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343Y1 - 서랍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서랍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343Y1
KR200397343Y1 KR20-2005-0017273U KR20050017273U KR200397343Y1 KR 200397343 Y1 KR200397343 Y1 KR 200397343Y1 KR 20050017273 U KR20050017273 U KR 20050017273U KR 200397343 Y1 KR200397343 Y1 KR 200397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rawer
locking
key box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일
Original Assignee
김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일 filed Critical 김원일
Priority to KR20-2005-0017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343Y1/ko
Priority to JP2006004644U priority patent/JP3124703U/ja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05B2015/0406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 E05B2015/0413Wound springs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loaded by compression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랍안에 설치되는 간이서랍의 뚜껑을 닫아줄 때 잠금쇠와 잠금편의 접촉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록킹장치를 해제하면 서랍의 뚜껑이 자동으로 어느 정도 열리도록 하여 간이서랍을 여닫기 편리하도록 한 서랍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부측이 개방된 본체가 서랍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본체의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고 그 위에 이 개방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문이 본체의 측벽을 따라 형성된 레일에 롤러를 통해 구름접촉가능하게 덮이며, 본체의 전방에는 키박스가 구비되고, 키박스와 연결된 잠금쇠가 키박스의 일측방으로 인출되며, 개폐문 선단부의 잠금쇠 대응부위에는 잠금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 잠금홀이 형성된 잠금편이 돌출 형성되어 개폐문을 선택적으로 잠가주도록 구성된 간이서랍에 있어서, 잠금편 선단부의 잠금쇠 접촉부위에 잠금쇠와 잠금편이 구름접촉되게 하는 회전접촉구를 설치하고; 개폐문과 키박스의 사이에는 키박스를 작동하여 잠금쇠를 열어줄 때 개폐문을 자동으로 밀어주도록 압축코일스프링이나 동극으로 장착되는 영구자석과 같은 푸싱수단을 개재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서랍 개폐장치{Apparatus to open and close the drawer automatically}
본 고안은 서랍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안에 설치되는 간이서랍의 뚜껑을 닫아줄 때 잠금쇠와 잠금편의 접촉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록킹장치를 해제하면 서랍의 뚜껑이 자동으로 어느 정도 열리도록 하여 간이서랍을 여닫기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서랍의 내부에 설치되는 간이서랍은 중요한 물품, 문서 또는 통장과 같은 개인적이면서도 비밀스러운 것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부측이 개방된 본체가 서랍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본체의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어 그 위에 이 개방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문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덮이며, 본체의 전방에는 키박스가 구비되고 키박스와 연결된 잠금쇠가 키박스의 일측방으로 인출되며, 개폐문의 선단부 잠금쇠 대응부위에는 잠금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 잠금홀이 형성된 잠금편이 돌출 형성되어 개폐문을 선택적으로 잠가주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간이서랍은 잠금편이 잠금쇠에 걸려 개폐문을 잠가줄 때 금속대 금속간 접촉에 의해 마모가 심하게 되어 어느 정도 사용한 후에는 그 잠금위치가 느슨해지게 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개폐문이 키박스를 조작하지 않고도 쉽게 열릴 수 있어 보안성이 떨어지고, 키박스 또는 개폐문을 자주 교체해주어야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개폐문이 잠긴 상태에서 키박스를 열어준 후 개폐문을 밀어주어야만 본체의 개구부가 개방될 수 있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간이서랍이 설치된 서랍을 반 이상 열어주어 서랍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때 간이서랍의 개폐문이 닫히는 방향으로 내려가게 되어 이 역시 사용상 불편함을 유발하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개폐문의 잠금편 선단부 잠금쇠 접촉부위에 잠금쇠와 잠금편이 구름접촉되게 하는 회전접촉구를 설치하여 개폐문의 작동이 보다 부드러우면서 잠금편과 잠금쇠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며, 개폐문의 잠금편위치 반대측에는 돌출편을 형성하고 키박스의 잠금편 또는 돌출편 접촉부위와 잠금편 또는 돌출편의 사이에는 잠금편 또는 돌출편을 밀어줄 수 있는 푸싱수단을 개재하여 키박스를 열어주면 자동으로 개폐문을 어느 정도 열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서랍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간이서랍은 일반적인 서랍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측이 개방된 본체(10)가 