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650B1 -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강도보강방법 - Google Patents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강도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650B1
KR100665650B1 KR1020050065166A KR20050065166A KR100665650B1 KR 100665650 B1 KR100665650 B1 KR 100665650B1 KR 1020050065166 A KR1020050065166 A KR 1020050065166A KR 20050065166 A KR20050065166 A KR 20050065166A KR 100665650 B1 KR100665650 B1 KR 10066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fiber tape
long fiber
resin
res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철기
강상목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 강도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은,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장섬유테이프가 권회되어 구현된 장섬유테이프층과, 권회된 장섬유테이프층 상에 도포되어 구현된 융착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는 합성수지관을 생산하기 위한 압출성형 라인 상에 설치되어,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을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수지관이 관통되는 고정하우징; 상기 고정하우징 상에서 회전되는 회전하우징; 상기 회전하우징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장섬유테이프가 합성수지관에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열풍을 공급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풍기; 합성수지관에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하우징에 연결 설치되는 장섬유테이프공급부; 합성수지관에 감겨진 장섬유테이프 상에 수지를 공급하고 도포하기 위한 융착수지도포부;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를 합성수지관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하우징에 연결 설치되는 압착롤러; 및 상기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강도보강방법, 장섬유테이프

Description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 강도보강방법{a resin pipe enhanced intensity,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장섬유테이프공급부 중 히터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수지공급노즐과 수지공급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중 장섬유테이프가 경유되도록 구성된 수지공급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T ... 장섬유테이프 P ... 합성수지관
P1 ... 장섬유테이프층 P2 ... 융착수지층
10 ... 고정하우징 20 ... 회전하우징
21 ... 베어링 30 ... 회전구동부
31 ... 제1풀리 32 ... 제2풀리
33 ... 벨트 40 ... 장섬유테이프공급부
41 ... 히터 42... 롤러부
50 ... 열풍기 51 ... 토출부
60 ... 융착수지도포부 61 .. 수지공급라인
61a ... 제2유로 62, 62' ... 수지공급노즐
62a, 62a' ... 노즐구멍 62b' ... 테이프구멍
63 ... 수지공급부 63a ... 제1유로
70 ... 압착롤러 71 ... 롤러승강부
본 발명은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 강도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은 내부식성이 강하고 가공 및 시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금속성 배관 및 콘크리트 배관을 급속도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주로 수도용 배관, 가스용 배관, 하수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중 수도용 및 가스용 배관 등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주로 폴리에틸렌 (Poly-Ethylene)을 원료로 하여 리지드 관(Rigid Pipe)의 형태로 제조된다. 즉, 수지를 공급하고 이를 용융시켜 성형부에 공급하기 위한 압출공정, 공급된 용용수지를 의도하는 직경과 두께를 가진 관 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한 성형공정, 냉각수나 대기와의 접촉을 통하여 성형된 합성수지관을 고형화 및 안정화시키는 냉각성형공정 및 인취·절단공정을 거쳐 제조되어 진다.
반면, 하수용으로 사용되어지는 합성수지관은 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을 원료로 하여 이중벽 관의 형태로 제조된다 즉,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소형관을 먼저 압출성형하여 제조하고, 이러한 소형관을 드럼에 감아돌리고, 감겨진 소형관 사이사이에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합성수지관은 앞서 언급한 장점으로 인하여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강도와 비용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합성수지관은 금속성 배관에 비하여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고자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에는 그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업계의 요구를 반영하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의 충격 및 내부의 고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 강도보강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은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장섬유테이프가 권회되어 구현된 장섬유테이프층과, 권회된 상기 장섬유테이프층 상에 도포되어 구현된 융착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장섬유테이프에는 유리섬유, 아리미드섬유 또는 폴리에스터 섬유, 나일론섬유 등이 보강재로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관과 동일한 재료에 상기의 보강재를 함침시켜 제조한 장섬유테이프가 사용되어 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에 상기의 보강재를 함침시켜 제조한 장섬유테이프가 활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는 합성수지관을 생산하기 위한 압출성형 라인 상에 설치되어,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을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합성수지관이 관통되는 고정하우징; 상기 고정하우징 상에서 회전되는 회전하우징; 상기 회전하우징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장섬유테이프가 합성수지관에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열풍을 공급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풍기; 합성수지관에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하우징에 연결 설치되는 장섬유테이프공급부; 합성수지관에 감겨진 장섬유테이프 상에 수지를 공급하고 도포하기 위한 융착수지도포부;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를 