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816Y1 - 유체 공급밸브 - Google Patents

유체 공급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816Y1
KR200396816Y1 KR20-2005-0018966U KR20050018966U KR200396816Y1 KR 200396816 Y1 KR200396816 Y1 KR 200396816Y1 KR 20050018966 U KR20050018966 U KR 20050018966U KR 200396816 Y1 KR200396816 Y1 KR 200396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luid
predetermined
operating rod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행균
Original Assignee
두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행균 filed Critical 두행균
Priority to KR20-2005-0018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8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 공급밸브에 관한 것으로, 절삭장치 등 각종 가공기계에 적용되어 절삭유나 냉각수 또는 압축공기 등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는데 적용되는 유체 공급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공기계상의 소정 부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설치위치를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로 밟거나 떼는 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는 저면 중심부에 소정 깊이의 수납홈이 형성된 원판 또는 사각판 형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상의 수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는 자석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체결되며,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외부의 유체공급라인이 결합되는 유체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유입공과 동일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반대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유체배출라인이 결합되는 유체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면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관통공의 윗부분에는 유체유입공과 통하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아랫부분에는 유체배출공과 통하는 제2연통공이 형성된 소정 형상의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아랫쪽으로부터 윗쪽으로 끼워져 관통공의 상방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되게 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작동봉과; 일측단이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저면 소정부위에 상기 작동봉의 상단이 항상 맞닿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발로 밟는 작용에 따라 작동봉이 아랫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페달과; 상기 작동봉의 하단 아랫쪽에 해당되는 관통공의 하부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어 작동봉의 하단과 항상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의 작용에 따라 승강작동되면서 제1연통공으로부터 제2연통공으로 통하는 통로를 열러주거나 막아주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어밸브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항상 윗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작동봉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 제어벨브와 작동봉 및 페달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공급밸브{A VALVE FOR SUPPLY FLUID}
본 고안은 유체 공급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장치 등 각종 가공기계에 적용되어 절삭유나 냉각수 또는 압축공기 등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는데 적용되는 유체공급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종 가공기계상의 소정 부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설치위치를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로 밟거나 떼는 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 공급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기계 등의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금속재를 절단 또는 가공하는 경우에는 절삭날과 가공되는 금속재간의 마찰에 의하여 높은 온도의 열이 발생되는데, 금속재의 가공시 발생되는 열을 식히지 않으면, 가공의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은 물론, 연기와 분진 냄새 등이 심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절삭가공작업이 매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산업분야에서 절삭기계 등의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금속재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금속재의 가공작업시 외부로부터 냉각수나 절삭유 등을 공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냉각수나 절삭유 같은 유체 공급밸브의 경우 그 설치 위치상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필요에 따라 유체 공급밸브의 설치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볼트를 풀고 새로운 설치위치에서 다시 볼트를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수가 많아져 생산성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냉각수나 절삭유 같은 유체는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경우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종래의 경우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다른 작업을 하면서 양손으로 밸브를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절삭장치 등 각종 가공기계에 적용되어 절삭유나 냉각수 또는 압축공기 등 유체의 공급을 제어하는데 적용되는 유체공급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공기계상의 소정 부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설치위치를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로 밟거나 떼는 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유체 공급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는 저면 중심부에 소정 깊이의 수납홈이 형성된 원판 또는 사각판 형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상의 수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는 자석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체결되며,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외부의 유체공급라인이 결합되는 유체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유입공과 동일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반대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유체배출라인이 결합되는 유체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면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관통공의 윗부분에는 유체유입공과 통하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아랫부분에는 유체배출공과 통하는 제2연통공이 형성된 소정 형상의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아랫쪽으로부터 윗쪽으로 끼워져 관통공의 상방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되게 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작동봉과; 일측단이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저면 소정부위에 상기 작동봉의 상단이 항상 맞닿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발로 밟는 작용에 따라 작동봉이 아랫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페달과; 상기 작동봉의 하단 아랫쪽에 해당되는 관통공의 하부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어 작동봉의 하단과 항상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의 작용에 따라 승강작동되면서 제1연통공으로부터 제2연통공으로 통하는 통로를 열러주거나 막아주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어밸브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항상 윗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작동봉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 제어밸브와 작동봉 및 페달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작동봉의 상단과 맞닿아 있는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해당되는 페달의 저면 소정 위치에는 페달을 밟았을 때 하단이 밸브몸체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더이상 밟아지지 않도록 하여 작동봉이 소정 