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045Y1 -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045Y1
KR200397045Y1 KR20-2005-0020977U KR20050020977U KR200397045Y1 KR 200397045 Y1 KR200397045 Y1 KR 200397045Y1 KR 20050020977 U KR20050020977 U KR 20050020977U KR 200397045 Y1 KR200397045 Y1 KR 200397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fiber tape
resin pipe
long fib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철기
강상목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0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0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29C63/06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around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26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an edge face with strip material, e.g. a panel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80Rotatable transfer mean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i.e. turre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6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e.g. transversely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using a X-Y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섬유테이프 및 융착수지를 합성수지관에 결합시킴으로써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을 얻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합성수지관의 측면에서 합성수지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이동지지대를 가지는 리니어이동부; 상기 리니어이동부를 합성수지관의 직경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 장섬유테이프가 합성수지관에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열풍을 공급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이동지지대에 설치되는 열풍기; 합성수지관에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는 장섬유테이프공급부; 합성수지관에 감겨진 장섬유테이프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의 이동지지대에 설치되는 융착수지도포부;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를 합성수지관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의 이동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는 압착롤러; 및 상기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an apparatus for enhancing intensity of resin 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의 강도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은 내부식성이 강하고 가공 및 시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금속성 배관 및 콘크리트 배관을 급속도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주로 수도용 배관, 가스용 배관, 하수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중 수도용 및 가스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원료로 하여 리지드 관(Rigid Pipe)의 형태로 제조된다. 즉, 수지를 공급하고 이를 용융시켜 성형부에 공급하기 위한 압출공정, 공급된 용용수지를 의도하는 직경과 두께를 가진 관 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한 성형공정, 냉각수나 대기와의 접촉을 통하여 성형된 합성수지관을 고형화 및 안정화시키는 냉각성형공정 및 인취·절단공정을 거쳐 제조되어 진다.
반면, 하수용으로 사용되어지는 합성수지관은 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을 원료로 하여 이중벽 관의 형태로 제조된다 즉,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소형관을 먼저 압출성형하여 제조하고, 이러한 소형관을 드럼에 감아돌리고, 감겨진 소형관 사이사이에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합성수지관은 앞서 언급한 장점으로 인하여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강도와 비용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합성수지관은 금속성 배관에 비하여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고자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에는 그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관련 기술업계의 요구를 반영하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의 충격 및 내부의 고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기 위한 강도보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는 합성수지관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합성수지관의 측면에서 합성수지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이동지지대를 가지는 리니어이동부; 상기 리니어이동부를 합성수지관의 직경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 장섬유테이프가 합성수지관에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열풍을 공급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이동지지대에 설치되는 열풍기; 합성수지관에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는 장섬유테이프공급부; 합성수지관에 감겨진 장섬유테이프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의 이동지지대에 설치되는 융착수지도포부;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를 합성수지관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의 이동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는 압착롤러; 및 상기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회전구동부는 상기 합성수지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2테이퍼와, 상기 제1테이퍼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제2테이퍼를 