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898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898B1
KR101906898B1 KR1020150119837A KR20150119837A KR101906898B1 KR 101906898 B1 KR101906898 B1 KR 101906898B1 KR 1020150119837 A KR1020150119837 A KR 1020150119837A KR 20150119837 A KR20150119837 A KR 20150119837A KR 101906898 B1 KR101906898 B1 KR 10190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ffusion plate
opening
length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496A (ko
Inventor
이종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스코
Priority to KR102015011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8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3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attaching of an other part, e.g. a housing portion or an optical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판의 외부로 전등 불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조명기판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명기판에서부터 상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전등이 장착될 수 있는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개방부의 상부 일부를 덮고 있는 상부 하우징; 상기 개방부의 하부 일부를 덮고 있는 하부 하우징; 상기 개방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개방부를 덮을 수 있는 확산판; 및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확산판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의 길이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확산판의 길이는 상기 개방부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확산판이 상기 개방부에 끼워질 때,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확산판의 외부로 전등 불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확산판의 길이가 상부 하우징 하단으로부터 하부 하우징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확산판의 외부로 전등 불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의 사무실이나 공장 또는 지하 시설 등 대규모 광원 소요지역에서는 전력 사용을 절감하기 위해 소모전력이 적은 조명기구를 사용한다. 이런 조명기구로는 형광램프가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형광램프는 아르곤 및 수은 증기의 혼합기체로 채워진 유리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쪽 끝단의 금속전극들에서 이온화된 기체 사이로 전류가 흐르면, 발광되면서 상당량의 자외선이 방출된다. 이를 흡수하기 위해 유리관 내부에 자외선을 흡수하는 인광물질과 자외선 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재방출 하는 형광물질이 칠해져 있다.
이러한 가시광선을 재방출 하는 형광램프의 불빛은 상당히 눈부심이 강하여, 장시간 사용할 경우 눈에 피로를 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력이 손상될 위험도 있다. 따라서 형광램프 불빛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 확산판(20)을 설치하여 형광램프의 불빛을 조절하여야 한다.
종래의 확산판(20)이 설치되어 있는 조명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조명장치는 하우징(10), 확산판(20), 전등(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등(30)은 형광램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형광램프의 불빛을 조절하기 위해 확산판(20)을 이용한다.
하우징(10)에는 전등(30)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확산판(20)이 끼워질 수 있다. 하우징(10)에 전등(30)을 장착하고, 확산판(20)을 끼우면 형광램프로 이루어진 전등(30)의 불빛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조명장치를 살펴보면, 확산판(20)의 길이(D2)와 하우징(10)의 길이(D1)는 서로 같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전등(30) 중앙의 불빛이 새어 나가는 것을 확산판(20)을 통하여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확산판(20)의 길이(D2)와 하우징(10)의 길이(D1)가 같게 형성되어 있어, 전등(30) 양옆에서 하우징(10)과 확산판(20) 사이의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틈을 통해 전등(30)의 불빛이 새어 나갈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눈의 피로를 유발하거나 시력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조명장치를 벽에 설치하거나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명장치는 확산판(20)을 PC 혹은 아크릴으로 사용하였는데, 처음 제작시 하우징(10)의 길이와 확산판(20) 길이를 딱 맞게 제작하여도 사용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수축이 발생하게 된다.(아크릴의 경우 3~4mm 정도의 수축이 발생) 따라서 종래의 조명장치는 제품의 하자 및 특히 전등(30) 양옆으로 빛이 새어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종래의 조명장치의 경우 하우징(10)에서 확산판(20)을 분리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전등(30)의 경우 수명이 길지 않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이 경우 확산판(20)을 제거하고 전등(30)을 교체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확산판(20)을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으며, 확산판(20)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힘을 가해야 한다.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부상을 당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112946 (공개일자 : 2009년 10월 2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확산판의 길이가 상부 하우징 하단으로부터 하부 하우징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확산판의 외부로 전등 불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조명기판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명기판에서부터 상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전등이 장착될 수 있는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개방부의 상부 일부를 덮고 있는 상부 하우징;
상기 개방부의 하부 일부를 덮고 있는 하부 하우징;
상기 개방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개방부를 덮을 수 있는 확산판; 및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확산판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의 길이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확산판의 길이는 상기 개방부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확산판이 상기 개방부에 끼워질 때,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상기 확산판은 상기 개방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측단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홈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확산판의 날개부가 상기 개방부의 장착홈에 끼워지며, 상기 확산판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단면은 오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오각형의 일 꼭지점에는 "└┘" 형태의 하우징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확산판의 길이가 상부 하우징 하단으로부터 하부 하우징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확산판의 외부로 전등 불빛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확산판이 개방부에 끼워질 때, 상부 하우징 내부와 하부 하우징 내부로 이동 가능하여, 확산판을 하우징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명장치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상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하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확산판을 개방부의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확산판(150)의 길이가 상부 하우징(130) 하단으로부터 하부 하우징(140)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확산판(150)의 외부로 전등 불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10), 상부 하우징(130), 하부 하우징(140), 지지턱(141), 확산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 하부의 내부에는 조명기판(11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명기판(111)은 전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조명기판(111)이 설치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110) 외부에는 전등을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전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절 스위치 등도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및 조절 스위치는 상기 조명기판(111)과 연결되어 작동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조명기판(111)에서부터 상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부(1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개방부(120)에는 전등이 장착될 수 있으며, 한 개의 전등이 장착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전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120)의 바닥면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은 전등에 의해 열이 발생할 경우,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하우징(130)은 상기 개방부(120)의 상부 일부를 덮고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30)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하우징(140)은 상기 개방부(120)의 하부 일부를 덮고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140)은 상기 조명기판(111)이 장착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3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이 연장되는 길이는 전등의 불빛이 방출되는 영역과 미관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3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의 길이가 길어지면 전등의 불빛이 방출되는 영역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등의 불빛을 방출하고 싶은 영역을 고려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13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의 연장길이를 정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3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의 연장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미관을 손상시킬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13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의 연장길이를 정한다.
