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570Y1 -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570Y1
KR200397570Y1 KR20-2005-0020395U KR20050020395U KR200397570Y1 KR 200397570 Y1 KR200397570 Y1 KR 200397570Y1 KR 20050020395 U KR20050020395 U KR 20050020395U KR 200397570 Y1 KR200397570 Y1 KR 200397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rocker
wall
waterproofing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환용
Original Assignee
삼목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0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5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5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5Strip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form sections, e.g. to avoid burring or spilling of lai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을 신축하기 위하여 외벽을 콘크리트로 타설시 지면이나 각층 사이의 경계지점 사이로 물이나 습기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재를 도포시켜 줄수 있도록 시공하는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외측면에서 설치되는 거푸집의 하단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로커를 갖추고, 상기 로커의 일측면인 수직면측에 위치하여 방수재가 도포될수 있도록 요입홈부를 갖추어주는 방수용압출재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로커의 일측면인 수직면에 방수용압출재가 일체로 갖추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A mold granting measures}
본 고안은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을 신축하기 위하여 외벽을 콘크리트로 타설시 지면이나 각층 사이의 경계지점 사이로 물이나 습기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재를 도포시켜 줄수 있도록 시공하는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신축 또는 중축시켜 주고자 할 경우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외벽과 내벽을 타설시켜 주게된다.
상기와 같이 내,외벽을 타설하기 위하여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내,외측의 벽면(10)이 타설될수 있을 정도의 공간부를 갖도록 양측에 거푸집(20)을 설치후 상기 거푸집의 내부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주는 상태로 하여 벽면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벽면을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벽면을 신축및 증축시켜 주고자 하는 건축물의 높이에 맞추어 설치할수가 없고, 층별로 하여 신축하고자 하는 높이의 벽면을 시공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즉, 단층의 높이에 맞도록 벽면의 거푸집을 세우고, 상기 수직으로 세워진 거푸집의 상단 높이에 맞추어 지지대에 의해 받쳐지는 횡지지대를 설치후 이에 수평상의 거푸집을 설치하여 내,외측의 벽면(10)과 천정(11)을 시공한 다음, 상기 타설된 콘트리트가 완전히 응고된 후, 상기 시공된 벽면과 천정의 상면에 전자와 동일하게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주는 방법으로 하여 신축하고자 하는 층수의 건물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건물을 시공시 층별로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주는 관계로 인해 각층의 경계지점, 예를들어 1층의 벽면 상단면과 이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2층의 하단면은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일체로 시공되지 못하고, 하층부분이 먼저 타설되어 응고후 이의 상단면으로 새로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관계로 인해 응고된 하층의 벽면 상단면과 이의 상면에 새로이 타설되는 콘크리트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어 비나 눈이 내리거나, 습기가 많이 발생되는 기후에서는 상기 틈새를 통해 물기나 습기가 벽면의 내부로 스며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거푸집을 이용한 외벽을 타설시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외측벽(10)을 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외측의 거푸집(20) 하단부에 하부를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로커(30)를 체결시켜 준 상태에서 이들의 일면 즉, 외측벽의 외벽이 되는 위치에 방수용압출재(40)를 체결시켜 준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준 다음 상기 콘크리트가 응고되면 거푸집(20)을 탈거시켜 준 이후 방수용압출재(40)에 의해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홈부(12)에 방수재(50)를 도포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 하부 방수재는 거푸집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로커와 상기 로커의 일면에 체결시켜 방수재가 도포될수 있도록 하는 요입홈부를 형성시켜 줄수 있는 방수용압출재를 각각 생산하여 별도 보관및 운반하여야 하는 취급상의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들을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체결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시공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수재가 도포될수 있도록 하는 요입홈부를 형성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방수용압출재를 로커의 일면에 일체로 성형되도록 제작하므로서, 생산성의 향상과 보관및 운반 그리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물을 신축시 거푸집의 하부에 로커만을 체결시켜 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줄수 있어 작업자가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시행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외측면에서 설치되는 거푸집의 하단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로커를 갖추고, 상기 로커의 일측면인 수직면측에 위치하여 방수재가 도포될수 있도록 요입홈부를 갖추어주는 방수용압출재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로커의 일측면인 수직면에 방수용압출재가 일체로 갖추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해 외벽이 시공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로서, 우선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부호로 설명하기로 한다.
내,외측의 벽면(10)이 타설될수 있을 정도의 공간부를 갖도록 양측에 거푸집(20)을 설치후 상기 거푸집의 내부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주는 상태로 하여 벽면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벽면을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20)을 설치시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수평면 부분이 거푸집의 하단면과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로커(30)의 일면 즉, 수직면측에 방수재(50)가 도포될수 있도록 하는 요입홈부(12)가 요입될수 있도록 하는 방수용압출재(40)를 갖추어 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방수용압출재(40)를 로커(30)를 사출시 일체로 사출시켜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로커(30)를 사출시 수직면 일측으로 방수용압출재(40)를 일체로 사출 성형시켜 줄 경우 종래와 같이 로커와 방수용압출재를 각각 사출시켜 주어야 하는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없음은 물론, 이들을 별도 보관시켜 주었다가 건설현장으로 이동시켜 체결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건설현장에서 건물을 신축시켜 주고자 할 경우 내,외벽면을 시공하기 위하여 거푸집(20)을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때 외벽면을 시공하기 위하여 외측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하단부에 방수용압출재(40)가 일체로 갖추어져 있는 로커(30)의 수평면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을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로커(30)의 하단부가 시공하고자 하는 외벽의 외측 상면에 위치할수 있도록 하는 상태로 하여 거푸집(20)을 설치한 다음 상기 거푸집 사이의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주게 되면 외벽(10)의 하단부 외주연은 로커(3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갖추어져 있는 방수용압출재(40)에 의해 요입홈부(12)가 갖추어지는 상태로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가 응고되어 거푸집(20)과 로커(30)를 제거시켜 준 상태에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요입홈부(12)내에 방수재(50)를 도포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층별로 시공되는 외벽의 타설시 상기 외벽의 외주연 하단에 방수재가 도포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부를 형성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방수용압출재를 로커의 일측면인 수직면에 일체로 갖추어지도록 형성시켜 주므로서, 로커와 방수용압출재를 개별적으로 성형시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이로인해 이들을 개별적으로 보관및 운반시켜 주어야 하는 등이 불편함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건설현장에서 거푸집의 하부에 로커를 체결후 상기 거푸집과 로커의 일측에 방수용압출재를 제차 체결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단순히 방수용압출재가 일체로 사출되어 있는 로커를 거푸집의 하단면에 체결시켜 준 상태에서 설치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주면 되므로서,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벽면의 시공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하부 마감재를 이용하여 벽면이 시공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인 하부 마감재에 의해 외벽면이 시공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벽면 20:거푸집
30:로커 40:방수용압출재
50:방수재

