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240Y1 -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 Google Patents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240Y1
KR200396240Y1 KR20-2005-0018821U KR20050018821U KR200396240Y1 KR 200396240 Y1 KR200396240 Y1 KR 200396240Y1 KR 20050018821 U KR20050018821 U KR 20050018821U KR 200396240 Y1 KR200396240 Y1 KR 200396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s
cylinder
push rod
tool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수
Original Assignee
주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수 filed Critical 주진수
Priority to KR20-2005-0018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A41D19/043Glove-turn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58Three-dimensional gloves
    • A41D19/0065Three-dimensional gloves with a textile layer underne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47G25/904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for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한 코팅된 장갑을 세척 할 때에 장갑의 내면을 세척하기 위해 뒤집음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안출한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6개의 밀대(31)(32)(33)(34)(35)(36)로 형성된 밀대부(30)와; 2단식 관통구멍이 하나씩 형성된 2개의 원통체(61)(63)와; 2단식 관통구멍이 4개 형성된 원통체(62)가 각각 하단부(64)로 결합되어 형성된 실린더부(50)와; 상단(77)에 상기 6개의 밀대를 고정하기 위한 6개의 암나사(71)(72)(73)(74)(75)(76)와 하단(78) 가장자리에 좌우상하 대칭되도록 돌출 체결구(79)가 형성된 받침대(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이다.

Description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omitted}
본 고안은 사용한 코팅된 장갑을 세척 할 때에 장갑의 내면을 세척하기 위해 뒤집음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안출한 오지 장갑 뒤집기 도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장이나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는 면장갑의 손가락과 손바닥 부위에 라텍스 등의 고무를 코팅한 고무코팅 장갑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장갑은 고무 코팅층이 장갑의 외면을 커버하고 장갑의 내면은 섬유층을 보존시켜 거친 물건 등에서 손을 보호함과 동시에 고무코팅으로 인해 장갑의 수명이 길어지고, 장갑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작업의 성과를 높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된 장갑은 손에서 발생하는 땀을 장갑이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하다 보면 손가락 마다 땀이 차고 이물질이 끼어 냄새가 나고 손에 고약한 냄새가 베개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탁을 하게 되는데 코팅된 오지 장갑의 내면을 세탁하기 위해서 상기의 장갑을 뒤집음에 있어서는 손등에서부터 손목부위까지는 통째로 되어 쉬이 뒤집어지나 손가락부분은 가느다랗게 형성되어 쉬이 뒤집어지지 아니하므로 손가락부위의 내면 세탁이 어려워 세탁을 등한하게 되어 위생에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손등 위와 손가락 위마다 다수의 통풍구를 다양하게 만든 통풍장갑이 상품화되지만, 이는 사용 중에 외부로부터 통풍구로 각종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안으로 들어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나노실버(NANO SILVER)분말과 LATEX 또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등의 고무장갑의 재질과 배합, 제조하여 장갑의 착용 중에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세균의 감염과 가려움증 피부발진 알레르기와 세균을 살균하는 장갑이 등장하였지만, 이는 가격이 고가로서 사용자에게 가격부담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무장갑을 뒤집는 경우에는 손등에서부터 손목부위까지는 통째로 되어 쉬이 뒤집어지나 손가락부분은 가느다랗게 형성되어 쉬이 뒤집어지지 아니하므로 보통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뒤집은 후 장갑 내부에 공기를 불어 넣고 입구를 막은 다음 공기를 손가락 쪽으로 밀어 올려 공기의 압축력에 의해 터뜨려 뒤집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반코팅 오지장갑은 손가락부분을 상기와 방법으로 