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439Y1 -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439Y1
KR200289439Y1 KR2020020017968U KR20020017968U KR200289439Y1 KR 200289439 Y1 KR200289439 Y1 KR 200289439Y1 KR 2020020017968 U KR2020020017968 U KR 2020020017968U KR 20020017968 U KR20020017968 U KR 20020017968U KR 200289439 Y1 KR200289439 Y1 KR 200289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amp
slide
main body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조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조명
Priority to KR2020020017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439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스크류 체결없이 조명등커버를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커버에 의하여 본체케이스에 간편하게 탈, 부착이 되는 것으로써, 본 고안은 조명램프가 설치되는 수용홈을 형성한 본체케이스와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는 조명등커버로 형성된 조명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단에 꽂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등커버의 일단에는 상기 꽂이공에 고정되는 꽂이편과 그 타측단에는 다수의 고정편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단에는 상기 고정편을 지지하고, 양단에 간격돌기을 형성한 커버지지대와 그 일측 상,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공과 그 사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내부에 탄성스프링을 삽입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지지대의 상면에 삽입공간부를 형성하게 커버되는 슬라디드커버가 형성되며, 그 밑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에 삽입, 슬라이드되는 고정후크와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조명등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이 간편해지고, 조명등커버의 내부에 구비된 조명장치들에 대한 보수 및 유지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a apparatus of fixing a cover of lighting}
본 고안은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스크류 체결없이 조명등커버를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커버에 의하여 본체케이스에 간편하게 탈, 부착이 되는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백열등 또는 형광등과 같은 조명램프가 구비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는 빛의 반사가 잘 이루어지게 형성하여 상기 조명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이 실내를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명등은 실내의 분위기를 좀더 보기 좋게 연출하기 위하여 조명등커버를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하여 조명램프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조명등커버를 통해 실내에 간접조명이 비취게되고, 상기 조명등커버의 색깔 및 투명도에 따라 실내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조명등커버는 다수의 스크류로 상기 본체케이스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조명등의 조립 및 분해 작업 시간이 많이 걸리고,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에 구비된 형광등 또는 백열등을 교체 및 유지하기 위하여 일일이 스크류를 풀어야 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명등의 본체케이스에 조명등커버가 별도의 스크류 체결없이 간단하게 탈, 부착되는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명램프가 설치되는 수용홈을 형성한 본체케이스와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는 조명등커버로 형성된 조명등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일단에 꽂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등커버의 일단에는 상기 꽂이공에 고정되는 꽂이편과 그 타측단에는 다수의 고정편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단에는 상기 고정편을 지지하고, 양단에 간격돌기을 형성한 커버지지대와 그 일측 상,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공과 그 사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내부에 탄성스프링을 삽입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지지대의 상면에 삽입공간부를 형성하게 커버되는 슬라디드커버가 형성되며, 그 밑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에 삽입, 슬라이드되는 고정후크와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A-A의 결합 단면도.
도 2b는 B-B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 : 꽂이편 2 : 고정편
3 : 꽂이공 4 : 커버지지대
41 : 간격돌기 42 : 삽입공간부
5 : 슬라이드공
6 : 설치홈 61 : 걸림턱
7 : 슬라이드커버 71 : 고정후크
72 : 가압돌기
8 : 탄성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조명램프를 설치하는 수용홈(110)을 형성한 본체케이스(10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0)을 커버하는 조명등커버(200)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커버(200)를 상기 본체케이스(100)에서 탈, 부착하게 하는 슬라이드커버(7)가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일단으로 슬라이드되게 구비된다.
상기 본체케이스(100)는 그 좌측단에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끈이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조명램프가 설치되는 상기 수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0)의 우측으로 연이어 커버지지대(4)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지지대(4)의 우측으로 연이어 슬라이드공(5)이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상, 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공(5)의 사이에는 걸림턱(61)을 형성한 설치홈(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공(5)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커버(7)가 좌,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홈(6)에는 탄성스프링(8)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61)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지지대(4)는 상, 하단에 간격돌기(41)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0)은 좌측 상단으로 꽂이공(3)이 형성된다.
