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966Y1 - 천정등 - Google Patents

천정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966Y1
KR200396966Y1 KR20-2005-0019552U KR20050019552U KR200396966Y1 KR 200396966 Y1 KR200396966 Y1 KR 200396966Y1 KR 20050019552 U KR20050019552 U KR 20050019552U KR 200396966 Y1 KR200396966 Y1 KR 200396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lamp
ceiling
outside
lamp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오형
유용열
Original Assignee
문오형
유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오형, 유용열 filed Critical 문오형
Priority to KR20-2005-0019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rigid pendant, i.e. a pipe or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부재에 의해서 천정면에 소켓부가 현수되고 상기 소켓부의 외측으로 조명갓이 구비되는 천정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켓부가 천정면에 현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조명갓을 소켓부로부터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천정등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부재(1)에 의해서 천정면에 수직방향으로 현수되고, 절연체로 된 소켓 몸체(21)의 외측으로 소켓 하우징(22)이 구비되는 소켓부(2)와; 상기 소켓 몸체(21)에 결합되는 조명등(3)의 외부에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장착공(41)이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개방부(42)를 갖는 조명갓(4)과; 상기 소켓부(2)의 외측으로 삽입된 조명갓(4)을 탄성력으로 걸어서 고정하는 착탈부(5);로 구성됨으로써 천정등에 현수된 소켓부에 대한 조명갓의 분리 및 장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천정등의 청소 및 부분 교체 수리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천정등{The height lamp}
본 고안은 연결부재에 의해서 천정면에 소켓부가 현수되고 상기 소켓부의 외측으로 조명갓이 구비되는 천정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켓부가 천정면에 현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조명갓을 소켓부로부터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천정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등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3)이 결합되는 소켓부(2)가 연결부재(1)에 의해서 천정면에 현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소켓부(2)는 하부 개방형의 조명갓(4)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갓(4)은 통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2)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2)의 상부측에 걸쳐지는 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있다.
그러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명갓(4)은 모두 설치후, 소켓부(2)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도 5의 조명갓(4)은 소켓부(2)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므로 분리될 수 없는 것이 당연하고, 도 6의 조명갓(4)은 천정등의 설치전에, 먼저 조명갓(4)을 연결부재(1)에 끼운 후에 상기 연결부재(1)를 천정면에 고정하여 설치하게 되므로 천정면으로부터 연결부재(1)를 분리하지 않는 한, 소켓부(2)로부터 조명갓(4)을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천정등은 소켓부로부터 조명갓을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천정등의 청소 또는 부분적인 교체 수리시 그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결부재에 의해서 천정면에 소켓부가 현수되고 상기 소켓부의 외측으로 조명갓이 구비되는 천정등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가 천정면에 현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소켓부에 대한 조명갓의 착탈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한 바와 같이 소켓부에 대한 조명갓의 착탈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조명갓의 장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결부재에 의해서 천정면에 수직방향으로 현수되고, 절연체로 된 소켓 몸체의 외측으로 소켓 하우징이 구비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 몸체에 결합되는 조명등의 외부에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장착공이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개방부를 갖는 조명갓과; 상기 소켓부의 외측으로 삽입된 조명갓을 탄성력으로 걸어서 고정하는 착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천정등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측에 외측방향으로 절곡부를 갖는 다수의 탄성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재에 의해서 천정면에 수직방향으로 현수되고, 절연체로 된 소켓 몸체의 외측으로 소켓 하우징을 구비하되, 상기 소켓 하우징이 소켓 몸체의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수직봉의 외측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소켓부와; 상기 소켓 몸체에 결합되는 조명등의 외부에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장착공이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개방부를 갖는 조명갓과; 상기 수직봉의 상부측에서 소켓 하우징의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측에 외측방향으로 절곡부를 갖는 다수의 탄성편으로 형성된 착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천정등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천정등과 같이 조명등(3)이 결합되는 소켓부(2)가 연결부재(1)에 의해서 천정면에 수직방향으로 현수되고, 상기 소켓부(2)는 절연체로 된 소켓 몸체(21)와 상기 소켓 몸체(21)의 외측에 구비되는 소켓 하우징(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등(3)의 상부측에는 조명갓(4)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명갓(4)은 중앙부에 장착공(4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하부측으로 개방부(42)를 갖는 하부 개방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2)의 외측에는 조명갓(4)을 소켓부(2)에 걸어 고정하는 착탈부(5)가 구비되고, 상기 착탈부(5)는 