상기 지지턱(141)은 상기 하부 하우징(140)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141)은 상기 확산판(150)이 상기 개방부(120)에 끼워질 때, 상기 확산판(15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확산판(15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턱(141)의 형상은 상기 개방부(120) 내부를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 하우징(14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확산판(150)은 상기 개방부(120)에 끼워지며 상기 개방부(120)를 덮을 수 있다. 상기 확산판(150)의 소재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확산판(150)은 힘을 가해 구부려도,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확산판(150)을 상기 개방부(120)에 끼울 때 탄성변형을 이용하면 손쉽게 끼울 수 있다. 상기 확산판(150)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상기 확산판(150)을 상기 개방부(120)에 끼워지기 쉬운 형태로 변형시키고, 상기 개방부(120)에 넣는다. 상기 확산판(150)에 가했던 일정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확산판(150)은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고 상기 개방부(120)에 정확하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 확산판(150)의 길이(D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30) 하단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140)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D1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판(150)의 길이(D20)는 상기 개방부(120)의 길이(D30)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산판(150)이 상기 개방부(120)에 끼워질 때, 상기 확산판(150)의 길이(D20)가 상기 상부 하우징(130) 하단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140)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D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확산판(150)의 상단과 하단의 일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13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확산판(150)의 길이(D20)는 상기 개방부(120)의 길이(D30)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확산판(150)이 상기 개방부(120)에 끼워졌을 때, 상기 개방부(120)는 상기 확산판(150)으로 채워지지 않고 일부 공간이 남게 된다. 즉, 상기 상부 하우징(130) 내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140) 내부에 일부 공간이 남게 된다. 상기 일부 공간으로 상기 확산판(150)이 이동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확산판(150)은 상기 개방부(120)를 덮을 수 있는 커버부(151)와 상기 커버부(151)의 양측단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날개부(152)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판(150)의 단면을 살펴보면 "┏┓"의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커버부(151)와, "┏┓"의 좌우측 하단에 측면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날개부(15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부(151)는 상기 개방부(120)을 덮을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152)는 상기 개방부(120)에 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152)는 상기 개방부(120)의 내측면에 끼워진다. 상기 개방부(120)의 내측면에는 상기 날개부(152)가 끼워질 수 있는 장착홈(1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121)은 상기 개방부(120) 내측면에 상기 개방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확산판(15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확산판(150)을 일부 구부려, 상기 확산판(150)의 상기 날개부(152)를 상기 장착홈(121)에 끼워 넣는다. 이를 통해 상기 확산판(150)은 상기 개방부(120)를 덮을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단면은 오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오각형 형태의 일 꼭지점에는 "└┘" 형태의 하우징 홈(1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홈(112)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홈(112)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 일부, 상단 일부, 하단 일부에서만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 홈(112)은 상기 조명장치(100)를 기둥이나 벽, 천장 등에 설치할 때 이용될 수 있다. 기둥이나 벽, 천장 등이 상기 하우징 홈(112)에 대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면 상기 하우징 홈(112)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장치(100)를 설치 할 수 있다. 또한, 기둥이나 벽, 천장 등에 상기 하우징 홈(112)에 대응하는 바(Bar)를 설치한 후, 상기 바(Bar)를 상기 하우징 홈(112)에 넣은 후 상기 조명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홈(112)에는 상기 바(Bar)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홈(112)의 내부에서 외부를 관통하는 볼트공(미도시)을 마련하고, 상기 볼트공(미도시)에 볼트(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조명장치(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하우징 홈(112)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장치(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고정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단면은 오각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둥이나 벽, 천장 등에 설치하기 쉬운 구조라면,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조명장치(100)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천장에 설치하여 사용 하지만, 상기 조명장치(100)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벽, 기둥 등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를 거실, 창틀 옆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 사용하면 미관상으로 좋은 인테리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100)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 사용할 경우, 상기 조명장치(100)가 세워진 주변공간을 다른 공간보다 밝게 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조명장치(100)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 사용하면, 조명장치(100)의 설치 및 관리, 전등의 교체 등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 사용시, 상기 하우징 홈(112)을 이용하여 벽, 기둥 등에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100)를 기둥, 벽 등에 결합하지 않고 바닥에 세워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10)의 밑면의 단면적을 상기 하우징(110) 윗면의 단면적보다 크게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상기 조명장치(100)의 조립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확산판(150)을 힘을 가해 구부려서 상기 개방부(120)에 끼워 넣는다. 상기 확산판(150)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m 상기 확산판(150)에 힘을 가해 구부려도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상기 확산판(150)을 상기 개방부(120)에 끼워 넣을때, 상기 확산판(150)의 날개부(152)가 상기 개방부(120)의 상기 장착홈(121)에 끼워지게 넣는다.
