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560Y1 - 포충기 겸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포충기 겸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560Y1
KR200396560Y1 KR20-2005-0020374U KR20050020374U KR200396560Y1 KR 200396560 Y1 KR200396560 Y1 KR 200396560Y1 KR 20050020374 U KR20050020374 U KR 20050020374U KR 200396560 Y1 KR200396560 Y1 KR 200396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se
light
case
suction fan
lumi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종
Original Assignee
강경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종 filed Critical 강경종
Priority to KR20-2005-0020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충기의 기능을 함께 지닌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는 전등이 설치될 수 있는 제1 전등케이스, 상기 제1 전등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등케이스에 모여든 벌레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를 모으는 제2 전등케이스, 상기 제2 전등케이스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걸림방지턱 및 상기 제1 전등케이스와 상기 제2 전등케이스 경계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팬이 설치되는 분리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 된 면 타측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전등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그물망으로 형성된 포충망 덮개를 포함하여, 어두울 때 주변을 밝게 하는 전등의 기능과 흡입팬의 날개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강하게 벌레를 흡입하여 벌레를 잡는 포충기의 기능을 함께 지닌 포충기 겸용 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충기 겸용 등기구{.}
본 고안은 포충기의 기능도 함께하는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정집, 식당, 우사나 돈사 또는 주유소나 공원 등에 설치하여 어두울 때 불을 밝히고, 모기나 나방과 같은 곤충들을 불빛으로 유인하여 흡입팬을 사용하여 포획하도록 한 포충기 겸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작물과 인체, 가축들에게 해를 끼치는 모기, 파리, 하루살이 등과 같은 날벌레나 해충을 박멸하기 위해 주로 살충제를 사용했다.
그러나, 살충제에는 인체에 유해한 유독성 화학약품이 함유되어 있어 과도한 사용시 호흡곤란 등과 같은 인체에 부작용을 유발시키며, 휘발성 재료를 사용하여 화재의 위험도 지니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살충제는 인체뿐만 아니라 해충의 천적 및 다른 생물들에게도 악영향을 미쳐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인식되며,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
또한, 과도한 살충제의 사용으로 살충제에 대한 해충들의 저항력이 커져 근래에는 해충들을 죽이기 위해 살충제의 독성을 증가시키고 있어 생태계 파괴나 환경오염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살충제의 악영향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체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그 대체방법에는 생분해성 살충제나 천적을 이용하는 방법, 유도살충 등이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살충제를 사용할 때보다 그 효과는 미약한 수준이다.
유도살충의 예로는 빛을 보고 모여드는 곤충의 특성을 이용하여, 적외선 히터램프를 장착하여 불빛을 보고 모여든 곤충이 접근하면 가열된 램프의 열에 의해 타죽도록 하는 포충기를 이용한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지만, 해충이 소각되면서 타다닥 하는 소음과 연기, 냄새가 발생하고, 소각된 해충의 사체가 외부로 떨어져 환경에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는 전등이 설치될 수 있는 제1 전등케이스, 상기 제1 전등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등케이스에 모여든 벌레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를 모으는 제2 전등케이스, 상기 제2 전등케이스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걸림방지턱 및 상기 제1 전등케이스와 상기 제2 전등케이스 경계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팬이 설치되는 분리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 된 면 타측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전등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그물망으로 형성된 포충망 덮개를 포함하여, 어두울 때 주변을 밝게 하는 전등의 기능과 흡입팬의 날개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강하게 벌레를 흡입하여 벌레를 잡는 포충기의 기능을 함께 지닌 포충기 겸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포충기 겸용 등기구는, 포충기의 기능을 겸하는 등기구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는 전등이 설치될 수 있는 제1 전등케이스, 상기 제1 전등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등케이스에 모여든 벌레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를 모으는 제2 전등케이스, 상기 제2 전등케이스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걸림방지턱 및 상기 제1 전등케이스와 상기 제2 전등케이스 경계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팬이 설치되는 분리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 된 면 타측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전등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그물망으로 형성된 포충망 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전등케이스는, 전등을 설치할 수 있는 소켓 및 내부 상단에 상기 전등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전등케이스의 측면은, 내부가 보이는 외벽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등을 켰을 때, 불빛이 외부에서 보이며, 상기 제2 전등케이스의 측면은 그물망으로 외벽이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천장 