소켓부(2)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측에 절곡부(52)가 형성된 다수의 탄성편(5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51)은 최소 개수로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삼바리, 즉 등간격으로 3분할된 다리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와함께, 조명갓(4)의 장착공(41)은 상기 탄성편(51)을 손으로 누르고 있을 때, 탄성편(51)의 절곡부(52)를 통과할 수 있고, 손을 놓으면 원위치로 복귀한 탄성편(51)의 절곡부(5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직경을 만족해야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이 먼저, 조명갓(4)의 장착공(41)을, 연결부재(1)에 의해서 천정면에 고정 설치된 소켓부(2)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 착탈부(5)를 구성하는 소켓부(2)의 외측 탄성편(51)을 손으로 눌러 탄성편(51)의 절곡부(52) 간의 직경을 축소시키게 되고, 이 축소된 탄성편(51)의 절곡부(52)의 외측을 조명갓(4)의 장착공(41)이 통과하도록 계속적으로 상기 조명갓(4)을 소켓부(2)의 상부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그 후, 사용자는 누르고 있던 탄성편(51)으로부터 손을 놓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편(51)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직경이 커져 단부측 절곡부(52)가 조명갓(4)의 장착공(41) 하부 외곽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조명갓(4)은 소켓부(2)의 외측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사용자가 탄성편(51)을 손으로 누르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편(51)의 절곡부(52) 간의 직경이 축소되어 조명갓(4)의 장착공(41)이 탄성편(51)의 절곡부(52)를 통과하여 하부측으로 빠져 나오게 됨으로써 소켓부(2)에 대한 조명갓(4)의 분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명등(3a)이 결합되는 소켓부(2)가 연결부재(1)에 의해서 천정면에 수직방향으로 현수되고, 상기 소켓부(2)는 절연체로 된 소켓 몸체(21)와 상기 소켓 몸체(21)의 외측에 구비되는 소켓 하우징(22)으로 구성된다.
다만, 여기서 차이점은 상기 소켓 몸체(21)의 상부측에 중공의 수직봉(23)이 연장 형성되고, 소켓 하우징(22)이 상기 수직봉(23)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는 주로 작은 조명등(3a)이 결합되는 소켓부(2)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등(3a)의 상부측에는 중앙부에 장착공(41)이 형성되고 하부측에 개방부(42)를 갖는 하부 개방형의 조명갓(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2)의 외측에는 조명갓(4)을 소켓부(2)에 걸어 고정하는 착탈부(5)가 구비되고, 상기 착탈부(5)는 수직봉(23)의 상부측에서 소켓부(2)의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측에 절곡부(52)가 형성된 다수의 탄성편(5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5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마찬 가지로 최소 개수로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삼바리, 즉 등간격으로 3분할된 다리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와함께, 조명갓(4)의 장착공(41)은 상기 탄성편(51)을 손으로 누르고 있을 때, 탄성편(51)의 절곡부(52)를 통과할 수 있고, 손을 놓으면 원위치로 복귀한 탄성편(51)의 절곡부(5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직경을 만족해야만 된다.
여기서,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소켓 하우징(22)이 수직봉(23)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과, 이 구성에 의해서 상기 소켓 하우징(22)이 수직봉(23)의 상부측에 위치했을 때에는 손의 누름에 의한 탄성편(51)의 변위가 크게 나타나고, 수직봉(23)의 하부측에 소켓 하우징(22)이 위치한 경우에는 탄성편(51)에 대한 소켓 하우징(22)의 간섭에 의해서 그 변위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먼저, 조명갓(4)의 장착공(41)을, 연결부재(1)에 의해서 천정면에 고정 설치된 소켓부(2)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 착탈부(5)를 구성하는 소켓부(2)의 외측 탄성편(51)을 손으로 눌러 탄성편(51)의 절곡부(52) 간의 직경을 축소시키게 되는데, 이때 소켓 하우징(22)을 수직봉(23)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 축소된 탄성편(51)의 절곡부(52)의 외측을 조명갓(4)의 장착공(41)이 통과하게 된다.
그 후, 사용자는 누르고 있던 탄성편(51)으로부터 손을 놓게 되는데, 이때에는 수직봉(23)의 하부측으로 소켓 하우징(22)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탄성편(51)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직경이 커져 단부측 절곡부(52)가 조명갓(4)의 장착공(41) 하부 외곽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조명갓(4)은 소켓부(2)의 외측에 걸려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수직봉(2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소켓 하우징(22)에 의해서 조명갓 장착시, 탄성편(51)의 축소 변위가 크고 장착후에는 소켓 하우징(22)의 간섭에 의해서 그 변위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조명갓 장착의 안전성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명갓의 분리는 다시 소켓 하우징(22)을 수직봉(23)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킨 후, 탄성편(51)을 손으로 눌러 상기 탄성편(51)의 절곡부(52)가 조명갓(4)의 장착공(41)으로부터 빠져 이탈되게 함으로써 조명갓(4)의 분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단부에 외측의 절곡부를 갖는 다수의 탄성편을 소켓부의 외측에 구비하여 상기 탄성편의 절곡부에 조명갓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천정등에 현수된 소켓부에 대한 조명갓의 분리 및 장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천정등의 청소 및 부분 교체 수리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소켓부의 상부측에 수직봉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수직봉을 따라 소켓부의 소켓 하우징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소켓 하우징의 위치에 따라 전기한 탄성편의 축소 변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탄성편을 이용한 조명갓 장착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 천정등의 일 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래 천정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연결부재 2:소켓부
3,3a:조명등 4:조명갓
5:착탈부 21:소켓 몸체
22:소켓 하우징 23:수직봉
41:장착공 42:개방부
51:탄성편 52:절곡부