합성수지관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하우징에 연결 설치되는 압착롤러; 및 상기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장섬유테이프공급부는 장섬유테이프가 감겨져 있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롤러부와 상기 장섬유테이프를 가열하여 표면을 용융시키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융착수지도포부는 상기 회전하우징에 고정되는 수지공급라인과 상기 수지공급라인으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공급부와 상기 수지공급라인에 장착되어 상기 합성수지관에 권회되는 장섬유테이프 상으로 수지로 도포할 수 있도록 수지를 분출하는 수지공급노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지공급노즐은 상기 수지공급라인에 대하여 탈부착이 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노즐구멍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지공급노즐은 그 일 측에 상기 노즐구멍과 연통되는 테이프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장섬유테이프가 상기 테이프구멍 및 상기 노즐구멍을 경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압착롤러는 상기 회전하우징에 설치되며, 압착롤러를 상기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압력을 인가하는 롤러승강부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방법은 장섬유테이프가 권회되는 합성수지관 부분에 열풍을 가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히터를 통과하여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를 상기 합성수지관에 권회시키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관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 상에 수지 를 도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를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수지관에 기밀하게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열풍의 온도는 180~25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은 합성수지관(P)의 표면에 장섬유테이프(T)가 권회되어 구현된 장섬유테이프층(P1)과, 권회된 장섬유테이프층(P1) 상에 도포된 융착수지층(P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의 장섬유테이프에는 유리섬유, 아리미드섬유 또는 폴리에스터 섬유, 나일론섬유 등이 보강재로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관과 동일한 재료에 상기의 보강재를 함침시켜 제조한 장섬유테이프가 사용되어 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에 상기의 보강재를 함침시켜 제조한 장섬유테이프가 활용되어 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의 장섬유테이프공급부 중 히터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 보강장치의 수지공급노즐과 수지공급관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중 장섬유테이프가 경유되도록 구성된 수지공급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는 합성수지관을 생산하기 위한 압출성형 라인 상에 설치되어,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강도보강장치는 종래의 합성수지관 생산라인 중에서 냉각성형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C) 사이, 또는 그 전·후에 설치된다.
이러한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는 합성수지관(P)이 관통되는 고정하우징(10); 상기 고정하우징(10) 상에서 회전되는 회전하우징(20); 상기 회전하우징(20)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30); 장섬유테이프(T)가 합성수지관(P)에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열풍을 공급하여 합성수지관(P)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풍기(50); 합성수지관(P)에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T)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하우징(20)에 연결 설치되는 장섬유테이프공급부(40); 합성수지관(P)에 감겨진 장섬유테이프(T) 상에 수지를 공급하고 도포하기 위한 융착수지도포부(60);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T)를 합성수지관(P)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하우징(20)에 연결 설치되는 압착롤러(70); 상기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하우징(20)은, 바닥에 지지되는 고정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하우징(10)과 회전하우징(20) 사이에는 다수개의 베어링(21)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구동부(30)는 회전하우징(20)을 고정하우징(10)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하우징(20)의 모서리 단부에 설치되는 제1풀리(31)와, 모터(M)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풀리(32)와, 제1풀리(31)와 제2풀리(32)를 연결하는 벨트(33)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2풀리 대신에 제1,2스프로킷을 사용하고, 벨트 대신에 제1,2스프로킷에 걸어지는 체인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의 열풍기(50)는 장섬유테이프(T)가 감겨지는 합성수지관(P) 부위에 열풍을 가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열풍기(50)는 그 내부에 히터(미도시)가 설치된 구조를 하며, 장섬유테이프(T)가 감겨지기 직전의 합성수지관(P)을 향하여 열풍이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51)를 가진다.
상기의 장섬유테이프공급부(40)는 장섬유테이프(T)가 감겨져 있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롤러부(42)와 상기 장섬유테이프(T)를 가열하여 표면을 용융시키기 위한 히터(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융착수지도포부(60)는 회전하우징(20)에 고정되는 수지공급라인(61)과, 수지공급라인(61)으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공급부(63)와, 수지공급라인(61)에 장착되어 합성수지관(P)에 권회되는 장섬유테이프(T) 상에 수지를 도포할 수 있도록 수지를 분출하는 수지공급노즐(62)을 가진다.
이때, 고정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유로(63a)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하우징(20)의 내부에는 제2유로(61a)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2유로(63a)(61a)는 회전하우징(20)이 고정하우징(10)에서 회전하더라도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러한 제1유로(63a)는 수지공급부(63)와 연결되고, 제2유로(61a)는 수지공급라인(61)과 연결된다. 수지공급부(63)는 용융된 수지를 제1유로(63a)로 압송하고, 제1유로(63a)의 수지는 제1유로(61a) → 수지공급라인(61) → 수지공급노즐(62)을 경유하여 합성수지관(P)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T) 상으로 분출된다.