상기 확산판(150)의 길이(D20)는 상기 상부 하우징(130) 하단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140)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D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확산판(150)은 상기 상부 하우징(130) 내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140) 내부로 연장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확산판(150)의 길이(D20)는 상기 개방부(120)의 길이(D30)보다 작으므로 상기 확산판(150)은 상기 개방부(120)을 다 채우지 않고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빈 공간으로 상기 확산판(150)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확산판(150)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확산판(150)의 날개부(152)가 상기 개방부(120)의 상기 장착홈(12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개방부(120)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기 확산판(15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확산판(150)의 하단을 상기 지지턱(141)에 올려 놓는다. 상기 지지턱(141)은 상기 하부 하우징(140)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확산판(150)을 상기 하부 하우징(130) 내부로 이동시키다가, 상기 지지턱(141)에 상기 확산판(150)을 올려 놓으면 상기 확산판(150)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확산판(150)이 상기 지지턱(141)에 걸려 더 이상 하부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전등을 교체하거나 조명장치(100)를 수리하기 위해 상기 확산판(150)을 상기 개방부(120)에서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확산판(150)을 상기 개방부(120)에서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확산판(150)을 상기 개방부(120)의 상부까지 슬라이드 이동 시킨다. 상기 확산판(150)을 상기 개방부(120)의 상부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하부 하우징(140)의 상단과 상기 확산판(150)의 하단 사이에 공간이 발생한다.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손을 넣고 상기 확산판(150)을 제거하면 손쉽게 상기 확산판(150)을 상기 개방부(120)에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상기 조명장치(100)의 효과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상기 확산판(150)의 길이(D20)가 상기 상부 하우징(130) 하단으로부터 하부 하우징(140)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D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확산판(150)이 상기 개방부(120)에 끼워질 때 상기 확산판(150)은 상기 상부 하우징(130) 및 상기 하부 하우징(140) 내부로 일부 들어가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확산판(150)과 상기 상부 하우징(130) 사이 및 상기 확산판(150)과 상기 하부 하우징(140) 사이에서 전등 불빛이 새어나갈 틈이 없어지게 된다. 즉, 종래의 조명장치는 확산판(20)의 길이(D2)와 하우징(10)의 길이(D1)가 서로 같게 형성되어, 전등(30) 양옆에서 하우징(10)과 확산판(20) 사이의 틈으로 전등 불빛이 새어 나갈수 있었지만,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상기 확산판(150)이 길게 연장되어 있어 전등이 불빛이 새어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의 조명장치는 확산판(20)을 PC 혹은 아크릴으로 사용하였는데, 처음 제작시 하우징(10)의 길이와 확산판(20) 길이를 딱 맞게 제작하여도 사용함에 따라 필연적으로 수축이 발생하게 된다.(아크릴의 경우 3~4mm 정도의 수축이 발생)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상기 확산판(150)의 길이(D20)가 상기 상부 하우징(130) 하단으로부터 하부 하우징(140)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D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확산판(150)에 일부 수축이 발생하여도 제품의 하자 및 전등의 불빛이 양옆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명장치를 천장에 설치하여 이용하는 경우 확산판의 양옆으로 불빛이 새어 나가는 영향이 적을 수 있으나, 조명장치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 확산판의 양옆으로 불빛이 새어 나가면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불빛이 새어 나가면 눈부심의 발생하며, 사용자의 눈에 피로감을 주고 사용자의 눈의 시력을 손상시킬 수 있는 염려가 있다. 따라서 조명장치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를 사용하면 불빛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확산판(150)은 상기 개방부(120)와 상기 상부 하우징(130) 내부 및 상기 하부 하우징(140) 내부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확산판(150)을 상기 개방부(120)의 상부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하부 하우징(140) 상단과 상기 확산판(15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한다. 사용자가 상기 공간에 손을 넣고 상기 확산판(150)을 잡아당기면 손쉽게 상기 개방부(120)에서 상기 확산판(150)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밑면에 평형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00)는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사용할 수 있으며, 기둥이나 벽 등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평형판(미도시)을 포함하면, 기둥이나 벽 등에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조명장치(100)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평형판(미도시)은 상기 하우징(110) 밑면의 단면적을 넓혀 상기 조명장치(10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평형판(미도시)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평형판(미도시)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밑면에 대응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110)의 밑면을 상기 홈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홈에 상기 하우징(110)이 삽입되면, 상기 조명장치(100)는 넘어지지 않고 수직한 방향으로 세울 수 있게 된다. 그 외에도 상기 하우징(110)의 밑면의 단면적을 넓혀 상기 조명장치(10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조명장치 110...하우징
