净化饮用水的电化学系统以及净化方法
JP3340519B2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KR200473934Y1 (ko) 음용수 또는 세정수가 생성되는 무격막형 전해조
KR101586302B1 (ko) 이온수기
JP4512842B2 (ja) 電解水生成方法及び電解水生成装置
WO2018147725A1 (en) Device comprising a channel, a cathode, an anode and a power sour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JP3132048U (ja) 電解水生成装置
JP4944913B2 (ja) 水素水生成装置
CN106587284A (zh) 水处理装置、水处理方法以及净水器系统
JP2004148295A (ja) 水改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