Claims (3)

  1. 연결부재(1)에 의해서 천정면에 수직방향으로 현수되고, 절연체로 된 소켓 몸체(21)의 외측으로 소켓 하우징(22)이 구비되는 소켓부(2)와;
    상기 소켓 몸체(21)에 결합되는 조명등(3)의 외부에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장착공(41)이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개방부(42)를 갖는 조명갓(4)과;
    상기 소켓부(2)의 외측으로 삽입된 조명갓(4)을 탄성력으로 걸어서 고정하는 착탈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천정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5)는 상기 소켓 하우징(22)의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측에 외측방향으로 절곡부(52)를 갖는 다수의 탄성편(5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천정등.
  3. 연결부재(1)에 의해서 천정면에 수직방향으로 현수되고, 절연체로 된 소켓 몸체(21)의 외측으로 소켓 하우징(22)을 구비하되, 상기 소켓 하우징(22)이 소켓 몸체(21)의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수직봉(23)의 외측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소켓부(2)와;
    상기 소켓 몸체(21)에 결합되는 조명등(3a)의 외부에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장착공(41)이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개방부(42)를 갖는 조명갓(4)과;
    상기 수직봉(23)의 상부측에서 소켓 하우징(22)의 하부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측에 외측방향으로 절곡부(52)를 갖는 다수의 탄성편(51)으로 형성된 착탈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천정등.
KR20-2005-0019552U 2005-07-05 2005-07-05 천정등 KR200396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52U KR200396966Y1 (ko) 2005-07-05 2005-07-05 천정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52U KR200396966Y1 (ko) 2005-07-05 2005-07-05 천정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966Y1 true KR200396966Y1 (ko) 2005-09-28

Family

ID=4369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52U KR200396966Y1 (ko) 2005-07-05 2005-07-05 천정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9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45Y1 (ko) * 2008-03-28 2010-06-09 박인근 천장 현수형 등기구
KR200450751Y1 (ko) 2008-12-08 2010-10-29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에디슨 스쿠류형 발광등의 지지구조
KR200477578Y1 (ko) * 2013-12-16 2015-06-30 윤성기 천정매다는 등의 전등갓 고정장치
KR102181443B1 (ko) 2019-06-07 2020-11-23 박민정 천정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045Y1 (ko) * 2008-03-28 2010-06-09 박인근 천장 현수형 등기구
KR200450751Y1 (ko) 2008-12-08 2010-10-29 주식회사 대진디엠피 에디슨 스쿠류형 발광등의 지지구조
KR200477578Y1 (ko) * 2013-12-16 2015-06-30 윤성기 천정매다는 등의 전등갓 고정장치
KR102181443B1 (ko) 2019-06-07 2020-11-23 박민정 천정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36891S1 (en) Light fixture
KR200396966Y1 (ko) 천정등
KR101058615B1 (ko) 조명등 커버용 탈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명등
KR200445409Y1 (ko) 착탈클립을 갖는 실내 조명등
JP5587587B2 (ja) エンドブラケット
US7670036B2 (en) Floor lamp having low light replaceable bulb
US7494260B2 (en) Floor lamp having low light level replaceable bulb
KR200407583Y1 (ko) 조명기구의 커버착탈장치
KR200491522Y1 (ko) 조명등용 커버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조명등
CN102177396A (zh)
KR100897865B1 (ko) 형광등 소켓 커버
CN218864033U (zh) 一种嵌顶式标志灯
KR101796981B1 (ko) 매립형 등기구의 안정기 조립구조
KR200156744Y1 (ko) 조명등용 장식구조
KR20049103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KR200369986Y1 (ko) 조립식 전등갓
KR200158996Y1 (ko) 장식용 전등갓
KR200272558Y1 (ko) 천정 매입등 커버
CN217978469U (zh) 一种装饰立灯
CN213686336U (zh) 一种改良型灯具结构
KR200438704Y1 (ko) 결합부재가 내부에 구성된 천정등
KR200289439Y1 (ko)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JP3117152U (ja) 照明装置
KR20220136581A (ko) 천장등
KR200421011Y1 (ko)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