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486Y1 -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486Y1
KR200396486Y1 KR20-2005-0018253U KR20050018253U KR200396486Y1 KR 200396486 Y1 KR200396486 Y1 KR 200396486Y1 KR 20050018253 U KR20050018253 U KR 20050018253U KR 200396486 Y1 KR200396486 Y1 KR 200396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support
skirt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손텍
Priority to KR20-2005-0018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65G21/2081Laterial guidance means for bulk material, e.g.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8Protective roofs or arch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287Constructional features of deck or surround
    • B65G69/2876Safety or protection means, e.g.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의 절손사고를 제거하고, 조업 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 위험도를 낮추며, 벨트컨베이어의 마모로 인한 낙광 및 비산먼지를 최대한 없애는 동시에 신속히 대처하고, 외부에서 스커트의 내부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측판(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면판(20), 측판(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30), 측판(10)에 접시머리볼트(1)와 너트(2)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라이너(40), 측판(10)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서포트(50)로 구성된 스커트(S)에 있어서, 상기 측판(10)을 내마모 강판으로 제작하여 그 외면에 라이너(40)를 체결하고, 상기 측판(10)의 상부 외측에 플랜지(11)를 용접하며, 상기 라이너(40)의 외면에 브래킷(41)을 용접하고, 상기 커버(30),측판(10)의 플랜지(31)(11)와 라이너(40)의 브래킷(41)에 스터드볼트(3)를 끼워 너트(4)로 체결하며, 상기 서포트(50)의 내측으로 측판(10)에 고정되는 지지바(51)를 설치하되, 최후방 양측 서포트(50)의 후면에 축봉(60)이 끼워지는 축받침대(52)를 용접하고, 상기 배면판(20)의 상부에는 축봉(60)에 끼워지는 회전파이프(21)를 용접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skirt of belt conveyor}
본 고안은 제철소 및 발전설비 고체원료수송용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skirt)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벨트컨베이어의 절손사고를 제거하고, 조업 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 위험도를 낮추며, 벨트컨베이어의 마모로 인한 낙광 및 비산먼지를 최대한 없애는 동시에 신속히 대처하고, 외부에서 스커트의 내부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기존의 벨트컨베이어 스커트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스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에서 사용되는 원료를 수송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캐리어롤러와 상부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된 광석은 헤드풀리부에 있는 슈트(chute)로 떨어지고, 슈트로 떨어진 광석은 스커트를 거쳐 하부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된다. 이때, 슈트로 떨어진 광석은 슈트의 콘(cone)부를 지나면서 광석이 튀게 되고, 그 튀어 오른 광석은 결국 하부 스커트로 떨어지게 되는데, 슈트에서 튀긴 광석은 낙하하는 힘과 튀는 힘이 더해져 하부 스커트에 충격마모와 슬라이딩마모를 증대시키게 된다.
따라서 슈트에서 떨어지는 광석은 하부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되면서 낙광(落鑛)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고 원활한 운송을 위해 슈트의 하부에는 스커트가 설치된다.