한편, 수지공급노즐(6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공급라인(61)에 대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그 단부에 노즐구멍(62a)이 형성되게 구성되어 질 수도 있다. 수지공급노즐(62)이 수지공급라인(61)에 대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62b) 및 너트(61b)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 할 수 있다.
수지공급노즐(62)에서 분출되는 수지는 합성수지관(P)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T)에 도포되어야 하므로, 수지공급노즐(62)은 장섬유테이프(T)에 근접되어야 한다. 그런데, 합성수지관(P)의 직경이 크거나 작을 경우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T)와 수지공급노즐(62) 사이의 간격이 크거나 작아지므로, 수지공급노즐(62)과 권회된 장섬유테이프(T)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탈부착이 가능한 수지공급노즐(62)을 채용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합성수지관(P)의 강도를 보강할 경우에, 그 합성수지관(P)에 권회되는 장섬유테이프(T) 상에 수지를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압착롤러(70)는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를 합성수지관(P)에 압착함으로써,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가 합성수지관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압착롤러(70)는 회전하우징(20)에 설치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롤러승강부(71)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롤러승강부(71)는 압착롤러(70)가 합성수지관(P)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압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승강 유니트를 채용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합성수지관(P)의 강도를 보강하는 경우에도, 압착롤러(70)는 권회되는 장섬유테이프(T)를 합성수지관(P) 표면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롤러승강부(71)는 압착롤러(70)를 합성수지관(P)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모터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어 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관(P)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T)에 수지공급노즐(62)을 이용하여 수지를 도포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공급노즐(62')의 측부에 테이프구멍(62b')을 형성하여, 이 테이프구멍(62b') 및 노즐구멍(62a')을 통하여 장섬유테이프(T)가 경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장섬유테이프(T)는 수지의 열에 의하여 가열되기 때문에, 히터(41)와 같은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강도보강방법을 설명한다.
합성수지관 압출라인을 통하여 전방으로 성형압출되어지는 합성수지관(P)이 고정하우징(10)을 서서히 관통하는 상태에서, 회전구동부(30)가 회전하우징(20)을 고정하우징(10)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하우징(20)에 설치된 장섬유테이프공급부(40), 열풍기(50), 수지공급노즐(62) 및 압착롤러(70)가 함께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하우징(20)과 함께 회전되는 열풍기(50)가 장섬유테이프가 권회되는 합성수지관 부분에 열풍을 가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1)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풍의 온도는 180~25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회전하우징(20)과 함께 회전되는 장섬유테이프공급부(40)에서 공급되는 히터(41)를 통과하여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T)가 합성수지관(P)에 권회되는 단계(S2)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회전하우징(20)과 함께 회전되는 수지공급노즐(62)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P)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T) 상에 수지를 도포시키는 단계(S3)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회전하우징(20)과 함께 회전되는 압착롤러(70)를 이용하여,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T)를 합성수지관(P)에 기밀하게 밀착시키는 단계(S4)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열풍에 의하여 표면이 활성화 된 합성수지관(P)에 장섬유테이프(T)가 감겨지고, 또한 장섬유테이프(T) 상에 수지가 도포되며, 압착롤러에 의하여 이들이 밀착되어 굳어짐으로써 합성수지관(P)에 별도의 장섬유테이프층(P1) 및 융착수지층(P2)이 형성되어,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P)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 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 강도보강방법에 의하면, 외부의 충격은 물론 내부의 고압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 강도보강방법은 기존의 합성수지관 제조라인 상에 배치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장섬유테이프가 권회되어 구현된 장섬유테이프층과, 권회된 상기 장섬유테이프층 상에 도포되어 구현된 융착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장섬유테이프는 유리섬유, 아리미드섬유, 폴리에스터섬유, 나일론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폴리에틸렌에 함침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3. 합성수지관(P)이 관통되는 고정하우징;
    상기 고정하우징에서 회전되는 회전하우징;
    상기 회전하우징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장섬유테이프가 상기 합성수지관에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회전하우징에 연결 설치되는 열풍기;
    상기 합성수지관에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써, 장섬유테이프가 감겨져 있고,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롤러부와 상기 장섬유테이프를 가열하여 표면을 용융시키기 위한 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하우징에 연결 설치되는 장섬유테이프공급부;
    상기 합성수지관에 감겨진 장섬유테이프 상으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융착수지도포부;
    상기 회전하우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를 합성수지관에 기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하우징에 연결 설치되는 압착롤러;
    상기 각각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융착수지도포부는 상기의 회전하우징에 고정되는 수지공급라인과 상기 수지공급라인으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공급부와 상기 수지공급라인에 장착되어 상기 합성수지관에 권회되는 장섬유테이프 상으로 수지로 도포할 수 있도록 수지를 분출하는 수지공급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지공급노즐은 상기 수지공급라인에 대하여 탈부착이 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노즐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지공급노즐은
    그 일측에 상기 노즐구멍과 연통되는 테이프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장섬유테이프가 상기 테이프구멍 및 상기 노즐구멍을 경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압착롤러는, 상기의 회전하우징에 설치되며, 합성수지관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압력을 인가하는 롤러승강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8. 합성수지관에 열풍을 가하여 합성수지관의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1);
    히터를 통과하여 표면이 용융된 장섬유테이프를 상기 합성수지관에 권회시키는 단계(S2);
    상기 합성수지관에 권회된 장섬유테이프 상에 수지를 도포시키는 단계(S3);
    상기 수지가 도포된 장섬유테이프를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합성수지관에 기밀하게 밀착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강도보강방법.