서랍(미도시)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본체(10)의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고 그 위에 이 개방부위(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문(20)이 본체(10)의 측벽을 따라 형성된 레일(12)에 롤러(21)를 통해 구름접촉가능하게 덮이며, 본체(10)의 전방에는 키박스(30)가 구비되고, 키박스(30)와 연결된 잠금쇠(31)가 키박스(30)의 일측방으로 인출되며, 개폐문(20) 선단부의 잠금쇠 대응부위에는 잠금쇠(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 잠금홀(23)이 형성된 잠금편(22)이 돌출 형성되어 개폐문(20)을 선택적으로 잠가주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간이서랍에서 잠금편(22) 선단부의 잠금쇠 접촉부위에 잠금쇠(31)와 잠금편(22)이 구름접촉되게 하는 회전접촉구(24)를 설치하고, 개폐문(20)의 잠금편 반대위치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편(25)을 형성하며, 키박스(30)의 양측 잠금편과 돌출편 접촉부위에는 압축코일스프링(32)과 같은 푸싱수단을 각각 장착하여 키박스(30)를 작동하여 잠금쇠(31)를 열어줄 때 개폐문(20)을 자동으로 밀어주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때, 회전접촉구(24)는 베어링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잠금편(22) 선단부 상하에 그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되는 키박스(30)는 일반적인 키박스와 같이 열쇠와 자물쇠로 이루어진 키박스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전자식 도어록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서랍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개폐문(20)을 닫아주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개폐문(20)의 선단부 일측에 형성된 잠금편(22)이 키박스(30) 일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잠금쇠(31)와 접촉되는데, 잠금편(22)의 선단부에는 회전접촉구(2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잠금쇠(31)는 실질적으로 회전접촉구(24)와 접촉된다.
회전접촉구(24)는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잠금쇠(31)와 구름접촉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잠금쇠(31)는 회전접촉구(24)와 접촉되면서 안쪽으로 밀렸다가 그 탄성력에 의해 다시 외측으로 빠져나와 잠금편(22)의 잠금홀(23)에 수용되어 개폐문(20)이 닫히게 된다.
따라서, 잠금편(22)과 잠금쇠(31)의 접촉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지므로 잠금편(22) 또는 잠금쇠(31)의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잠금편(22)과 잠금쇠(31)의 접촉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개폐문(20)의 잠금편(22)과 그 반대측의 돌출편(25)은 개폐문(20)을 닫아줄 때 키박스(30)의 양측 잠금편과 돌출편 접촉부위에 장착된 각 압축코일스프링(32)을 밀어주어 압축코일스프링(32)이 탄성력을 내재한 상태로 압축되어 있으므로 개폐문(20)을 열어주기 위해 키박스(30)를 조작하여 잠금쇠(31)가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개폐문(20)이 자유상태가 될 때 압축코일스프링(32)이 원래의 상태로 탄력적으로 복귀되면서 잠금편(22)과 돌출편(25)이 탄발되어 개폐문(20)이 키박스(30)로부터 3∼5㎝정도 열리게 된다. 즉, 키박스(30)를 조작하여 잠금쇠(31)만 안쪽으로 당겨주기만 하면 별도의 조작없이도 개폐문(20)이 어느 정도는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개폐문(20)의 전면 중앙 양측에 영구자석(26)이 각각 장착되고, 키박스(30)의 개폐문(20)측 영구자석(26) 대응위치에는 개폐문(20)측 영구자석(26)과는 동극으로 다른 영구자석(33)이 각각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개폐문(20)을 닫아줄 때 각 영구자석(26)(33)이 서로 척력을 내재한 상태로 접촉되며, 따라서 잠금쇠(31)를 당겨주어 개폐문(20)이 자유상태가 되게 하면 별도의 조작없이도 각 영구자석(26)(31) 사이의 척력에 의해 개폐문(20)이 어느 정도는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개방부위(11) 후위측에는 철재 접착편(13)이 하방향으로 절곡 구성되어 개폐문(20)을 활짝 열어주면 개폐문(20) 선단부가 철재 접착편(13)에 의해 걸려 스토핑되면서 개폐문(20)측 영구자석(26)의 후면이 철재 접착편(13)에 부착됨으로써 개폐문(20)을 열린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되면 본 고안에 따른 간이서랍이 설치되는 서랍 본체가 1/2이상 열려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간이서랍의 개폐문(20)이 닫히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열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개폐문을 닫아줄 때 잠금편과 잠금쇠가 구름접촉하게 되므로 그 접촉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되어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은 물론 각 부재의 접촉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키박스를 조작하면 개폐문이 자동으로 어느정도는 열리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개폐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어 이러한 간이서랍이 설치된 서랍 본체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더라도 간이서랍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서랍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서랍 개폐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서랍 개폐장치의 서랍측 구성도.