뒤집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반코팅 오지장갑의 내면을 세탁함에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쉽게 장갑을 뒤집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반코팅 오지장갑의 사용자들이 장갑의 세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몇 차례 사용한 후에 폐기하던 장갑을 세탁을 해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위생을 향상시키며 생산 자원의 재활용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반코팅 오지장갑의 개략사시도로서, 도 1에서 가a)와 가b)는 왼손 손등방향과 손바닥방향의 사시도이고, 나a)와 나b)는 오른손 손등방향과 손바닥방향의 사시도이다. 반코팅 오지장갑(2)(102)은 부위별로 손목부(20)(120)와, 손바닥(21)(121) 또는 손등부(22)(122)와, 손가락부(23)(123)로 대별되며, 상기 손가락부와 손바닥 또는 손등부 사이에는 4개의 분기부(16)(116)가 있고, 상기 손가락부는 엄지(11)(111), 검지(12)(112), 중지(13)(113), 약지((14)(114), 소지(15)(115)로 대별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6개의 밀대(31)(32)(33)(34)(35)(36)로 형성된 밀대부(30)와, 2단식 관통구멍이 하나씩 형성된 2개의 원통체(61)(63)와, 2단식 관통구멍이 4개 형성된 원통체(62)가 각각 하단부(64)로 결합되어 형성된 실린더부(50)와, 상단(77)에 상기 6개의 밀대를 고정하기 위한 6개의 암나사(71)(72)(73)(74)(75)(76)와 하단(78) 가장자리에 좌우상하 대칭되도록 돌출 체결구(79)가 형성된 받침대(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밀대부(30)는 6개의 동일한 밀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대는 실린더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원통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밀대 선단부(37)의 하단은 실린더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9)을 형성하고, 상기 밀대 선단부의 상단은 오지 장갑(2)의 손가락 끝부분과 밀착되어 장갑이 안쪽으로 뒤집혀짐이 수월하도록 하향곡면(38)을 형성하고, 상기 밀대 후단부(40)에는 상기 6개의 암나사(71)(72)(73)(74)(75)(76)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부(50)에는 6개의 2단식 관통구멍(51)(52)(53)(54)(55)(5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들의 내측에는 단턱(58)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상측에 상부공간부(57)와 하측에 하부공간부(59)가 상기 6개의 관통구멍에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공간부(57)는 상기 6개의 관통구멍 상부공간부(57)에 삽입된 오지장갑(2)(102) 손가락끝부분이 상기 6개의 밀대(31)(32)(33)(34)(35)(36) 상단부의 상단 하향곡면(38) 끝부분과 밀착되어 장갑이 안쪽으로 뒤집힘이 가능하도록 실린더 내주연과 밀대 상단부 사이에 원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부(59)는 삽입된 각각의 밀대와 기밀하게 밀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6개의 밀대(30)(32)(33)(34)(35)(36) 외측면에 진공방지홈(45)이 일직선상으로 형성이 되어 반코팅 오지장갑(2)을 상기 도구를 이용하여 뒤집는 과정에서 실린더부(5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실린더부의 원통체(62)(63) 삽입구는 뒤집혀진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에 의해 덥혀지고, 상기 원통체(62)(63)의 하부공간부(59) 내주연은 삽입된 밀대와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서 상부공간부(57)에 형성된 공간이 팽창압력을 받지 않도록 해줌으로서 상기 실린더부의 하방향 이동을 수월하도록 해준다.
상기 받침대 상단(77)에는 6개 밀대(31)(32)(33)(34)(35)(36)를 고정하기 위한 6개의 암나사(71)(72)(73)(74)(75)(7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6개의 암나사와 상기 6개의 밀대 수나사와의 나사결합으로 서로 고정을 유지하며, 상기 받침대 하단(78)은 바닥에 안치가 가능하도록 평면을 형성하고, 필요할 시에 벽면에 체결수단으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대 하단 가장자리에 좌우상하 대칭되게 돌출된 체결구(79)가 형성된다.
그리고 실린더부의 6개 관통구멍(51)(52)(53)(54)(55)(56)에 삽입된 오지장갑의 손가락(11)(12)(13)(14)(15), (101)(102)(103)(104)(105)이 서로 길이가 다르고 상기 받침대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된 5개의 밀대(36)(35)(34)(33)(32),(31)(32)(33)(34)(35)는 길이가 동일하다. 이에 상기 간극 조정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된 오지장갑 손가락 끝부분과 상기 5개의 밀대 상단부의 상단 하향곡면(38) 끝부분이 밀접하도록 상기 5개의 밀대를 각각 회전시켜 나사 조임과 풀림을 이용하여 조정한다.