스커트는 슈트와 벨트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의 스커트는 양측 측판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면판, 상기 양측 측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 상기 양측 측판의 내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각각 배열되어 접시머리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라이너(하드페이싱), 상기 양측 측판의 외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각각 부착되어 양측 측판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다수개의 서포트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양측 측판은 일반 철판으로 제작되고, 상기 라이너는 내마모재(하드페이싱) 강판으로 제작되며, 한편 벨트컨베이어와 라이너의 갭(Gap)은 분진비산 방지를 위해 최대 5㎜ 이내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는 구조적으로 라이너의 하부 모서리부가 마모되어도, 교체하기가 어렵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해 있어서 적기에 교체하기가 어려워서 낙광 및 비산분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접시머리볼트의 마모로 인해 라이너가 탈락되어도 제때 점검하여 조치하기가 곤란하여 벨트컨베이어의 절손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마모된 라이너의 교체작업 시 협소한 스커트의 안쪽에서 작업하였기 때문에 협소한 작업공간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위험 및 작업시간의 증가로 가동시간이 감소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배면판이 양측 측판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구조적으로 한번 결합되면 외부에서 스커트의 내부를 점검할 수 없고, 스커트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배면판을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스커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벨트컨베이어의 절손사고를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아이템관리와 작업의 편의성을 높여 조업 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 위험도를 낮추며, 벨트컨베이어의 마모로 인한 낙광 및 비산먼지를 최대한 없애는 동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유지보수가 쉽도록 외부에서 스커트의 내부를 언제든지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측판과 외면 라이너를 내마모 강판으로 제작하여 접시머리볼트와 너트로 직접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고, 측판의 상부 외측과 라이너의 외면에 플랜지 및 브래킷을 각각 설치하여, 측판의 플랜지 및 라이너의 브래킷을 스터드볼트를 끼워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외부에서 벨트컨베이어와 라이너의 갭(Gap)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최후방 양측으로 설치되는 서포트의 후면에 축봉이 끼워지는 축받침대를 설치하고, 배면판의 상부에는 축봉이 끼워지는 회전파이프를 설치하여 연결함으로써 언제든지 벨트컨베이어 내부를 손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 측판(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면판(20), 측판(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30), 측판(10)에 접시머리볼트(1)와 너트(2)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라이너(40), 측판(10)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서포트(50)로 구성된 스커트(S)에 있어서, 상기 측판(10)을 내마모 강판으로 제작하여 그 외면에 라이너(40)를 체결하고, 상기 측판(10)의 상부 외측에 플랜지(11)를 용접하며, 상기 라이너(40)의 외면에 브래킷(41)을 용접하고, 상기 커버(30),측판(10)의 플랜지(31)(11)와 라이너(40)의 브래킷(41)에 스터드볼트(3)를 끼워 너트(4)로 체결하며, 상기 서포트(50)의 내측으로 측판(10)에 고정되는 지지바(51)를 설치하되, 최후방 양측 서포트(50)의 후면에 축봉(60)이 끼워지는 축받침대(52)를 용접하고, 상기 배면판(20)의 상부에는 축봉(60)에 끼워지는 회전파이프(21)를 용접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커트(S)는 슈트(C)와 벨트컨베이어(B)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커트(S)는 주지된 바와 같이 슈트(C)에서 떨어지는 광석이 벨트컨베이어(B)의 가장자리를 통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때 발생되는 분진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측판(10)은 특수 내마모 강판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이러한 측판(10)은 특수 내마모 강판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의 스커트처럼 스커트박스 안쪽에 별도의 라이너를 부착하는 이중구조를 탈피하고 일체형으로써 구조의 단순화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측판(10)이 특수 내마모 강판으로 제작되어 라이너를 일체로 겸하기 때문에 도 7에서와 같이 측판(10)의 외면에 라이너(40)를 배열하여 접시머리볼트(1)와 너트(2)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판(1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적정간격을 두고 접시머리볼트(1)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볼트공(10a)이 천공된다.
상기 측판(10)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용접되는 플랜지(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플랜지(11)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스터드볼트(3)와 볼트(5)가 각각 끼워지는 다수개의 볼트공(12)(13)이 적정간격을 두고 천공된다. 이때, 상기 볼트(5)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너트(6)가 체결된다.
상기 배면판(20)은 양측 측판(10)의 후방에 회전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면판(20)의 상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축봉(60)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회전파이프(21)가 용접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도 9에서와 같이 배면판(20)이 축봉(60)에 끼워진 회전파이프(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고 닫힌다.
상기 배면판(20)의 외측으로는 도 4,5에서와 같이 고무판(22)과 고정판(23)이 볼트,너트체결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23)의 중앙부에는 손잡이(24)가 용접된다. 이때, 상기 고무판(22)은 틈새를 없애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고정판(23)은 회전파이프(21)가 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손잡이(24)는 점검자가 배면판(20)을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하여준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광석이 뒤로 밀리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도 5에서와 같이 배면판(20)의 하부를 길게 연장하여 벨트컨베이어(B)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제작하고, 또한 갭을 최대한 없애기 위해 고무판(22)은 배면판(20)보다 조금 더 크게 제작한다.