도 4는 도 3과 같이 구성하였을 경우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개방부위 12 : 레일
13 : 철재 접착편 20 : 개폐문 21 : 롤러
22 : 잠금편 23 : 잠금홀 24 : 회전접촉구
25 : 돌출편 26,33 : 영구자석 30 : 키박스
31 : 잠금쇠 32 : 압축코일스프링

Claims (4)

  1. 하부측이 개방된 본체(10)가 서랍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고 그 위에 이 개방부위(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문(20)이 상기 본체(10)의 측벽을 따라 형성된 레일(12)에 롤러(21)를 통해 구름접촉가능하게 덮이며,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키박스(30)가 구비되고, 상기 키박스(30)와 연결된 잠금쇠(31)가 상기 키박스(30)의 일측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개폐문(20) 선단부의 잠금쇠 대응부위에는 상기 잠금쇠(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 잠금홀(23)이 형성된 잠금편(2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문(20)을 선택적으로 잠가주도록 구성된 간이서랍에 있어서,
    상기 잠금편(22) 선단부의 잠금쇠 접촉부위에 상기 잠금쇠(31)와 상기 잠금편(22)이 구름접촉되게 하는 회전접촉구(24)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문(20)과 상기 키박스(30)의 사이에는 상기 키박스(30)를 작동하여 상기 잠금쇠(31)를 열어줄 때 상기 개폐문(20)을 자동으로 밀어주도록 푸싱수단을 개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20)의 잠금편 반대위치에 전방을 향해 돌출편(25)을 형성하고, 상기 키박스(30)의 양측 잠금편과 돌출편 접촉부위에는 압축코일스프링(32)로 된 푸싱수단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개폐문(20)의 전면 중앙에 장착된 영구자석(26)과, 상기 키박스(30)의 개폐문(20)측 영구자석(26) 대응위치에 상기 개폐문(20)측 영구자석(26)과는 동극으로 장착된 다른 영구자석(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개방부위(11) 후위측에는 철재 접착편(13)이 하방향으로 절곡 구성되어 상기 개폐문(20)측 영구자석(26)이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개폐장치.
KR20-2005-0017273U 2005-06-16 2005-06-16 서랍 개폐장치 KR200397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273U KR200397343Y1 (ko) 2005-06-16 2005-06-16 서랍 개폐장치
JP2006004644U JP3124703U (ja) 2005-06-16 2006-06-14 簡易貴重品保管ボック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273U KR200397343Y1 (ko) 2005-06-16 2005-06-16 서랍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343Y1 true KR200397343Y1 (ko) 2005-10-04

Family

ID=4369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273U KR200397343Y1 (ko) 2005-06-16 2005-06-16 서랍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3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5842A1 (en) Magnetic latch assembly
US7708357B2 (en) Automatic locking apparatus used in guide rail for drawer
EP1146196A3 (en) A safety gate
US11384570B2 (en) Lockset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2318075B1 (ko) 가구용 디지털 도어록
US1062594A (en) Lock.
KR200397343Y1 (ko) 서랍 개폐장치
KR101443723B1 (ko) 슬라이딩식 도어를 가지는 냉장고
JP5462132B2 (ja) 建具
EP1083070A3 (en) Sliding door locking device for vehicle
KR101857202B1 (ko) 가구용 손잡이
JP3987996B2 (ja) 引き戸のローラーラッチ機構
KR20090080755A (ko)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용홈바
KR200424013Y1 (ko) 도어 록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101958223B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KR101283100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유닛
KR200454866Y1 (ko) 도어 핸들
KR200431447Y1 (ko) 자석식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해제구조
KR100809810B1 (ko) 도어 록
KR200362804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0481499Y1 (ko)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
KR100923712B1 (ko) 사무용 장식장 잠금장치
KR100630464B1 (ko)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