도2와 도3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는 실린더부(50)에 있는 6개 관통구멍(51)(52)(53)(54)(55)(56) 각각의 상부공간부(57)와 하부공간부(59)로 6개의 밀대(31)(32)(33)(34)(35)(36)를 통과시킨 후, 상기 밀대 하단부(40)에 형성된 수나사를 받침대(70) 상단(77)에 형성된 암나사(71)(72)(73)(74)(75)(76)에 차례로 나사결합 시켜서 완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로서, 상기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작동상태에 따라 순서대로 변화 모양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가)는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1)를 바닥에 안치하고 오른손(미도시)으로는 상기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실린더부(50)를 파지한 후에 6개의 밀대 상단부(37)의 걸림턱(39)에 실린더부(50)의 단턱(58)이 닿을 때까지 상방향으로 끌어 올린 상태를 유지하고, 반코팅 오지장갑을 낀 왼손(2)은 손등부(22)를 상방향, 손가락부(23)를 하방향으로 서로 직각이 되도록 하고, 엄지(11)와 검지, 중지, 약지, 소지(12)(13)(14)(15)가 동일한 하방향이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나)는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2)을 낀 왼손의 엄지(11)는 상기 실린더부의 원통체(63)의 관통구멍(56)에, 검지(12)는 원통체(62)의 관통구멍(55)에, 중지(13)는 상기 원통체(62)의 관통구멍(54)에, 약지(14)는 상기 원통체(62)의 관통구멍(53)에, 소지(15)는 상기 원통체(62)의 관통구멍(52)에, 상기 관통구멍(52)(53)(54)(55)(56) 상단에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 4개의 분기부(16)가 밀착될 때까지 각각 삽입한 후에 상기 손가락부(23)가 상기 관통구멍의 상부공간부(56)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손가락으로 상기 실린더부를 파지하고, 상기 가)에서 상기 실린더부를 파지하고 있던 오른손(미도시)은 상기 실린더부에서 떼어 상기 2개의 원통체(62)(63)에 삽입된 상기 손가락부(23) 각각의 손가락 끝부분이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 있는 5개의 밀대(32)(33)(34)(35)(36) 상단부의 상단 하향곡면(38) 끝부분에 밀착되도록 상기 5개의 밀대를 회전시켜 상하 조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삽입된 손가락부(23) 각각의 손가락 끝부분과 밀대 상단부의 상단 하향곡면(38) 끝부분과의 밀착상태는 하기 마)과정이 끝날 때까지 지속을 유지시킨다.
도 5의 다)는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을 낀 왼손 손가락부(23)가 실린더 상부공간부(57)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부(50)를 파지한 상태에서 오른손(미도시)으로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을 낀 왼손 손목부(20)의 소매 끝단을 잡고 벗기어 실린더부(50)의 2개 원통체(62)(63) 외측면에 씌워 내려져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의 손바닥부(21)와 손등부(22)와 손목부(20)가 뒤집혀진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50)를 뒤덮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라)는 상기 실린더 상부공간부(57)에 삽입된 왼손 손가락부(23) 각각의 손가락 끝부분이 5개의 상기 밀대 상단부의 상단 하향곡면(38) 끝부분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이 뒤집혀진 상태에서 오른손 검지손가락을 상기 실린더부의 원통체(62)와 원통체(63)사이로 관통시켜 상기 뒤집혀진 반코팅 오지장갑의 엄지(11)와 검지(12)사이의 분기부(16)에 밀착시키고 상기 오른손의 엄지, 중지, 약지, 소지로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의 손바닥부와 손등부와 손목부가 뒤집혀진 실린더부(50) 외측면을 감싸듯이 파지한 후, 파지한 상태의 오른손을 하방향으로 서서히 내리면서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의 손가락부(23) 끝부분이 중앙으로 말려 솟아 올라가도록 하여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의 손가락부(23)가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공간부에서 뒤집혀져 밖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마)는 상기 5개의 밀대가 상기 실린더 상부공간부(57)에서 상방향으로 상기 오지장갑의 손가락부(23) 끝부분을 밀어 올려서 밖으로 솟아올라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의 손가락부가 밖으로 완전히 뒤집혀지고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을 낀 왼손이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반코팅 오지장갑을 낀 왼손 뒤집기 과정을 일예로 든 것으로서, 반코팅 오지장갑을 낀 오른손 뒤집기 과정은 상기 실시예에서 왼손과 오른손이 