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071Y1 - 생태블럭 및 그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생태블럭 및 그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071Y1
KR200398071Y1 KR20-2005-0020337U KR20050020337U KR200398071Y1 KR 200398071 Y1 KR200398071 Y1 KR 200398071Y1 KR 20050020337 U KR20050020337 U KR 20050020337U KR 200398071 Y1 KR200398071 Y1 KR 200398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ecological
blocks
block
g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대영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산업(주) filed Critical 대영산업(주)
Priority to KR20-2005-0020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상측으로 자역석의 느낌을 주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심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고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모서리측에 부설된 고리를 상호연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식생블럭 및 그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식생블럭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몸체의 상면상에 자연석 느낌을 주는 돌출부를 각 모서리마다 그리고 중심부에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사이에 식생공간을 부여하며, 상기 몸체의 측면의 모서리상에 연결고리가 각각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태블럭 및 그 체결구조{Block for Plant and the engaging Structure thereof}
본 고안은 각종 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상측으로 자역석의 느낌을 주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심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고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모서리측에 부설된 고리를 상호연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생태블럭 및 그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방을 축조함에 있어 각종 블럭을 이용하고 있는데, 생태블럭의 경우에는 축조라는 본연의 역할이외에도 자연식물이나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블럭을 말한다.
종래의 생태블럭은 제방과 생태공간의 제공이라는 역할을 수행할 뿐 미관이 수려하지 못했고 나아가 끼워맞춤방식이어서 시공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앞서 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생태공간뿐만 아니라 상면상에 자연석의 느낌을 줄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수려한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모서리에 각각 연결고리를 부설하여 블럭을 마주대고 연결고리에 이음고리를 끼움하는 것만으로도 시공이 완료될 수 있어서 시공성이 우수하고 고리체결구조에 의해 생태블럭간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어서 유속에 의해 유실될 염려가 없는 생태블럭과 그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생태블럭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몸체의 상면상에 자연석 느낌을 주는 돌출부를 각 모서리마다 그리고 중심부에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사이에 식생공간을 부여하며, 상기 몸체의 측면의 모서리상에 연결고리가 각각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체결구조는, 위 생태블럭을 사각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각 생태블럭의 연결고리가 중심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이들 연결고리에 환형고리를 체결하여 배열된 생태블럭들을 상호 견고하게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앞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생태블럭(1)은 납작한 형상을 가진 육면체의 몸체의 상면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자연석형상의 돌출부(11)와 중심부에 형성된 자연석형상의 돌출부(13)와, 상기 돌출부(11)사이에 형성된 식생공간(12), 상기 몸체의 측면상의 모서리(15)상에는 각각 형성된 연결고리(14)를 가진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의 생태블럭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생태블럭(1)의 연결고리(14)가 중앙에 집결되도록 생태블럭을 사각형상으로 배열한 후 환형고리(2)를 각 연결고리에 끼워 체결함으로써 생태블럭간의 상호 고정이 완료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생태블럭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인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의 토사면(4)상에 생태블럭(1)을 도 2와 같이 배열하여 고정하기만 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생태블럭간에는 환형고리로 고정되어 있어서 견고하게 토사면상에 시공되어 있어서, 유속에 의해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식생공간(12)이 있어서, 각종 식물이나 생물이 서식할 수도 있게 된다.
출원인은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살펴보았지만, 본 고안은 앞서 본 실시에에만 국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식생공간뿐만 아니라 상면상에 자연석의 느낌을 줄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수려한 심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모서리에 각각 연결고리를 부설하여 블럭을 마주대고 연결고리에 이음고리를 끼움하는 것만으로도 시공이 완료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고리체결구조에 의해 생태블럭간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어서 유속에 의해 유실될 염려가 없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생태블럭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생태블럭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Claims (2)

  1.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몸체의 상면상에 자연석 느낌을 주는 돌출부를 각 모서리마다 그리고 중심부에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사이에 식생공간을 부여하며, 상기 몸체의 측면의 모서리상에 연결고리가 각각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블럭.
  2. 제1항의 생태블럭을 사각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각 생태블럭의 연결고리가 중심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이들 연결고리에 환형고리를 체결하여 배열된 생태블럭들을 상호 견고하게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블럭의 체결구조.
KR20-2005-0020337U 2005-07-13 2005-07-13 생태블럭 및 그 체결구조 KR200398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37U KR200398071Y1 (ko) 2005-07-13 2005-07-13 생태블럭 및 그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37U KR200398071Y1 (ko) 2005-07-13 2005-07-13 생태블럭 및 그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071Y1 true KR200398071Y1 (ko) 2005-10-11

Family

ID=4369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337U KR200398071Y1 (ko) 2005-07-13 2005-07-13 생태블럭 및 그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0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9466U (ja) 組合せ式園芸用装置
KR20100030315A (ko)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DE50109621D1 (de) Baukastensystem mit als hohlwürfel ausgebildeten bausteinen und steckverbindungselementen zum zusammensetzen dieser bausteine
KR200398071Y1 (ko) 생태블럭 및 그 체결구조
KR100856094B1 (ko) 자석 블록
KR101503047B1 (ko)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
KR20140092743A (ko) 인공 식물 및 인공 식물 설치 시스템
KR20100086150A (ko) 파일 결속형 식생대
KR20170046201A (ko) 병렬조립이 가능한 식재용 플랜트
KR200417403Y1 (ko) 조립식 블럭
KR20140019517A (ko) 친환경 블록 패널형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2029297A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JP3936692B2 (ja) ガーデニングキット
KR20110017614A (ko) 식물 식생이 가능한 자연석 첩석 쌓기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N210529627U (zh) 一种适用于生态护岸工程的鱼巢砌块结构
KR200324512Y1 (ko) 식생호안용 인조석 블록
JP5049411B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KR200443040Y1 (ko) 자연석형 식생블럭의 설치구조
KR101843058B1 (ko) 사면 보호용 친환경 자연석블록 시공구조 및 그 자연석블록 연결방법
CN206397206U (zh) 一种市政建筑工程用厕所
KR101409006B1 (ko) 친환경 수중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81449B1 (ko)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KR100376947B1 (ko)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콘크리트 수로 및 그 공법
CN209704176U (zh) 异型砌块花篮墙
KR20020053683A (ko) 조립용 호안블록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