합성수지관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하는 테이퍼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니어이동부는 양측단에서 돌출된 측부브라켓을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양 측부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지지대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이동지지대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장섬유테이프공급부는 장섬유테이프가 감겨져 있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롤러부와 상기 장섬유테이프를 가열하여 표면을 용융시키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융착수지도포부는, 상기 이동지지대에 고정되는 수지공급라인과, 상기 수지공급라인으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공급부와, 상기 수지공급라인에 장착되며 합성수지관에 권회되는 장섬유테이프를 수지로 도포할 수 있도록 수지를 분출하는 수지공급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장섬유테이프공급부 중 히터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수지공급노즐과 수지공급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중 장섬유테이프가 경유되도록 구성된 수지공급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에 의하여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는 합성수지관(P)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10); 합성수지관(P)의 측면에서 합성수지관(P)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이동지지대(21)를 가지는 리니어이동부(20); 상기 리니어이동부(20)를 합성수지관(P)의 직경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70); 장섬유테이프가 합성수지관(P)에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열풍을 공급하여 합성수지관(P)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이동지지대(21)에 설치되는 열풍기(40); 합성수지관에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지지대(21)에 연결 설치되는 장섬유테이프공급부(30); 합성수지관(P)에 감겨진 장섬유테이프(T)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의 이동지지대(21)에 설치되는 융착수지도포부(50);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T)를 합성수지관(P)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의 이동지지대(21)에 연결 설치되는 압착롤러(60); 및 상기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장섬유테이프에는 유리섬유, 아리미드섬유 또는 폴리에스터 섬유, 나일론섬유 등이 보강재로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관과 동일한 재료에 상기의 보강재를 함침시켜 제조한 장섬유테이프가 사용되어 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에 상기의 보강재를 함침시켜 제조한 장섬유테이프가 활용되어 진다
상기의 회전구동부(10)는 합성수지관(P)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2테이퍼(11)(12)와, 제1테이퍼(11)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3)와, 제2테이퍼(12)를 합성수지관(P)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하는 테이퍼이동부(14), 예를 들면 공지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터(13)의 회전구동력은 모터(13)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풀리(13a)와, 테이퍼(11)의 회전축에 연결된 제2풀리(13b)와, 제1풀리(13a)와 제2풀리(13b)를 연결하는 벨트(13c)에 의하여, 제1테이퍼(11)로 전달되어 결국 제1테이퍼(11)는 회전구동 된다. 또한 제1,2풀리를 제1,2스프로킷으로 대체하고, 벨트를 제1,2스프로킷에 걸어지는 체인으로 대체하더라도 모터의 회전구동력을 제1테이퍼(11)로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테이퍼이동부(14)는 제2테이퍼(1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지지하여야 하므로, 제2테이퍼(12)의 축에 제1걸림부(12a)를 마련하고, 테이퍼이동부(14)의 축에 제1걸림부(12a)에 걸어지는 제2걸림부(14a)를 마련한다. 그리고, 제2걸림부(14a) 내부에 제1걸림부(12a)의 단부와 밀착되는 베어링(14b)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합성수지관(P)을 제1,2테이퍼(11)(12)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테이퍼이동부(14)에 의하여 제2테이퍼(12)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제1,2테이퍼(11)(12) 사이에 합성수지관(P)을 위치시키고, 다시 제2테이퍼(12)를 전진시켜 합성수지관(P)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합성수지관(P)을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13)를 구동하여 제1테이퍼(11)를 회전시킨다.
상기의 리니어이동부(20)는 이동지지대(21)를 합성수지관(P)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양측단에서 돌출된 측부브라켓(22a)(22b)을 가지는 지지부(22)와, 양 측부브라켓(22a)(22b)에 설치되며 이동지지대(21)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23)과, 이동지지대(21)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24)와, 스크류(24)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열풍기(40)는 장섬유테이프(T)가 감겨지는 합성수지관(P) 부위에 열풍을 가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열풍기(40)는 그 내부에 히터(미도시)가 설치된 구조를 하며, 장섬유테이프(T)가 감겨지기 직전의 합성수지관(P)을 향하여 열풍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41)를 가진다.
상기의 장섬유테이프공급부(30)는 장섬유테이프(T)가 감겨져 있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롤러부(32)와 상기 장섬유테이프(T)를 가열하여 표면을 용융시키기 위한 히터(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융착수지도포부(50)는, 이동지지대(21)에 고정되는 수지공급라인(51)과, 수지공급라인(51)으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공급부(53)와, 수지공급라인(51)에 장착되어 합성수지관(P)에 권회되는 장섬유테이프(T)를 수지로 도포할 수 있도록 수지를 분출하는 수지공급노즐(52)을 포함한다. 수지공급부(53)는 용융된 수지를 수지공급라인(51)으로 압송하고, 압송된 수지는 수지공급노즐(52)을 경유하여 합성수지관(P)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T)로 분출된다.