뒤바뀐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1)를 바닥에 안치하고 왼손은 상기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실린더부(30)를 파지한 후에 6개의 밀대 상단부 걸림턱(39)에 실린더부(50)의 단턱(58)이 닿을 때까지 상방향으로 끌어 올린 상태를 유지하고 반코팅 오지장갑(102)을 낀 오른손의 손등부(122)를 상방향, 손가락부(123)를 하방향으로 서로 직각이 되도록 하고, 엄지(111)와 검지, 중지, 약지, 소지(112)(113)(114)(115)가 동일한 하방향이 되도록 하고,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을 낀 오른손의 엄지(111)는 실린더부 원통체(61)의 관통구멍(51)에, 검지(112)는 원통체(62)의 관통구멍(52)에, 중지(113)는 상기 원통체(62)의 관통구멍(53)에, 약지(114)는 상기 원통체(62)의 관통구멍(54)에, 소지(115)는 상기 원통체(62)의 관통구멍(55)에 상기 관통구멍(51)(52)(53)(54)(55) 상단에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 4개의 분기부(116)가 밀착될 때까지 각각 삽입한 후에 상기 손가락부(123)가 상기 관통구멍들의 상부공간부(57)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손가락으로 상기 실린더부(50)를 파지하고, 상기 실린더부를 파지하고 있던 왼손은 상기 실린더부에서 떼어 상기 2개의 원통체(61)(62)에 삽입된 상기 손가락부(123) 각각의 손가락 끝부분이 상기 실린더부 내측에 있는 5개의 밀대(31)(32)(33)(34)(35) 상단부의 상단 하향곡면(38) 끝부분에 밀착되도록 상기 5개의 밀대를 회전시켜 상하 조정시킨 후,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을 낀 오른손 손가락부(123)가 실린더 상부공간부(57)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부(50)를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으로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을 낀 오른손 손목부(120)의 소매 끝단을 잡고 벗기어 실린더부(50)의 2개 원통체(61)(62) 외측면에 씌워 내려져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의 손바닥부(121)와 손등부(122)와 손목부(120)가 뒤집혀진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50)를 뒤덮게 한 후, 상기 실린더 상부공간부(57)에 삽입된 오른손 손가락부(123) 각각의 손가락 끝부분이 5개의 상기 밀대 상단부의 상단 하향곡면(38) 끝부분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이 뒤집혀진 상태에서 왼손 검지손가락(미도시)을 상기 실린더부의 원통체(61)와 원통체(62)사이로 관통시켜 상기 뒤집혀진 반코팅 오지장갑의 엄지(111)와 검지(112)사이의 분기부(116)에 밀착시키고 상기 왼손의 엄지, 중지, 약지, 소지로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의 손바닥부와 손등부와 손목부가 뒤집혀진 실린더부(50) 외측면을 감싸듯이 파지한 후, 파지한 상태의 왼손을 하방향으로 서서히 내리면서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의 손가락부(123) 끝부분이 중앙으로 말려 솟아 올라가도록 하여 상기 반코팅 오지장갑의 손가락부(123)가 상기 실린더부의 상부공간부에서 뒤집혀져 밖으로 솟아오르도록 하여 완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오지 반코팅 오지장갑(2)을 착용한 검지(12)가 관통구멍(55)에 상기 도 5의 가)나)다)라)마) 순서대로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를 이용하여 반코팅 오지장갑을 뒤집어 세탁을 한 후에는 상기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를 이용하여 작동과정을 역순으로 시행함으로서 뒤집어진 반코팅 오지장갑을 원위치 시킨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반코팅 오지장갑의 내면의 세탁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반코팅 오지장갑의 사용자들이 장갑의 세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몇 차례 사용한 후에 폐기하던 장갑을 세탁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위생을 향상시키며 자원 재활용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반코팅 오지장갑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2,102 : 반코팅 오지장갑
30 : 밀대부 31,32,33,34,35,36 : 밀대 37 : 상단부 39 : 걸림턱 40 : 하단부 45 : 진공방지홈
50 : 실린더부 51,52,53,54,55,56 : 관통구멍 57 : 상부공간부 58 : 단턱 59 : 하부공간부
70 : 받침대 71,72,73,74,75,76 : 암나사 79 : 체결구

Claims (4)