길이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스톱퍼가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밸브몸체는 페달을 밟았을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판의 중심으로부터 페달을 밟는 방향 뒷쪽으로 일정 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편심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공급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에서 스톱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에서 페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10)는 각종 가공기계상의 소정 부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설치위치를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로 밟거나 떼는 동작에 따라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10)는 소정 크기의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20)이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30)과, 상기 고정판(20)상에 설치되는 밸브몸체(40)와, 상기 밸브몸체(40)의 내부에 끼워지는 작동봉(50)과, 밸브몸체(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동봉(50)을 눌러주는 페달(60)과, 상기 작동봉(50)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밸브몸체(40)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70)와, 상기 제어밸브(7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80)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판(20)은 원판형상 또는 사각판 형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그 저면 중심부에는 소정 깊이의 수납홈(2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20)상의 수납홈(21)에는 금속 등 자력감응부재에 대하여 강한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석(30)이 스크류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밸브몸체(40)는 고정판(2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체결·고정된다.
이 때 상기 밸브몸체(40)는 페달(60)을 밟았을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판(20)의 중심으로부터 페달(60)을 밟는 방향 뒷쪽으로 일정 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편심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몸체(40)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외부의 유체공급라인(41)이 결합되는 유체유입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유입공(42)과 동일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반대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유체배출라인(43)이 결합되는 유체배출공(4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 밸브몸체(40)의 상부면 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45)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45)의 윗부분에는 유체유입공(42)과 통하는 제1연통공(45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5)의 아랫부분에는 유체배출공(44)과 통하는 제2연통공(45b)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밸브몸체(40)의 중심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45)의 윗부분에는 소정 길이의 작동봉(50)이 아랫쪽으로부터 윗쪽으로 끼워지는데, 상기 작동봉(50)의 상단부는 관통공(45)의 밸브몸체(40)의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페달(60)은 작동봉(50)을 아랫쪽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일측단이 상기 밸브몸체(40)의 상부에 힌지결합된다.
또, 상기 페달(6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저면 소정 부위에 작동봉(50)의 상단이 항상 맞닿도록 하여 페달(60)을 발로 밟으면 그 힘에 의하여 작동봉(50)이 아랫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어밸브(70)는 작동봉(50)의 하단 아랫쪽에 해당되는 관통공(45)의 하부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밸브(70)의 상부면은 작동봉(50)의 하단과 항상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작동봉(50)의 작용에 따라 승강작동되면서 제1연통공(45a)으로부터 제2연통공(45b)으로 통하는 통로를 열어주거나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밸브(70)의 내부에는 항상 윗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작동봉(50)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 제어밸브(70)와 작동봉(50) 및 페달(6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80)이 끼워져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작동봉(50)의 상부 소정 위치와 제어밸브(70)의 상부 소정 부위에는 유체유입공(42)과 유체배출공(44)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0-링(90)이 끼워져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작동봉(50)의 상단과 맞닿아 있는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해당되는 페달(60)의 저면 소정 위치에는 페달(60)을 밟았을 때 하단이 밸브몸체(40)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더이상 밟아지지 않도록 하여 작동봉(50)이 소정 길이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스톱퍼(100)가 길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결합 및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10)는 밸브몸체(40)의 한쪽에 형성된 유체유입공(42)에 외부의 유체공급장치와 연결된 유체공급라인(41)을 끼워 결합하고, 반대쪽의 유체배출공(44)에 유체배출라인(43)을 끼워져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45)의 상부에는 작동봉(50)을, 상기 관통공(45)의 하부에는 제어밸브(70)를 복귀스프링(80)으로 탄력·설치하는 한편, 밸브몸체(40)의 상부에 페달(60)을 설치하고, 고정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된 수납홈(21)에 자석(30)을 고정·설치하면 그 결합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페달(60)을 밟으면, 작동봉(50)이 페달(60)의 누름힘에 의하여 아랫쪽으로 하강됨과 동시에 작동봉(50)의 하단과 접촉된 제어밸브(70) 또한 복귀스프링(80)을 압축하면서 아랫쪽으로 하강된다.
이에 따라 제1연통공(45a)과 제2연통공(45b) 사이의 통로가 개방되면서 유체가 유체배출라인(43)쪽으로 배출되면서 필요한 부위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페달(60)에서 발을 떼면, 상기 복귀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어밸브(70)가 윗쪽으로 이동되면서 제1연통공(45a)과 제2연통공(45b) 사이의 통로를 차단하여 유체의 흐름이 차단됨과 동시에 작동봉(50)이 윗쪽으로 상승되면서 페달(60) 또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상기 페달(60)의 저면 소정 부위에 스톱퍼(100)가 설치되는 경우에 페달(60)을 밟으면 작동봉(50)이 어느 정도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100)의 하단이 밸브몸체(40)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페달(60)이 더 이상 밟아지지 않으므로 작동봉(50) 또한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되어 제1연통공(45a)과 제2연통공(45b) 사이의 통로의 개방도가 작아지며 따라서 작은 양의 유체가 공급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10)는 고정판(20)의 저면에 자석(3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산업기계의 원하는 부위에 대한 고정이 자력에 의해 이루어져 설치작업이 간단한 것은 물론, 다른 위치로의 변경 또한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 상기 자석(30)은 고정판(20)의 저면 중심부에 설치되고, 밸브몸체(40)는 고정판(20)의 중심으로부터 뒷쪽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편심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페달(60)을 밟더라도 밸브몸체(40)가 앞으로 넘어지지 않아 사용시 안정감이 부여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페달을 밟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유체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스톱퍼의 조절에 의하여 유체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고정판의 저면 중심부에 자석이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밸브몸체가 고정판에 대하여 편심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페달을 밟더라도 밸브몸체가 앞으로 넘어지지 않아 사용상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공급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에서 스톱퍼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 공급밸브에서 페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고정판 30 :자석
40 : 밸브몸체 42 : 유체유입공
44 : 유체배출공 45 : 관통공
45a : 제1연통공 45b : 제2연통공
50 : 작동봉 60 :페달
70 : 제어밸브 80 : 복귀스프링
100 : 스톱퍼.