상기 조명등커버(200)는 그 좌측단에는 상기 꽂이공(3)에 삽입, 고정되는 꽂이편(1)이 형성되고, 우측단에는 고정편(2)이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2)은 상기 커버지지대(4)의 상면에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커버(7)는 상기 커버지지대(4)에서부터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우측단까지 덮어지게 형성되고, 그 밑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5)에 삽입, 고정되어 슬라이드되는 고정후크(7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후크(71)의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5)에 삽입하여 상기 탄성스프링(8)의 좌측단을 가압하는 가압돌기(72)가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A-A의 결합 단면도와 도 2b는 B-B의 결합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꽂이편(1)을 상기 꽂이공(3)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편(2)를 상기 커버지지대(4)의 상면에 구비하면, 상기 조명등커버(200)의 좌측은 상기 본체케이스(100)에 고정되면서 상기 수용홈(110)의 전체를 커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후크(71)를 상기 슬라이드공(5)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가압돌기(72)는 걸림턱(61)에 고정된 상기 탄성스프링(8)의 좌측 끝단을 가압하도록 상기 설치홈(6)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커버(7)의 밑면이 상기 커버지지대(4)의 상기 간격돌기(41)의 상면에 접촉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커버(7)와 상기 커버지지대(4)의 사이에는 삽입공간부(42)가 형성되고, 이곳에 상기 고정편(2)이 상기 슬라이드커버(7)의 밑면에 밀착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72)는 상기 탄성스프링(8)에 의하여 항상 고정되어 상기 고정후크(71)가 상기 슬라이드공(5)에서 좌, 우측으로 이동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커버(7)는 항상 상기 고정편(2)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꽂이공(3)과 상기 슬라이드커버(7)에 의하여 상기 조명등커버(200)는 상기 수용홈(110)의 전체를 커버하면서 상기 본체케이스(100)에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커버(200)는 상기 꽂이공(미도시)과 상기 슬라이드커버(7)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케이스(100)에 고정되어 사용하며, 상기 수용홈(110)의 내부에 설치된 램프조명 및 조명기구의 유지 및 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드커버(7)를 우측 가압하면 상기 고정후크(미도시)가 상기 슬라이드공(미도시)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되고, 상기 가압돌기(72)는 상기 탄성스프링(8)을 가압하게 되어상기 고정편(2)을 지지하는 상기 슬라이드커버(7)가 이탈되어 상기 조명등커버(200)를 상기 본체케이스(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커버(7)에 가압된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스프링(8)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커버(7)는 제자리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커버(7)를 좌, 우측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조명등커버(200)를 상기 본체케이스(100)에 간편하게 탈,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케이스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커버에 의하여 조명등커버는 별도의 스크류 체결없이 상기 본체케이스에 간단하게 탈, 부착되게 형성되어 조명등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이 간편해지고, 조명등커버의 내부에 구비된 조명장치들에 대한 보수 및 유지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조명램프가 설치되는 수용홈(110)을 형성한 본체케이스(100)와 상기 수용홈(110)을 커버하는 조명등커버(200)로 형성된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10)의 일단에 꽂이공(3)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등커버(200)의 일단에는 상기 꽂이공(3)에 고정되는 꽂이편(1)과 그 타측단에는 다수의 고정편(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100)의 일측단에는 상기 고정편(2)을 지지하고, 양단에 간격돌기(41)을 형성한 커버지지대(4)와 그 일측 상,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공(5)과 그 사이에는 내부에 탄성스프링(8)을 삽입하는 설치홈(6)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지지대(4)의 상면으로 삽입공간부(42)를 형성하게 커버되는 슬라이드커버(7)가 구비되며, 그 밑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5)에 삽입, 슬라이드되는 고정후크(71)와 상기 설치홈(6)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스프링(8)을 가압하는 가압돌기(7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KR2020020017968U 2002-06-12 2002-06-12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KR200289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968U KR200289439Y1 (ko) 2002-06-12 2002-06-12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968U KR200289439Y1 (ko) 2002-06-12 2002-06-12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439Y1 true KR200289439Y1 (ko) 2002-09-16

Family

ID=7307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968U KR200289439Y1 (ko) 2002-06-12 2002-06-12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4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58B1 (ko) 2007-01-03 2007-06-04 주식회사 엘엠 조립이 용이한 조명등
KR101906898B1 (ko) * 2015-08-25 2018-10-11 주식회사 쿠스코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758B1 (ko) 2007-01-03 2007-06-04 주식회사 엘엠 조립이 용이한 조명등
KR101906898B1 (ko) * 2015-08-25 2018-10-11 주식회사 쿠스코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075B1 (ko) 조명등용 고정 프레임 및 고정장치
KR101322295B1 (ko) 탈착이 용이한 조명 어셈블리
KR20120119604A (ko) 조명기구
KR102023123B1 (ko) 등기구용 원터치 체결장치
KR200289439Y1 (ko)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KR20130134778A (ko) 천장 매립형 조명장치용 커버
KR200330066Y1 (ko) 천정등 커버의 결합구조
KR200320726Y1 (ko) 천정조명등의 조립구조
KR200396842Y1 (ko) 천장등커버 고정구
KR100959789B1 (ko) 착탈식 엘이디 조명등
KR20090072037A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KR200437141Y1 (ko) 삽입식 체결구조를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295405Y1 (ko) 천정등
KR200305043Y1 (ko) 천장등
MXPA04005944A (es) Separacion de ducha con iluminacion.
KR200272207Y1 (ko)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천장등
KR101596745B1 (ko) 방열 및 조립성이 우수한 엘이디 천정직착등
KR200290645Y1 (ko) 매립형 조명등의 프레임
KR200310384Y1 (ko) 천정등기구
KR0135404Y1 (ko) 형광등 기구
KR200282574Y1 (ko) 형광등기구의 소켓커버 조립구조
KR200427937Y1 (ko) 조명등고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KR200282508Y1 (ko) 형광등 설치구조
KR200330099Y1 (ko) 간접조명의 효과를 갖는 천정 직부 등기구
KR200300716Y1 (ko) 등기구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