  1. 6개의 밀대(31)(32)(33)(34)(35)(36)로 형성된 밀대부(30)와; 2단식 관통구멍이 하나씩 형성된 2개의 원통체(61)(63)와, 2단식 관통구멍이 4개 형성된 원통체(62)가 각각 하단부(64)로 결합되어 형성된 실린더부(50)와; 상단(77)은 상기 6개의 밀대를 고정하기 위한 6개의 암나사(71)(72)(73)(74)(75)(76)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78)은 바닥에 안치가 가능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 가장자리에 좌우상하 대칭되게 돌출된 체결구(79)가 형성된 받침대(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실린더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원통형상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밀대 선단부(37)의 하단에는 실린더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9)을 형성하고, 상기 밀대 선단부의 상단은 오지 장갑(2)의 손가락 끝부분과 밀착되어 장갑이 안쪽으로 뒤집혀짐이 수월하도록 하향곡면(38)을 형성하고, 상기 밀대 후단부(40)에는 받침대 상단(77)에 형성된 6개의 암나사(71)(72)(73)(74)(75)(76)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밀대 외측면에는 진공방지홈(45)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식 관통구멍 내측에는 단턱(58)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상측에 상부공간부(57)와 하측에 하부공간부(59)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간부는 삽입된 오지장갑 손가락 끝부분이 밀대의 상단곡면(38) 끝부분과 밀착되어 장갑이 안쪽으로 뒤집힘이 가능하도록 실린더 내주연과 밀대 외주연 간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공간부는 삽입된 밀대와 기밀하게 밀접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상단(64)의 암나사와 상기 밀대 하단부(40)의 수나사는 나사결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결합의 5개의 밀대를 각각 회전시켜 나사 조임과 풀림을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부의 6개 관통구멍에 삽입된 오지장갑 손가락 끝부분과 상기 밀대 상단부 상단 하향곡면(38) 끝부분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KR20-2005-0018821U 2005-06-29 2005-06-29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KR200396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821U KR200396240Y1 (ko) 2005-06-29 2005-06-29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821U KR200396240Y1 (ko) 2005-06-29 2005-06-29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473A Division KR20050074413A (ko) 2005-06-27 2005-06-27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240Y1 true KR200396240Y1 (ko) 2005-09-20

Family

ID=4369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821U KR200396240Y1 (ko) 2005-06-29 2005-06-29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2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97883T1 (de) Fausthandschuh zum abstauben
KR20050074413A (ko)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KR200396240Y1 (ko)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DE3869062D1 (de) Torwarthandschuh.
KR20050080742A (ko)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WO2017188809A1 (en) Modified ceramic former for manufacturing a nitrile butadiene rubber (nbr) article having improved grip properties
CN207693017U (zh) 一种清洁手套
KR200398595Y1 (ko) 휴대용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JP3235209U (ja) 簡易型手袋
KR200199807Y1 (ko) 미끄럼 방지용 흡착구가 형성되여 있는 고무장갑
JP3194945U (ja) グラス磨きセット
KR200389630Y1 (ko)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KR20050080741A (ko) 휴대용 오지장갑 뒤집기 도구
KR101473855B1 (ko) 벗기 쉬운 고무장갑
US20240000172A1 (en) Glove having discreet gripping zones formed therein
CN211608301U (zh) 一种强密封性防滑手套
US20150135401A1 (en) Glove with cleaning surfaces
KR200367797Y1 (ko) 착용이 용이한 고무장갑
KR200358027Y1 (ko) 목욕용 장갑
KR20100005759A (ko) 봉제장갑 및 그 제조방법
JPH0913211A (ja) 3本指手袋
JP3158198U (ja) アクリル繊維毛糸を親指と他の4本の指を一つにまとめた形状で左右から使用できる洗剤要らずの食器洗い用手袋
JPH08289866A (ja) 掃除道具
KR20060112081A (ko) 내외면에 돌기를 갖는 고무장갑
KR20240012865A (ko) 끼기 쉬운 고무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