상기 커버(30)는 양측 측판(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커버(30)의 양측 외면 하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플랜지(31)가 용접되고, 플랜지(31)에는 스터드볼트(3)와 볼트(5)가 각각 끼워지는 다수개의 볼트공(32)(33)이 적정간격을 두고 천공된다. 이때, 상기 커버(30)의 후방 상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슈트(C)가 설치된다.
상기 라이너(40)는 내마모 강판으로 제작되어 도 1에서와 같이 양측 측판(10)의 외면에 적정간격을 두고 각각 배열되어 접시머리볼트(1)와 너트(2)로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라이너(4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접시머리볼트(1)가 끼워지는 장공(40a)이 천공되고, 라이너(40)의 외면에는 브래킷(41)이 용접되고, 브래킷(41)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스터드볼트(3)가 끼워지는 볼트공(41a)이 천공된다. 이때, 상기 라이너(40)에는 접시머리볼트(3)가 끼워지는 구멍이 장공(40a)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특히 라이너(40)와 벨트컨베이어(B)의 사이 갭을 좀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 중 마모에 의해 약간의 갭이 발생하여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40)의 외측 하부에는 도 6,7에서와 같이 대각선상으로 경사진 경사면(4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라이너(40)의 외측 하부에 경사면(42)을 형성한 이유는 벨트컨베이어(B)와의 갭을 최대한 줄여 벨트컨베이어(B)의 손상방지 및 최소의 갭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스터드볼트(3)는 도 3과 도 6에서와 같이 커버(30),측판(10)의 플랜지(31)(11)에 천공된 볼트공(32)(12)과 라이너(40)의 브래킷(41)에 천공된 볼트공(41a)으로 끼워져 다수개의 너트(4)체결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라이너(40)가 접시머리볼트(1)와 스터드볼트(3)를 통해 측판(10)에 2중으로 견고하게 체결되기 때문에, 특히 접시머리볼트(1)가 마모되어도 라이너(40)는 스터드볼트(3)에 의해 지지되므로 탈락이 방지된다.
상기 서포트(50)는 양측 측판(1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서포트(50)의 내측에는 측판(10)에 고정되는 지지바(51)가 설치되고, 최후방 양측 서포트(50)의 후면에는 축봉(60)이 끼워지는 축받침대(52)가 용접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51)는 측판(10)에 직접 용접으로 고정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측판(10)에는 지지바고정용 브래킷(100)이 부착되고, 상기 지지바(51)는 브래킷(100)에 다수개의 볼트(110)와 너트(120)체결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51)와 브래킷(100)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볼트(110)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볼트공(51a)(100a)이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최후방 양측 서포트(50)의 후면에는 보조받침대(53)가 용접되고, 상기 양측 보조받침대(53)에는 배면판(20)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봉(70)이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최후방 서포트(50)의 지지바(51)에는 내마모 강판으로 제작된 틈새차단판(54)이 용접된다.
상기 보조받침대(53)는 단속봉(7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조받침대(53)는 축받침대(52)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틈새차단판(54)은 배면판(20)과 라이너(40)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틈새차단판(54)은 측판(10)의 후방에 용접되고, 틈새차단판(54)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단속봉(70)이 끼워지는 구멍(54a)이 천공된다.