한편, 상기의 수지공급노즐(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공급라인(51)에 대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단부에 노즐구멍(52a)이 형성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수지공급노즐(52)이 수지공급라인(51)에 대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수지공급노즐(52)과 수지공급라인(51)의 결합 부분을 볼트(52b) 및 너트(51b) 구조로 하거나, 이와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지공급노즐(52)이 수지공급라인(51)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수지공급노즐(52)에서 분출되는 수지가 합성수지관(P)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T)에 상에 도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의 수지공급노즐(52)은 장섬유테이프(T)와 근접하여 있어야 하는데, 합성수지관(P)의 직경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장섬유테이프(T)와 수지공급노즐(52) 간에 간격이 벌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탈부착이 가능한 수지공급노즐(52)을 채용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합성수지관(P)의 강도를 보강할 경우에, 그 합성수지관(P)에 권회되는 장섬유테이프(T)에 수지를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압착롤러(60)는,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를 합성수지관(P)에 압착함으로써,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가 합성수지관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압착롤러(60)는 이동지지대(21)에 설치되는 롤러승강부(61)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롤러승강부(61)는 압착롤러(60)가 합성수지관(P)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압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승강유니트를 채용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합성수지관(P)의 강도를 보강하고자 할 경우에도, 압착롤러(60)가 권회되는 장섬유테이프(T)를 합성수지관(P) 표면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롤러승강부(61)는 압착롤러(60)를 합성수지관(P)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나, 모터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어나,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장섬유테이프공급부(30), 열풍기(40), 융착수지도포부(50) 및 압착롤러(60)를 유기적으로 지지하는 상기의 리니어이동부(20)는 승강구동부(70)에 의하여 지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니어이동부의 이동지지대(21)를 합성수지관(P) 측으로 접근시키거나 멀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강도를 보강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P)의 직경이 변하는 경우에도 장섬유테이프공급부(30), 열풍기(40), 융착수지도포부(50) 및 압착롤러(60)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직경의 합성수지관(P)도 효과적으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구동부(70)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나. 모터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어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관(P)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T)에 수지공급노즐(52)을 이용하여 수지를 도포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공급노즐(52')의 측부에 테이프구멍(52b')을 형성하여, 이 테이프구멍(52b') 및 노즐구멍(52a')을 통하여 장섬유테이프(T)가 경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장섬유테이프(T)는 수지의 열에 의하여 가열되기 때문에, 히터(31)와 같은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합성수지관(P)을 제1,2테이퍼(11)(1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테이퍼이동부(14)에 의하여 제2테이퍼(12)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제1,2테이퍼(11)(12) 사이에 합성수지관(P)을 위치시키고, 다시 제2테이퍼(12)를 전진시켜 합성수지관(P)을 고정시킨다. 이후, 모터(13)를 구동하여 제1테이퍼(11)를 회전시킴으로써 합성수지관(P)을 서서히 회전시킨다.
한편, 리니어이동부(20)의 스크류모터(25)를 회전시키면, 스크류(24)에 의하여 이동지지대(21)가 가이드레일(23)을 따라 전후 이동된다. 그러면, 이동지지대(21)에 설치된 장섬유테이프공급부(30), 열풍기(40), 수지공급노즐(52) 및 압착롤러(60)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열풍기(40)가 장섬유테이프가 권회되는 합성수지관 부분에 열풍을 가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열풍의 온도는 180~25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장섬유테이프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히터(31)를 통과하여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T)가 합성수지관(P)에 감기게 된다.
그 후, 이동지지대(21)와 함께 움직이는 수지공급노즐(52)을 통하여 합성수지관(P)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T) 상에 수지가 도포되게 된다.