Claims (1)

  1.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외측면에서 설치되는 거푸집의 하단면에 위치하여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로커를 갖추고, 상기 로커의 일측면인 수직면측에 위치하여 방수재가 도포될수 있도록 요입홈부를 갖추어주는 방수용압출재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로커의 일측면인 수직면에 방수용압출재가 일체로 갖추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
KR20-2005-0020395U 2005-07-13 2005-07-13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 KR200397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95U KR200397570Y1 (ko) 2005-07-13 2005-07-13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95U KR200397570Y1 (ko) 2005-07-13 2005-07-13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570Y1 true KR200397570Y1 (ko) 2005-10-05

Family

ID=4369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395U KR200397570Y1 (ko) 2005-07-13 2005-07-13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5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1680A (zh) * 2014-08-21 2016-10-26 E&Q 温塔曲公司 打磨机的研磨盘置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1680A (zh) * 2014-08-21 2016-10-26 E&Q 温塔曲公司 打磨机的研磨盘置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136B1 (ko) 프리스트레스트 2축 강화재를 구비한 시멘트 몰타르 패널
CA2708104A1 (en) Building block, building structure and the method of bricking wall using the same
ITPD20090335A1 (it) Elemento edilizio modulare per la realizzazione di intercapedini in genere, ad esempio vespai, pavimenti e tetti areati
KR200397570Y1 (ko) 거푸집용 하부 마감재
US6883772B2 (en) Extensions for apertures in panels
KR101590180B1 (ko) 헤드 확장형 리브와 경량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제작 방법
US6821466B2 (en) Extensions for apertures in panels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KR200435772Y1 (ko) 우레탄 문양 거푸집을 가지는 갱폼
JP4680724B2 (ja) 住宅用残存化粧型枠
EP2092133A1 (en) Building block, building structure and the method of bricking wall using the same
US20160230406A1 (en) System of forming with exterior applied finish panels
JPS6014816Y2 (ja) 住宅用簡易基礎構造
KR940001783Y1 (ko) 건물의 셔터박스(Shutter Box)내부 성형틀
JP416925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1679621B1 (ko) 처마 시공용 거푸집
KR101878437B1 (ko) 인버터 타입 맨홀용 성형틀
JP2000254905A (ja) 仕上建材の製造方法
KR200392068Y1 (ko) 건축용 쳄퍼스트립
KR101496429B1 (ko)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23125Y1 (ko) 건축용 챔퍼스트립
KR200379650Y1 (ko) 로프 고정장치
JP2552679Y2 (ja) 構造壁
ITTO20070634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piscine
JPS5817869Y2 (ja) コンクリ−ト目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