Claims (3)

  1. 저면 중심부에 소정 깊이의 수납홈이 형성된 원판 또는 사각판 형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상의 수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는 자석과;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체결되며,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외부의 유체공급라인이 결합되는 유체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유입공과 동일 중심선상에 해당되는 반대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는 유체배출라인이 결합되는 유체배출공이 형성되며, 상부면중심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관통공의 윗부분에는 유체유입공과 통하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아랫부분에는 유체배출공과 통하는 제2연통공이 형성된 소정 형상의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아랫쪽으로부터 윗쪽으로 끼워져 관통공의 상방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되게 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작동봉과;
    일측단이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 중심부에 힌지결합되고, 저면 소정부위에 상기 작동봉의 상단이 항상 맞닿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발로 밟는 작용에 따라 작동봉이 아랫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페달과;
    상기 작동봉의 하단 아랫쪽에 해당되는 관통공의 하부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어 작동봉의 하단과 항상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봉의 작용에 따라 승강작동되면서 제1연통공으로부터 제2연통공으로 통하는 통로를 열러주거나 막아주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어밸브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항상 윗쪽으로 탄성작용하면서 작동봉에 인가되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 제어밸브와 작동봉 및 페달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의 상단과 맞닿아 있는 위치로부터 앞쪽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해당되는 페달의 저면 소정 위치에는 페달을 밟았을 때 하단이 밸브몸체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더 이상 밟아지지 않도록 하여 작동봉이 소정 길이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스톱퍼가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는 페달을 밟았을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판의 중심으로부터 페달을 밟는 방향 뒷쪽으로 일정 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편심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공급밸브.
KR20-2005-0018966U 2005-06-30 2005-06-30 유체 공급밸브 KR200396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966U KR200396816Y1 (ko) 2005-06-30 2005-06-30 유체 공급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966U KR200396816Y1 (ko) 2005-06-30 2005-06-30 유체 공급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816Y1 true KR200396816Y1 (ko) 2005-09-27

Family

ID=4369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966U KR200396816Y1 (ko) 2005-06-30 2005-06-30 유체 공급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8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5300A4 (en) * 2019-03-04 2022-11-30 Consolidated Foam FOOT WATER FLOW CONTRO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5300A4 (en) * 2019-03-04 2022-11-30 Consolidated Foam FOOT WATER FLOW CONTRO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816Y1 (ko) 유체 공급밸브
WO2000060181A1 (en) Water supply operated by a foot
DK1348361T3 (da) Hvidlögspresser
KR200410965Y1 (ko) 바이크 안장 조절장치
TW200717211A (en) Variable capillary groove membrane throttle
CA2404615A1 (en) Spout with vacuum breaker protection
ATE399100T1 (de) Geschweisster, mehrstufig gegossener führungslenker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KR101716967B1 (ko) 절삭 가공 장치
JPH0776576B2 (ja) 位置制御用バルブ
KR20060110589A (ko) 유량조절밸브
DE60221282D1 (de) Versenkbares pressgerät
EP1178250B1 (en) Self-closing valve
PL336599A1 (en) Valve attachment in particular that for a radiator valve
CN213206726U (zh) 一种行程调节机构及双稳态文丘里阀
KR200288556Y1 (ko) 자폐식 밸브
KR200216890Y1 (ko) 감압밸브
KR200236040Y1 (ko) 절수용 밸브
KR200277504Y1 (ko) 절수식 샤워헤드
KR102488276B1 (ko) 토출조절기능을 가지는 에어건
ES1051768Y (es) Grifo de agua.
CN209407182U (zh) 柱形铸件冲孔夹具
JPH0682481U (ja) 水栓における自在管
KR100415075B1 (ko) 싱크대용 냉/온수 절수장치
KR200249016Y1 (ko) 싱크대용 냉/온수 절수장치
KR100217055B1 (ko) 전자펌프 에어배출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