다음으로, 이동지지대(21)와 함께 움직이는 압착롤러(60)를 이용하여,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T)를 합성수지관(P)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P)의 표면에 장섬유테이프(T)가 권회되어 구현된 장섬유테이프층(P1)과, 권회된 장섬유테이프층(P1) 상에 도포된 융착수지층(P2)이 형성된다. 즉, 열풍에 의하여 표면이 활성화 된 합성수지관(P)에 장섬유테이프(T)가 감겨지고, 또한 장섬유테이프(T) 상에 수지가 도포되며, 압착롤러에 의하여 이들이 밀착되어 굳어짐으로써 합성수지관(P)에 별도의 장섬유테이프층(P1) 및 융착수지층(P2)이 형성되어,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P)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에 의하면, 외부의 충격은 물론 내부의 고압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장섬유테이프공급부 중 히터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수지공급노즐과 수지공급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중 장섬유테이프가 경유되도록 구성된 수지공급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에 의하여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회전구동부 11, 12 ... 제1,2테이퍼
12a ... 제1걸림부 13 ... 모터
13a ... 제1풀리 13b ... 제2풀리
13c ... 벨트 14 ... 테이퍼이동부
14a ... 제2걸림부 14b ... 베어링
20 ... 리니어이동부 21 ... 이동지지대
22 ... 지지부 22a, 2b ... 측부브라켓
23 ... 가이드레일 24 ... 스크류
25 ... 스크류모터 30 ... 장섬유테이프공급부
31 ... 히터 32... 롤러부
40 ... 열풍기 41 ... 토출부
50 ... 융착수지도포부 51 ... 수지공급라인
52, 52‘ ... 수지공급노즐 52a, 52a' ... 노즐구멍
52b' ... 테이프구멍 53 ... 수지공급부
60 ... 압착롤러 70 ... 승강구동부
T .. 장섬유테이프 P ... 합성수지관
P1 ... 장섬유테이프층 P2 ... 융착수지층

Claims (6)

  1. 합성수지관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상기 합성수지관의 측면에서 합성수지관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되는 이동지지대를 가지는 리니어이동부;
    상기 리니어이동부를 합성수지관의 직경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
    장섬유테이프가 합성수지관에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열풍을 공급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의 이동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는 열풍기;
    합성수지관에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써, 장섬유테이프가 감겨져 있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롤러부와 장섬유테이프를 가열하여 표면을 용융시키기 위한 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는 장섬유테이프공급부;
    합성수지관에 감겨진 장섬유테이프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의 이동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는 융착수지도포부;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를 합성수지관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의 이동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는 압착롤러; 및
    상기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강도보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구동부는 합성수지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2테이퍼와, 상기 제1테이퍼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제2테이퍼를 합성수지관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하는 테이퍼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리니어이동부는 양측단에서 돌출된 측부브라켓을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의 양 측부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의 이동지지대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의 이동지지대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융착수지도포부는 상기 이동지지대에 고정되는 수지공급라인과, 상기 수지공급라인으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공급부와, 상기 수지공급라인에 장착되어 상기 합성수지관(P)에 권회되는 상기 장섬유테이프(T)를 수지로 도포할 수 있도록 수지를 분출하는 수지공급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지공급노즐은 상기 수지공급라인에 대하여 탈부착이 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노즐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공급노즐은 그 일측에 상기 노즐구멍과 연통되는 테이프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장섬유테이프가 상기 테이프구멍 및 상기 노즐구멍을 경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KR20-2005-0020977U 2005-07-19 2005-07-19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KR200397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977U KR200397045Y1 (ko) 2005-07-19 2005-07-19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977U KR200397045Y1 (ko) 2005-07-19 2005-07-19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170A Division KR100665651B1 (ko) 2005-07-19 2005-07-19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045Y1 true KR200397045Y1 (ko) 2005-09-28

Family

ID=4369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977U KR200397045Y1 (ko) 2005-07-19 2005-07-19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0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9220B (zh) 用于纤维增强的添加制造的装置
CA2463218C (en) Sprayed in place pipe l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4010054A (en) Thermoplastic filament winding process
EP029102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like plastic composite body
US20180065320A1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having shutter machanism
US20180229429A1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discharging coated continuous composites
US6773773B2 (en) Reinforced thermoplastic pipe manufacture
US101245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roduct from plural components
AU6208799A (en) Hollow solid generated by rotati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09676953B (zh) 玻璃纤维管道生产装置
JP2009184355A (ja) 複合材からなる積層体の製造において粒状不活性材料と樹脂バインダとを混合する装置
CN113172906B (zh) 一种压敏型连续纤维增强树脂预浸带的制备方法和设备
KR100665650B1 (ko)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강도보강방법
KR200397045Y1 (ko)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US3979250A (en) Apparatu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resin tubes
KR100665651B1 (ko)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CN115419272A (zh) 利用圆直钢纤维的水泥基材料3d打印装置及打印方法
US5256230A (en) Winding of resin impregnated fibers using a heated guide
US4302261A (en) Reinforced tubular articles
KR200399490Y1 (ko)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및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KR102443178B1 (ko) 가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접합 로봇
CN108381949A (zh) 凝胶复合材料的制备系统及制备方法
JP2006508821A (ja) 回転体(bodyofrevolution)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製造された製品
DK162151B (da) Fremgangsmaade og anlaeg til fremstilling af fiberforstaerkede hule plastprofiler
CA2465302C (en) Reinforced thermoplastic pipe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