111...조명기판 112...하우징 홈
120...개방부 121...장착홈
130...상부 하우징 140...하부 하우징
141...지지턱 150...확산판
151...커버부 152...날개부
D10...상부 하우징 하단에서 하부 하우징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
D20...확산판의 길이
D30...개방부의 길이

Claims (5)

  1.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조명기판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명기판에서부터 상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전등이 장착될 수 있는 개방부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개방부의 상부 일부를 덮고 있는 상부 하우징;
    상기 개방부의 하부 일부를 덮고 있는 하부 하우징;
    상기 개방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개방부를 덮을 수 있는 확산판; 및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확산판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확산판의 길이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 상단으로 이루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확산판의 길이는 상기 개방부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확산판이 상기 개방부에 끼워질 때,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확산판은 상기 개방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측단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홈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확산판의 날개부가 상기 개방부의 장착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면은 오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오각형의 일 꼭지점에는 "└┘" 형태의 하우징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따른 조명장치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50119837A 2015-08-25 2015-08-25 조명장치 KR10190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37A KR101906898B1 (ko) 2015-08-25 2015-08-25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37A KR101906898B1 (ko) 2015-08-25 2015-08-25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496A KR20170024496A (ko) 2017-03-07
KR101906898B1 true KR101906898B1 (ko) 2018-10-11

Family

ID=5841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837A KR101906898B1 (ko) 2015-08-25 2015-08-25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860805U (zh) * 2019-12-02 2020-06-26 苏州欧普照明有限公司 灯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439Y1 (ko) * 2002-06-12 2002-09-16 주식회사 연합조명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KR200470726Y1 (ko) 2012-12-17 2014-01-14 김광수 슬라이드 체결 커버를 구비한 led 조명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81B1 (ko) 2008-04-25 2011-01-17 심영모 원터치로 설치되는 등기구
KR101133222B1 (ko) * 2010-04-21 2012-04-05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기반의 사고 검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439Y1 (ko) * 2002-06-12 2002-09-16 주식회사 연합조명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KR200470726Y1 (ko) 2012-12-17 2014-01-14 김광수 슬라이드 체결 커버를 구비한 led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496A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418615A (zh) 具有升高件的照明設備
US10948142B2 (en) Universal troffer retrofit assembly
CN105180092A (zh) 透镜及光源模组
KR20170057186A (ko) 보조 조명등이 구비된 엘이디 등기구
KR20120056653A (ko) 벽면 연출용 엘이디조명 프레임
KR101906898B1 (ko) 조명장치
KR20100084768A (ko) 눈부심 방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등
KR200461056Y1 (ko) 병풍형 조명장치
KR101527728B1 (ko) 슬라이드부를 이용해 조사각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헤드
KR10169171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천장마감재
CN205037252U (zh) 透镜及光源模组
WO2008110630A1 (en) A luminaire apparatus
JP2007035292A (ja) 照明器具
KR101455658B1 (ko) 입식 led 조명기구
KR100934431B1 (ko) 건축용 보행자 유도등
JP3160414U (ja) 照明装置及び街路灯
KR20170043322A (ko) 벌브(led)를 이용한 채널구조
CN204786218U (zh) 一种使用效果好的幕墙点光源安装设备
KR200333202Y1 (ko) 천정용 조명장치의 전등갓 고정구조
KR200464484Y1 (ko) 절곡형 조명장치
CN217603955U (zh) 一种照明灯具
CN208846160U (zh) 方便分拆的作业灯
KR200358853Y1 (ko) 전선지지구가 개재된 형광등
KR101586400B1 (ko) 사이드 반사부재가 구비된 면조명 장치
KR101272354B1 (ko) 조명등의 하우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