KR1020050065166A 2005-07-19 2005-07-19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강도보강방법 KR10066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166A KR100665650B1 (ko) 2005-07-19 2005-07-19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강도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166A KR100665650B1 (ko) 2005-07-19 2005-07-19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강도보강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975U Division KR200399490Y1 (ko) 2005-07-19 2005-07-19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및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650B1 true KR100665650B1 (ko) 2007-01-09

Family

ID=3786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166A KR100665650B1 (ko) 2005-07-19 2005-07-19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강도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6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607B1 (ko) * 2011-06-10 2011-12-19 (주)명성화학 분류표시용 이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095610B1 (ko) * 2011-06-10 2011-12-19 (주)명성화학 분류표시용 삼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20200045885A (ko) * 2018-10-23 2020-05-06 김병옥 건축용 압출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0042U (ko) * 1986-11-03 1988-07-25 김용택 합성수지제 나사선 권회 주름관
JPH06226813A (ja) * 1993-02-02 1994-08-16 Toyotsukusu:Kk 補強材を設けたホース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H0942545A (ja) * 1995-07-28 1997-02-14 Kuraray Plast Kk 可撓性ホース
KR20010002098A (ko) * 1999-06-11 2001-01-05 윤임규 굴절배관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0042U (ko) * 1986-11-03 1988-07-25 김용택 합성수지제 나사선 권회 주름관
JPH06226813A (ja) * 1993-02-02 1994-08-16 Toyotsukusu:Kk 補強材を設けたホース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H0942545A (ja) * 1995-07-28 1997-02-14 Kuraray Plast Kk 可撓性ホース
KR20010002098A (ko) * 1999-06-11 2001-01-05 윤임규 굴절배관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607B1 (ko) * 2011-06-10 2011-12-19 (주)명성화학 분류표시용 이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095610B1 (ko) * 2011-06-10 2011-12-19 (주)명성화학 분류표시용 삼중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20200045885A (ko) * 2018-10-23 2020-05-06 김병옥 건축용 압출관
KR102247286B1 (ko) * 2018-10-23 2021-04-30 김병옥 건축용 압출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65320A1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having shutter machanism
US4010054A (en) Thermoplastic filament winding process
CN103629452B (zh) 一种增强超高分子量聚乙烯管芯与钢丝成型的方法
KR100665650B1 (ko)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및강도보강방법
JP2009184355A (ja) 複合材からなる積層体の製造において粒状不活性材料と樹脂バインダとを混合する装置
CN106979391A (zh) 一种非粘结热塑性复合材料柔性管及其制备工艺
US411354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tubes by helically winding sheets
CN106273388A (zh) Pvc玻璃钢复合管连续缠绕成型装置
CN107775970B (zh) 用于热塑性连续纤维预浸带管材生产的设备及其使用方法
US4302261A (en) Reinforced tubular articles
KR200399490Y1 (ko) 강도가 보강된 합성수지관 및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JP2004000973A (ja) フィラメントにコーティング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205439469U (zh) 一种薄膜纸带复合装置
WO2005065926A1 (ja) コードで補強されたゴムシート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08908886A (zh) 一种内外连续涂覆软管生产工艺
CN105034339A (zh) 一种连续纤维多层缠绕热塑性复合管道的加工方法及设备
KR200397045Y1 (ko)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CN100467258C (zh) 用于动力传送带的橡胶板的制造方法及采用该橡胶板的动力传送带
JP2006508821A (ja) 回転体(bodyofrevolution)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製造された製品
KR100665651B1 (ko) 합성수지관 강도보강장치
JP2008290308A (ja) 繊維強化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強化樹脂製容器製造装置
CN109532199B (zh) 旋转施胶装置
CN205522739U (zh) 一种薄膜与纸自动复合装置
WO1998003326A1 (en) Reinforced produc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WO2011090703A4 (en) Braided hos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