상기 축봉(60)은 배면판(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축봉(60)은 최후방에 위치하는 양측 서포트(50)의 축받침대(52)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고, 축봉(60)에는 배면판(20)의 회전파이프(21)가 끼워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도 9에서와 같이 손잡이(26)를 잡고 배면판(20)을 후방으로 당기면 배면판(20)이 축봉(60)에 끼워진 회전파이프(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기 때문에, 특히 점검자가 언제든지 배면판(20)을 간단하게 열고 외부에서 스커트(S)의 내부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상기 단속봉(70)은 배면판(20)이 불필요하게 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단속봉(70)은 최후방 양측 서포트(50)의 보조받침대(53)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고, 조립 시 단속봉(70)은 양측 틈새차단판(54)의 구멍(54a)으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단속봉(70)의 일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소켓(71)이 나사체결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소켓(71)을 풀고 단속봉(70)을 조립의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보조받침대(53)와 구멍(54a)으로 끼워진 단속봉(70)을 간단하게 빼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단속봉(70)을 조립하면 배면판(20)은 단속봉(70)에 걸려 열리지 않게 되고, 한편 단속봉(70)을 분리하면 배면판(20)의 간단하게 열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커트(S)도 슈트(C)와 벨트컨베이어(B) 사이에 설치되어 슈트(C)에서 떨어지는 광석이 벨트컨베이어(B)의 가장자리를 통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때 발생되는 분진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측판(10)이 특수 내마모 강판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어 구조적으로 라이너의 역할을 겸하기 때문에 측판(10)의 외면으로 라이너(4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라이너(40)가 접시머리볼트(1)와 스터드볼트(3)를 통해 측판(10)에 2중으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라이너(40)의 마모 시 작업자가 스커트(S)의 외부에서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마모된 라이너(40)의 교체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 및 긴 교체시간에 따른 가동시간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시머리볼트(1)가 마모되어도 라이너(40)는 스터드볼트(3)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탈락되지 않기 때문에 라이너의 탈락으로 인한 벨트컨베이어(B)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벨트컨베이어(B)의 절손사고를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벨트컨베이어(B)의 마모로 인한 낙광 및 비산먼지를 최대한 없애는 동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단속봉(70)을 빼낸 상태에서 손잡이(26)를 잡고 배면판(20)을 후방으로 당기면 배면판(20)이 축봉(60)에 끼워진 회전파이프(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기 때문에, 특히 유지보수가 쉽도록 점검자가 언제든지 배면판(20)을 간단하게 열고 외부에서 스커트(S)의 내부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의 절손사고를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아이템관리와 작업의 편의성을 높여 조업 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 위험도를 낮출 수 있으며, 벨트컨베이어의 마모로 인한 낙광 및 비산먼지를 최대한 없애는 동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쉽도록 외부에서 스커트의 내부를 언제든지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측판과 라이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판과 최후방 서포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판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터드볼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측판과 라이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면판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배면판의 개폐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접시머리볼트 3 : 스터드볼트
10 : 측판 11 : 플랜지
20 : 배면판 21 : 회전파이프
22 : 고무판 23 : 고정판
30 : 커버 31 : 플랜지
40 : 라이너 41 : 브래킷
42 : 경사면 50 : 서포트
51 : 지지바 52 : 축받침대
53 : 보조받침대 60 : 축봉
70 : 단속봉 S : 스커트

Claims (6)