또는 지붕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등케이스 및 제2 전등케이스를 상기 천장 또는 지붕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주변에 상기 제1 전등케이스 및 제2 전등케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나사홀이 형성된 부착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착지지대와 천장 또는 지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등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나사홀이 상기 제1 전등케이스 및 제2 전등케이스의 상부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등케이스 및 제2 전등케이스의 상부 외측 중앙에 상기 등기구를 매달 수 있는 연결고리를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팬은, 날개가 이중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망 겸용 등기구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망 겸용 등기구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기 겸용 등기구(100)는 전구를 설치할 수 있는 소켓(122)이 포함된 제1 전등케이스(120), 제1 전등케이스(120)에 유인된 벌레를 흡입하는 흡입팬(140), 흡입팬(140)이 흡입한 벌레를 모으는 제2 전등케이스(160), 제1 전등케이스(120)와 제2 전등케이스(16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전등케이스(120)와 제2 전등케이스(160)를 구분하고, 흡입팬(140)이 설치되는 분리판(102) 및 제2 전등케이스(160)를 덮는 포충망 덮개(18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포충기 겸용 등기구(100)의 각 모서리는 자석이 붙는 철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등케이스(120)의 외벽은 내부가 보이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강화유리 등의 외부 충격에 버틸 수 있으며 제1 전등케이스(120)내에 위치하게 되는 전등(미도시)을 켰을 때, 외부에서 전등의 불빛이 보이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등케이스(120)의 상부에 반사판(124)을 설치하여, 제1 전등케이스(120)의 소켓(122)과 결합하는 전등을 켰을 때, 제1 전등케이스(120)의 상부에 위치한 반사판(124)에 의해 외부로 나가는 불빛이 더 밝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전등케이스(120)의 소켓(122)과 결합하는 전등은 전원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온(on), 오프(off)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전등케이스(160)의 외벽은 날벌레나 해충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그물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등케이스(120)의 전등 불빛에 유인되어 모인 벌레를 흡입하여 제2 전등케이스(160)로 모으기 위한 흡입팬(140)은, 제1 전등케이스(120)와 제2 전등케이스(16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전등케이스(120)와 제2 전등케이스(160)를 나누는 분리판(10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팬(140)의 날개는 흡입방향으로 이중 직렬 설치가 되어 있어서, 기존의 날개가 하나로 이루어진 흡입팬보다 강력하게 해충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흡입팬(140)은 전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가 리모콘(미도시)을 사용하여 해충이 많은 6월 ~ 9월에 언제든지 작동시킬 수 있고, 해충이 많지 않은 시기에는 흡입팬(140)을 작동시키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충망 덮개(18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그물망으로 되어 있어 제2 전등케이스(160)에 포획된 날벌레들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며, 분리판(102)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 된 면 타측에 자석이 구비되어 제2 전등케이스(160)를 덮을 수 있으며, 포충망 덮개(18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8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충망 덮개(180)를 완전히 열면 제1 전등케이스(120)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닫게 된다.
부착지지대(110)는 포충망 겸용 등기구(100)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제1 나사홀(112)이 상기 부착지지대(110)의 바깥면에 적어도 두 개 형성되지만, 상기 부착지지대(110)의 바깥면에 적어도 네 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지지대(110)와 나사결합하기 위해 포충망 겸용 등기구(100)의 상부 바깥면에 상기 부착지지대(110)에 형성된 제1 나사홀(112)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갯수로 제2 나사홀(12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전등케이스(160)의 일측면에는 리모콘 수신장치(106)를 설치하기 위한 리모콘 수신장치 거치대(104)가 형성된다. 상기 리모콘 수신장치 거치대(104)에 설치되는 리모콘 수신장치(106)는 상기 흡입팬(140)을 구동시키는 모터(144)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보내는 신호를 받아 상기 흡입팬(140)을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킨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망 겸용 등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흡입팬(140)은 분리판(102)의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며, 흡입팬(140)은 날개가 두 개 부착된 이중날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팬(140)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44) 및 상기 모터를 보호하고, 흡입팬(140)에 의해 흡입된 날벌레가 퍼지면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모터케이스(142)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흡입팬(140)을 온(on)시키면 흡입팬(140)이 회전을 하게 되고, 흡입팬(140)의 회전에 의해 공기와 함께 제1 전등케이스(120)에서 제2 전등케이스(160)의 내측으로 벌레가 흡입되고, 흡입된 벌레는 제2 전등케이스(160)에 모이게 된다.
제2 전등케이스(160)는 모터케이스(142)를 통과한 날벌레가 제2 전등케이스(160)의 그물망으로 형성된 일측 외벽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방지턱(162)을 더 포함한다.
또한, 걸림방지턱(162)은 흡입되어 제2 전등케이스(160)에 모인 벌레를 아래로 떨어뜨려 상기 벌레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망 겸용 등기구의 설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착지지대(110)는 천정 또는 지붕 등 포충망 겸용 등기구(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위쪽에 위치시키고, 상기 천정 또는 지붕의 아래에 포충망 겸용 등기구(100)를 제1 나사홀(112)과 제2 나사홀(1242)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제1 전등케이스(120) 및 제2 전등케이스(160) 측으로부터 볼트(114)를 사용하여 포충망 겸용 등기구(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포충망 겸용 등기구(100)를 설치하는 방법은 도 4에 제시된 방법 외에도, 포충망 겸용 등기구(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이 외부이거나, 천정 또는 지붕 등 도 4와 같이 부착할 수 없는 곳일 경우, 포충망 겸용 등기구(100)를 매달 수 있는 연결고리를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는 전등이 설치될 수 있는 제1 전등케이스, 상기 제1 전등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등케이스에 모여든 벌레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를 모으는 제2 전등케이스, 상기 제2 전등케이스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걸림방지턱 및 상기 제1 전등케이스와 상기 제2 전등케이스 경계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팬이 설치되는 분리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 된 면 타측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전등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그물망으로 형성된 포충망 덮개를 포함하여, 어두울 때 주변을 밝게 하는 전등의 기능과 흡입팬의 날개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강하게 벌레를 흡입하여 벌레를 잡는 포충기의 기능을 함께 지닌 포충기 겸용 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망 겸용 등기구의 하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망 겸용 등기구의 상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망 겸용 등기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망 겸용 등기구의 설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충기 겸용 등기구
102: 분리판 104: 리모콘 수신장치 거치대
106: 리모콘 수신장치 110: 부착지지대
112: 제1 나사홀 114: 볼트
120: 제1 전등케이스 122: 소켓
124: 반사판 1242: 제2 나사홀
140: 흡입팬 142: 모터케이스
144: 모터 160: 제2 전등케이스
162: 걸림방지턱 180: 포충망 덮개
182: 손잡이

Claims (7)

  1. 포충기의 기능을 겸하는 등기구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는 전등이 설치될 수 있는 제1 전등케이스;
    상기 제1 전등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등케이스에 모여든 벌레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를 모으는 제2 전등케이스;
    상기 제2 전등케이스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가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걸림방지턱; 및
    상기 제1 전등케이스와 상기 제2 전등케이스 경계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팬이 설치되는 분리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 된 면 타측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전등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그물망으로 형성된 포충망 덮개;를 포함하는 포충기 겸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등케이스는,
    전등을 설치할 수 있는 소켓; 및
    내부 상단에 상기 전등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겸용 등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등케이스의 측면은, 내부가 보이는 외벽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등을 켰을 때, 불빛이 외부에서 보이며, 상기 제2 전등케이스의 측면은 그물망으로 외벽이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벌레를 포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겸용 등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천장 또는 지붕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전등케이스 및 제2 전등케이스를 상기 천장 또는 지붕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주변에 상기 제1 전등케이스 및 제2 전등케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나사홀이 형성된 부착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겸용 등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지지대와 천장 또는 지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등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나사홀이 상기 제1 전등케이스 및 제2 전등케이스의 상부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겸용 등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등케이스 및 제2 전등케이스의 상부 외측 중앙에 상기 등기구를 매달 수 있는 연결고리를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겸용 등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은,
    날개가 이중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겸용 등기구.
KR20-2005-0020374U 2005-07-13 2005-07-13 포충기 겸용 등기구 KR200396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74U KR200396560Y1 (ko) 2005-07-13 2005-07-13 포충기 겸용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74U KR200396560Y1 (ko) 2005-07-13 2005-07-13 포충기 겸용 등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141A Division KR100552604B1 (ko) 2005-07-13 2005-07-13 포충기 겸용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560Y1 true KR200396560Y1 (ko) 2005-09-22

Family

ID=4369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374U KR200396560Y1 (ko) 2005-07-13 2005-07-13 포충기 겸용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5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KR100632277B1 (ko) 포충기
CA2543218A1 (en) Bug-vac light
KR100945366B1 (ko) 친환경 주야간 해충 포획장치
KR100753435B1 (ko) 해충 포집장치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JP3136423U (ja) 害虫捕獲器
KR100928094B1 (ko)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20130115963A (ko) 날벌레 차단 포획구
JP2001231424A (ja) 照明器用捕虫ユニット
KR101270820B1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KR100924160B1 (ko) 필터가 구비된 포충기
JP3139542U (ja) 害虫捕獲器
KR100632278B1 (ko) 포충기
JP2009022236A (ja) 害虫捕獲器
KR102603570B1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KR20090005532U (ko) 해충 포획기
KR200396560Y1 (ko) 포충기 겸용 등기구
JPH076778Y2 (ja) 間欠駆動する大型のファンを利用した捕虫器
KR100552604B1 (ko) 포충기 겸용 등기구
KR200407272Y1 (ko) 흡입식 포충기
KR200421269Y1 (ko) 해충 포집장치
CN102301986A (zh) 一种柜式蝇虫诱捕器
KR100537635B1 (ko) 해충 포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