  1. 측판(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면판(20), 측판(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30), 측판(10)에 접시머리볼트(1)와 너트(2)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라이너(40), 측판(10)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서포트(50)로 구성된 스커트(S)에 있어서, 상기 측판(10)을 내마모 강판으로 제작하여 그 외면에 라이너(40)를 체결하고, 상기 측판(10)의 상부 외측에 플랜지(11)를 용접하며, 상기 라이너(40)의 외면에 브래킷(41)을 용접하고, 상기 커버(30),측판(10)의 플랜지(31)(11)와 라이너(40)의 브래킷(41)에 스터드볼트(3)를 끼워 너트(4)로 체결하며, 상기 서포트(50)의 내측으로 측판(10)에 고정되는 지지바(51)를 설치하되, 최후방 양측 서포트(50)의 후면에 축봉(60)이 끼워지는 축받침대(52)를 용접하고, 상기 배면판(20)의 상부에는 축봉(60)에 끼워지는 회전파이프(21)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20)의 하부 외측으로는 고무판(22)과 고정판(23)이 볼트(24),너트(25)체결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23)의 중앙부에는 손잡이(26)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40)의 외측 하부에는 경사면(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방 양측 서포트(50)의 후면에는 보조받침대(53)가 용접되고, 상기 양측 보조받침대(53)에는 배면판(20)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봉(70)이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최후방 서포트(50)의 지지바(51)에는 내마모 강판으로 제작된 틈새차단판(54)이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51)는 측판(10)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0)에는 지지바고정용 브래킷(100)이 부착되고, 상기 지지바(51)는 브래킷(100)에 볼트(110)와 너트(120)체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KR20-2005-0018253U 2005-06-24 2005-06-24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KR200396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53U KR200396486Y1 (ko) 2005-06-24 2005-06-24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53U KR200396486Y1 (ko) 2005-06-24 2005-06-24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486Y1 true KR200396486Y1 (ko) 2005-09-23

Family

ID=4369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53U KR200396486Y1 (ko) 2005-06-24 2005-06-24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48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805B1 (ko) * 2009-09-28 2011-07-2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슈트의 분진 비산 방지장치
CN108773696A (zh) * 2018-07-27 2018-11-09 李建强 一种卸船机料斗下料口挡料机构
KR102133553B1 (ko) 2019-12-11 2020-07-13 (주)준티에스 낙광 방지장치
KR20210025335A (ko) 2019-08-27 2021-03-09 김문삼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비산먼지 차단장치
CN114715607A (zh) * 2022-03-21 2022-07-08 华能武汉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皮带机用可拆卸式导料槽侧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805B1 (ko) * 2009-09-28 2011-07-21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슈트의 분진 비산 방지장치
CN108773696A (zh) * 2018-07-27 2018-11-09 李建强 一种卸船机料斗下料口挡料机构
CN108773696B (zh) * 2018-07-27 2024-04-02 李建强 一种卸船机料斗下料口挡料机构
KR20210025335A (ko) 2019-08-27 2021-03-09 김문삼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비산먼지 차단장치
KR102133553B1 (ko) 2019-12-11 2020-07-13 (주)준티에스 낙광 방지장치
CN114715607A (zh) * 2022-03-21 2022-07-08 华能武汉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皮带机用可拆卸式导料槽侧板
CN114715607B (zh) * 2022-03-21 2024-01-26 华能武汉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皮带机用可拆卸式导料槽侧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486Y1 (ko) 벨트컨베이어의 스커트
TWI501911B (zh) 塊狀材料傳送帶系統及用於替換及移動耐磨護襯之方法
US8388070B2 (en) Mining machine, in particular surface miner, as well as method for the removal and installation of a transport device in a mining machine
AU2018291795B2 (en) Comminuting device
AU2011204802B2 (en) Conveyor chain cover
CN104812495A (zh) 破碎机料斗进给引导组件
RU2598083C2 (ru) Нижняя решетка измельчителя или барабанной дробилк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ижней решетки
KR101010603B1 (ko) 미분기
DK2789391T3 (en) Device for comminution of unit goods
AU2008238596B2 (en) Slurry return system for grinding mills
JP4879414B2 (ja) 破砕装置および破砕装置を搭載した移動式破砕機
CN219990385U (zh) 旋转快拆式衬板组件及导料槽
US8905344B1 (en) Horizontal grinder with side tilt feed roller
KR200345951Y1 (ko) 석탄 컨베이어 벨트의 슈트라이너 고정장치
WO2013097080A1 (zh) 矿用挖掘机及其回转滚动支撑装置
CN215109957U (zh) 一种保护固定螺栓结构
JP2004344811A (ja) 自走式木材破砕機
US20230330681A1 (en) Gyratory crusher with self-aligning mainshaft feature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JP4391410B2 (ja) 木材破砕機
JP2023173178A (ja) ローラスクリーンおよびローラスクリーンのローラ交換方法
JP4464653B2 (ja) 木材破砕装置
CN202356284U (zh) 滚筒式大块物料及杂物分离器
JP2003038978A (ja) 破砕装置
JP2005131515A (ja) 木材破砕装置
JP5731442B2 (ja) 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